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90B1 -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90B1
KR101401590B1 KR1020120153477A KR20120153477A KR101401590B1 KR 101401590 B1 KR101401590 B1 KR 101401590B1 KR 1020120153477 A KR1020120153477 A KR 1020120153477A KR 20120153477 A KR20120153477 A KR 20120153477A KR 101401590 B1 KR101401590 B1 KR 10140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ok
unit
feed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호
서위권
Original Assignee
서위권
심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위권, 심재호 filed Critical 서위권
Priority to KR102012015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4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passing two or more work-stations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와이어에 후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와이어 양 끝단에 후크를 조립하여 지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조립된 후크가 와이어 끝단에서 빠지지 않도록 압착 및 형상 벤딩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해 관(管) 형상인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wire assembling device for roll blind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용 와이어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양 끝단에 후크를 조립하여 지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조립된 후크가 와이어 끝단에서 빠지지 않도록 압착 및 형상 벤딩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행에 필요한 주행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운행을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상태에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편의 시설이 설치되는 바, 상기와 같은 편의 시설은 선루프, 콘솔박스, 재떨이, 오디오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이 중에서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 패널의 일부에 개구부를 내어 채광 또는 환기를 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썬루프는 루프 패널에 개구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자동차의 실내를 밝게 해 주고 심리적으로 공간을 크게 하여 승객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자동차의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 것으로서 근래에는 많은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1은 이러한 선루프에 적용되는 롤러 블라인드 장치의 구조 예로서, 공개번호 10-2011-0047113호(공개일자 2011년05월06일)에 공지되어 있는바, 롤러 블라인드(100)는 크게 차양막(110), 핸들바(120), 가이드레일(130), 권취샤프트(140), 베어링(150), 텐션스프링(160) 및 와이어(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와이어(170)는 권취샤프트(140)과 핸들바(12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샤프트(140)는 썬루프의 후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차양막(110)과 와이어(170)를 권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양막 권취샤프트(142)와 와이어 권취샤프트(144)로 구성되며, 핸들바(120)의 이동에 의해 차양막(110)이 전,후로 열리거나 닫힐 경우 권취된 차양막(110)과 와이어(170)의 감김량을 조절하여 차양막(11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선루프에 적용되는 롤러 블라인드에 있어서, 와이어를 권취샤프트 및 핸들바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와이어 자체를 바로 권취샤프트 및 핸들바에 고정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일단 와이어 양 끝단에 금속(예: 황동)재질의 관(管) 형태의 부재인 후크를 조립한 다음에, 상기 후크를 이용하여 와이어 양끝을 권취샤프트 및 핸들바 등에 형성된 고정부에 조립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러한 와이어 양끝에 대한 후크 조립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조립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작업 효율 및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47113호(2011년 05월 06일)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48093호(2012년 05월 1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와이어에 후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와이어 양 끝단에 후크를 조립하여 지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조립된 후크가 와이어 끝단에서 빠지지 않도록 압착 및 형상 벤딩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와이어 양 끝단에 와이어를 지정된 길이로 절단한 후에도 후크가 와이어에서 빠지지 않도록 조립함에 있어, 후크 내로의 와이어 삽입 및 후크 압착, 후크 벤딩, 와이어의 지정된 길이 절단 등의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와의 조립을 위해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를 컷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에 후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 및 와이어 길이 지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후크가 와이어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압착 및 형상 벤딩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에 있어서 생산성 및 작업 효율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양 끝단에 후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후크가 빠지지 않도록 압착 및/또는 형상 벤딩을 수행한 다음에 지정한 길이만큼 절단하는 한편, 그 다음 차례에 새로 공급되는 후크와의 조립을 위한 와이어 피딩시 와이어가 자동으로 후크를 관통하여 지정된 길이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와이어 공급 및 후크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 및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2a는 조립 전 후크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가)는 제1후크, (나)는 제2후크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와이어 양끝에 조립된 완제품으로서의 와이어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에서 생략된 와이어 컷팅유닛과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 및 리니어모션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p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의 동작에 따른 와이어 어셈블리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로딩되기 