KR101402025B1 -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025B1
KR101402025B1 KR1020110129561A KR20110129561A KR101402025B1 KR 101402025 B1 KR101402025 B1 KR 101402025B1 KR 1020110129561 A KR1020110129561 A KR 1020110129561A KR 20110129561 A KR20110129561 A KR 20110129561A KR 101402025 B1 KR101402025 B1 KR 10140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ctivity
skin
lav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178A (ko
Inventor
김병호
김기주
양원혁
김진석
강희곤
이현정
문상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10129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0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61K35/08Mineral waters; Sea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항히스민 활성,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및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가지는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Using Desalinized Magma Seawater}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주에서도 동부지역(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만 분포하는 용암해수는 청정하고 수온이 연중 일정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 염지하수나 해수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지하 지질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1992,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보, 제3권, P.15~43」,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 상태와 지하수와의 관계, 1991, 지질학회지, 제27권 제5호, P. 552」 등을 포함한 기존의 자료로부터 용암해수의 생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즉 외부 해양으로부터 해수가 지하의 용암층을 침투하여 유입하였고, 물의 이동이 어려운 불투수성 퇴적층인 서귀포층(또는 세화리층) 위에서 거대한 해수 수괴를 형성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용암해수는 서귀포층이 엷은 제주도 서부 및 남·북부의 경우는 발견되지 않고, 유일하게 서귀포층이 두터운 동부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제주도 동부지역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에서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44.35mm, 86.35m 및 126.35m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고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얻은 수심별 미네랄 함량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제주 용암해수의 수심별 미네랄 농도(ppm)
시험항목 담수 1m 용암해수 44.35m 용암해수 86.35m 용암해수 126.35m
Na 146 11400 11400 10700
Mg 0.49 1510 1520 1390
Ca 9.20 460 490 431
K 38.5 643 540 621
Cu 0.00069 0.00157 0.00113 0.00080
Co - - - -
Sn - - - -
Mo 0.0014 0.011 0.012 0.011
V 0.013 3.28 3.53 0.01
Ge 0.00019 0.0032 0.003 0.0025
Br - - - -
Sr 0.05 1.18 1.31 1.30
Ti - - - -
Ni - - - -
Si(SiO2) 1.21 7.23 6.19 1.21
Zn 0.001 0.0045 0.0039 0.0019
Fe 0.082 0.21 0.26 0.04
Mn 0.01 19.51 20.7 18.9
Cl- 262 16629 18500 19900
B 0.15 3.35 3.73 0.15
Li 0.09 0.37 0.41 0.09
Ba 0.015 0.032 0.019 0.015
Pb 0.00091 0.004 0.0013 0.00065
F - - - -
As - 0.01 - -
Se 0.000049 0.00005 0.00124 0.00086
Hg - - - -
CN- - - - -
Cr - - - -
Cd - - - -
Al 0.14 0.63 0.49 0.47
* 상기 담수는 전기전도도가 1186.58㎲/cm이고 염의 농도가 0.3 퍼밀리인 평균 해수면 하 1m의 지하수의 성분 분석 결과임
상기 [표 1]로부터 용암해수는 염분, 칼슘, 마그네슘 등의 항목에서는 일반 염지하수와 유사한 점을 나타내지만, 바나듐, 게르마늄, 셀레늄 등의 미량원소 항목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용암해수 미네랄 성분이 세포증식 활성, 항염증 활성, 탈모 방지 활성 등을 갖는다고 보고되어 있다(한국 특허 제0947637호, 한국 특허 제982351호).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의 유용한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탈염 용암해수가 5α-리덕타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관능평가에서 여드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탈과립 억제 활성(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 유리 억제 활성)을 보여 항히스타민 활성을 나타내면서 SCORAD 지수를 통하여 평가할 때 뚜렷한 아토피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섬유아세포에 처리될 때 타입 Ⅰ 콜라겐의 생성 촉진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한 기능성 화장품 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 시험법에 의할 때 자외선 차단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5α-리덕타제는 여드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피지 과분비에 관여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고, 타입 Ⅰ 콜라겐은 그것이 감소할 때 피부 탄력이 감소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J. Inv . Der., 98; 248-254, 1992; Arch Dermatol 138: 1462-1470, 2002), 비만세포의 과립 중에 히스타민과 함께 저장되어 있는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는 비만세포의 탈과립에 의한 히스타민의 분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물질로서 알려져 있다(Schwartz et al., J. Immunol., 123, 1445-1450, 1970; 최선필 등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4), 315-321 (2005)).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히스타민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콜라겐 생성 촉진"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콜라겐의 양이 피부 탄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므로 피부 탄력 향상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자외선"이란 장파장 자외선(320∼400nm, 이하 "UVA"라 칭함) 및/또는 중파장 자외선(280∼320nm, 이하 "UVB"라 칭함)을 의미한다. 