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548B1 -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548B1
KR101399548B1 KR1020130010437A KR20130010437A KR101399548B1 KR 101399548 B1 KR101399548 B1 KR 101399548B1 KR 1020130010437 A KR1020130010437 A KR 1020130010437A KR 20130010437 A KR20130010437 A KR 20130010437A KR 101399548 B1 KR101399548 B1 KR 10139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information
wearing
calcul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훈
김경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유영훈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유영훈, 김경호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 그리고 상기 착용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ASTENING SECTION OF SAFETY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을 산출하는 장치 및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 개정됨에 따라 2012년 11월 24일부터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와 같은 도로를 운행하는 광역급행형 시내버스, 시외버스, 택시, 전세버스 및 특수여객자동차를 이용하는 여객은 반드시 좌석안전띠(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하며, 운수종사자는 기점 또는 경유지에서 승차하는 여객에 대해 출발 전에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한 후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운송사업자나 운전기사가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에 관한 개정법을 위반하면, 운송사업자에게는 50만원, 운전기사에게는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지만, 승객은 특별한 처벌을 받지 않는다.
안전벨트의 착용은 승객의 자유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는 행동이고, 더욱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승객에게는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으므로, 개정법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을 강요하는 대중교통 운전사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려는 승객의 사이에서 실랑이가 벌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점 또는 경유지에서 차량의 출발 전에 운전사가 안전벨트 착용을 안내한 후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확인하였더라도, 운행 도중에 승객이 임의로 안전벨트를 해제해버리면, 운전기사는 경찰의 안전벨트 착용 단속시 승객의 안전벨트 미착용을 이유로 과태료를 부과받게 된다. 현재로서는 대중교통의 운행 중에 승객이 안전벨트를 임의로 해제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우며, 운전사 및 운수회사에 부과될 의무 불이행에 대한 불이익을 거부할 수 있는 증거 자료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 구간을 산출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량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차량의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 그리고 상기 착용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상기 차량의 좌석에 설치되며, 차량 승객의 교통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그리고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좌석의 정보와 상기 교통 카드의 정보 및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벨트의 해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는, 상기 체결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상기 차량의 좌석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감지 신호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 및 상기 교통 카드의 정보를 상기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 측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상기 차량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교통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그리고 상기 차량 승객의 상기 교통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착용 구간 정보에 따라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상기 안전벨트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피감지부;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의 인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안전벨트 상에서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착용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용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의 해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산출 방법은, 상기 착용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 만큼 인출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 만큼 인출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착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한 구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 구간에 따라 운임 요금을 할인함으로써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구성하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구성이나 그에 따른 동작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는 차량의 좌석에 설치된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안전벨트의 착용 감지 신호(체결감지 신호, 해체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기사가 안전벨트 착용 확인의 의무를 다한 경우, 운행 중 승객의 행동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의무 불이행에 대한 불이익을 거부할 수 있는 증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안전벨트 착용 구간에 따라 승객에게 운임 요금을 할인함으로써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100)가 버스(1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100)는 택시 또는 특수여객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100)는 카드 인식부(110),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 송신부(130), 감지부(140), 카드 리더기(150), 위치 측정부(160), 수신부(170),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 저장부(190), 그리고 요금 산출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카드 인식부(110),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 송신부(130) 및 감지부(140)는 버스(10)의 각 좌석(11)에 설치되며, 카드 리더기(150), 위치 측정부(160), 수신부(170),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 저장부(190) 및 요금 산출부(200)는 버스(10)의 출입문(16) 측에 운전석(미도시)과 인접하여 배치된 요금 처리 장치(17)에 설치될 수 있다.
