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926B1 -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926B1
KR101399926B1 KR1020130126738A KR20130126738A KR101399926B1 KR 101399926 B1 KR101399926 B1 KR 101399926B1 KR 1020130126738 A KR1020130126738 A KR 1020130126738A KR 20130126738 A KR20130126738 A KR 20130126738A KR 101399926 B1 KR101399926 B1 KR 10139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slab
compression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원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안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기연 주식회사, 안태환, 안병원 filed Critical 삼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대칭인 압축고정대에 탄성봉함재를 가압설치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접착제 기능 저하로 인한 누수를 차단하여 수밀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교량 슬래브 아래 교량받침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는 슬래브 사이의 유간을 덮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와; 상기 압축고정대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와; 상기 탄성봉함재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과; 상기 강재덮개판을 일측의 슬래브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와; 상기 강재덮개판의 하면과 슬래브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거더의 측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거더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S Ⅱ); 압축고정대와 거푸집 고정대 및 볼트를 조립하는 단계(S Ⅲ);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를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S Ⅴ);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 Ⅵ);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 간에 탄성봉함재를 가압 설치하는 단계(S Ⅶ); 상기 슬래브 상에 고무패드를 포설하는 단계(S Ⅷ); 상기 고무패드 상에 강재덮개판을 세트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Watertight type expansion joints with compressed guide trough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압축고정대에 탄성봉함재를 가압 설치하여 슬래브 아래의 교량받침 부식을 방지하는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철도교량의 신축이음장치용 물받이 시공방법은 여러 가지 제안되었으며, 특히, 철도교량과 교량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맞물리는 부위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교량과 교량을 견고히 결합하며, 궤도차량의 하중과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신축이음부재를 함께 시공한다.
이러한 신축이음부재 중 저밀도 완전밀폐형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폴리 에틸렌코폴리머(CLOSED-CELL CROSSLINKED, ETHYLENE VINYL ACETATE, LOW DENSITY POLYETHYLENE COPOLYMER. NITROGEN)에 질소를 가압한 기포형 화합물질인 완전 방수형의 밀폐형 탄성체 폼이 에바조트(EVAZOTE)이며,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압출, 인장, 전단, 휨, 진동, 뒤틀림 등)을 자체 흡수하며 온도변화에서도 탁월한 신축기능을 발휘하며 완전방수 효과로 인하여 구조체의 내구성능을 반영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에바조트를 이용한 철도교량의 공법을 에바조트 조인트 공법(EVAZOTE JOINT SYSTEM)이라 한다.
에바조트조인트 공법의 시공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교량과 교량 사이의 개구부 면갈이 작업으로 에바조트가 접착되는 부분을 정리한 후, 개구부와 에바조트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개구부에 에바조트를 끼워 접착시킨다.
마지막으로 개구부의 상부에 완충용 고무패드와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한다.
상기 완충용 고무패드와 커버플레이트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육각머리 앵커볼트로 구체 콘크리트에 고정한다.
이러한, 에바조트 조인트 공법으로 시공된 철도교량에 침목이 받는 차량의 무게를 철도교량에 골고루 분산시켜 침목의 이동을 방지하며, 궤도의 배수와 선로작업을 쉽도록 자갈·쇄석을 깔아주는 도상작업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상의 자갈·쇄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궤도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과 풍수에 의해 파쇄되고, 마모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여, 차량의 전복과 같은 대형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분니(噴泥;mud-pumping)가 발생하므로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도상작업을 시행한다.
상기 도상작업이란 밸러스트 클리너와 같은 보선차량을 통해 도상의 자갈들 중 입도(粒度)와 입상(粒狀)이 불량한 자갈을 솎아내게 된다.
이러한 도상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밸러스트 클리너의 전면에 형성된 굴착체인이 도상의 자갈을 채취하여 불량자갈을 솎아내어 밸러스트 클리너의 후면으로 살포하며 레일을 따라 진행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바조트 조인트 공법으로 시공된 교량의 완충용 고무패드(400)와 커버플레이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100)가 상기 커버플레이트(300)보다 돌출되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도상 작업중 밸러스트 클리너의 굴착체인(700) 등이 앵커볼트(100)의 머리부분을 파손함에 따라, 앵커볼트(100)의 파손은 커버플레이트(300)와 완충용 고무패드(400)가 자갈(200)들과 함께 밸러스트 클리너에 채취되기 때문에 작업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밸러스트 클리너의 장비를 파손시키며, 에바조트(600)가 외부에 노출되어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0529735호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가 제안되었다.
