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651B1 -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651B1
KR101401651B1 KR1020120093435A KR20120093435A KR101401651B1 KR 101401651 B1 KR101401651 B1 KR 101401651B1 KR 1020120093435 A KR1020120093435 A KR 1020120093435A KR 20120093435 A KR20120093435 A KR 20120093435A KR 101401651 B1 KR101401651 B1 KR 10140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avities
plate
mol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652A (ko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동보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보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보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6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이루는 양 사이드플레이트를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고, 이 제작을 위한 제조금형에 대한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MOLD OF MAKING SIDE-PLATE AND METHOD OF MAKING THEREFOR, AND SIDE-PLATE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있어 내부에 상하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용 핀에서 최상측과 최하측의 각 외측 핀을 감싸게 되는 두 사이드플레이트 제조 시 두 사이드플레이트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으며, 두 사이드플레이트를 이루는 구성 간의 폭이나 위치 등의 설계 변경이 용이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에 관한 기술이다.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42121호(1999.01.12.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에 흐르는 냉매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튜브들 사이에 배설된 코루게이트핀과, 상기 코루게이트핀에 의해 매개되어 상기 튜브들 중의 최상측 및 최하측에 배설된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튜브와 사이드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각각 삽입배설된 관형헤더와, 상기 관형헤더의 상,하측 양단을 막는 상측캡 및 하측캡을 구비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양단 중앙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측캡에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양단을 수용하는 양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양 플랜지의 사이에는 상기 돌기에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와 관형헤더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노내에서 브레이징할 시에 상기 튜브, 코루게이트핀 및 사이드플레이트가 관형헤더에 대해 흔들리거나 고온의 분위기로 인해 위치가 어긋나거나 변형됨을 방지하여 열교환기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본 출원인은 자동차 등의 다양한 물품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이에 설치되는 두 사이드플레이트를 좀 더 쉽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 측에 각각 설치되는 탑 및 바텀 사이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변위 및 길이 조절 등이 가능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1차 및 2차 가공에 의해 두 번에 나누어 가공함에 따라 제조금형에 대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은,
제1하부플레이트,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 그리고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와 각 제1리어공동부에서 전후에 위치한 제1프론트공동부와 제1리어공동부를 상호 잇는 네 개의 중계공동부를 포함하는 제1하부몰드;
상기 제1하부몰드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상부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와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와 네 개의 중계공동부가 이루는 네 개의 캐비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블레이드, 그리고 제1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1하부몰드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를 상기 네 개의 캐비티 내로 진입케 하는 제1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상부몰드;
제2하부플레이트,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면 좌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면 우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면 중앙 영역의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 상기 리어사각공동부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와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 그리고 상기 리어사각공동부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몰드 우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몰드;
상기 제2하부몰드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2상부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 그리고 제2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2하부몰드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2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2상부몰드;
제3하부플레이트,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 그리고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3리어공동부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몰드 우측에 배치되는 제3하부몰드; 및
상기 제3하부몰드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3상부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 그리고 제3가이드수단에 의해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3하부몰드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3중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3상부몰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하부몰드의 제2하부플레이트 상부면에는 상기 프론트장방공동부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 사이, 상기 리어장방공동부와 상기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가 형성되고,
또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와 프론트원형공동부 사이, 상기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와 리어원형공동부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몰드의 제2상부플레이트 하부면에는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1대응요철부가 형성되고,
또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2대응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의 각 상부플레이트가 상부베이스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을 이용한 사이드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기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이송유닛에 의해서 상기 제1하부몰드와 상기 제1상부몰드 사이로 전후 나란히 탑 및 바텀 원재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탑 및 바텀 원재의 각 진입단부가 상기 제2하부몰드와 상기 제2상부몰드 사이로 진입하되,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 각각에 위치하도록 진입하는 단계;
승강유닛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에서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가 상기 네 개의 캐비티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장방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가압부와 좌부리어가압부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와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관통홀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1관통홀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1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단턱가압부와 좌부리어단턱가압부가 상기 좌부프론트단턱부와 좌부리어단턱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의 진입단부를 커팅하는 단계;