카드 인식부(110)는 버스(10)의 좌석(11)들에 설치되며, 차량 승객의 교통 카드를 근거리에서 인식한다. 일 실시 예로, 카드 인식부(110)는 안전벨트(12)의 결착구(14) 측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소형의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교통 카드의 정보, 예컨대 교통 카드 번호를 읽을 수 있다. 카드 인식부(110)는 안전벨트(12)의 결착구(14)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결착구(14) 이외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해당 좌석(11)의 앞좌석에서 뒷면 측, 즉 해당 좌석(11)의 전방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 승객이 카드 인식부(110)에 교통 카드를 가까이 갖다 대면, 카드 인식부(110)는 교통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승객이 보유한 교통 카드의 고유한 교통 카드 번호가 카드 인식부(110)로 무선 송신된다. 송신부(130)는 카드 인식부(110)로부터의 교통 카드 번호와, 좌석 번호 정보를 수신부(170) 측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좌석(11)에 설치된 송신부(130)는 서로 다른 좌석 번호 정보를 수신부(170)로 송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카드 인식부(110)는 안전벨트(12)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교통 카드를 인식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반드시 안전벨트(12)를 착용한 상태에서만 카드 인식부(110)가 교통 카드를 인식하도록 하여, 교통 카드를 인식한 시점에서 안전벨트(12)를 착용한 승객이 누구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버스(10)의 좌석(11)들에 설치되며, 각각의 좌석(11)에 설치된 안전벨트(12)의 착용 정보를 산출한다. 일 실시 예로,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안전벨트(12)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안전벨트의 해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착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안전벨트(12)의 결착구(14)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안전벨트(12)의 금속으로 된 텅 플레이트(tongue plate)(13)가 버클(buckle)에 체결됨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광센서에 의해 텅 플레이트(13)를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안전벨트(12)의 체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벨트(12)의 텅 플레이트(13)가 결착구(14)의 버클에 결착되면, 송신부(130)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의 체결감지 정보와 좌석 번호 정보를 수신부(170)로 전송하며, 이때부터 안전벨트 착용구간이 기록되기 시작한다. 안전벨트(12)의 텅 플레이트(13)가 결착구(14)의 버클로부터 해체되면, 송신부(130)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의 해체감지 정보와 좌석 번호 정보를 수신부(17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안전벨트 착용 구간의 기록이 완료된다. 한편, 카드 인식부(110)에서 차량 승객의 교통 카드를 인식함에 따라 얻은 교통 카드 번호 정보와,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에서 생성한 체결감지 신호 및 좌석 정보를 교통 카드 인식과 동시에 수신부(170)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송신부(130)는 버스(10)의 좌석(11)들에 설치되며,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체결감지 신호와 해체감지 신호 및 교통 카드 정보를 수신부(170)를 통하여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송신부(130)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 및 카드 인식부(110)와 전기통신상의 회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송신부(130)가 수신부(170)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와 다르게, 카드 인식부(110)로부터의 교통 카드 정보를 수신부(170)로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로부터의 감지 신호(체결감지 신호 및 해체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가 각각 별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카드 리더기(150)는 버스(10)의 출입문(16) 측에서 운전석(미도시)과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차량 승객의 교통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0)는 예를 들어 승객이 대중 교통의 승차 및 하차시 교통 카드를 갖다 대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에 따라 승객의 교통 카드를 인식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0)는 교통 카드로부터 교통 카드 번호 정보와, 잔액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0)는 승객의 승차시 교통 카드의 잔액이 부족하면 예를 들어 '잔액이 부족합니다'라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0)에 의해 승객의 승하차 시점이 인식되고, 승차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와 하차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위치 측정부(160)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승객의 승차 구간 정보(승차 위치 정보, 하차 위치 정보, 승차 위치와 하차 위치 간의 거리 정보)는 저장부(190)에 저장되며, 해당 정보는 승객이 하차할 때 추가 운임 요금의 부과시 활용된다. 카드 리더기(150)는 버스(10) 내에 1대 구비될 수도 있고, 탑승문 측과 하차문 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위치 측정부(160)는 버스(10)에 설치되며, 버스(1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위치 측정부(160)는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미도시)에 의하여 버스(1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GPS 모듈은 버스(10)의 위성들로부터의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삼각 방법에 따라 버스(1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160)에 의해 산출된 승객의 승차 위치 정보와 하차 위치 정보는 저장부(190)에 저장된다.