상기한 종래의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교량과 교량의 연결에 채택되는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에 사용되는 완충용 고무패드와 커버플레이트를 구체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볼트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1)의 상부로 나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피스홈(12)이 형성되며, 그 형상이 접시머리형상을 갖는 접시머리볼트(13)와, 상기 접시머리볼트(13)의 하부에 위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는 부시(14)와, 상기 부시(14)의 하부에 궤도차량통과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충격흡수링(15)과, 상기 충격흡수링(15)의 하부에 위치하며 나사부(11)에 게재되고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다수의 척(16a)이 형성된 테이퍼(16)와, 상기 테이퍼(16)의 척(16a)의 내경과 맞닿아 접시머리볼트(13)의 회전시 척(16a)의 기울어진 내경을 따라 척(16a)을 외향으로 벌리는 너트(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에바조트 조인트공법으로 시공되는 철도교량의 앵커볼트구조는 교량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에바조트(탄성봉함재)를 접착제로 붙여 시공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량의 신축작용으로 인해 접착제 성능 저하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어 교량의 하부 교좌장치를 부식시키는 요인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커버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방진고무를 붙여서 사용함으로 접착제 성능저하로 방진고무가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0529735(2005.11.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쌍의 대칭인 압축고정대에 탄성봉함재를 가압설치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접착제 기능 저하로 인한 누수를 차단하여 수밀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교량 슬래브 아래 교량받침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는 슬래브 사이의 유간을 덮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와; 상기 압축고정대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와; 상기 탄성봉함재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과; 상기 강재덮개판을 일측의 슬래브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와; 상기 강재덮개판의 하면과 슬래브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거더의 측면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거더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S Ⅱ); 압축고정대와 거푸집 고정대 및 볼트를 조립하는 단계(S Ⅲ);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를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S Ⅴ);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 Ⅵ);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 간에 탄성봉함재를 가압 설치하는 단계(S Ⅶ); 상기 슬래브 상에 고무패드를 포설하는 단계(S Ⅷ); 상기 고무패드 상에 강재덮개판을 세트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은 한 쌍의 대칭인 압축고정대에 탄성봉함재를 가압설치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접착제 기능 저하로 인한 누수를 차단하여 수밀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교량 슬래브 아래 교량받침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교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설치 단면도 1,
도 2는 종래의 철도교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설치 단면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대를 도시한 예시도,
도 7a 내지 7h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는 슬래브(C) 사이의 유간(S)을 덮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S)의 좌우 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는 압축고정대(100), 탄성봉함재(200), 강재덮개판(300), 세트앵커볼트(400) 및 고무패드(5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고정대(1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대(110)와; 상기 수평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20)와; 상기 수직대(120)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130)와; 상기 경사대(130)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140)와, 상기 수직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대(110)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110)와 수직대(120)의 교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수평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13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수평대(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는 그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의 하면에 돌기(1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기(114)는 수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봉함재(200), 강재덮개판(300), 세트앵커볼트(400) 및 고무패드(500)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는 슬래브(C)에 설치되는 압축고정대(100)의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접착제기능을 극복할 수 있고, 특히 상부연장수평대(112)에 돌기(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1차적으로 우수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2차적으로 탄성봉함재(200)로 차수함으로써 교량 슬래브(C) 아래의 교량받침의 부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7h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압축고정대(100)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거더(G)의 측면에 거푸집(170)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거더(G)에 철근(R)을 배근하는 단계(S Ⅱ); 압축고정대(100)와 거푸집 고정대(160) 및 볼트(600)를 조립하는 단계(S Ⅲ);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를 거푸집(170)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거푸집(17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C)를 형성하는 단계(S Ⅴ); 상기 거푸집(170)을 해체하는 단계(S Ⅵ);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 설치하는 단계(S Ⅶ); 상기 슬래브(C) 상에 고무패드(500)를 포설하는 단계(S Ⅷ); 상기 고무패드(500) 상에 강재덮개판(300)을 세트앵커볼트(400)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는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고정대(1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대(110)와; 상기 수평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20)와; 상기 수직대(120)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130)와; 상기 경사대(130)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140)와, 상기 수직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대(110)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110)와 수직대(120)의 교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수평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13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수평대(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는 그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의 하면에 돌기(114)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거푸집(170) 설치단계(S Ⅰ), 철근(R) 배근단계(S Ⅱ), 압축고정대(100)와 거푸집 고정대(160) 및 볼트(600) 조립단계(S Ⅲ), 압축고정대(100) 설치단계(S Ⅳ); 슬래브(C) 형성단계(S Ⅴ), 거푸집(170) 해체단계(S Ⅵ), 탄성봉함재(200) 설치단계(S Ⅶ), 고무패드(500) 포설단계(S Ⅷ) 및 강재덮개판(300) 설치단계(S Ⅸ)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거푸집(170) 설치단계(S Ⅰ)는 거더(G)의 측면에 합판 거푸집(170)을 설치한다(도 7a 참조).
