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510B1 - 폐전선 탈피기 - Google Patents

폐전선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510B1
KR101399510B1 KR1020130001688A KR20130001688A KR101399510B1 KR 101399510 B1 KR101399510 B1 KR 101399510B1 KR 1020130001688 A KR1020130001688 A KR 1020130001688A KR 20130001688 A KR20130001688 A KR 20130001688A KR 101399510 B1 KR101399510 B1 KR 101399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aste
roller
waste wir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서강식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주)이수종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수종합상사 filed Critical (주)이수종합상사
Priority to KR102013000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을 분리하여 폐자원의 원료를 확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페전선이 인입되는 투입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와 상기 제1압착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며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2압착롤러로 형성된 가압부; 발열프레임으로 상기 폐전선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제1압착롤러와 상호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며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2톱니날롤러로 형성된 분리부; 및 상기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폭이 넓은 압착롤러 및 톱니날롤러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폐전선을 동시에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고, 전기를 이용해 안전하게 가열하며, 온도센서로 폐전선의 피복층에 일정한 열전도를 할 수 있는 효과와, 톱니날롤러에 의해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층을 분리할 때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조정핸들과 제2조정핸들을 이용하여 한쌍의 압착롤러 및 한쌍의 톱니날롤러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폐전선의 두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절연전선의 경우에 피복 내부의 전선 가닥의 수에 따라서 단선 또는 연선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은 단선은 물론 연선의 피복제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폐전선 탈피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전선 탈피기{The apparatus of peeling off the wasted wire}
본 발명은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을 분리하여 폐자원의 원료를 확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페전선이 인입되는 투입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와 상기 제1압착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며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2압착롤러로 형성된 가압부; 발열프레임으로 상기 폐전선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제1압착롤러와 상호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의 상부에 대향되며 간격조절이 가능한 제2톱니날롤러로 형성된 분리부; 및 상기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전력시설 또는 통신시설 등의 각종 전선공사 후 버려지는 폐전선을 자원화 하고 있다. 이러한 폐전선은 동선의 외주위를 침습 또는 절연을 위해 필수적으로 절연피복층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절연피복층은 대부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폐전선이 재활용되거나 적절한 절차를 거쳐 폐기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버려져 매립되는 경우 동선의 내부에 금속재질의 와이어가 내장되고, 금속재질의 외표면에는 오랜시간이 경과되어도 분리되지 않는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염화비닐수지(PVC)로 감싸여져 있기 때문에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고, 동선을 분리하기 위하여 폐전선을 연소시키는 경우에 피복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염화비닐수지(PVC)가 연소되면서 심한 악취와 매연은 물론,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되어 대기중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폐전선 탈피기는 상기의 절연피복층을 분리하기 위해 가열, 냉각과 약품처리 및 칼날롤러 등을 이용한 많은 방법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가열에 의한 방법은 전선을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다시 응축 또는 냉각을 하여 피복층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고, 동선을 추출해 내는 방법으로 많은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친환경적인 분리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전선을 분쇄하거나 잘라낸 후 약품을 통하여 피복층을 분리해 내고 동선과 피복층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555019호가 있다. 이는 폐전선을 압착시켜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약품처리를 통해 피복층을 분리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취하는 방식이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6599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0837311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0586호에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하는 회전축 및 칼날롤러 등으로 구성되어 폐전선의 피복층을 절리하고, 탈피시키는 방식이다. 공통의 요지는 폐전선의 피복층을 칼날 등을 이용하여 전선의 두께에 따라 롤러의 간격을 조정한 후 분리 및 수취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전선의 두께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지 않고도 간격조절이 되어 있는 롤러를 배열하여 동시에 두께가 다른 폐전선의 피복층을 분리할 수도 있고, 피복층을 상하 2면으로 절리하는 방법 이외에 4면으로 절리하는 방법도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폐전선의 피복층을 분리해 내어도 다시 한번 수작업에 의한 확인 및 재분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재분리 과정에서 남아 있는 피복층을 분리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발생했다.