승강유닛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를 상승시키고, 이송유닛에 의해서 상기 탑 및 바텀 원재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되, 상기 탑 및 바텀 원재에서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가 상기 제3하부몰드에서 벗어나도록 전진시키는 단계;
승강유닛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에서 상기 네 개의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우부프론트가압부와 우부리어가압부가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와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관통홀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2관통홀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2돌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우부프론트단턱가압부와 우부리어단턱가압부가 상기 우부프론트단턱부와 우부리어단턱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단턱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원형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와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가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와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개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는,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 측에 각각 설치되는 탑 및 바텀 사이드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변위 및 길이 조절 등이 가능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제1, 제2 및 제3 금형으로 분리 구성한 후 이 금형들을 이용해 2회에 걸쳐 가공함에 따라 제조금형에 대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플레이트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금형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1금형[제1 하부 및 상부 몰드]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제2금형[제2 하부 및 상부 몰드]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제2하부몰드에 대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도 2의 제3금형[제3 하부 및 상부 몰드]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7은 도 2에서 제1, 제2 및 제3 상부 몰드에서 각 중간플레이트가 가압되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금형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플레이트의 평면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원재 진입 측을 좌부 또는 좌방, 원재 배출 측을 우부 또는 우방, 제1하부몰드 측을 하부 또는 하방, 제1상부몰드 측을 상부 또는 상방, 제1프론트공동부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제1리어공동부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은,
크게 제1하부몰드(10), 제1상부몰드(20), 제2하부몰드(30), 제2상부몰드(40), 제3하부몰드(50) 및 제3상부몰드(6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제1하부몰드(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1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하부플레이트(11),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11)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12),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11)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12)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13), 그리고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12)와 각 제1리어공동부(13)에서 전후에 위치한 제1프론트공동부(12)와 제1리어공동부(13)를 상호 잇는 네 개의 중계공동부(1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상부몰드(20)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1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1하부몰드(1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상부플레이트(21),
상기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12)와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13)와 네 개의 중계공동부(14)가 이루는 네 개의 캐비티(1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 그리고
제1가이드수단(23)에 의해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1하부몰드(10)의 제1하부플레이트(11)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를 상기 네 개의 캐비티(15) 내로 진입케 하는 제1중간플레이트(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가이드수단(23)은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에 하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231)와, 상기 제1중간플레이트(24)에서 상기 각 제1가이드(23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각 제1가이드(231)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1대응가이드(232)와, 상기 각 제1가이드(231)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제1대응가이드(232) 주변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로부터 상기 제1중간플레이트(24)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제1지지부(233)로 이루어진다.
제2하부몰드(3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2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2하부플레이트(31),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좌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우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중앙 영역의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34A)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
상기 리어사각공동부(34B)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34A)와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37A, 37B), 그리고
상기 리어사각공동부(34B)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38A, 38B)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하부몰드(10)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제2상부몰드(40)는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2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2하부몰드(3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2상부플레이트(41),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45A, 45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46A, 46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37A, 37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47A, 47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38A, 38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48A, 48B), 그리고
제2가이드수단(49)에 의해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2하부몰드(30)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45A, 45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46A, 46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47A, 47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48A, 48B)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2중간플레이트(49A)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수단(49)은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에 하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491)와,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에서 상기 각 제1가이드(49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각 제2가이드(491)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2대응가이드(492)와, 상기 각 제2가이드(491)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제2대응가이드(492) 주변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로부터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제2지지부(493)로 이루어진다.