전의 장치 초기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5b는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안착부에 로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c는 제1후크 및 제2후크가 홀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d는 제1후크 및 제2후크 내부를 와이어가 통과하여 와이어의 1차 피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e는 제2후크에 대한 벤딩 수행을 위해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이 뒤로 물러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f는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의 하강에 의해 제2후크의 벤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g는 제2후크의 벤딩이 이루어진 직후에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가 위로 상승하여 물러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h는 보조블록 이동용 에어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보조블록이 전진하여 제2후크의 벤딩된 부분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5i는 제2후크 벤딩유닛의 이동으로 인해 제1후크 내부로 와이어의 지정된 추가 공급분이 지나가게 되어 와이어의 2차 피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j 및 도 5k는 와이어의 2차 피딩 완료 후, 제1후크 벤딩유닛에 의해 제1후크의 압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로서,
도 5j는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가 압착을 위해 일단 상승한 상태도
도 5k는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가 하강하여 압착이 이루어진 시점의 상태도
도 5l 내지 도 5n은 와이어 컷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l은 와이어 공급유닛이 이동하여 와이어컷팅 유닛이 진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m은 도 5l의 평면 구성도
도 5n은 와이어 컷팅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도
도 5o은 와이어 어셈블리가 완제품으로서 언로딩 가능하게 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홀딩은 후크가 형상 변형없이 고정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클램핑(clamping)은 와이어가 후크에 맞물려 결합되는 상태를 의미함을 전제한다.
도 2 내지 도 5o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이 설명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o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예: 와이어 컷팅유닛)는 해당 도면에서 직접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을 경우,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생략될 수도 있음을 전제한다.
도 2 내지 도 5o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는, 롤러 블라인드용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한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clamping)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는, 와이어(W)의 일단에 클램핑되는 제1후크(H1)와, 상기 와이어(W)의 타단에 클램핑되는 제2후크(H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크 로딩유닛(1)은, 조립 후에 와이어(W)의 일단에 결합되어지는 제1후크(H1)가 올려지는 제1고정지그(11) 및, 상기 와이어(W)의 타단에 결합되어지는 제2후크(H2)가 올려지는 제2고정지그(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지그(11) 및 제2고정지그(12)에는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가 올라가게 될 제1후크 안착부(11a) 및 제2후크 안착부(12a)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지그(11)의 제1후크 안착부(11a)와 제2고정지그(12)의 제2후크 안착부(12a)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H1)의 홀을 지난 와이어(W)가 제2후크(H2)의 홀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후크(H1)의 홀 및 제2후크(H2)의 홀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W)의 진행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홈(11b,12b)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 안내홈(11b,12b)은 와이어 끝단이 처질 경우, 처진 끝단이 경사진 와이어 안내홈(11b,12b) 내면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져 상기 제2후크(H2)의 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지그(12)의 와이어 진행방향 전방에 제2고정지그(12)와 함께 제2후크(H2)를 지지하는 제2후크 안착부(12a)를 구성하는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이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 상에는 와이어 축선을 따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을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블록 이동용 에어실린더(14)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 공급을 위한 와이어 권취롤(미도시)에 감겨진 와이어(W)를 상기 후크 로딩유닛(1)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롤(21)과, 상기 피딩롤(2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 피딩모터(미도시)와,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권취롤에서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정확히 후크의 홀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의 진행 정도에 따라 와이어의 피딩을 멈추도록 와이어 피딩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후크(H2)의 전방에 배치되는 와이어 감지센서(27)를 더 포함하며, 예컨대, 광화이버센서, 적외선 센서 등이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로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 권취롤과 피딩롤(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와이어(W)의 진행을 돕는 와이어 안내롤(24)과, 상기 와이어 안내롤(24)이 장착되는 마운트 프레임(25)과, 상기 마운트 프레임(25)을 와이어(W)의 진행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와이어 안내롤(24)의 회전축 위치를 가변시키는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26)는, 와이어 컷팅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와이어 안내롤(24)를 와이어 진행방향(즉, 와이어 피딩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컷팅 공정 완료 직후에 상기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끝단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와이어(W)의 끝 부분이 상기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에 따라 후속될 새로운 후크와 와이어(W)와의 조립 작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는 준비가 끝나게 된다.