즉, 압착 및 약품을 사용하거나 칼날롤러 등을 이용하여 폐전선의 피복층을 분리하게 되면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 지며 동선과 피복층을 다시 분리 및 수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폐전선 탈피기는 폐전선의 피복층을 절리한 후 작업자의 확인을 통해 미처 분리되지 않은 피복층을 재분리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폐전선을 이하의 가열부에 통과 시 일정한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납작하게 압착하고, 압착된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층을 전기를 이용하여 370℃~375℃로 가열하고, 가열된 폐전선의 피복에 톱니날을 이용하여 균열을 생성시키며 배출된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층을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하여 인건비 절감과 생산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폐전선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폐전선이 인입되는 투입구(11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일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230)으로 체결되고, 구동모터(510)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210);와 상기 제1압착롤러(2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과 체결되며, 제1조정핸들(2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압착롤러(220);로 형성된 가압부(200); 제1보온패널(310), 제2보온패널(320)과 제1발열프레임(330) 및 제2발열프레임(350)을 구비하고,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가열부(30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타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430)으로 체결되고, 체인(500)으로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410);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과 체결되며, 제2조정핸들(4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톱니날롤러(420);로 형성된 분리부(400); 및 상기 분리부(400)를 통과한 상기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폐전선 탈피기는 폭이 넓은 압착롤러 및 톱니날롤러를 이용하여 여러 가닥의 폐전선을 동시에 투입 및 배출시킬 수 있고, 전기를 이용해 안전하게 가열하며, 온도센서로 폐전선의 피복층에 일정한 열전도를 할 수 있는 효과와, 톱니날롤러에 의해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층을 분리할 때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는 제1조정핸들과 제2조정핸들을 이용하여 한쌍의 압착롤러 및 한쌍의 톱니날롤러의 간격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폐전선의 두께에 따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절연전선의 경우에 피복 내부의 전선 가닥의 수에 따라서 단선 또는 연선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은 단선은 물론 연선의 피복제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전체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투입구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배출구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제1, 2 발열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A-A'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탈피기의 2중 구동모터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폐전선이 인입되는 투입구(11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일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230)으로 체결되고, 구동모터(510)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210);와 상기 제1압착롤러(2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과 체결되며, 제1조정핸들(2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압착롤러(220);로 형성된 가압부(200); 제1보온패널(310), 제2보온패널(320)과 제1발열프레임(330) 및 제2발열프레임(350)을 구비하고,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가열부(30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타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430)으로 체결되고, 체인(500)으로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410);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과 체결되며, 제2조정핸들(4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톱니날롤러(420);로 형성된 분리부(400); 및 상기 분리부(400)를 통과한 상기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전선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투입구(110)는 폐전선이 인입되는 곳으로서, 복수의 폐전선이 들어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폐전선이 수평으로 인입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패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는 종래 폐전선 탈피기에서 폐전선의 한가닥 또는 2~5개의 가닥을 넣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복수의 폐전선이 인입될 수 있게 되어 있어 종래보다 더 높은 효율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생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2압착롤러(210, 220)와 제1, 2톱니날롤러(410, 420)의 너비만큼 투입구(110)를 제작하면 복수의 폐전선을 인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많은 양의 폐전선을 인입시키면 가열부(300)의 온도가 저하되어 일정한 온도로 폐전선을 가열할 수 없게 될 수 있고, 너무 적은 양의 폐전선을 인입시키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작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가압부(200)는 투입구(110)로 인입된 폐전선의 피복층이 압착되는 곳으로서,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일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230)으로 체결되어 있고, 구동모터(510)의 감속기(514)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210)와 상기 제1압착롤러(2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으로 체결되며 제1조정핸들(2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압착롤러(220)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510)는 주모터(512)와 감속기(514)가 연결되어 상기 주모터(512)의 속도를 상기 감속기(514)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되고, 상기 감속기(514)는 제1압착롤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의 속도를 조절하며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2압착롤러(220)는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기어로 맞물려 동시에 구동된다.