수신부(170)는 송신부(13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수신부(170)는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되는 교통 카드 번호를 저장부(190)에 저장하고, 안전벨트(12)의 체결감지 신호 및 해체감지 신호를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는 안전벨트(12)의 착용 정보(체결감지 신호 및 해체감지 신호)와 버스(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좌석(11)에 설치된 안전벨트(12)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한다. 일 실시 예로,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로부터의 체결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버스(10)의 위치 정보와 해체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버스(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안전벨트(12)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안전벨트(12)의 착용과 동시에 안전벨트(12)의 착용 시작 구간이 GPS 모듈에 의해 기록되고, 안전벨트(12)의 해체에 따른 착용 종료 구간이 GPS 모듈에 의해 기록됨으로써, 차량 승객이 안전벨트(12)를 착용한 구간이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180)는 위치 측정부(160)로부터 직접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안전벨트 착용구간을 산출할 수도 있고, 위치 측정부(160)에 의해 측정되어 저장부(190)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읽어서 안전벨트 착용구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저장부(190)는 버스(10)에 설치되며, 각각의 좌석(11)별로 교통 카드 번호 정보와 해당 교통 카드 번호에 대응하는 승차 구간 정보와, 안전벨트 착용 구간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구성하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저장부(190)는 예를 들어, 교통 카드 번호, 버스 번호, 좌석 번호, 승차 시간 정보(탑승 시간, 하차 시간), 승차 구간 정보(탑승 위치, 하차 위치), 안전벨트 착용구간 정보(안전벨트 체결 위치, 안전벨트 해체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정보 외에도, 저장부(190)는 탑승 위치와 하차 위치 간의 거리 정보, 안전벨트 체결 위치와 해체 위치 간의 거리 정보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요금 산출부(200)는 교통 카드에 대응하는 버스 승객의 착용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버스 요금을 부과한다. 요금 산출부(200)는 승객의 승차시 해당 교통 카드에서 기본 운임을 차감하며, 차감된 잔액을 교통 카드에 기록한다. 승객이 하차할 때 교통 카드를 카드 리더기(150)에 가까이 대면, 요금 산출부(200)는 승객의 승차 거리에 따라 교통 카드에서 추가 운임을 차감한다.
일 실시 예로, 요금 산출부(200)는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 구간에 비례하여 해당 승객에게 추가적으로 운임 할인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운임 할인은 할인 요금을 적용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 외에도,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승객으로 하여금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실시 예에서, 요금 산출부(200)는 버스(10)에 설치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요금 산출부(200)는 교통 카드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때, 승객이 하차시 교통 카드를 카드 리더기(150)에 인식시키면, 카드 리더기(150)로부터 승차 구간 정보와, 안전벨트 착용 구간 정보가 교통 카드로 송신되며, 교통 카드의 중앙 처리 장치(CPU)(미도시)에서 승차 구간 정보와, 안전벨트 착용 구간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140)는 안전벨트(12)가 권취되어 있는 인출부(15) 측에 설치되며, 안전벨트(12)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피감지부(141)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피감지부(141)는 안전벨트(12)가 소정의 길이 만큼(예를 들어 5~10cm 정도) 인출될 때,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승객이 안전벨트(12)를 착용하지 않고 단순히 안전벨트(12)를 결합만 시킨 경우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즉, 승객이 안전벨트를 정확하게 착용하면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안전벨트(12)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안전벨트(12)가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벨트(12)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실제로는 승객이 안전벨트(12)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12)가 늘어나 있는 상태에서 안전벨트(12)를 결착구(14)의 버클에 결합했을 때 비로소 안전벨트 착용구간이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안전벨트(12)만을 체결시킨 후 착석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피감지부(141)는 감지부(140)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금속과 같은 물체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피감지부(141)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의 동작과 작용,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승객이 버스에 탑승하면서 카드 리더기(150)에 교통 카드를 갖다 대면, 교통 카드에서 기본 요금이 차감된다. 이때, 위치 측정부(160)에서 산출한 승객의 탑승 위치는 이후 하차 시에 추가 요금의 산출을 위하여 저장부(190)에 기록된다.
