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277B1 -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277B1
KR101401277B1 KR1020120112540A KR20120112540A KR101401277B1 KR 101401277 B1 KR101401277 B1 KR 101401277B1 KR 1020120112540 A KR1020120112540 A KR 1020120112540A KR 20120112540 A KR20120112540 A KR 20120112540A KR 101401277 B1 KR101401277 B1 KR 10140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liquid
case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270A (ko
Inventor
권민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Priority to KR1020120112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2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02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the rotating deflecting element being a ventilator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기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기류를 따라 상기 액체가 방사되도록 상기 기류를 향하여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은 넓은 영역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Apparatus for hybrid ventilation and hybrid ventilation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류의 발생에 의하여 액체를 대상영역에 분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국에서 구제역, 조류독감과 같은 가축을 대상으로 한 악성 전염병이 급속도로 발생하고 있다. 구제역 및 조류독감 등의 악성 가축전염병은 그동안 동남아, 중국 등의 온난다습한 지역에서 주로 유행하였으나, 지구온난화, 철새의 이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지역이 세계적으로 번지고 있다.
이러한 악성 가축전염병의 예방을 위하여 전국적으로 방역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축산농가에서는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간헐적인 약액 도포 등의 미진한 대응으로 인하여, 방역효과가 미진하였다.
종래의 분무장치, 스프링쿨러 등에 의한 약액 분사방식은 설치가 매우 번거롭고, 효과가 일시적이며, 가축들의 활동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일반 축산농가에서는 사용을 꺼리게 되었다. 이러한 종래 약액 분무장치 등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 2010-0010735호와 같은 축사용 자동 방역 장치 등이 제안되었으나, 과도한 설치비용이 문제되었고, 축사내부의 온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넓은 영역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기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기류를 따라 상기 액체가 방사되도록 상기 기류를 향하여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관통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튜브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상기 케이스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케이스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복수의 분사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분사구를 커버하는 노즐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은넓은 영역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부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의 노즐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베이스부(10), 날개부(12), 구동부(14), 노즐부(16), 관통부(18), 케이스(20), 프레임(22), 보조프레임(24), 공급관(26), 가열부(28), 분사구(30), 노즐(32), 노즐덮개(34), 고정대(36), 노즐받침(38), 고정쇠(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기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부(12)와 날개부(1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4)와 기류를 따라 액체가 방사되도록 기류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부(16)를 포함함으로서, 넓은 영역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으며, 대상 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의 일단이 천장 또는 벽면에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베이스부(10)는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 면이 구비된 고정대(36)와 상기 고정대(36)를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쇠(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부에 축을 가지는 원형 형상의 고정대(36)를 가지는 베이스부(10)를 제시한다.
날개부(12)는, 베이스부(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기류를 발생시킨다. 날개부(12)는 복수의 날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심축은 베이스부(10)에 결합되어 후술할 구동부(14)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한다. 회전하는 날개부(12)에 의하여 기류가 발생하며, 후술할 노즐부(16)에서 분사되는 액체는 기류를 따라서 대상영역에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에 의하여 대상영역의 기온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14)는, 날개부(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날개부(12)의 베이스부(10)에 결합된 날개부(12)의 중심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날개부(12)를 회전시켜 기류를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와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전체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부(16)는, 기류를 따라 액체가 방사되도록 기류를 향하여 액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노즐부(16)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날개부(12)가 형성하는 기류에 공급할 수 있다. 노즐부(16)에 의하여 공급되는 액체는 방역을 위한 항생제, 향균제, 항바이러스제 등과 같은 약액성분을 가지는 액체일 수 있으며, 액체분사 대상영역의 온도가 높은 경우, 온도를 저감하기 위한 냉수일 수 있다. 노즐부(16)는 공급되는 액체를 미스트(mist)형태로 변경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고압호스와 고압분사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구동부(14)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부(12)가 형성하는 기류 위에 노즐부(16)에서 분사하는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넓은 분사 대상영역에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기류와 냉수를 분사함으로써, 대상 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부(18)가 형성되며, 관통부(18)에 날개부(12)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케이스(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8)는 날개부(12)의 회전직경보다 큰 너비의 직경을 가지며, 회전되는 날개부(12)에 의하여 관통부(18) 후면에서 관통부(18) 전면으로 기류가 생성된다. 관통부(18)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을 제시한다. 또한, 관통부(18)의 내측에 날개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링 형상의 케이스(2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의 케이스(20)를 제시한다.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일단이 케이스(20)에 결합되며 타단이 관통부(18)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튜브 형태의 프레임(22)과 프레임(22)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부(16)에 결합되는 공급관(2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부(16)는, 프레임(22)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2)은, 일단이 케이스(20)에 결합되며, 타단이 관통부(18)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다. 프레임(22)의 일단은 케이스(20)에서 연장되며, 기류 등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프레임(22)을 보다 견고하게 지탱하기 위하여 프레임(22)과 연결되는 보조프레임(24)을 배치할 수 있다. 프레임(22)은 튜브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다. 후술할 공급관(26)은 프레임(22)의 중공부를 통하여 노즐부(16)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기류 등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공급관(26)은, 프레임(22)을 관통하여 노즐부(16)에 결합된다. 공급관(26)은 프레임(22)의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프레임(22) 내부에 배치되어 날개부(12)의 회전 도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의 회전에 의하여 공급관(26)이 얽히는 것을 방지한다. 공급관(26)의 일단은 액체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부(16)에 결합된다. 공급관(26)을 통해 액체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관(26)에는 액체공급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26)은 겨울철에 낮은 온도에 의하여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압력으로 액체를 노즐부(16)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압호스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부(16)는, 프레임(22)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16)는 프레임(22)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날개부(12)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 방향으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부(16)를 프레임(22)의 상단에 배치하여, 액체를 원활하게 기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케이스(20)를 커버하도록 케이스(20)가 삽입되는 케이스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철,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가 삽입될 수 있는 탈착가능한 케이스쉴드를 구비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노즐부(16)는, 상기 노즐부(16)를 가열하는 가열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16)는 액체를 분사하므로, 기온이 낮아질 경우, 노즐부(16)가 막히는 등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은 겨울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약액을 분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즐부(16)를 가열하는 가열부(28)를 노즐부(16)에 더 포함하여, 낮은 기온에서도 액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열부(28)는 열선, 면 필라멘트 등의 발열체일 수 있다.
노즐부(16)는, 복수의 분사구(3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노즐(32) 및 복수의 분사구(30)를 커버하는 노즐덮개(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32)에 형성된 분사구(30)는 노즐부(16)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노즐부(16)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기류를 따라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분사구(30)는 공급되는 액체를 미스트(mist) 형태의 미세입자로 변경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충분히 작기 때문에, 외부의 먼지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즐덮개(34)를 복수의 노즐(32) 및 분사구(30) 일측에 배치하여, 노즐(32)과 분사구(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 하단에 노즐받침(38)을 배치하여, 노즐(32)과 분사구(30)를 보호할 수 있다. 노즐받침(38)은 노즐덮개(34)와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노즐(32)과 분사구(30)는 노즐덮개(34)와 노즐받침(38) 사이에 게재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노즐받침(38)은 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며, 복수의 노즐(32)이 노즐받침(38) 상단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은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는 축사 또는 야외공간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각각의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에 약액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하이브리드 송풍장치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에 의하여 서로 다른 약액이 각각의 대상영역에 분사될 수 있고, 분사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방역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베이스부 12: 날개부
14: 구동부 16: 노즐부
18: 관통부 20: 케이스
22: 프레임 24: 보조프레임
26: 공급관 28: 가열부
30: 분사구 32: 노즐
34: 노즐덮개 36: 고정대
38: 노즐받침 40: 고정쇠