아울러, 투입구(110)로 정렬된 폐전선이 인입되면 상기 제1, 2압착롤러(210, 220)를 통과하는 폐전선의 피복층을 압착시키게 된다. 이때 폐전선의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면 제1조정핸들(260)을 조정하여 상기 제2압착롤러(2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제2압착롤러(2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압착롤러(220)의 조절되는 간격은 1~2㎜내외이기 때문에 간격 조절에 의해 상기 제2압착롤러(220)가 상기 제1압착롤러(210)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즉, 기어의 톱니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된 구성의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2압착롤러(220)는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으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은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50)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50)는 제1조정핸들(260)과 제1스프로킷(262)이 체인(264)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1조정핸들(260)을 좌,우로 돌려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압착롤러(2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열부(300)는 투입구(110)로 인입되어 가압부(200)에서 압착된 폐전선을 가열시켜 상기 폐전선의 동선과 피복층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피복층인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염화비닐수지(PVC)를 연화시키는 곳으로서, 제1보온패널(310), 제2보온패널(320)과 제1발열프레임(330) 및 제2발열프레임(35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2발열프레임(330, 350)의 사이에 부착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370℃~375℃의 온도가 상기 제1발열프레임(330) 및 제2발열프레임(350)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폐전선의 피복층인 폴리에틸렌수지(PE)와 폴리염화비닐수지(PVC)는 연화온도가 대략 70℃~80℃이지만 본 발명에서 가열부(300)의 내부온도를 370℃~375℃로 유지하는 것은 피복층에 열을 직접 가열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때문에 최적으로 연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가열부(300)의 내부온도가 370℃미만이면 가열된 폐전선이 분리부(400)를 통과할 때, 상기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 발생이 저조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하지 못하고, 가열부(300)의 내부온도가 375℃초과이면 가열된 상기 폐전선이 분리부(400)를 통과할 때,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 발생이 너무 많이 이루어지며 동선과 피복층이 접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2보온패널(310, 320)은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지된 단열재와 보온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2발열프레임(330, 350)은 프레임본체(332) 안쪽에 제1보온솜(334), 가열파이프(336), 제2보온솜(338)과 열전도패널(340) 및 망형패널(3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2보온패널(310, 320)은 일실시예로 단열재와 보온솜 및 단열재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발열프레임(330, 350)의 좌, 우측에 결합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제1, 2발열프레임(330, 350)의 제1, 2보온솜(334, 338)은 공지된 단열재로 대체사용이 가능하고, 가열파이프(336)는 가스와 물 등과 같은 순환식 가열보다 전기를 이용한 가열을 함으로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용이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전도패널(340)은 가열파이프(336)의 열이 가열부(300)를 통과하는 폐전선에 좀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망형패널(342)은 열전도율과 내열성이 높은 금속재질로서, 연화된 피복층이 가열부(300)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분리부(400)는 가열부(300)를 통과하여 연화된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곳으로서,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타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430)으로 체결되고, 제1압착롤러(210)와 체인(500)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410)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과 체결되며, 제2조정핸들(4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톱니날롤러(420)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모터(51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제1톱니날롤러(410)가 체인(500)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가 연동되어 구동된다. 이때 제2톱니날롤러(420)는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와 기어로 맞물려 동시에 구동된다.
아울러, 가열부(300)를 통과하여 피복층이 연화된 폐전선이 분리부(400)로 인입되면 상기 제1, 2톱니날롤러(410, 420)를 통과하는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폐전선의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면 제2조정핸들(460)을 조정하여 제2톱니날롤러(42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톱니날롤러(410)와 제2톱니날롤러(4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톱니날롤러(420)도 제2압착롤러(220)와 마찬가지로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간격조절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2톱니날롤러(420)는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으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은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는 제2조정핸들(460)과 제2스프로킷(462)이 체인(464)으로 연동되어 상기 제2조정핸들(460)을 좌,우로 돌려 상기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톱니날롤러(4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출구(600)는 분리부(400)를 통과하여 피복층에 균열이 발생한 폐전선이 배출되는 곳이고, 배출된 상기 폐전선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리를 하게되며, 가압부(200)와 가열부(300) 및 분리부(400)를 통과한 상기 폐전선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리할 때, 효율적으로 분리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시키고, 생산력을 극대화시키며 폐자원의 원료를 확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 에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폐전선 탈피기 110 : 투입구
