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489B1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489B1
KR101399489B1 KR1020120151666A KR20120151666A KR101399489B1 KR 101399489 B1 KR101399489 B1 KR 101399489B1 KR 1020120151666 A KR1020120151666 A KR 1020120151666A KR 20120151666 A KR20120151666 A KR 20120151666A KR 101399489 B1 KR101399489 B1 KR 10139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drive shaft
main lip
gear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733A (ko
Inventor
테츠시 이소자키
히사키 마츠바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쳐 윤활제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운 반송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동축(14)을 가지는 반송기구(16)와, 구동축(14)을 구동하는 기어모터(18)를 가지는 반송장치(12)로서, 기어모터(18)는, 구동축(14)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출력축(58)과, 그 출력축(58)을 지지하는 베어링(62, 64)과, 베어링(62, 64)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출력축(58)과 베어링(62, 64)을 지지하고 있는 케이싱(50)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오일씰(80)을 구비하고, 그 오일씰(80)은, 단일의 외측링부(82)와, 그 외측링부(82)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83, 84)와, 그 지지부(83, 84)의 선단에 형성된 2개의 메인립부(86, 88)를 가지며, 그 2개의 메인립부(86, 88)는, 당해 메인립부(86, 88)를 출력축(58)으로 부세하는 스프링(90, 91)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반송장치{Tran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구동축을 가지는 반송기구와, 그 구동축을 구동하는 기어모터를 가지고, 구동축 위를 반송물이 통과하는 컨베이어(반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관한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기어모터의 출력축이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출력축이 되고,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된 슬리브(축부재)를 그 중공출력축의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중공출력축과 삽입된 슬리브를, 키 혹은 마찰 연결수단을 통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즉, 기어모터는, 특정의 고정물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전체가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된 슬리브에 직접 걸치도록(덮도록)하여 설치된다. 단, 이 상태로 기어모터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면, 반작용에 의하여(반송기구의 구동축이 아닌) 기어모터의 케이싱쪽이 회전되어 버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토크암이라고 불리는 부재를 이용하여, 기어모터의 케이싱과 반송기구측의 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설치 양태는, 기어모터와 반송기구의 구동축과의 연결 구성이 간소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등의 반송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반송물은, 회전하는 구동축 위를 그대로, 혹은 구동축에 권회(卷回)한 반송벨트를 통하여 그 구동축 위를 통과하여 나가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18573호
이러한 반송장치에 있어서는, 기어모터에 반송기구로부터의 진동이나 스러스트하중 등이 전해지기 쉽고, 그로 인하여, 기어모터의 감속기의 윤활제의 밀봉성능, 특히 출력축 둘레의 윤활제의 밀봉성능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기간에 걸쳐 윤활제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운 반송장치를 얻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구동축을 가지는 반송기구와, 그 구동축을 구동하는 기어모터를 가지는 반송장치로서, 상기 기어모터는,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출력축과, 그 출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있는 부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오일씰을 구비하고, 그 오일씰은, 단일의 외측링부와, 그 외측링부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와, 그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2개의 메인립부를 가지고, 그 2개의 메인립부는, 당해 메인립부를 상기 출력축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을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반송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반송기구의 구동축이 축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감속기의 출력축이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오일씰에 대해서 축방향의 슬라이딩이 가해지기 쉬워, 이것이 조기 열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로 인하여, 오일씰로서, 단일의 외측링부와, 그 외측링부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와, 그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2개의 메인립부를 가지는 오일씰을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립부란, 당해 오일씰 중에서, 주된 밀봉기능을 담당하는 립부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통상 가장 큰 립부가 메인립부를 구성한다. 즉, 메인립부가 2개 있다는 것은, 동등한(주된) 밀봉기능을 담당하는 립부가 2개 있다는 것이다.
