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763B1 -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763B1
KR101400763B1 KR1020130148754A KR20130148754A KR101400763B1 KR 101400763 B1 KR101400763 B1 KR 101400763B1 KR 1020130148754 A KR1020130148754 A KR 1020130148754A KR 20130148754 A KR20130148754 A KR 20130148754A KR 101400763 B1 KR101400763 B1 KR 10140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oundary stone
concrete boundary
processing step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응
정광태
엄문섭
Original Assignee
에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spraying or proj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성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과;
상기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1 탄화규소와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1 가공단계와, 상기 제 1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2 가공단계와,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2 탄화규소를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3가공단계와,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3 탄화규소와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4가공단계와, 상기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폴리싱 장비로 면처리 하여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5 가공단계로 제시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종래의 콘크리트 경계석에 비해 더욱 매끄럽고 최초 콘크리트 제작시 안료를 첨가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을 낼 수 있어 경계석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경계석에 색을 입히게 되면 좀더 명확하게 구역을 나누는 효과를 얻을수 있으며 색으로 경계를 구분할 수 있어 구역과 구역을 좀더 빠르게 확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영구적인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강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Polishing concrete with nano-plate boundary stone production methods}
본 발명은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과, 상기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1 탄화규소와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1 가공단계와, 상기 제 1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2 가공단계와,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2 탄화규소를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3가공단계와,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에 제 3 탄화규소와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4가공단계와, 상기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폴리싱 장비로 면처리 하여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5 가공단계로 제작하고 상기 최초 콘크리트 제작시 안료를 첨가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첨가함으로서,
콘크리트 경계석이 안료에 의해 색상을 형성하거나 자갈을 이용해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영구적인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행정계, 관민, 민민의 용지 경계 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매설하는 돌로 화강암경계석, 콘크리트경계석, 플라스틱경계석등 다양한 경계석들이 있으며 이중 상기 콘크리트 경계석이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도로, 자전거도로, 인도 등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는 코크리트 경계석은 시멘트와 모래, 자갈 그리고 물을 일정비율로 적절하게 혼합시킨 후, 그 혼합물을 경계석 형틀에 부어서 양생시키는 콘크리트 경계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경계석은 우기시 침수에 의한 수분의 흡수 및 증발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노화 현상이 발생하여 경도가 저하되므로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균열이간 도로경계석을 교체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그 결과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이 초래되고 교통체증이 유발됨은 물론 교체공사에 따른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등록특허 10-0233991호에서는 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된 경계석의 외표면에 피막조성물을 덧씌워 외부충격 및 수분침투 등의 외부조건에 대한 내구성 및 방수성이 향상되고 수분흡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동절기 함수에 따른 동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경계석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로 경계석은 피막조성물로 인하여 외관이 달라졌을 뿐 그 물성이 크게 향상되지는 않았으며, 상기 피막조성물은 화강석쇄석, 시멘트 안료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화강석쇄석을 이용하기 위하여 석산을 개발함에 따라 환경파괴가 심각하고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분진, 폐석분 등의 배출로 환경오염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으며, 가격이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경계석에 비하여 비싸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도 재고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울러 경계석에는 보행자나 운전자가 야간에도 경계석의 존재 및 도로의 방향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계석의 일측에 야광물질이 첨가된 도료를 도포하거나, 경계석 일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야광물질을 매립시켜 야광물질에 의하여 차량 전조등의 빛이 반사되도록 하여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 방법은 시간이 경과 하면서 야광물질 부분이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오염되는 등의 외부 환경요인으로 인하여 야광물질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콘크리트 경계석 면으로부터 야광물질이 박리되어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야광물질의 오염으로 인한 빛 반사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만 하므로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34806호(2013. 02. 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82653호(2010. 09. 10)