120 : 지지패널 200 : 가압부
210 : 제1압착패널 220 : 제2압착롤러
230 : 구동샤프트 지지블록 240 :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
250 : 간격조절샤프트 260 : 제1조정핸들
262, 462 : 스프로킷 264. 464, 500 : 체인
300 : 가열부 310 : 제1보온패널
320 : 제2보온패널 330 : 제1발열프레임
332 : 프레임본체 334 : 제1보온솜
336 : 가열파이프 338 : 제2보온솜
340 : 열전도패널 350 : 제2발열프레임
400 : 분리부 410 : 제1톱니날롤러
420 : 제2톱니날롤러 430 : 구동샤프트 지지블록
440 :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 450 : 간격조절샤프트
460 : 제2조정핸들 510 : 구동모터
512 : 주모터 514 : 감속기
540 : 베이스프레임 542 : 제1베이스프레임
544 : 제2베이스프레임 600 : 배출구

Claims (6)

  1. 복수의 폐전선이 인입되고, 상기 복수의 폐전선이 수평으로 들어가도록 지지하는 지지패널(120)을 구비하는 투입구(11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일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230)으로 체결되고, 구동모터(510)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압착롤러(210);와
    상기 제1압착롤러(2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240)과 체결되며, 제1조정핸들(2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24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압착롤러(220);로 형성된 가압부(200);
    제1보온패널(310), 제2보온패널(320)과 제1발열프레임(330) 및 제2발열프레임(350)을 구비하고, 온도센서에 의해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가열부(300);
    베이스프레임(540)의 상부 타측에 한쌍의 구동샤프트 지지블록(430)으로 체결되고, 체인(500)으로 상기 제1압착롤러(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압착롤러(210)가 구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되는 제1톱니날롤러(410);와
    상기 제1톱니날롤러(410)의 상부에 대향되고,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 지지블록(440)과 체결되며, 제2조정핸들(460) 및 한쌍의 간격조절샤프트(45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제2톱니날롤러(410);로 형성된 분리부(400); 및
    상기 분리부(400)를 통과한 상기 폐전선이 배출되는 배출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200)는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제1압착롤러(210)와 제2압착롤러(220)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1, 2압착롤러(210, 220)의 사이에 상기 폐전선 통과 시 상기 폐전선의 피복층에 열전달이 고르게 되도록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열부(300)의 상기 제1, 2보온패널(310, 320)은
    외부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재 및 보온솜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2발열프레임(330, 350)은
    프레임본체(332) 안쪽에 제1보온솜(334), 가열파이프(336), 제2보온솜(338)과 열전도패널(340) 및 망형패널(3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며, 370℃~375℃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부(400)는
    폐전선의 두께에 따라 제1톱니날롤러(410)와 제2톱니날롤러(420)의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2톱니날롤러(410, 420) 사이에 상기 폐전선 통과 시 상기 폐전선의 피복층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510)는
    속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주모터(512)와 감속기(5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탈피기.

KR1020130001688A 2013-01-07 2013-01-07 폐전선 탈피기 KR101399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88A KR101399510B1 (ko) 2013-01-07 2013-01-07 폐전선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88A KR101399510B1 (ko) 2013-01-07 2013-01-07 폐전선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510B1 true KR101399510B1 (ko) 2014-05-27

Family

ID=5089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88A KR101399510B1 (ko) 2013-01-07 2013-01-07 폐전선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5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2882A (zh) * 2020-06-24 2020-09-18 新昌县高纤纺织有限公司 金属纺织复合丝抽丝装置
KR102368076B1 (ko) 2020-12-09 2022-02-25 알라이트 주식회사 폐전선 연속 탈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53A (ko) * 1998-12-12 1999-03-25 남호창 폐전선 탈피기
KR100837311B1 (ko) 2007-04-30 2008-06-12 (주)에이피텍 폐전선 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53A (ko) * 1998-12-12 1999-03-25 남호창 폐전선 탈피기
KR100289499B1 (ko) * 1998-12-12 2001-05-02 남호창 전선의 절연피복체 탈피기
KR100837311B1 (ko) 2007-04-30 2008-06-12 (주)에이피텍 폐전선 탈피장치
KR101039209B1 (ko) *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2882A (zh) * 2020-06-24 2020-09-18 新昌县高纤纺织有限公司 金属纺织复合丝抽丝装置
KR102368076B1 (ko) 2020-12-09 2022-02-25 알라이트 주식회사 폐전선 연속 탈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510B1 (ko) 폐전선 탈피기
KR101198859B1 (ko) 광케이블 피복 분리장치
KR101544544B1 (ko) 히팅 케이블 제작장치
KR101816174B1 (ko) 알루미늄케이블 탈피기
CN105405541B (zh) 利用废旧电缆生产铜米粒的装置
JP2002157931A (ja) 廃棄多心電線の解体方法及び装置
CN103515824B (zh) 自动滚烤热缩套管机
CN204195890U (zh) 一种免剥离塑料泡沫保温板开槽机
CN105199139A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回收方法
CN109586214A (zh) 一种废旧电线剥皮机构
CN202759143U (zh) 自动剪线机
KR101759242B1 (ko) 폐전선 및 통신선 열분해장치
CN206962238U (zh) 线缆加工装置
KR20150075916A (ko) 히팅 케이블용 스트리퍼
CN203471982U (zh) 一种岩棉切割边料装置
CN104438154B (zh) 铅酸蓄电池两联片极板处理一体机
CN213971455U (zh) 一种药材加工用立方丁切药设备
CN212764299U (zh) 一种多功能热缩管收缩机
CN208745353U (zh) 自动化金具保护套热缩机
CN204566210U (zh) 一种保温板加工自动切割系统
CN110829137B (zh) 一种电力施工用便捷式电缆剥线合股一体机
CN219535456U (zh) 一种防火电缆的剥线器
CN112931811A (zh) 一种干法魔芋精粉的制备方法
CN105575557A (zh) 废旧电缆再利用生产线
CN206076692U (zh) 一种电源线外皮剥除及除尘一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