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356B1 -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 Google Patents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356B1
KR102341356B1 KR1020190068078A KR20190068078A KR102341356B1 KR 102341356 B1 KR102341356 B1 KR 102341356B1 KR 1020190068078 A KR1020190068078 A KR 1020190068078A KR 20190068078 A KR20190068078 A KR 20190068078A KR 102341356 B1 KR102341356 B1 KR 10234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installation
installation housing
spray nozzle
wind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270A (ko
Inventor
손성택
Original Assignee
손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택 filed Critical 손성택
Priority to KR102019006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의 더운 공기를 송풍팬이 빨아들여 전방을 향해서 토출하게 되고, 이때 분무노즐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되는 물이 더운 공기와 만나서 쉽게 기화하여 쾌적하도록 된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1000)는, 수용부(1120)를 갖춘 팬설치하우징(1100)과, 송풍팬설치구멍으로 안착되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부의 바람을 하부 수용부로 토출하도록 된 원형 송풍팬(1200)과,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에 설치되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1130)으로 분무노즐(1340)이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수단(1300)과, 팬설치하우징의 하부면에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원형 송풍팬에 의해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을 측면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된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1400)과, 팬설치하우징의 분무노즐이 돌출되지 않은 쪽 외주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의 상부면에 하단부면이 밀착되어 원형 송풍팬에 의해 상부바람이 하부로 송풍되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토출될 때 바람이 전방 180도 방향으로 만 토출되도록 된 바람토출방지판(1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Sprayers for humidification and air cooling}
본 발명은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가 높은 상태의 공공장소에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안개 형태의 물을 분사하여 온도의 상승을 막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도록 된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은 대부분 비닐하우스내에 설치되는 것이며, 즉, 단순히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승온시키거나 또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습도 조절을 위해 별도로 설치되는 파이프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밀폐된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온도 조절을 위한 온도 조절장치, 습도 조절을 위한 습도 조절장치 등을 각각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9259호 발명의 명칭 "식물 재배용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전,후단부가 관통되는 중공의 본체와, 이 본체의 후단부 내부에 설치되는 보조 송풍팬과, 이 본체의 내부에서 보조 송풍팬의 앞쪽에 설치되어 보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본체의 전단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노즐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노즐로부터 분사된 물방울을 바람과 함께 본체의 전방측으로 송풍하는 메인 송풍팬과,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검출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상기 보조송풍팬, 버너, 노즐, 메인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공의 본체 내부에 앞쪽에서부터 물 분사노즐, 메인송풍팬, 버너, 보조송풍팬을 설치하여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바람, 열(온풍), 물분사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식물(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써, 식물의 냉해 및 고사를 방지함과 아울러 생산되는 식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도 및 습도 조절을 간단한 구조의 단일 장치로 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의 상하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농작지의 크기에 따라 회전 범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농작지 및 농작물에서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10-1079259호는 재래시장이나 많은 사람들이 통행하는 쇼핑몰등의 천정에 설치하기가 곤란함은 물론, 회전을 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한편,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9259호 발명의 명칭 "식물 재배용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나 실내 상부에 설치한 상태로 상부의 더운 공기를 송풍팬이 빨아들여 전방을 향해서 방사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하게 되고, 이때 분무노즐을 통해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토출되는 더운 공기와 만나서 쉽게 기화하여 상부의 더운 공기를 빨리 식혀주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물을 분무할 때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하는 별도의 기구 없이 물을 분무할 수 있어서 구조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된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는, 상부중앙에 송풍팬설치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는 원통형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춘 팬설치하우징과, 상기 송풍팬설치구멍으로 안착되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부의 바람을 하부 수용부로 토출하도록 된 원형 송풍팬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에 설치되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으로 분무노즐이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수단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하부에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을 측면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된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분무노즐이 돌출되지 않은 쪽 외주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의 상부에 하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상부바람이 하부로 송풍되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토출될 때 바람이 전방 180도 방향으로 만 토출되도록 된 바람토출방지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팬설치하우징을 천정이나 벽에 매달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행거부재와, 이 행거부재의 상부중심에 힌지되어 