제3하부몰드(5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3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3하부플레이트(51),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51)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 그리고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51)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3리어공동부(52)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하부몰드(30) 우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제3상부몰드(6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단계 금형 중 제3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3하부몰드(5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3상부플레이트(61),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 그리고
제3가이드수단(64)에 의해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3하부몰드(50)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3중간플레이트(6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가이드수단(64)은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에 하방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3가이드(641)와, 상기 제3중간플레이트(65)에서 상기 각 제3가이드(6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각 제3가이드(641)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3대응가이드(642)와, 상기 각 제3가이드(641)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제3대응가이드(642) 주변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로부터 상기 제3중간플레이트(65)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는 제3지지부(643)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금형에서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몰드(30)의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에는
상기 프론트장방공동부(32A)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사이, 상기 리어장방공동부(32B)와 상기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36A)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30A1, 30A2)가 형성되고,
또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B)와 프론트원형공동부(33A) 사이, 상기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36B)와 리어원형공동부(33B)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30B1, 30B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몰드(40)의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면에는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30A1, 30A2)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1대응요철부(40A1, 40A2)가 형성되고,
또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30B1, 30B2)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2대응요철부(40B1, 40B2)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금형에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하부몰드(10, 30, 50)의 각 하부플레이트(11, 31, 51)는 테이블(100)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의 각 상부플레이트(21, 41, 61)는 이들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상부베이스(90)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유닛(80)에 의해 상기 상부베이스(90)가 하강함에 따라 이에 설치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금형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70)은
스텝모터 등에 의해서 일정 시간 작동되는 공지의 구동구조, 또는 타이머 등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 등의 공지 구동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탑 및 바텀 원재(1, 2)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 후 정지]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80)은
타이머 등에 의해서 제어되는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 등의 공지 구동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베이스(90)에 대한 하강 및 상승 동작을 반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국 상기 상부베이스(9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기 각 상부몰드(20, 40, 60)가 하강 및 상승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사이드플레이트를 제조하게 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와 같이, 이송유닛(70)에 의해서 상기 제1하부몰드(10)와 상기 제1상부몰드(20) 사이로 전후 나란히 탑 및 바텀 원재(1, 2)를 공급하는 단계(S10),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의 각 진입단부가 상기 제2하부몰드(30)와 상기 제2상부몰드(40) 사이로 진입하되,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 각각에 위치하도록 진입하는 단계(S20),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승강유닛(80)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에서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가 상기 네 개의 캐비티(15)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를 형성하는 단계(S30),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장방홀(1b, 2b)을 형성하는 단계(S40),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가압부(45A)와 좌부리어가압부(46A)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와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36A)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관통홀(1c, 2c)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1, 2)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1관통홀(1c, 2c)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1돌기부(1d, 2d)를 형성하는 단계(S50),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단턱가압부(47A)와 좌부리어단턱가압부(48A)가 상기 좌부프론트단턱부(37A)와 좌부리어단턱부(38A)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단턱부(1e, 2e)를 형성하는 단계(S60),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의 진입단부를 커팅하는 단계(S70),