이어서, 철근(R) 배근단계(S Ⅱ)는 거더(G)의 상부에 철근(R)을 배근한다(도 7b 참조).
이어서, 압축고정대(100)와 거푸집 고정대(160) 및 볼트(600) 조립단계(S Ⅲ)는 압축고정대(100)의 상부에 거푸집 고정대(160)를 조립하고, 하부에 볼트(600)를 조립한다.
이어서, 압축고정대(100) 설치단계(S Ⅳ)는 거푸집(170)에 조립된 압축고정대(100)를 못 등으로 고정한다(도 7c 참조).
이어서, 슬래브(C) 형성단계(S Ⅴ)는 거푸집(17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C)를 형성한다(도 7d 참조).
이어서, 거푸집(170) 해체단계(S Ⅵ)는 슬래브(C)를 형성한 후, 거푸집(170)을 해체하고, 압축고정대(100) 상부에 조립된 거푸집 고정대(160)도 함께 해체한다(도 7e 참조).
이어서, 탄성봉함재(200) 설치단계(S Ⅶ)는 유간(S)의 좌우측에 설치된 압축고정대(100)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하여 설치한다(도 7f 참조).
이어서, 고무패드(500) 포설단계(S Ⅷ)는 슬래브(C) 상에 고무패드(500)를 포설한다(도 7g 참조).
이어서, 강재덮개판(300) 설치단계(S Ⅸ)는 고무패드(500) 상에 강재덮개판(300)을 세트앵커볼트(400)로 고정 설치한다(도 7h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하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고정대(1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대(110)와; 상기 수평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20)와; 상기 수직대(120)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130)와; 상기 경사대(130)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140)와, 상기 수직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대(110)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110)와 수직대(120)의 교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수평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13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수평대(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는 그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의 하면에 돌기(114)가 형성되어 구성된 압축고정대(100)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거더(G)의 측면에 거푸집(170)을 설치하고, 상기 거더(G)에 철근(R)을 배근하며, 압축고정대(100)와 거푸집 고정대(160) 및 볼트(600)를 조립하며,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를 거푸집(170)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거푸집(17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C)를 형성하며, 상기 거푸집(170)을 해체하며,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 설치하며, 상기 슬래브(C) 상에 고무패드(500)를 포설하며, 상기 고무패드(500) 상에 강재덮개판(300)을 세트앵커볼트(400)로 고정 설치하여 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은 슬래브(C)에 설치되는 압축고정대(100)의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종래의 접착제 기능 저하로 인한 누수를 완벽하게 수밀할 수 있고, 특히 상부연장수평대(112)에 돌기(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1차적으로 우수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2차적으로 탄성봉함재(200)로 차수함으로써 교량 슬래브(C) 아래의 교량받침의 부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0: 압축고정대 110: 수평대
112: 상부연장수평대 114: 돌기
120: 수직대 130: 경사대
132: 하부연장수평대 140: 고정대
150: 지지대 160: 거푸집 고정대
162: 수직판 164: 수평판
166: 지지판 170: 거푸집
200: 탄성봉함재 300: 강재덮개판
400: 세트앵커볼트 500: 고무패드
600: 볼트
A: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C: 슬래브 G: 거더
R: 철근 S: 유간

Claims (13)

  1. 슬래브(C) 사이의 유간(S)을 덮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S)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시키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고정대(1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대(110)와; 상기 수평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20)와; 상기 수직대(120)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130)와; 상기 경사대(130)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140)와, 상기 수직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대(110)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110)와 수직대(120)의 교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수평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13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수평대(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는 그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에는 하면에 돌기(11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50)에 거푸집 고정대(160)가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고정대(16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162)과 상기 수직판(162)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판(164)과; 상기 수평판(164)으로부터 하향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판(16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슬래브(C) 사이의 유간(S)을 덮는 철도교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간(S)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압축고정대(100)와; 상기 압축고정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봉함재(200)와; 상기 탄성봉함재(200) 상면을 덮는 강재덮개판(300)과; 상기 강재덮개판(300)을 일측의 슬래브(C) 상에 고정시키는 세트앵커볼트(400)와; 상기 강재덮개판(300)의 하면과 슬래브(C) 상면 간에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패드(5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고정대(100)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대(110)와; 상기 수평대(110)의 일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120)와; 상기 수직대(120)의 하단부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대(130)와; 상기 경사대(130)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140)와, 상기 수직대(1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대(110)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지지대(150)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대(110)와 수직대(120)의 