상기에서 피딩롤(21) 및 와이어 안내롤(24)은 마주보는 2개의 롤러부재에 의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은, 상부가이드블록과 하부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블록의 하면 및 상부가이드블록의 상면에서 서로 형합됨에 따라 와이어(W) 안내를 위한 안내홀을 형성하게 되는 반구형 홈이 각각 와이어 피딩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크 벤딩유닛(3)은, 제1고정지그(11)에 로딩되는 제1후크(H1)를 벤딩하기 위한 제1후크 벤딩유닛(3a)과, 제2고정지그(12)에 로딩되는 제2후크(H2)를 벤딩하기 위한 제2후크 벤딩유닛(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후크 벤딩유닛(3a)은, 제1후크(H1)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1a)와, 상기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1a)의 작동시 하강하여 제1후크(H1)를 홀딩하게 되는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와, 상기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후크(H1)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와, 상기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의 작동시 제1후크(H1)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후크 벤딩유닛(3b)은, 제2후크(H2)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2a)와, 상기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2a)의 작동시 하강하여 제2후크(H2)를 홀딩하게 되는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와, 상기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2후크(H2)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와, 상기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의 작동시 제2후크(H2)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후크 벤딩유닛(3a)에 대한 제2후크 벤딩유닛(3b)의 상대 위치를 와이어 진행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닛은, 제2후크 벤딩유닛(3b) 전체 구성을 와이어(W) 축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원인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33a)와, 상기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33a)의 구동시 제2후크 벤딩유닛(3b)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모션가이드(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컷팅유닛(4)은, 와이어(W)를 절단하는 컷팅기(41)와, 상기 컷팅기(41)를 와이어 절단 위치로 진입시키거나 와이어 절단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원인 컷팅기 이동용 에어실린더(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는,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 전체를 와이어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러나게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의 컷팅을 위하여 컷팅기(41)가 와이어 컷팅 위치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공급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4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 의한 조립 과정을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5o를 통해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와 같은 본 발명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가 준비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지그(11) 및 제2고정지그(12)의 후크 안착부에 와이어(W) 양끝에 조립될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를 안착시킨다.
즉, 제1고정지그(11)의 제1후크 안착부(11a) 및 제2고정지그(12)의 제2후크 안착부(12a)에 각각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를 안착시키게 되며, 홈 형태를 띠는 상기 제1후크 안착부(11a) 및 제2후크 안착부(12a)에 놓인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후크(H1)는 굽힘 없이 압착만이 이루어지면 되므로 안착 위치가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고, 제2후크(H2)는 굽힘도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 하단부와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의 하단부에 동시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의 안착, 즉 로딩이 완료되면, 도 5c에서와 같이, 제1후크(H1)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1a)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가 하강하며, 이어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가 작은 힘으로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가 하강하여 상기 제1후크(H1)를 홀딩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후크(H2)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2a)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가 하강하여 상기 제2후크(H2)를 홀딩하게 된다.
이후, 와이어(W)가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를 관통하는 1차 피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 5d는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 내부를 와이어(W)가 통과하도록 와이어의 1차 피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다.