일정길이로 설치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행거부재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수단은,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호스고정구와, 상기 호스고정구에 의해 설치된 분무호스와, 상기 분무호스에 연결됨과 더불어 분무노즐이 체결조립되어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연결구와, 상기 분무노즐연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180도 방향의 노즐설치구멍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안개형태로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은,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중에서 분무노즐이 조립되지 않은 노즐설치구멍을 통해서 분무노즐연결구에 조립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밀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의 양단이 분무노즐연결구가 아닌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보울트와,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측에서 이 보울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밀착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에는, 상기 호스고정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의 머리가 도피되도록 도피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은, 상기 호스고정구의 나사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된 분사노즐바디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내측의 유로를 일정한 압력으로 차단하고 내부의 토출유압이 크게 되면 열리도록 설치된 볼플란자와, 상기 볼플란자에 밀착되어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체결되어 필터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조립됨과 더불어 안개형태로 물이 분무되도록 0.1 ~0.2mm 의 노즐구멍을 갖춘 노즐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에 의하면, 실외나 실내 상부에 벽쪽에서 설치한 상태로 상부의 더운 공기를 송풍팬이 빨아들여 전방을 향해서 180도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하게 되고, 이때 분무노즐을 통해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180도 방향으로 토출되는 더운 공기와 만나서 쉽게 기화하여 상부의 더운 공기를 빨리 식혀주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에 의하면, 전방을 향해 180도 방향으로 물을 분무할 때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하는 별도의 구동기구 없이 물을 분무할 수 있어서 구조가 매우 간단함은 물론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저면도,
도 7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분무노즐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토출방지판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10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중앙에 송풍팬설치구멍(1110)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는 원통형으로 개구된 수용부(1120)를 갖춘 팬설치하우징(1100)과, 상기 송풍팬설치구멍으로 안착되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부의 바람을 하부 수용부로 토출하도록 된 원형 송풍팬(1200)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에 설치되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1130)으로 분무노즐(1340)이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수단(1300)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하부면에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을 측면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된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1400)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분무노즐이 돌출되지 않은 쪽 외주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의 상부면에 하단부면이 밀착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상부바람이 하부로 송풍되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토출될 때 바람이 전방 180도 방향으로 만 토출되도록 된 바람토출방지판(15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1000)를 실외나 실내 상부에 벽쪽에서 설치한 상태로 상부의 더운 공기를 원형 송풍팬(1200)이 빨아들여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에 설치된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1400)과 바람토출방지판(1500)에 의해 전방을 향해서 180도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하게 되고, 이때 상기 분무노즐수단(1300)의 180도 방향으로 등간격에 설치한 분무노즐(1340)을 통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180도 방향으로 토출되는 더운 공기와 만나서 쉽게 기화하여 상부의 더운 공기를 빨리 식혀주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에 의해 별도의 구동기구 없이 전방을 향해서 180도 방향으로 강하게 토출할 수 있어서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을 천정이나 벽에 매달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상부면에 보울트(1611)와 너트(1612)로 체결된 ㄷ자 형상의 행거부재(1610)와, 이 행거부재의 상부중심에 힌지핀으로 힌지 체결되어 일정길이로 설치된 연결부재(1620)로 이루어진 행거부재수단(160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행거부재(1610)가 원형 송풍팬(1200)의 후술하는 안전그릴(1220) 상부로 고정됨과 더불어 연결부재(1620)로 천정이나 벽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형 송풍팬(1200)은,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의 송풍팬설치구멍(1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하부로 바람을 송풍하도록 된 송풍팬(1210)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축중심 상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송풍팬으로 작업자의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안전그릴(1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 송풍팬(1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팬설치하우징(1100)의 상부에 설치된 안전그릴(1220)쪽 상부 공기를 송풍팬(1210)이 빨아들여서 팬설치하우징(1100)의 중심을 통해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무노즐수단(1300)은,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의 수용부(1120)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복수개의 호스고정구(1310)와, 상기 호스고정구에 의해 연결 설치된 분무호스(1320)와, 상기 분무호스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노즐설치구멍(1130)의 위치에 배치되어 분무노즐이 체결조립되어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연결구(1330)와, 상기 분무노즐연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1130)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안개형태로 180도 방향으로 분무할 수 있도록 45도 간격으로 설치된 분무노즐(1340)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분무호스(1320)로 도시되지 않은 압력펌프에 의해 물이 공급되면 분무노즐연결구(1330)에 연결된 분무노즐(1340)을 통해 전방으로 안개 형태로 분무되게 된다.