본 발명은 종래 "콘크리트 경계석 가공방법"의 선행기술에서 콘크리트 경계석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상기 문제점에 의해 매설한 경계석을 지속적으로 교체해야하는 문제점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공을 통해 제작된 콘크리트 경계석은 환경오염이 발생하거나 고가의 가격이라는 문제점과, 실리콘 경계석에 부착되는 야광물질은 오염되거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환경오염의 문제없이 저가의 비용으로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경계석 자체가 회색이 아닌 다양한 밝은 색이거나 또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광택이 선명해 짐으로서 야간에 야광물질 없이도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성형틀에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과, 상기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에 45방(45#) 내지 55방(55#)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1 탄화규소와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1 가공단계와, 상기 제 1콘크리트 경계석에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2 가공단계와,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에 450방(4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2 탄화규소를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을 제작하는 제 3가공단계와,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에 750방(7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3 탄화규소와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4가공단계와, 상기 제 4 콘크리트 경계석을 폴리싱 장비로 면처리하여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 5 가공단계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는 시멘트, 자갈, 모래, 물을 혼합하여 제작되며 혼합시 안료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혼합 하여 다양한 무늬로 제작가능하고,
상기 제 1,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상기 제 1, 제 3 콘크리트 경계석의 마감정도, 온도 및 다공성 정도에 따라 적용크기를 달리하여 분무 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이 함유되며 표면이 매끄럽고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과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탄화규소의 입자 크기별로 제 1, 제 2, 제 3, 탄화규소를 콘크리트 경계석에 다수 회 분무하고,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 성분의 제 1,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함으로서 종래의 경계석에 비해 더욱 매끄럽고 시간이 지날수록 광택이 나는 효과와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자갈, 모래, 물 혼합하여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할때 안료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이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혼합 하여 다양한 무늬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경계석에 색상이 형성되면 좀더 명확하게 구역을 나누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색으로 경계를 구분할 수 있어 구역과 구역을 좀더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밝은 색상의 콘크리트 경계석은 야간에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다양한 색상의 자갈이 혼합되어 제작된 경계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석이 매설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하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 경계석의 주요 제작 방법을 살펴보면 성형틀에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과;
상기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에 45방(45#) 내지 55방(55#)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1 탄화규소와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을 제작하는 제 1 가공단계(S10)와;
상기 제 1콘크리트 경계석(2)에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제 1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을 제작하는 제 2 가공단계(S20)와;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에 450방(4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2 탄화규소를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을 제작하는 제 3 가공단계(S30)와;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에 750방(7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3 탄화규소와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제작하는 제 4가공단계(S40)와;
상기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폴리싱 장비로 면처리 하여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6)을 제작하는 제 5 가공단계(S50)로 제작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 제작방법 중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을 제작하는 방법은 도면에서 도 1과 도 2와 같이 성형틀에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다.
상기 콘크리트 성형틀은 콘크리트 경계석의 사용목적과 모양에 따라 틀을 변형하여 제작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경계석이 제작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자갈, 모래, 물 혼합하여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을 제작할때 안료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혼합 하여 다양한 무늬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구성에서 제 1 가공단계(S10)는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에 제 1 탄화규소와 함께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을 제작한다.
상기 제 1 탄화규소는 45방(45#)내지 55방(55#)의 입자를 포함하고 폴리싱 기계에 의해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에 분무 된다.
또한 상기 세척제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폴리싱용 세척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구성에서 제 2 가공단계(S20)는 도면에서 도1과 같이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에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실리케이트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을 제작한다.
상기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물과 기름 및 오염물 등 불순물의 침입을 막고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의 강도 증가와 열화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 속의 석회분과 이온 교환 반응에 의하여 제 1콘크리트 경계석(2)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구성에서 제 3 가공단계(S30)는 도면에서 도1과 같이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에 450방(4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2 탄화규소를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에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제 2 탄화규소 물질은 앞서 설명한 제 1 탄화규소와 동일한 성분이나 입자의 크기가 450방(450#) 내지 550방(550#)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상기 제 2 탄화규소 물질은 폴리싱 기계에 의해서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에 분무되어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이 제작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구성에서 제 4 가공단계(S40)는 도면에서 도1과 같이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에 750 방(7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3 탄화규소와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제작한다.