도 11에서와 같이, 승강유닛(80)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를 상승시키고, 이송유닛(70)에 의해서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되,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에서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가 상기 제3하부몰드(50)에서 벗어나도록 전진시키는 단계(S80),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승강유닛(80)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에서 상기 네 개의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을 커팅하는 단계(S90),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우부프론트가압부(45B)와 우부리어가압부(46B)가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B)와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36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관통홀(1f, 2f)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1, 2)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2관통홀(1f, 2f)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2돌기부(1g, 2g)를 형성하는 단계(S100),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우부프론트단턱가압부(47B)와 우부리어단턱가압부(48B)가 상기 우부프론트단턱부(37B)와 우부리어단턱부(38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단턱부(1h, 2h)를 형성하는 단계(S110),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원형홀(1i, 2i)을 형성하는 단계(S120),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와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가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와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개방부(1j, 2j)를 형성하는 단계(S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 단계(S90)와 함께 동시에 이루어지는 리브 형성 단계(S140)를 더 포함하는데,
도 10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리브 형성 단계(S140)는
승강유닛(80)에 의해서 하강하는 제2상부몰드(40)의 프론트 및 리어 제1대응요철부(40A1, 40A2)가 제2하부몰드(30)의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30A1, 30A2)와 맞물리어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1리브(1k, 2k)를 형성하고,
또 상기 제2상부몰드(40)의 프론트 및 리어 제2대응요철부(40B1, 40B2)가 제2하부몰드(30)의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30B1, 30B2)와 맞물리어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2리브(1m, 2m)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탑사이드플레이트(1A)와 바텀사이드플레이트(1B)가 동시에 제조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 및 제2 금형[제1하부몰드(10)와 제1상부몰드(20), 제2하부몰드(30)와 제2상부몰드(40)]에 의해서 1차 가공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70)에 의해 이송되는 거리에 따라 제2 및 제3 금형[제2하부몰드(30)와 제2상부몰드(40), 제3하부몰드(50)와 제3상부몰드(60)]에 의해서 2차 가공되는 위치의 설정이 가능함에 따라 인접한 두 C 구간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A 구간에 대한 전체 길이 조절 또한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테이블(100) 상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하부몰드(10, 30, 50)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 변경치에 맞게 상기 상부베이스(90)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 또한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B와 C 구간에 대한 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 탑 및 바텀 원재
1A, 1B : 탑 및 바텀 사이드플레이트
10 : 제1하부몰드
11 : 제1하부플레이트 12 : 제1프론트공동부
13 : 제1리어공동부 14 : 중계공동부
15 : 캐비티
20 : 제1상부몰드
21 : 제1상부플레이트 22 : 제1블레이드
23 : 제1가이드수단 231 : 제1가이드
232 : 제1대응가이드 233 : 제1지지부
24 : 제1중간플레이트
30 : 제2하부몰드
31 : 제2하부플레이트
32A : 프론트장방공동부 32B : 리어장방공동부
33A : 프론트원형공동부 33B : 리어원형공동부
34A : 프론트사각공동부 34B : 리어사각공동부
35A :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 35B :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
36A :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 36B :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
37A : 좌부프론트단턱부 37B : 우부프론트단턱부
38A : 좌부리어단턱부 38B : 우부리어단턱부
30A1, 30A2 :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
30B1, 30B2 :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
40 : 제2상부몰드
41 : 제2상부플레이트
42A : 프론트장방블레이드 42B : 리어장방블레이드
43A : 프론트원형블레이드 43B : 리어원형블레이드
44A : 프론트사각블레이드 44B : 리어사각블레이드
45A : 좌부프론트가압부 45B : 우부프론트가압부
46A : 좌부리어가압부 46B : 우부리어가압부
47A : 좌부프론트단턱가압부 47B : 우부프론트단턱가압부
48A : 좌부리어단턱가압부 48B : 우부리어단턱가압부
49 : 제2가이드수단 491 : 제2가이드
492 : 제2대응가이드 493 : 제2지지부
49A : 제2중간플레이트
40A1, 40A2 : 프론트 및 리어 제1대응요철부
40B1, 40B2 : 프론트 및 리어 제2대응요철부
50 : 제3하부몰드
51 : 제3하부플레이트 52 : 제3리어공동부
53 : 제3프론트공동부
60 : 제3상부몰드
61 : 제3상부플레이트 62 : 제3리어블레이드
63 : 제3프론트블레이드
64 : 제3가이드수단 641 : 제3가이드
642 : 제3대응가이드 643 : 제3지지부
65 : 제3중간플레이트
70 : 이송유닛
80 : 승강유닛
90 : 상부베이스
100 : 테이블

Claims (5)

  1. 제1하부플레이트(11),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11)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12), 상기 제1하부플레이트(11)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12) 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13), 그리고 상기 각 제1프론트공동부(12)와 각 제1리어공동부(13)에서 전후에 위치한 제1프론트공동부(12)와 제1리어공동부(13)를 상호 잇는 네 개의 중계공동부(14)를 포함하는 제1하부몰드(10);
    상기 제1하부몰드(1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상부플레이트(21), 상기 네 개의 제1프론트공동부(12)와 네 개의 제1리어공동부(13)와 네 개의 중계공동부(14)가 이루는 네 개의 캐비티(1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 그리고 제1가이드수단(23)에 의해 상기 제1상부플레이트(2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1하부몰드(10)의 제1하부플레이트(11)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를 상기 네 개의 캐비티(15) 내로 진입케 하는 제1중간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제1상부몰드(20);
    제2하부플레이트(31),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좌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우측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 상기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 중앙 영역의 전후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34A)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 상기 리어사각공동부(34B) 좌우 측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 상기 프론트사각공동부(34A)와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37A, 37B), 그리고 상기 리어사각공동부(34B)와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 사이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38A, 38B)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몰드(10) 우측에 배치되는 제2하부몰드(30);