2개의 메인립부는, 당해 메인립부를 출력축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각각 가지고 있다. 그로 인하여, 반송장치의 기어모터에 사용하는 오일씰로서, 본 발명에 관한 오일씰은 밀봉능력이 매우 높다. 또, 외측링부는, 1개이기 때문에, (임시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기어모터의 지지부재(케이싱 등)에 대해서, 반송기구의 구동축 및 감속기의 출력축이 축방향으로 움직였다고 해도, 그것에 의하여 오일씰이 움직이지 않는 (장착 강성이 높은)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높은 밀봉능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에 걸쳐 윤활제 누출이 발생하기 어려운 반송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을 포함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반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한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을 포함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반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 반송장치(12)는, 구동축(14)을 가지는 반송기구(16)와, 그 구동축(14)을 구동하는 기어모터(18)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14)에는, 키(20)를 통하여 구동풀리(22)가 고정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1 및 도 2의 지면으로부터 우측의 부분에 종동풀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동풀리(22)와 종동풀리와의 사이에 반송벨트(24)가 엔드리스(endless)로 권회되어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반송물(P1, P2, …)은, 반송벨트(24) 상에 재치되어 반송된다. 도 2에도 묘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송물(P1, P2, …)은, 반드시 구동축(14)의 "바로 위(즉 문자 그대로의 축상(C1))"에 재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동축(14)에 반송벨트(24)가 권회되어 있으며, 당해 반송벨트(24) 상에 반송물(P1, P2, …)이 재치되는 경우이더라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동축 위를 반송물이 통과한다"라고 하는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구동축(14)은, 베어링(25, 26)을 통하여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고정부재)(30)(에 고정된 부재 (3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모터(18)는, 토크암 연결기구(32)를 통하여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과 연결된다(후술).
이하, 기어모터(18)의 구성을 설명한다.
기어모터(18)는, 모터(34)와 감속기(36)가 일체화된 것이다.
모터(34)의 모터축(34A)의 선단에는, 하이포이드피니언(38)이 형성되어 있다. 하이포이드피니언(38)은, 하이포이드기어(40)와 맞물려 있다. 하이포이드기어(40)는, 중간축(42)에 키(44)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중간축(42)은, 한 쌍의 베어링(46, 48)을 통하여(기어모터(18)의) 감속기(36)의 케이싱(50)의 케이싱본체(5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만, 케이싱(50)은, 케이싱본체(50A)와 케이싱커버(50B)를 관통볼트(51)(도면상에서는 표시를 생략하여, 대신에 도 2에 관통볼트구멍만을 동일한 부호(51)로 도시)로 연결하고 있다.
중간축(42)에는, 키(52)를 통하여 슈퍼기어(54)가 고정되어 있다. 슈퍼기어(54)는, 출력기어(56)와 맞물려 있다. 출력기어(56)는, 출력축(58)에 키(60)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58)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공부(58A)를 가지는 중공출력축으로 되어 있다. 출력축(58)의 내주에는, 그 출력축(58)의 전체 길이에 걸쳐 키홈(58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14) 쪽에도 키홈(14A)이 형성되어 있다(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표시하고 있다). 출력축(58)은, 그 키홈(58B, 14A)끼리에 걸친 키(57)를 통하여 구동축(14)과 동축에 토크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58)은, 한 쌍의 베어링(62, 64)을 통하여 감속기(36)의 케이싱(50)(의 본체(50A) 및 커버(50B): 베어링을 지지하고 있는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어링(62, 64)으로서, (씰부재를 가진 이른바 씰베어링이 아닌) 씰부재를 가지지 않는 개방형의 베어링을 채용하고 있다. 부하측의 베어링(62)은, 그 외륜(62A)이 케이싱본체(50A)에 형성된 단부(50A1)와 맞닿아 있다. 또, 부하측의 베어링(62)의 내륜(62B)은, 상기 출력기어(56)와 맞닿아 있으며, 출력기어(56)는 출력축(58)에 형성된 단부(58C)와 맞닿아 있다.