자외선은 장파장 자외선인 UVA와 중파장 자외선인 UVB 그리고 단파장 자외선(200∼280nm, 이하 UVC라 칭함)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 영역은 290∼400nm이며 그 광량은 태양광선 중 약 6%를 차지하는데, 이중 UVB가 약 0.5%, UVA가 나머지 5.5%를 차지한다. UVA와 UVB는 홍반, 수포, 피부 주름 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항히스타민"은 과잉의 히스타민의 분비에 의한 생리적 변화 또는 기능 이상에 의한 질환의 개선을 의미한다. 여기서 히스타민의 분비에 의한 생리적 변화 또는 기능 이상에 의한 질환으로서는 전술한 바의 천식, 비염, 두드러기, 아토피성 피부염, 호흡기계의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어지러움증, 구토, 과다 위산 분비, 위 식도 역류 질환, 염증, 아나팔락시스와 연관된 저혈압 등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개선"이란 병리적 증상의 예방, 치료, 발병 억제, 또는 지연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용암해수"란 발명의 명칭이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조성물"인 국내 특허 제0853244호(출원번호: 제10-2008-0027861호)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바의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와 같은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하며, '염지하수'는 일정량 이상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기원 등의 논문(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에서 사용한 염분 농도에 의거 제주도 지하수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저염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00㎲/cm ~17,350㎲/cm)와 염수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350㎲/cm 이상)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도가 17,350 ㎲/cm 이상 또는 염의 농도가 30‰(permilliage) 이상(통상 해수의 염분 농도가 32 내지 35‰임)인 염수지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란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결과물로서 이 결과물은 일부 탈수된(수분이 일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성상이거나 완전히 탈수된 분말상의 성상일 수 있다. 이 탈염 용암해수는 그 성상이 액상이든 분말상이든 미네랄 성분들의 조성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탈염 용암해수를 얻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그러한 기술로서는 플래시증발법, 해수동결법,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전기투석기와 같은 시중에 유통되는 염분제거장치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탈염 용암해수를 여드름 개선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자외선 차단 활성 등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여드름 개선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항히스타민 활성,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자외선 차단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료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피부 보습 활성 물질, 항아토피 활성 물질, 항여드름 활성 물질, 미백 활성 물질 등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드름 개선 활성,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항히스민 활성,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및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가지는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 비누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탈염 용암해수 제조
제주도 동부지역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에서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44.35mm, 86.35m 및 126.35m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였다. 채수한 용암해수를 한국화학시험연구원(대한민국, 서울 소재)에 의뢰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취한 용암해수의 전기전도도 및 염분 농도를 측정한 결과 지하 44.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는 전기전도도가 48516.41㎲/cm이고 염분 농도는 14.4‰(permilliage), 지하 86.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는 전기전도도가 50618.4㎲/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이며, 지하 126.35m에서 채수한 염지하수는 전기전도도가 50474.3㎲/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로 나타났다.
상기 지하 86.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를 0.2㎛의 필터로 걸러낸 후, 전기투석기(ASTOM CO. LTD, 일본)에 의하여 이온 교환막을 이용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과정을 거쳤다. 탈염 과정을 거친 용암해수를 진공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 성분을 제거하고 분말상의 탈염 용암해수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 탈염 용암해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아래의 실험에 사용할 화장료 조성물을 아래의 [표 2]의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번호 성분 함량
(중량%)
1 탈염 용암해수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아래의 실험에서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로서는 상기 [표 2]에서 탈염 용암해수 대신에 정제수가 그 함량만큼 포함되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 실험예 > 탈염 용암해수의 여드름 개선 활성 실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활성 실험, 항히스타민 활성, 콜라겐 생성 촉진 활성 실험 및 자외선 차단 활성 실험
<실험예 1> 여드름 개선 활성 실험
<실험예 1-1> 5α- 리덕타제 억제 활성 실험
8주령의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liver)에 완충액(0.32M sucrose, 0.1mM dithiothreitol, 20mM sodium acetate)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준비하고 그 현탁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였다. 이 상층액에는 5-알파-리덕타제가 함유되어 있다.