상기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상기의 제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와 동일한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 성분이며, 폴리싱작업 대상의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에 침투되어 강도를 증진시킨다.
이러한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의 도포는 앞에서 기재한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와 같이 물과 기름 및 오염물 등 불순물의 침입을 막고 콘크리트 바닥면의 표면 강도 증가와 함께 열화방지를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제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와 성분, 기능 및 작용이 동일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 3 탄화규소 물질과 함께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가 동시에 분무하여 제작된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은 수명이 연장되며 광택이 선명해진다.
상기에서 제시되는 제 1,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상기 제 1, 제 3 콘크리트 경계석(2, 4)의 마감정도, 온도 및 다공성 정도에 따라 적용크기를 달리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요구성에서 제 5 가공단계(S50)는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제 1 가공단계(S10) ~ 제 4가공단계(S40)가 진행된 후에 제작된 제 4콘크리트 경계석(5)을 면처리(면갈이) 하는데, 상기 단계에서의 제1탄화규소, 제1 침투성 콘크리트강화제, 제 2 탄화규소, 제 3 탄화규소 및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한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면처리 전용장비로 동시에 면처리(면갈이)를 하게 된다.
상기 제1 , 제 2, 제 3, 제 4,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2, 3, 4, 5, 6)은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과 동일한 콘크리트 경계석으로 가공단계에서의 가공과정을 거친 상태를 표현하고자 구분 한 것으로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과 동일한 대상을 의미한다.
즉, 각 단계에서 행해지는 내용물이 구별되기 위하여 의미를 부여한 것일 뿐이다.
상기와 같은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 가공공정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경계석은
종래의 콘크리트 경계석에 비해 더욱 매끄럽고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에 색상과 무늬를 낼 수 있어 경계석을 다양하게 분류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영구적인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있고 무기질의 알카리성 소듐 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성분의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가 스며들게 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광택이 선명해 진다.
뿐만 아니라 방진 및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 내 충격성,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도중 가공물질을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가공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시멘트, 자갈, 모래, 물을 혼합하여 제작되며 혼합시 안료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이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의 자갈을 혼합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무늬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콘크리트 경계석은 도 3과 같이 설치되며 주·야간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시인성을 확보하게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 2 : 제 1 콘크리트 경계석
3 : 제 2 콘크리트 경계석 4 : 제 3 콘크리트 경계석
5 : 제 4 콘크리트 경계석 6 :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
S10 : 제 1 가공단계 S20 : 제 2 가공단계
S30 : 제 3 가공단계 S40 : 제 4 가공단계
S50 : 제 5 가공단계

Claims (5)

  1. 성형틀에 시멘트, 모래, 자갈, 물을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는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과;
    상기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에 45방(45#) 내지 55방(55#)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1 탄화규소와 세척제를 분무하여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을 제작하는 제 1 가공단계(S10)와;
    상기 제 1 콘크리트 경계석(2)에 소듐 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제 1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도포하여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을 제작하는 제 2 가공단계(S20)와;
    상기 제 2 콘크리트 경계석(3)에 450방(4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2 탄화규소를 분무하여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을 제작하는 제 3가공단계(S30)와;
    상기 제 3 콘크리트 경계석(4)에 750방(750#) 내지 550방(550#)의 입자를 포함하는 제 3 탄화규소와 소듐 실리케이트 와 합성 폴리머를 포함한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를 분무하여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제작하는 제 4가공단계(S40)와;
    상기 제 4 콘크리트 경계석(5)을 폴리싱 장비로 면처리 하여 최종 콘크리트 경계석(6)을 제작하는 제 5 가공단계(S50)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은,
    안료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에 색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최초 콘크리트 경계석(1)은,
    색상이 있는 자갈을 혼합하여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침투성 콘크리트 강화제는
    상기 제 1, 제 3 콘크리트 경계석(2, 4)의 마감정도, 온도 및 다공성 정도에 따라 적용크기를 다르게 분무하여 콘크리트 경계석의 내구성, 내마모성,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며 시간이 지날수록 콘크리트 경계석의 표면에 광택이 더 선명하게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콘크리트 경계석.