즉,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의 홀딩이 완료되고 나면, 와이어 공급유닛(2)을 구성하는 와이어 피딩모터를 구동시켜 피딩롤(21)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권취롤에 감긴 와이어(W)가 후크 측으로 피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의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이 제1후크(H1) 전방에 근접되도록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딩되는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의 안내작용에 의해 직진성을 유지하면서 정확히 제1후크(H1)의 홀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W) 피딩 작용이 계속되면, 제1후크(H1)의 홀을 지난 와이어(W)는 상기 제1고정지그(11)의 제1후크 안착부(11a)와 제2고정지그(12)의 제2후크 안착부(12a) 사이에 구비되어 와이어(W)의 진행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홈(11b,12b)을 따라 제2후크(H2)의 홀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제2후크(H2)의 홀을 지난 와이어(W)가 와이어 감지센서(27)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 감지센서(27)가 와이어(W)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가 정지하도록 제어되어 더 이상 와이어(W)의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5e를 참조하면, 와이어 감지센서(27)에 의해 와이어(W)가 감지되면, 제2후크(H2)에 대한 벤딩 수행을 위해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이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물러나게 되는데, 이는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가 하강하여 제2후크(H2)를 벤딩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5e를 참조하면, 보조블록 이동용 에어실린더(14)에 연결된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이 뒤로 물러나게 되고, 도 5f를 참조하면 상기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상에 장착된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에 결합된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가 하강하여 제2후크(H2)를 가압하여 제2후크(H2)의 제2고정지그(12)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대해 벤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도 5g를 참조하면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가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어 도 5h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이 다시 제2고정지그(12)측으로 전진하여 제2후크(H2)의 벤딩된 수직부분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와이어(W)의 2차 피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 5i를 참조하면, 제2후크 벤딩유닛(3b)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후크 벤딩유닛(3b) 전체가 와이어 진행방향(즉, 와이어 피딩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제1후크(H1)의 홀을 추가로 지나게 되는 와이어(W)의 2차 피딩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와이어(W)의 2차 피딩 완료 후에는, 제1후크 벤딩유닛(3a)에 의해 제1후크(H1)의 압착이 이루어진다. 즉, 도 5j 및 도 5k를 참조하면, 상기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상에 장착된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의 작동에 의해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가 일정거리 상승한 후에 하강함으로써 제1후크(H1)를 압착하여 제1후크(H1)에 와이어(W)가 클램핑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는 제1후크(H1)를 압착해야 하므로 제1후크(H1)를 홀딩하기 위하여 하강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큰 힘으로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후크(H1)는 압착되어 와이어(W)를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H1)의 압착에 의해 와이어(W)와 제1후크(H1)와의 클램핑 작용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와이어(W)를 컷팅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는 컷팅기(41)가 와이어 컷팅 위치로 진입을 해야하는데, 이를 위하여 와이어 공급유닛(2) 전체를 와이어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러나게 함으로써 상기 컷팅기(41)가 와이어 절단 위치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도 5l은 와이어 공급유닛(2)이 이동하여 와이어 컷팅유닛(4)이 진입한 시점의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이고, 도 5l은 도 5l의 평면도이다.
따라서, 5l 내지 도 5n을 참조하여 와이어 컷팅 과정을 설명한다.
도 5l 및 도 5m을 참조하면, 먼저 와이어 공급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43)가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 전체를 와이어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러나게 함으로써 일단 컷팅기(41)가 와이어 절단을 수행할 위치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이어 컷팅기 이동용 에어실린더(42)가 구동하여 상기 컷팅기(41)를 와이어(W) 절단 위치로 진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컷팅기(41)의 진입이 완료되고 나면, 도 5n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컷팅기(41)가 지정된 길이로 와이어(W)를 절단하게 된다.
와이어 컷팅 직후에는, 도 5n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밖으로 와이어 끝단부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와이어(W) 컷팅 후에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밖으로 노출된 와이어 끝단부가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내측으로 물러나게 하여 와이어 끝부분의 노출이 없도록 한다.