    상기 제2하부몰드(3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2상부플레이트(41),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35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45A, 45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피가압공동부(36A, 36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46A, 46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부(37A, 37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47A, 47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부(38A, 38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에 형성되는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48A, 48B), 그리고 제2가이드수단(49)에 의해 상기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2하부몰드(30)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가압부(45A, 45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가압부(46A, 46B), 상기 좌부 및 우부 프론트단턱가압부(47A, 47B), 상기 좌부 및 우부 리어단턱가압부(48A, 48B)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2중간플레이트(49A)를 포함하는 제2상부몰드(40);
    제3하부플레이트(51),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51) 상부면 후방 측에 좌우 나란히 요입 형성되는 V자형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 그리고 상기 제3하부플레이트(51) 상부면 전방 측에 좌우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각 제3리어공동부(52) 전방에 배치되면서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부몰드(30) 우측에 배치되는 제3하부몰드(50); 및
    상기 제3하부몰드(50)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3상부플레이트(61),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에 형성되는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 그리고 제3가이드수단(64)에 의해 상기 제3상부플레이트(61) 하부 측에 연결되고 하강 시 상기 제3하부몰드(50)와 접하면서 상승하여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 상기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 각각을 해당 영역 내로 진입케 하는 제3중간플레이트(65)를 포함하는 제3상부몰드(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부몰드(30)의 제2하부플레이트(31) 상부면에는 상기 프론트장방공동부(32A)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 사이, 상기 리어장방공동부(32B)와 상기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36A)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30A1, 30A2)가 형성되고,
    또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B)와 프론트원형공동부(33A) 사이, 상기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36B)와 리어원형공동부(33B) 사이 각각에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30B1, 30B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상부몰드(40)의 제2상부플레이트(41) 하부면에는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1요철부(30A1, 30A2)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1대응요철부(40A1, 40A2)가 형성되고,
    또 상승하는 상기 제2중간플레이트(49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제2요철부(30B1, 30B2)와 맞물리는 프론트 및 리어 제2대응요철부(40B1, 40B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의 각 상부플레이트(21, 41, 61)가 상부베이스(9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금형을 이용하여,
    이송유닛(70)에 의해서 상기 제1하부몰드(10)와 상기 제1상부몰드(20) 사이로 전후 나란히 탑 및 바텀 원재(1, 2)를 공급하는 단계(S10);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의 각 진입단부가 상기 제2하부몰드(30)와 상기 제2상부몰드(40) 사이로 진입하되,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 각각에 위치하도록 진입하는 단계(S20);
    승강유닛(80)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에서 상기 네 개의 제1블레이드(22)가 상기 네 개의 캐비티(15)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를 형성하는 단계(S30);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블레이드(42A, 42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장방공동부(32A, 32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장방홀(1b, 2b)을 형성하는 단계(S40);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가압부(45A)와 좌부리어가압부(46A)가 상기 좌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A)와 좌부리어피가압공동부(36A)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관통홀(1c, 2c)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1, 2)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1관통홀(1c, 2c)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1돌기부(1d, 2d)를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좌부프론트단턱가압부(47A)와 좌부리어단턱가압부(48A)가 상기 좌부프론트단턱부(37A)와 좌부리어단턱부(38A)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1단턱부(1e, 2e)를 형성하는 단계(S60);
    상기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 형성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의 진입단부를 커팅하는 단계(S70);
    승강유닛(80)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를 상승시키고, 이송유닛(70)에 의해서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되,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에서 네 개의 탑 및 바텀 제1개방부(1a, 2a)가 상기 제3하부몰드(50)에서 벗어나도록 전진시키는 단계(S80);
    승강유닛(80)에 의해서 하강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상부몰드(20, 40, 60)에서 상기 네 개의 프론트 및 리어 사각블레이드(44A, 44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사각공동부(34A, 34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을 커팅하는 단계(S90);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우부프론트가압부(45B)와 우부리어가압부(46B)가 상기 우부프론트피가압공동부(35B)와 우부리어피가압공동부(36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관통홀(1f, 2f)을 형성하고, 이때 각 원재(1, 2)에서 가압되어 절곡된 파편이 상기 탑 및 바텀 제2관통홀(1f, 2f) 내벽에서 수직으로 절곡됨에 따라 탑 및 바텀 제2돌기부(1g, 2g)를 형성하는 단계(S100);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우부프론트단턱가압부(47B)와 우부리어단턱가압부(48B)가 상기 우부프론트단턱부(37B)와 우부리어단턱부(38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단턱부(1h, 2h)를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블레이드(43A, 43B)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원형공동부(33A, 33B)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원형홀(1i, 2i)을 형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 커팅과 동시에, 상기 네 개의 제3리어블레이드(62)와 네 개의 제3프론트블레이드(63)가 상기 네 개의 제3리어공동부(52)와 네 개의 제3프론트공동부(53)로 진입하여 상기 탑 및 바텀 원재(1, 2) 각각에 탑 및 바텀 제2개방부(1j, 2j)를 형성하는 단계(S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을 이용한 사이드플레이트 제조방법.