Claims (7)

  1.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기류를 발생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기류를 따라 상기 액체가 방사되도록 상기 기류를 향하여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복수의 분사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분사구를 커버하는 노즐덮개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에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는 링 형상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관통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는 튜브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커버하도록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케이스쉴드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노즐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하이브리드 송풍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KR1020120112540A 2012-10-10 2012-10-10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KR10140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40A KR101401277B1 (ko) 2012-10-10 2012-10-10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40A KR101401277B1 (ko) 2012-10-10 2012-10-10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70A KR20140046270A (ko) 2014-04-18
KR101401277B1 true KR101401277B1 (ko) 2014-05-29

Family

ID=5065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540A KR101401277B1 (ko) 2012-10-10 2012-10-10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7846B (zh) * 2017-05-19 2020-04-10 华南农业大学 一种风送式超声二次雾化变粒径喷雾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70Y1 (ko) 2002-11-04 2003-02-05 강신용 농축산용 연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270Y1 (ko) 2002-11-04 2003-02-05 강신용 농축산용 연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70A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8148B2 (ja) 細霧装置付きの撹拌扇
CN106111390A (zh) 一种高压雾炮机
JP3189781U (ja) 全方向散水機
US11744238B2 (en) Blower spray device
JP2010155236A (ja) 低圧噴霧装置
JP5004728B2 (ja) 遠心噴霧装置
KR101834661B1 (ko) 송풍덕트 내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한 약액분무용 분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분무장치
KR101401277B1 (ko)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KR101401284B1 (ko)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US6237859B1 (en) Fluid injection spray system for a wind machine
JP2009056353A (ja) 噴霧装置
JP2013027356A (ja) ファンの散水装置
KR102234837B1 (ko) 우수한 분무효율과 내구성을 겸비하는 원심분무식 인공안개장치
JP2001141268A (ja) 加湿装置
JP5209452B2 (ja) 遠心噴霧装置
JP5256469B2 (ja) 茶園管理機における送風式薬液散布装置
JP5824269B2 (ja) 遠心散水装置
JP4792795B2 (ja) 湯水散出装置
KR200302270Y1 (ko) 농축산용 연무기
KR100427778B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102341356B1 (ko)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KR100434885B1 (ko) 상온 연무기
KR102471631B1 (ko) 연무기
CN111434926A (zh) 喷雾风扇
KR102214036B1 (ko) 가습 및 공기 냉각용 안개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