승객이 좌석(11)에 앉아 안전벨트(12)를 착용하면, 단계 S51에서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버스(10)의 각 좌석(11)에 설치된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한다. 승객이 좌석(11)에 안장 안전벨트(12)의 텅 플레이트(13)를 결착구(14)의 버클에 결착시키면,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안전벨트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부(130)는 좌석 정보와 체결감지 신호를 수신부(170)를 거쳐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로 송신한다. 승객이 좌석(11)에 마련된 카드 인식부(110)에 교통 카드를 갖다 대면, 교통 카드 정보가 송신부(130)에 의해 수신부(170)를 거쳐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로 송신된다.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는 해당 교통 카드 정보를 저장부(190)에 기록하며, 이에 따라 좌석(11)에 착석한 승객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1에서, 감지부(140)는 안전벨트(12)가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될 때 피감지부(141)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감지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12)의 착용 정보를 산출한다. 따라서, 승객이 안전벨트(12)를 착용하지 않고 단순히 결합만 시킨 경우에는 안전벨트(12)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승객이 안전벨트(12)를 해체하면, 해당 좌석 정보와 안전벨트(12)의 해체감지 신호가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로 전송된다. 즉, 승객이 안전벨트(12)를 해체하면,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는 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120)로부터의 해체 감지 신호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부(170)를 거쳐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로 송신된다.
단계 S52에서 위치 측정부(160)는 버스(1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산출한다. 도 5에서는 단계 S51 이후에 단계 S52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계 S51과 단계 S52는 반드시 시계열 상의 선후 관계를 갖지는 않는다. 즉, 단계 S52는 항시적으로 버스(1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53에서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는 착용 정보(체결감지 신호와 해체감지 신호)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버스(10)의 각 좌석(11)에 설치된 안전벨트(12)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한다. 일 실시 예로,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부(180)는 체결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버스(10)의 위치 정보와 해체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버스(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착용 구간 정보(안전벨트 체결 위치와 해체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단계 S54에서 요금 산출부(200)는 안전벨트(12)의 착용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버스 요금을 부과한다. 먼저, 승객이 버스(10)에서 하차하면서 카드 리더기(150)에 교통 카드를 갖다 대면, 위치 측정부(160)에서 산출한 승객의 탑승 위치가 저장부(190)에 기록되며, 요금 산출부(200)는 저장부(190)로부터 해당 승객의 탑승 구간 거리 정보를 읽어 이동거리당 비례요금제에 따라 교통 카드에서 추가 요금을 차감한다.
이에 부가하여, 요금 산출부(200)는 하차 승객의 교통 카드에 대응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버스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안전벨트 착용 구간에 비례하여 승객에게 요금 할인이 적용되므로, 승객으로 하여금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요금 산출부(200)는 교통 운임 중 일부를 할인하는 방식 외에도, 교통 운임과 별도로 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으로 승객에게 요금 할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승객으로 하여금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대중교통 이용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안전벨트의 착용이 의무화된 대중교통 수단(버스)에 적용되면 예를 들어, 경찰의 승객 안전벨트 착용 여부 단속시 운수회사 측에서 승객의 운전 중 안전벨트 해체로 인한 불이익을 막을 증거자료로써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 구간 기록을 제출하여 과태료의 부과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산출된 안전벨트 착용 구간은 안전벨트 착용 유도를 위한 참고 자료로써 활용되거나, 운수회사 측에서 승객의 안전벨트 착용 기록을 근거로 운전자에게 성과급을 지급하거나, 정부에서는 안전벨트 착용 기록을 바탕으로 우수 운수회사에게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버스 11: 좌석
12: 안전벨트 13: 텅 플레이트
14: 결착구 15: 인출부
16: 출입문 17: 요금 처리 장치
100: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 장치 110: 카드 인식부
120: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 130: 송신부
140: 감지부 141: 피감지부
150: 카드 리더기 160: 위치 측정부
170: 수신부 180: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
190: 저장부 200: 요금 산출부

Claims (12)

  1. 차량의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부; 그리고
    상기 착용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좌석에 설치되며, 차량 승객의 교통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그리고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좌석의 정보와 상기 교통 카드의 정보 및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벨트의 해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는,
    상기 체결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좌석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감지 신호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 및 상기 교통 카드의 정보를 상기 안전벨트 착용구간 산출부 측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입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교통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 그리고
    상기 차량 승객의 상기 교통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착용 구간 정보에 따라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요금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피감지부;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의 인출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감지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감지 신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부는,
    상기 안전벨트 상에서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치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부는,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착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9. 차량의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용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벨트의 체결을 감지하여 체결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의 해체를 감지하여 해체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와 상기 해체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용 구간 정보를 산출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구간 정보에 기초하여 요금 할인을 적용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
  12. 제9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 만큼 인출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안전벨트가 소정의 길이 만큼 인출되면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안전벨트의 착용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감지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착용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방법.