상기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1400)은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1410)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하부면에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 송풍팬(1200)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을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1400)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하부 측면으로 토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1130)중에서 분무노즐이 조립되지 않은 노즐설치구멍(1130)과 일치되는 구멍(1510)을 통해서 분무노즐연결구(1330)에 조립되는 체결수단(1501)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밀착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은 곡면형태로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체결수단(1501)이 구멍(1510)으로 끼워져 분무노즐연결구(1330)에 체결되면서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이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밀착고정 된다.
한편,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의 양단이 분무노즐연결구(1330)가 아닌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1511)과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1131)으로 끼워지는 보울트(1502)와,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측에서 이 보울트에 체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너트로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밀착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의 단부가 보울트(1502)와 너트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밀착고정 된다.
또 상기 바람토출방지판(1500)에는, 상기 호스고정구(131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1350)의 머리가 도피되도록 도피구멍(15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피구멍(1520)에 상기 호스고정구(1310)를 체결한 체결나사(1350)의 머리가 위치하여 바람토출방지판(1500)이 팬설치하우징(1100)의 측면에 들뜸 없이 밀착고정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1340)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호스고정구(1310)의 나사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된 분사노즐바디(1341)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내측의 유로를 일정한 압력으로 차단하고 내부의 토출유압이 크게 되면 열리도록 설치된 볼플란자(1342)와, 상기 볼플란자에 밀착되어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1343)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체결되어 필터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조립됨과 더불어 안개형태로 물이 분무되도록 0.1 ~0.2mm 의 노즐구멍(1344a)을 갖춘 노즐팁(1344)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고정구(1310)에 의해 팬설치하우징(1100)의 내측면에 고정된 분무호스(1320)로 도시되지 않은 압력펌프로 물이 공급되고, 이 물이 분무노즐연결구(1330)를 통해서 분무노즐(1340)로 토출되면, 상기 분사노즐바디(1341)와 볼플란자(1342) 및 필터(1343)를 통해 0.1 ~0.2mm 의 노즐구멍(1344a)을 갖춘 노즐팁(1344)으로 안개형태로 분무하게 되므로, 이때 분무노즐을 통해 전방을 향해 방사 방향으로 분무되는 물이 전방을 향해 180도 방향으로 토출되는 더운 공기와 만나서 쉽게 기화하여 상부의 더운 공기를 빨리 식혀주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1100: 팬설치하우징
1110: 송풍팬설치구멍 1120: 수용부
1200: 원형 송풍팬 1210: 송풍팬
1220: 안전그릴 1300: 분무노즐수단
1310: 호스고정구 1320: 분무호스
1330: 분무노즐연결구 1340: 분무노즐
1400: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 1500: 바람토출방지판
1600: 행거부재수단 1610: 행거부재
1620: 연결부재

Claims (7)

  1. 상부중앙에 송풍팬설치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는 원통형으로 개구된 수용부를 갖출 뿐만 아니라, 상부면에는, 천정이나 벽에 매달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행거부재와, 이 행거부재의 상부중심에 힌지되어 일정길이로 설치된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행거부재수단이 더 구비된 팬설치하우징과,
    상기 송풍팬설치구멍으로 안착되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부의 바람을 하부 수용부로 토출하도록 된 원형 송풍팬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에 설치되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으로 분무노즐이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분무할 수 있도록 되는 한편,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 호스고정구와, 상기 호스고정구에 의해 설치된 분무호스와, 상기 분무호스에 연결됨과 더불어 분무노즐이 체결조립되어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연결구와, 상기 분무노즐연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180도 방향의 노즐설치구멍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물을 안개형태로 분무할 수 있도록 된 분무노즐을 갖춘 분무노즐수단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하부에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팬설치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하부로 