KR1020130148754A 2013-12-02 2013-12-02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KR10140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54A KR101400763B1 (ko) 2013-12-02 2013-12-02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54A KR101400763B1 (ko) 2013-12-02 2013-12-02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763B1 true KR101400763B1 (ko) 2014-05-29

Family

ID=5089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754A KR101400763B1 (ko) 2013-12-02 2013-12-02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7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72A (ko) 2015-03-06 2016-09-20 주식회사 비에이스톤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화강문양 고강도 콘크리트 경계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507039A (zh) * 2022-02-15 2022-05-17 深圳市深建混凝土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裂混凝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352A (ja) 2000-12-06 2002-06-21 Kyocera Corp 高剛性コンクリート
KR100982653B1 (ko) 2010-06-25 2010-09-16 김강욱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1050206B1 (ko) 2010-10-22 2011-07-19 삼중씨엠텍(주) 방수기능성 투수 칼라 콘크리트 블록 혼합재 및 이를 사용한 자전거도로 및 인보행로 투수 칼라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제조방법
KR20130011390A (ko) * 2011-07-21 2013-01-30 안창기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352A (ja) 2000-12-06 2002-06-21 Kyocera Corp 高剛性コンクリート
KR100982653B1 (ko) 2010-06-25 2010-09-16 김강욱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1050206B1 (ko) 2010-10-22 2011-07-19 삼중씨엠텍(주) 방수기능성 투수 칼라 콘크리트 블록 혼합재 및 이를 사용한 자전거도로 및 인보행로 투수 칼라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제조방법
KR20130011390A (ko) * 2011-07-21 2013-01-30 안창기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의 제조방법 및 삼중 코팅 폴리머 콘크리트 경계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72A (ko) 2015-03-06 2016-09-20 주식회사 비에이스톤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화강문양 고강도 콘크리트 경계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507039A (zh) * 2022-02-15 2022-05-17 深圳市深建混凝土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裂混凝土
CN114507039B (zh) * 2022-02-15 2023-02-28 深圳市深建混凝土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裂混凝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67211A1 (en) Low-noise anti-skid road surface processing method
CN102431246B (zh) 防滑透水路垫及其制作工艺
KR101400763B1 (ko) 나노 플레이트 폴리싱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계석 제작방법
JP3196038B2 (ja) 道路の舗装方法
CN1851132A (zh) 碾压聚合物改性水泥混凝土上喷刷彩色路面结构及施工方法
KR101310333B1 (ko) 투수성 및 식별성을 갖는 분리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9159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의 시공방법
KR10096916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
KR102316694B1 (ko) 친환경 미끄럼방지 포장재 시공방법
US10654751B2 (en) Polymer modified cement adhesive for providing high friction surfacing
CN202208874U (zh) 防滑透水路垫
KR100931034B1 (ko) 착색 도로 시공방법
KR101071693B1 (ko)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자연친화적인 포장마감 시공방법
KR100879618B1 (ko) 블록의 제조방법
KR19980033706A (ko) 칼라 보도블럭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KR100963298B1 (ko) 기능성 탄성 포장층 시공방법
KR100888689B1 (ko) 착색 골재, 이를 포함한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8965B1 (ko) 재귀반사 보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7645B1 (ko) 투수 포장재의 표면 강화 처리 방법
KR101107290B1 (ko) 고강도를 갖는 주차장용 블록
KR100931033B1 (ko) 착색 도로 시공방법
KR100945591B1 (ko) 도로의 칼라 포장용 무기질 액상 안료 및 이를 이용한 칼라 도로 포장 공법
KR101299931B1 (ko) 석탄폐석을 이용한 친환경 판석 제조방법
KR100905532B1 (ko) 착색 도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