교차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연장수평대(112)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대(13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연장수평대(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와 하부연장수평대(132)는 그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수평대(112)에는 하면에 돌기(11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50)에 거푸집 고정대(160)가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 고정대(16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판(162)과 상기 수직판(162)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판(164)과; 상기 수평판(164)으로부터 하향에서 내측으로 일정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지지판(166)으로 구성된 압축고정대(100)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A)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거더(G)의 측면에 거푸집(170)을 설치하는 단계(S Ⅰ);
    상기 거더(G)에 철근(R)을 배근하는 단계(S Ⅱ);
    압축고정대(100)와 거푸집 고정대(160) 및 볼트(600)를 조립하는 단계(S Ⅲ);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를 거푸집(170)에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Ⅳ);
    상기 거푸집(170)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슬래브(C)를 형성하는 단계(S Ⅴ);
    상기 거푸집(170)을 해체하는 단계(S Ⅵ);
    상기 조립된 압축고정대(100) 간에 탄성봉함재(200)를 가압 설치하는 단계(S Ⅶ);
    상기 슬래브(C) 상에 고무패드(500)를 포설하는 단계(S Ⅷ);
    상기 고무패드(500) 상에 강재덮개판(300)을 세트앵커볼트(400)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S 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시공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26738A 2013-10-23 2013-10-23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9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38A KR101399926B1 (ko) 2013-10-23 2013-10-23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738A KR101399926B1 (ko) 2013-10-23 2013-10-23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926B1 true KR101399926B1 (ko) 2014-05-29

Family

ID=5089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738A KR101399926B1 (ko) 2013-10-23 2013-10-23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9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908B1 (ko) * 2017-05-08 2017-12-12 (주)엠이씨 교량용 m조인트 시스템
CN111705640A (zh) * 2020-06-05 2020-09-25 常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接缝处理的无缝伸缩缝结构及其施工工艺
KR102300804B1 (ko) * 2021-03-09 2021-09-10 주식회사 제코 교량받침용 논슬립 앵커소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KR102357383B1 (ko) 2021-05-17 2022-02-08 주식회사 아르코건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11598084B2 (en) * 2019-09-20 2023-03-07 Connect-Ez, Llc Metal shear connector structure for adjacent concrete pane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99A (ko) * 1998-09-10 1999-02-2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777B1 (ko) 2008-09-23 2009-04-20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10914U (ko) * 2009-04-28 2010-11-05 (주)대한하이텍건설 철도교 신축이음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99A (ko) * 1998-09-10 1999-02-2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777B1 (ko) 2008-09-23 2009-04-20 주식회사 리노이엔지 교량의 매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10914U (ko) * 2009-04-28 2010-11-05 (주)대한하이텍건설 철도교 신축이음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908B1 (ko) * 2017-05-08 2017-12-12 (주)엠이씨 교량용 m조인트 시스템
US11598084B2 (en) * 2019-09-20 2023-03-07 Connect-Ez, Llc Metal shear connector structure for adjacent concrete panels
CN111705640A (zh) * 2020-06-05 2020-09-25 常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接缝处理的无缝伸缩缝结构及其施工工艺
KR102300804B1 (ko) * 2021-03-09 2021-09-10 주식회사 제코 교량받침용 논슬립 앵커소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KR102357383B1 (ko) 2021-05-17 2022-02-08 주식회사 아르코건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26B1 (ko) 압축고정대를 이용한 수밀형 신축이음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138467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CN212983571U (zh) 一种大位移量桥梁伸缩缝
CN110792035B (zh) 一种加强型无缝式弹性体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845088B1 (ko) 스틸 교량의 외장재 설치구조
KR101596689B1 (ko) 고탄성 실런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9990014499A (ko)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0031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방법
CN108867352B (zh) 一种市政桥梁用的伸缩缝覆盖装置
KR100519931B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KR0140845Y1 (ko) 도로이음매의 신축 이음장치
KR101360788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이음부 시공공법
KR10095459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443283B1 (ko) 프리캐스트 상판과 지지보와의 연결 방법
KR100868930B1 (ko) 수로교의 신축 이음 장치
KR100870085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KR200341968Y1 (ko) 혼성 신축이음구조
KR1010327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2007231631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継手
CN217269338U (zh) 一种外嵌式交通轨道护栏
KR20150077034A (ko) 철도 교량용 신축 이음 누수 보수장치
CN217810490U (zh) 一种城市人行桥梁伸缩装置
KR100429377B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