5α-리덕타제의 반응 기질은 방사능 표지 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5α-리덕타제의 상층액 30㎕을 효소반응용액(50mM Na2HPO4(pH 6.8), 25mM KCl, 500mM NADPH) 60㎕에 첨가함과 함께 상기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를 농도별로 증류수로 희석한 희석액을 10㎕ 첨가하여 전체 반응용액의 양을 100㎕로 하였다. 이 반응 용액을 37℃ 항온조에서 2분간 방치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전개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용 플레이트판(thin-layer chromatography plate) 상에 전개하고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로 정량 분석하였다.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은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 100(A-B/A)
A : 탈염 용암해수 미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B : 탈염 용암해수 첨가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탈염 용암해수 첨가 농도(%, w/v) 5α-리덕타제에 대한 활성 억제율
0.001 28.7%
0.01 35.8%
0.1 59.3%
상기 [표 3]의 결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탈염 용암해수가 5α-리덕타제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1-2> 여드름 개선 활성에 대한 관능평가 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제조예)과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을 이용하여 여드름 개선 활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여드름 증상을 갖고 있는 남녀 4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사용하게 한 후 2주째와 4주째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사용자의 수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2주 5 2
4주 13 4
상기 [표 4]에서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결과와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결과를 비교할 때 탈염 용암해수가 여드름 개선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2> 아토피 피부염 개선 활성 실험
5세 이상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갖고 있는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눈 한에, 각 그룹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제조예)과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료 조성물(비교예)을 하루 2~3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8주가 지난 후에 The European Task Force on Atopic Dermatitis가 개발한 SCORAD 지수(SCORing Atopic Dermatitis Index, 아토피 증상이 심할수록 높은 수치로 나타남)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평균±표준편차로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SCORAD 지수
구분 0 주차 8주차
제조예 35.24±9.51 26.17±8.36*
비교예 36.72±7.27 34.63±9.85
* p<0.05
상기 [표 5]에서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결과와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결과를 비교할 때 탈염 용암해수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4> 탈과립 억제 활성 측정 - β- hexosaminidase assay
RBL-2H3 세포주를 10% FBS(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RBL-2H3 세포주를 monoclonal antibody IgE(0.5㎍/ml)로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된 세포에 안티젠(DNP-HSA) 200ng/㎖을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10분간 ice bath에 처리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얻은 0.02㎖의 상등액에 0.02㎖의 기질액 1mM p-NAG(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를 처리한 후, 이를 37℃, 5% CO2에서 60분간 반응시킨 다음 0.1M Na2CO3/NaHCO3 0.2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405 nm에서 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의 유리 억제 효과에 대해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IC50)로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베타 헥소사미니다제 분비 양의 억제는 면역세포의 탈과립화를 방지함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항히스타민 활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 활성(IC50, ㎍/㎖)
시료 IC50 (㎍/ml)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 79.36
상기 [표 6]의 결과는 탈염 용암해수가 베타-헥소사미니다아제 유리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3>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활성 실험
<실험예 3-1> 세포 배양
실험에 사용한 사람의 섬유아세포(CCD-986SK, human fibroblasts)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10%의 FBS(fetal bovine serum, Hyclone)와 1% Antibiotic-Antimycotic(Gibco)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Hyclone)으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3-2> 타입 Ⅰ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실험
사람 섬유아세포를 2×104cell/well 농도로 96 well에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serum free 배지로 시료를 희석하여 50, 100 및 200㎍/㎖ 농도로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수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세포 배양액 내 콜라겐 합성량은 procollagen type I peptide EIA kit(Takara Biomedical C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ntic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를 각 well에 넣은 다음 sample 및 standard 20 ㎕를 넣고 37℃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각 well에 배양액을 제거한 뒤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400 ㎕로 4회 세척하였다. 기질용액 100 ㎕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stop solution(1N H2SO4) 10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ELISA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3> 세포 생존율 평가 실험
사람 섬유아세포를 2×104 cell/well 농도로 96 well에 분주한 다음 세포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지를 버리고 serum free 배지로 시료를 희석하여 50, 100 및 200㎍/㎖ 농도로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MTT용액(2mg/ml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액)을 각 well에 50ul씩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을 넣고, 10분간 흔들어 준 후 ELISA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무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4> 실험 결과
상기 타입 Ⅰ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실험 결과와 상기 세포 생존율 평가 실험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함께 나타내었다.