한편, 부하반대측의 베어링(64)은, 외륜(64A)이, 케이싱커버(50B)에 형성된 단부 (50B1)와 맞닿아 있으며, 내륜(64B)이 출력축(58)에 형성된 돌기(58D)와 맞닿아 있다.
출력축(58)은, 그 일단이 구동축(14)의 단부(14D)와 맞닿아 있다. 이로써, 출력축(58)의 단부(58E)와 맞닿아 있는 덮개체(66)를 통하여 구동축(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S)에 볼트(70)를 조임으로써, 구동축(14)의 단면(14C)과 덮개체(66)와의 거리(L1)가 축소되어, 구동축(14)과 출력축(58)을 축방향으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모터(18)는, 토크암 연결기구(32)를 통하여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고정부재)(30)과 연결되어 있다.
반송장치(12)의 구동축(14)에 동축으로 장착되는 기어모터(18)의 경우, 그대로 모터축(34A)을 회전시키면, (반송기구(16)의 구동축(14)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반작용으로, 기어모터(18) 전체가 구동축(14)의 둘레에서 회전되어 버린다. 토크암 연결기구(32)는, 이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과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을 연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크암 연결기구(32)는, 토크암(72)과, 그 토크암(72)을 기어모터(18)의 감속기(36)의 케이싱(50)(의 본체(50A))에 공체결·고정하기 위한 상기 관통볼트(관통볼트구멍만 도시)(51)와, 토크암(72)을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74), 너트(75) 및 와셔(76)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크암(72)은, 도 1~도 3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기어모터(18)와의 연결면(72A)과 고정프레임(30)과의 연결면(72B)과의 거리(L2)에 맞추도록 후크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의 고정면(30B)과 케이싱본체(50A)의 고정면(50A2)의 쌍방에 맞닿을 수 있다.
도 1, 도 3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토크암(72)의 케이싱(50)측의 연결면(72A)은, 케이싱본체(50A)의 고정면(50A2)과 직접 접촉하고 있다. 또, 토크암(72)의 고정프레임(30)측의 연결면(72B)은,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의 고정면(30B)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볼트(51), 볼트(74), 너트(75), 및 와셔(76)에 의하여, 토크암(72)은 케이싱(50) 및 고정프레임(30)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토크암(72)과 고정프레임(30), 토크암(72)과 케이싱(50)은, 모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기어모터(18)는,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고정부재)(30)과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을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토크암 연결기구(32)를 통하여, (실제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토크암(72)을 사용한 연결기구는, 이런 종류의 반송장치(12)에 있어서는, 그 기어모터(18) 자체가 회전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수의 구성요소이지만, 이 연결예와 같이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과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을 여유없이(미소변위 불가능하게) 강고하게 고정해 버리면, 반송기구(16)의 구동축(14)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감속기(36)의 출력축(58)이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이 출력축(58)의 움직임에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 전체가 추종하여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당해 미소변위를 케이싱(50)과 출력축(58)과의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서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 양태는, 토크암(72)의 연결 양태로서는, 실제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토크암(72)의 연결에 있어서는,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이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미소변위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약간의 "여유"를 가지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록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크암 연결기구(32)이더라도, 실제로 그 토크암 연결기구(32)로 연결할 때에는, 너트(75)를 끝까지 강하게 조이지 않은 상태로 멈추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토크암 연결기구(32)의 장착은,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과의 위치관계로 현장에서의 작업이 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측에 맡겨지는 경우도 많다. 또, 업체가 장착을 행했다고 해도, 그 후의 사용자측의 점검시에 있어서, 끝까지 너트(75)가 조여지는 것에 의하여 토크암(72)을 통하여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이 고정프레임(30)에 대해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버리는 것이, 현실에서는 자주 발생하고 있다.