이는 와이어(W)의 와이어 가이드블록(23)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처지게 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와이어(W) 끝단이 제1후크(H1)의 홀로 진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도 5o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26)의 구동에 의해 마운트 프레임(25)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운트 프레임(25)에 고정된 와이어 안내롤(24)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운트 프레임(25) 및 와이어 안내롤(24) 이외의 부분은 이동하지 않는다. 즉, 피딩롤(21)의 이동은 없으며 대신 피딩롤은 와이어(W)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와이어를 물지않고 놓아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안내롤(24)에 물린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 안내롤(24)의 이동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와이어(W)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로써 새로 공급되는 후크에 의한 와이어 어셈블리(W/A) 공정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를 클램핑하고 있던 가동지그(31b,31d,32b,32d) 들도 상승하여 물러나게 되어,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W/A)는 언로딩(unloading)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5o를 참조하면, 와이어 어셈블리(W/A)는 완제품으로서 본 발명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장치를 떠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제품으로서의 와이어 어셈블리(W/A)의 언로딩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다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공급유닛(2)과 제2후크 벤딩유닛(3b) 및 제2고정지그(12) 등이 원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새로 고정지그로 공급되는 후크에 의한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작업이 새롭게 시작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후크(H1)는 압착되고, 제2후크(H2)는 벤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제1후크(H1)도 벤딩될 수 있으며, 제1후크(H1) 및 제2후크(H2) 모두 압착만 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와이어 어셈블리(W/A)에 있어서 제1후크(H1) 또는 제2후크(H2)의 가공 형상은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벤딩이라는 용어는 후크 자체의 형상 변형 중에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정 지점에서 굽혀지는 변형(실시 예의 제2후크(H2)에 적용된 형태의 변형) 뿐만 아니라, 압착에 의해 후크의 내경 변화가 생기는 변형(실시 예의 제1후크(H1)에 적용된 형태의 변형)도 포괄하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장치는, 자동차의 선루프 부품 중 하나인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에 후크를 조립함에 있어서, 와이어 삽입 및 와이어 길이 지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후크가 와이어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압착 및 형상 벤딩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에 있어서 생산성 및 작업 효율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W/A: 와이어 어셈블리 W: 와이어
H1: 제1후크 H2: 제2후크
1: 후크 로딩유닛 2: 와이어 공급유닛
3: 후크 벤딩유닛 3a: 제1후크 벤딩유닛
3b: 제2후크 벤딩유닛 4: 와이어 컷팅유닛
11: 제1고정지그 12: 제2고정지그
11a: 제1후크 안착부 12a: 제2후크 안착부
11b, 12b: 와이어 안내홈 13: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
14: 보조블록 이동용 에어실린더 21: 피딩롤
22: 와이어 피딩모터 23: 와이어 가이드블록
24: 와이어 안내롤 25: 마운트 프레임
26: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 27: 와이어 감지센서
31a: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 31b: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
31c: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 31d: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
32a: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 32b: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
32c: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 32d: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
33a: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 33b: 리니어모션가이드
41: 컷팅기 42: 컷팅기 이동용 에어실린더
43: 와이어 공급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

Claims (18)

  1.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해 관(管) 형상인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크 로딩유닛(1)은,
    와이어(W)의 일단에 결합되어지게 될 제1후크(H1)가 올려지는 제1고정지그(11) 및 상기 와이어(W)의 타단에 결합되어지게 될 제2후크(H2)가 올려지는 제2고정지그(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지그(11) 및 제2고정지그(12)에는 각각 후크 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지그(11)의 제1후크 안착부(11a)와 제2고정지그(12)의 제2후크 안착부(12a) 사이에는 상기 제1후크(H1)의 홀을 지난 와이어(W)가 제2후크(H2)의 홀로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후크(H1)의 홀 및 제2후크(H2)의 홀과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W)의 진행을 안내하는 와이어 안내홈(11b,12b)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지그(12)의 와이어 진행방향 전방에는 제2고정지그(12)와 함께 제2후크(H2)를 지지하는 제2후크 안착부(12a)를 구성하는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이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 상에는 와이어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지그 보조블록(13)을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블록 이동용 에어실린더(14)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 공급을 위한 와이어 권취롤에 감겨진 와이어(W)를 상기 후크 로딩유닛(1)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롤(21)과;