KR1020130010437A 2013-01-30 2013-01-30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KR10139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37A KR101399548B1 (ko) 2013-01-30 2013-01-30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37A KR101399548B1 (ko) 2013-01-30 2013-01-30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548B1 true KR101399548B1 (ko) 2014-05-27

Family

ID=5089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37A KR101399548B1 (ko) 2013-01-30 2013-01-30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270A1 (ja) * 2019-03-07 2020-09-10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車両端末、案内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システム
JP2021024389A (ja) * 2019-08-02 2021-02-22 株式会社Mobility Technologies 車両端末、案内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562A (ja) * 1998-05-19 1999-11-24 Shigeru Kato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JP2003063392A (ja) * 2001-08-28 2003-03-05 Fujikura Ltd 乗客検知システム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KR100875502B1 (ko) * 2007-08-20 2008-12-31 주식회사 삼송 전자제어유니트의 독립센싱이 가능한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1562A (ja) * 1998-05-19 1999-11-24 Shigeru Kato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JP2003063392A (ja) * 2001-08-28 2003-03-05 Fujikura Ltd 乗客検知システム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KR100875502B1 (ko) * 2007-08-20 2008-12-31 주식회사 삼송 전자제어유니트의 독립센싱이 가능한 시트벨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9270A1 (ja) * 2019-03-07 2020-09-10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車両端末、案内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システム
JP2021024389A (ja) * 2019-08-02 2021-02-22 株式会社Mobility Technologies 車両端末、案内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システム
JP7249235B2 (ja) 2019-08-02 2023-03-30 株式会社Mobility Technologies 車両端末、案内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特典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987B2 (en)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78053B1 (ko)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JP6773024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29457B2 (ja) 交通監視システム
EP2402912B1 (en) Electronic toll charging system and method
JP2016532922A (ja) 公共交通電子システム
US20150021389A1 (en) Vehicle tolling system with occupancy detection
US20150379782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toll collection information based on a number of occupants in a vehicle
JP5393526B2 (ja) 車載器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JP5151256B2 (ja) 車線案内システム及びetc車載器
KR101399548B1 (ko) 안전벨트 착용 구간 산출 장치 및 방법
JP6715061B2 (ja) 保線人員管理システム
JP2012181875A (ja) 交通監視システム
JP2012094057A (ja) 乗務距離管理装置
JP201421594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6976810B2 (ja) 不正防止システム
JP2014056412A (ja) 車両通行制御システム、車載器、通行料金処理装置
JP2018097507A5 (ja) Etc路側装置、etcリカバリシステム、etcリカバリ方法およびetcリカバリプログラム
JP2008234337A (ja) 自動車の自動支払い装置
US20210358297A1 (en) Violator identification device, violator identification system, violator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2037939A (ja) 不正車両監視システム、不正車両監視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55343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200030708A (ko)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복합 단말기.
JP2007079927A (ja) 乗車管理システム、携帯端末、車載用管理装置、センタ装置、乗車管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945127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fare collec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