송풍되는 바람을 측면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팬설치하우징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된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과,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분무노즐이 돌출되지 않은 쪽 외주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의 상부에 하단부가 밀착되어 상기 원형 송풍팬에 의해 상부바람이 하부로 송풍되어 방사방향바람전환토출판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토출될 때 바람이 전방 180도 방향으로 만 토출되는 한편,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노즐설치구멍중에서 분무노즐이 조립되지 않은 노즐설치구멍을 통해서 분무노즐연결구에 조립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밀착설치된 바람토출방지판과,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의 양단이 분무노즐연결구가 아닌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과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보울트와, 상기 팬설치하우징의 수용부측에서 이 보울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팬설치하우징의 측면에 밀착조립되고,
    상기 바람토출방지판에는, 상기 호스고정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의 머리가 도피되도록 도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분무노즐은, 상기 호스고정구의 나사부에 체결됨과 더불어 축중심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된 분사노즐바디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져 내측의 유로를 일정한 압력으로 차단하고 내부의 토출유압이 크게 되면 열리도록 설치된 볼플란자와, 상기 볼플란자에 밀착되어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불순물을 걸러내도록 된 필터와, 상기 분사노즐바디의 축방향으로 체결되어 필터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조립됨과 더불어 안개형태로 물이 분무되도록 0.1 ~0.2mm 의 노즐구멍을 갖춘 노즐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68078A 2019-06-10 2019-06-10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KR10234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8A KR102341356B1 (ko) 2019-06-10 2019-06-10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78A KR102341356B1 (ko) 2019-06-10 2019-06-10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70A KR20200141270A (ko) 2020-12-18
KR102341356B1 true KR102341356B1 (ko) 2021-12-21

Family

ID=7404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78A KR102341356B1 (ko) 2019-06-10 2019-06-10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015A (ja) * 2004-09-30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JP2008157547A (ja) * 2006-12-25 2008-07-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天井設置型室内機
KR101642703B1 (ko) *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35U (ko) * 1999-05-11 2000-12-05 임영수 무덕트 환기팬
KR100357057B1 (ko) * 2000-07-19 2002-10-18 주식회사 신안그린테크 비닐 하우스용 공기 교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8015A (ja) * 2004-09-30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JP2008157547A (ja) * 2006-12-25 2008-07-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天井設置型室内機
KR101642703B1 (ko) * 2015-10-20 2016-07-27 주식회사 클라우드스토리 액체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270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651A (en) Air conditioner cooling apparatus
WO2017081887A1 (ja) 植物栽培室の防除装置
JP5004728B2 (ja) 遠心噴霧装置
KR102341356B1 (ko) 가습 및 공기 냉각용 방사방향분무기
KR102214036B1 (ko) 가습 및 공기 냉각용 안개분무기
JP3145058U (ja) 細霧冷房装置
JP4688148B2 (ja) 細霧装置付きの撹拌扇
JP3429263B2 (ja) 加湿装置
CN118775310A (zh) 喷雾风扇
KR101031841B1 (ko) 풍량, 풍속, 풍향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냉방기 겸 항온항습기
KR102234837B1 (ko) 우수한 분무효율과 내구성을 겸비하는 원심분무식 인공안개장치
KR101401284B1 (ko)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CN201606277U (zh) 一种加湿风扇
WO2017130261A1 (ja) ミスト発生システム、農業用ハウス
JP5209452B2 (ja) 遠心噴霧装置
JP2007231843A (ja) 低圧水用の細霧装置付きの撹拌扇
KR20036138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RU2677949C1 (ru) Сопло дальнего радиуса действия для вовлечения воздуха
KR101401277B1 (ko) 하이브리드 송풍장치 및 하이브리드 송풍시스템
JP4257593B2 (ja) ミスト発生機能付き暖房装置
KR200347848Y1 (ko) 화분형 가습기
JP3619631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209877204U (zh) 加湿结构、加湿设备及空调
KR200160296Y1 (ko) 버섯 재배사의 가습장치
JP4593158B2 (ja) 農事用等の撹拌扇のノズ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