타입 Ⅰ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및 세포 생존율
탈염 용암해수 처리 농도(㎍/㎖)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세포 생존율(%)
무처리군 100 100
50 113.1±8.3* 103.7
100 126.5±11.4* 105.6
200 137.8±7.6* 109.4
* p < 0.05
상기 [표 7]의 결과는 세포 생존율 이상으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높음을 보여주며, 이는 탈염 용암해수가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가짐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험예 4> 자외선 차단 활성 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과 탈염 용암해수가 포함되지 아니한 화장료 조성물의 SPF(Sun Protection Factor) 및 PFA(Protection Factor of UVA)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한 기능성 화장품 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SPF/PFA가 높을수록 UVB/UVA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나타내었다.
SPF/UVA 측정 결과
구분 SPF UVA
제조예의 화장료 조성물 21.4 6.3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14.7 4.9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탈염 용암해수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 부존하고 있는 용암해수를 채수하고 탈염시켜 얻어진 탈염 용암해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 부존하고 있는 용암해수는 (a) 전기전도도가 48516.41㎲/cm이고 염분 농도는 14.4‰(permilliage)이거나, (b) 전기전도도가 50618.4㎲/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이거나, 또는 (c) 전기전도도가 50474.3㎲/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장파장 자외선(UVA) 또는 중파장 자외선(UV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29561A 2011-12-06 2011-12-06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0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61A KR101402025B1 (ko) 2011-12-06 2011-12-06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61A KR101402025B1 (ko) 2011-12-06 2011-12-06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78A KR20130063178A (ko) 2013-06-14
KR101402025B1 true KR101402025B1 (ko) 2014-06-03

Family

ID=4886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61A KR101402025B1 (ko) 2011-12-06 2011-12-06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9A (ko) 2017-07-31 2019-02-12 (주)싱싱플러스메디텍 항아토피성이 우수한 용암해수염의 제조방법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564A (ko)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326B1 (ko) * 2020-06-24 2020-12-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용암해수 미네랄수를 포함하는 유익균 증진 및 유해균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253A (ko) * 2002-09-30 2004-04-03 임 그리워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화장료
KR20040031799A (ko) * 2002-10-01 2004-04-14 임 그리워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20060031329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태평양 베타-1,3-글루칸 및 해양심층수를 함유하는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20080052719A (ko) * 2006-12-08 2008-06-12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으로부터 분리된 탈염미네랄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253A (ko) * 2002-09-30 2004-04-03 임 그리워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화장료
KR20040031799A (ko) * 2002-10-01 2004-04-14 임 그리워 반도심층수 농축물을 함유한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약학조성물
KR20060031329A (ko) * 2004-10-08 2006-04-12 주식회사 태평양 베타-1,3-글루칸 및 해양심층수를 함유하는 피부탄력증진용 조성물
KR20080052719A (ko) * 2006-12-08 2008-06-12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으로부터 분리된 탈염미네랄수를 함유하는 화장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59A (ko) 2017-07-31 2019-02-12 (주)싱싱플러스메디텍 항아토피성이 우수한 용암해수염의 제조방법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564A (ko) 2017-10-31 2019-05-09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78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691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63012B1 (ko) 용암해수 미네랄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257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60969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194809A (ja)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KR101230277B1 (ko)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US2013018325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KR101402025B1 (ko)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3749B1 (ko) 율초 또는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JP2011219402A5 (ko)
KR20150117469A (ko) 바나듐 함유 미네랄 조성물과 봉독을 이용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645621B1 (ko)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69528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4436B1 (ko)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6175216B2 (ja) 関節炎の予防・治療剤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2386B1 (ko) 진귤 종자 가공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JP59926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