    상기 피딩롤(2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 피딩모터와,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권취롤에서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정확히 후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 권취롤과 피딩롤(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와이어(W)의 진행을 돕는 와이어 안내롤(24)과;
    상기 와이어 안내롤(24)이 장착되는 마운트 프레임(25)과;
    상기 마운트 프레임(25)을 와이어(W)의 진행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안내롤의 회전축 위치를 가변시키는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 와이어(W)의 피딩을 멈추도록 와이어 피딩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감지센서(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은,
    상부가이드블록과 하부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블록과 하부가이드블록은 서로 형합됨에 따라 와이어 안내를 위한 안내홀을 형성하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벤딩유닛(3)은,
    상기 제1고정지그(11)에 로딩되는 제1후크(H1)를 압착 및 벤딩하기 위한 제1후크 벤딩유닛(3a)과, 제2고정지그(12)에 로딩되는 제2후크(H2)를 압착하거나 벤딩하기 위한 제2후크 벤딩유닛(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 벤딩유닛(3a)은,
    상기 제1후크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1a)와;
    상기 제1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1a)의 작동시 하강하여 제1후크(H1)를 홀딩하게 되는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와;
    상기 제1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1b)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후크(H1)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와;
    상기 제1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1c)의 작동시 제1후크(H1)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1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1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 벤딩유닛(3b)은,
    상기 제2후크 홀딩을 위한 구동원인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2a)와;
    상기 제2후크 홀딩용 에어실린더(32a)의 작동시 하강하여 제2후크(H2)를 홀딩하게 되는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와,
    상기 제2후크 홀딩용 가동지그(32b)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2후크(H2)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와;
    상기 제2후크 벤딩용 에어실린더(32c)의 작동시 제2후크(H2)를 압착하여 와이어(W)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제2후크 벤딩용 가동지그(32d)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 벤딩유닛(3a)에 대한 제2후크 벤딩유닛(3b)의 상대 위치를 와이어 진행방향 또는 상기 와이어 진행방향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제2후크 벤딩유닛(3b) 전체 구성을 와이어(W) 축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원인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33a)와, 상기 제2후크 벤딩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33a)의 구동시 제2후크 벤딩유닛(3b)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모션가이드(33b)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컷팅유닛(4)은,
    와이어(W)를 절단하는 컷팅기(41)와;
    상기 컷팅기(41)를 와이어 절단 위치로 진입시키거나 와이어 절단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구동원인 컷팅기 이동용 에어실린더(4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 전체를 와이어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러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의 컷팅을 위하여 컷팅기(41)가 와이어 컷팅 위치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공급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4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6.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해 관(管) 형상인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 공급을 위한 와이어 권취롤에 감겨진 와이어(W)를 상기 후크 로딩유닛(1)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롤(21)과;
    상기 피딩롤(2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 피딩모터와,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권취롤에서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정확히 후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 권취롤과 피딩롤(2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W)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함과 더불어 와이어(W)의 진행을 돕는 와이어 안내롤(24)과;
    상기 와이어 안내롤(24)이 장착되는 마운트 프레임(25)과;
    상기 마운트 프레임(25)을 와이어(W)의 진행 방향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안내롤의 회전축 위치를 가변시키는 안내롤 이동용 에어실린더(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7.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해 관(管) 형상인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 공급을 위한 와이어 권취롤에 감겨진 와이어(W)를 상기 후크 로딩유닛(1)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롤(21)과;