  5. 제4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
KR1020120093435A 2012-08-27 2012-08-27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KR10140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35A KR101401651B1 (ko) 2012-08-27 2012-08-27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35A KR101401651B1 (ko) 2012-08-27 2012-08-27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52A KR20140027652A (ko) 2014-03-07
KR101401651B1 true KR101401651B1 (ko) 2014-06-03

Family

ID=5064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435A KR101401651B1 (ko) 2012-08-27 2012-08-27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6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121Y1 (ko) 1997-02-24 1999-06-01 박상록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KR100442337B1 (ko) 2002-07-15 2004-08-02 주식회사 두발가스엔지니어링 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금형장치
JP2006289450A (ja) 2005-04-12 2006-10-26 Calsonic Kansei Corp プレス装置
KR101149438B1 (ko) 2010-01-22 2012-05-24 동보정밀 주식회사 오일쿨러 인너핀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인너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121Y1 (ko) 1997-02-24 1999-06-01 박상록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열교환기
KR100442337B1 (ko) 2002-07-15 2004-08-02 주식회사 두발가스엔지니어링 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의 열교환판 금형장치
JP2006289450A (ja) 2005-04-12 2006-10-26 Calsonic Kansei Corp プレス装置
KR101149438B1 (ko) 2010-01-22 2012-05-24 동보정밀 주식회사 오일쿨러 인너핀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인너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652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356394U (zh) 一种汽车发动机管路支架模具
KR101431977B1 (ko) 금속 판재 성형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10576100B (zh) 一种锅盖的侧冲孔模具
CN201304445Y (zh) 用卷材制造电容器铝壳坯料的模具
CN110538940B (zh) 一种空调冷凝器翅片制作加工工艺
CN102237502A (zh) 电池盒、电池盒制造方法和用于该方法的电池盒制造设备
CN205629136U (zh) 一种汽车纵梁冲压成型模具
US20110203341A1 (en) Corrugated fin manufacturing apparatus
CN203363425U (zh) 一种汽车发动机管路支架
CN105642762A (zh) 一种汽车车门外板冲压模具的压料装置
KR101401651B1 (ko) 열교환기의 사이드플레이트용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사이드플레이트
CN209736465U (zh) 一种管材折弯自动切口机
CN101214527B (zh) 钩尾框的专用模具及脱模方法
CN105642754A (zh) 汽车车门外板冲压模具
CN211218275U (zh) 一种锅盖的侧冲孔模具
CN102716975A (zh) 一种瓶盖制作模具
CN210080533U (zh) 钣金折弯模具及折弯机
EP3415011B1 (en)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wafer half-shells
CN207271919U (zh) 一种接线固定支架一次成形模具
CN203002930U (zh) 用于生产汽车后轴支架总成横梁的成型模具
CN111112459B (zh) 一种裁料折弯一体式冲压模具
CN206882529U (zh) 马达定位座一次成型模具
CN218692792U (zh) 一种钣金件折弯成型装置
CN103521612A (zh) 一种翅片模多功能开条模具结构
CN214977030U (zh) 冲裁模的分段冲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