발명자들의 검증에 의하면, 이와 같은 반송장치(12)의 윤활제 누출 등의 문제는, 이러한 상황일 때에 특히 발생하기 쉬운 것이 확인되고 있다. 다른 견해로 파악한다면, 본 발명은, 기어모터(18)의 케이싱(50)과 출력축(58)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진동이나 상대이동은, 이러한 양태로 사용될 우려가 있는 반송장치에 불가피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이러한 양태로 사용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윤활제 누출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반송장치 특유의 사정을 고려한 구성의 오일씰"을 채용한 발명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축(58)과 케이싱(50)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일씰(80, 81)은, 베어링(62, 64)의 축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단일의 금속제의 외측링부(82)와, 그 외측링부(82)로부터 내주측에 돌출된 지지부(83, 84)의 선단에 형성된 합성고무제의 2개의 제1, 제2 메인립부(86, 88)를 가진다. 다만, 부하측의 오일씰(81)은, 부하반대측의 오일씰(80)과 완전히 동일한 부재이며, 축방향의 방향만을 반대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부하반대측의 오일씰(80)에 주목하여 설명하면, 이 오일씰(80)은, 제1, 제2 메인립부(86, 88)를 2개 가지고 있지만, 금속제의 외측링부(82)는 "1개"이며, 오일씰(80)이라는 부재로서는, 어디까지나 1개의 부재이다.
오일씰(80)의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이 오일씰(80)에서의 밀봉기능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쌍방 모두 베어링(62, 64)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즉, 감속기(36) 내로부터 감속기(36) 외로 오일의 누출을 양호하게 밀봉하는 양태로 나열되어 있으며, 각각 완전히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그 제1, 제2 메인립부(86, 88)를 출력축(58)으로 부세하기 위한 동일한 스프링(부세수단)(90, 91)을 각각 가지고 있다. 제1 메인립부(86)의 부하반대측에는 제1 서브립부(92)가, 제2 메인립부(88)의 부하반대측에는 제1 서브립부(92)와 동일한 제2 서브립부(9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일씰(80)은, 합계 4개소에서 출력축(58)과 접촉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반송장치(12)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34)의 모터축(34A)이 회전하면, 그 모터축(34A)의 선단에 형성된 하이포이드피니언(38)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하이포이드피니언(38)과 맞물려 있는 하이포이드기어(40)가 회전하고, 중간축(42)을 통하여 슈퍼기어(54), 출력기어(56)가 회전하고, 그 출력기어(56)가 장착되어 있는 출력축(58)이 회전한다. 기어모터(18)는, 그 감속기(36)의 케이싱(50)(의 케이싱본체(50A))이, 토크암(72)을 통하여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36)의 출력축(58)이 회전하면, 반송기구(16)의 구동축(14)이 그 출력축(58)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키(20)를 통하여 구동축(14)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풀리(22)가 회전하고, 그 구동풀리(22)에 권회되어 있는 반송벨트(24)가 엔드리스로 회전한다. 이 결과, 반송벨트(24)상에 반송물(P1, P2, …)을 재치함으로써, 그 반송물(P1, P2, …)을 반송벨트(24) 상(구동축 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장치(12)는, 이러한 작용으로 반송물(P1, P2, …)을 반송하기 때문에, 반송기구(16)측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반송물(P1, P2, …)을 재치하였을 때의 충격, 특히 구동축(14)의 축방향에 걸린 스러스트 하중 등에 의하여, 가동중에 구동축(14)이 축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이동하거나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 이 구동축(14)의 축방향의 움직임이, 직접적으로 감속기(36)의 출력축(58)에 전달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도 피하기 어렵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모터(18)는,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결과적으로)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과 그 기어모터(18)의 감속기(36)의 케이싱(50)을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토크암 연결기구(32)를 통하여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구동축(14)의 진동이나 축방향의 미소변위가 출력축(58)에 입력되어 오면 (감속기(36)의 케이싱(50)이 고정프레임(30)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당해 구동축(14)의 진동이나 축방향의 미소변위가, 모두 출력축(58)과 감속기(36)의 케이싱(50)과의 사이의 상대진동 혹은 상대미소 변위로서 나타나 버리게 된다. 그로 인하여, 오일씰(80, 81)도 매우 과혹한 상태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메인립부(86, 88)가 2개 나열된 오일씰(80)이 채용되어 있다. 이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쌍방 모두 베어링(62, 64)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즉, 감속기(36) 내로부터 감속기(36) 외로 오일의 누출을 양호하게 밀봉하는 양태로 나열되어 있으며, 또, 쌍방 모두 스프링(90)에 의한 부세력으로 출력축(58)의 외주에 맞닿아 있다. 