    상기 피딩롤(2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 피딩모터와;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권취롤에서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정확히 후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과;
    와이어의 진행 정도에 따라 와이어(W)의 피딩을 멈추도록 와이어 피딩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감지센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18.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W/A) 제조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W)와의 결합을 위해 관(管) 형상인 후크가 로딩되는 후크 로딩유닛(1)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를 관통하도록 와이어(W)를 피딩하는 와이어 공급유닛(2)과;
    상기 후크 로딩유닛(1)에 로딩된 후크가 와이어(W)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벤딩유닛(3)과;
    상기 후크와 와이어(W)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와이어(W)를 컷팅하도록 구비되는 와이어 컷팅유닛(4);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은,
    와이어(W) 공급을 위한 와이어 권취롤에 감겨진 와이어(W)를 상기 후크 로딩유닛(1) 측으로 피딩되도록 하는 피딩롤(21)과;
    상기 피딩롤(21)을 구동시키는 와이어 피딩모터와,
    상기 와이어 피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 권취롤에서 풀려나온 와이어(W)가 정확히 후크를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블록(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공급유닛(2) 전체를 와이어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물러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W)의 컷팅을 위하여 컷팅기(41)가 와이어 컷팅 위치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공급유닛 이동용 에어실린더(4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KR1020120153477A 2012-12-26 2012-12-26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KR10140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77A KR101401590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477A KR101401590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590B1 true KR101401590B1 (ko) 2014-06-02

Family

ID=5113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477A KR101401590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97B1 (ko) 2017-09-21 2018-07-04 김선관 와이어 자동 고정시스템
KR101904928B1 (ko) 2017-09-21 2018-10-05 김선관 와이어 자동 고정장치
CN113396074A (zh) * 2019-02-07 2021-09-14 韦巴斯托股份公司 用于制造用于卷帘幅带的织物模块的方法
KR102599620B1 (ko) * 2023-01-19 2023-11-08 (주)우리일렉 와이어 견인 어셈블리용 스토퍼 튜브 및 엔드 볼 부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345A (ja) * 1999-06-08 2000-12-12 Nidec Copal Corp 圧入端子付き部品及びその製造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1211704B1 (ko) * 2012-05-10 2012-12-12 이환길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3345A (ja) * 1999-06-08 2000-12-12 Nidec Copal Corp 圧入端子付き部品及びその製造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1211704B1 (ko) * 2012-05-10 2012-12-12 이환길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097B1 (ko) 2017-09-21 2018-07-04 김선관 와이어 자동 고정시스템
KR101904928B1 (ko) 2017-09-21 2018-10-05 김선관 와이어 자동 고정장치
CN113396074A (zh) * 2019-02-07 2021-09-14 韦巴斯托股份公司 用于制造用于卷帘幅带的织物模块的方法
KR102599620B1 (ko) * 2023-01-19 2023-11-08 (주)우리일렉 와이어 견인 어셈블리용 스토퍼 튜브 및 엔드 볼 부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590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어셈블리 제조 장치
CN109361133B (zh) 一种汽车线束自动放料剥线一体设备
US7828040B2 (en) Sun shade apparatus
CN111354567B (zh) 自动穿套管绕线机
KR101013591B1 (ko)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의 브라켓 접착방법와 접착 장치, 및브라켓이 부착된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
JP6434771B2 (ja) 網戸製造装置
US20030061782A1 (en) Roll formed staple-in awning frame and method
US4991631A (en) Lead straightening and trimming apparatus
US8225636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duct
US112138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duct flanges and duct work
EP1076385B1 (en) A wire connecting method and a wire connecting apparatus
KR101689686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성형방법
JP2000313562A (ja) 粘着テープ自動貼り付け装置
EP1911572A1 (en) Rubber sheet jo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15574B1 (ko) 자동차 파노라마 선루프용 롤블라인드의 가이드지 접합장치
CN213716618U (zh) 一种无需人工手持的线束包胶布装置
US7757386B2 (en) Crimping press
CN210184693U (zh) 一种鞋帮穿线装置
KR102312249B1 (ko) 방충망 자동 결합장치
CN111082280B (zh) 用于电缆端头的输送剪断压接一体化装置
KR102041253B1 (ko) 자동차용 쿠션프레임의 와이어 튜브 자동 삽입장치 및 그 삽입장치를 이용한 튜브 삽입방법
US731675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creen assembly
KR102063044B1 (ko) 헤밍 시스템
CN109380822B (zh) 一种熔齿冲齿装置
CN116532589B (zh) 金属菱形扩展网折边整形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