그로 인하여, 밀봉능력이 매우 높다. 또한,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각각 제1, 제2 서브립부(92, 94)를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제1 메인립부(86) 및 제1 서브립부(92)에 있어서 표준적인 밀봉이 먼저 행해진다. 그리고, 만일, 그 제1 메인립부(86) 및 제1 서브립부(92)에 있어서 밀봉이 완전하게 행해지지 않아도, 제2 메인립부(88) 및 제2 서브립부(94)에 있어서 다시 표준적인 밀봉이 행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매우 강력한 밀봉기능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이른바 메인립부 외에, 주로 감속기의 외부로부터의 티끌이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서브립부를 가진 더블립오일씰(본 실시형태의 제2 메인립부(88) 및 제2 서브립부(94)에 상당하는 립부만을 구비한 오일씰), 혹은, 더욱 감속기 내의 마모가루 등이 오일씰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더스트립부를 가진 트리플립오일씰(본 실시형태의 제2 메인립부(88), 제2 서브립부(94), 및 제1 서브립부(92)에 상당하는 립부만을 구비한 오일씰) 등과 비교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밀봉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이 오일씰(80)은, 단일의 외측링부(82)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방향폭이 본 오일씰(80)의 절반인 2개의 오일씰을 단순히 축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전체로 동일한 축방향폭으로도, 그 외측링부(82)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오일씰의 장착 강도, 즉 케이싱(50)(의 본체(50A))으로의 장착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감속기(36)의 케이싱(50)과 출력축(58)과의 사이에 축방향의 상대 미소변위가 발생했다고 해도, 오일씰(80)을 강고하게 케이싱(50) 측에 걸어둘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반송장치(12)는, 이와 같이, 오일씰(80)에 의하여 높은 밀봉기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62, 64)에 대해서는, 씰부재를 가지지 않는 개방형의 베어링을 채용하여, 그 만큼, 비용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메인립부(86, 88)가, 쌍방 모두 스프링(90)에 의한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메인립부는, 반드시 스프링에 의한 부세수단의 부설을 필수의 요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이른바 "체결 여유"를 이용한 부세수단(립의 탄성변형에 대한 반발력을 이용하는 부세수단)에 의하여 메인립부의 맞닿음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주된 밀봉작용을 담당하는 메인립부가 "2개"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메인립부와는 체결여유가 "상이한" 서브립부나 더스트립부가 부설되어 있는 구조와는 상이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제1, 제2 메인립부(86, 88)는, 동일한 형상이 되고, 동일한 스프링(90, 91)에 의한 부세수단을 가지며, 또한 베어링(62, 64)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출력축(58)에 맞닿아 있었다. 즉, 완전히 동일한 구성 및 밀봉기능을 가지는 제1, 제2 메인립부(86, 88)가 2개 나열하여 장착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점은, 당해 오일씰로서 주요하고 동등한 밀봉기능을 가지는 메인립부를 2개 가지고 있으면 되고, 형상이나 부세수단 등이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부세력이 동등하다면, 일방의 메인립부는, 스프링에 의한 부세수단, 다른 일방의 메인립부는, 체결여유에 의한 부세수단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2개의 메인립이 배치되어 있는 방향도,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일방이 베어링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타방이 베어링 반대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어모터(18)가 결과적으로 반송기구(16)의 고정프레임(고정부재)(30)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토크암 연결기구(3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현저한 작용효과가 얻어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기어모터를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혹은 고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는) 연결기구를 통하여 기어모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필수의 요건으로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축방향으로 미소변위 가능한 양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기구를 통하여 기어모터가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반송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기구의 구동축 자체가 기어모터를 장착하는분에 상당하는 연장부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구동축은, 반드시 (연장부를 구비하는) 단일의 부재일 필요는 없고, 별도의 축부재 등을 커플링을 이용하여 구동축에 동축으로 연결하고, 그 축부재가 감속기의 출력축에 삽입되는 것이더라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에 관한 반송장치에 이용되는 기어모터의 감속기는, 반드시 출력축이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출력축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감속기의 출력축 자체는 중실로서, 커플링 등을 이용하여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기구의 구동축에 반송벨트가 권회되어 있는 반송장치가 예시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반송장치의 반송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 평행으로 나열한 구동축의 사이에 아이들러축을 구비하고, 1개 걸러, 혹은 복수개 걸러 구동축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반송물을 구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그 구동축 및 아이들러축에 직접 접촉시키면서 반송하는 롤러타입의 반송기구이더라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기어모터(18)의 출력축(58)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구동축(14) 위를 반송물(P1, P2, …)이 통과하는 타입의 반송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그 구동축(14)으로부터 출력축(58)에 진동 등이 직접 전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구동축 위를 반송물이 통과하는 타입이어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구동축이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반송장치여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상응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요점은, 구동축이, 그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출력축을 가지는 기어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성의 반송장치에는, 어느 것에도, 동일한 과제가 존재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 반송장치 14: 구동축
16: 반송기구 18: 기어모터
24: 반송벨트 30: 고정프레임
32: 토크암 연결기구 34: 모터
36: 감속기 50: 케이싱
50A: 케이싱본체 50B: 케이싱커버
58: 출력축 62, 64: 베어링
80, 81: 오일씰 82: 외측링부
86, 88: 제1, 제2 메인립부 90, 91: 스프링
P1, P2: 반송물

Claims (7)

  1. 구동축을 가지는 반송기구와, 상기 구동축을 구동하는 기어모터를 가지는 반송장치로서,
    상기 기어모터는,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고 있는 부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오일씰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씰은, 단일의 외측링부와, 상기 외측링부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1 메인립부와 상기 제 2 지지부의 선단에 형성된 제 2 메인립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메인립부는, 당해 제 1 메인립부를 상기 출력축으로 부세하는 제 1 부세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2 메인립부는, 당해 제 2 메인립부를 상기 출력축으로 부세하는 제 2 부세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출력축이며,
    상기 구동축 또는 상기 구동축과 동축에 일체화된 축부재가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출력축과 구동축이 동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모터는, 상기 반송기구의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모터의 케이싱을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연결기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기구의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립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립부가 상기 베어링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출력축과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이, 씰부재를 가지지 않는 개방형의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장치의 상기 구동축 위를, 반송물이 통과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KR1020120151666A 2012-01-31 2012-12-24 반송장치 KR101399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7489A JP5806944B2 (ja) 2012-01-31 2012-01-31 搬送装置
JPJP-P-2012-017489 201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733A KR20130088733A (ko) 2013-08-08
KR101399489B1 true KR101399489B1 (ko) 2014-05-27

Family

ID=4883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66A KR101399489B1 (ko) 2012-01-31 2012-12-24 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6944B2 (ko)
KR (1) KR101399489B1 (ko)
CN (1) CN103225694B (ko)
TW (1) TW2013355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49A1 (ko) * 2018-07-27 2020-01-30 조종일 가금류 오버 헤드 컨베이어용 아이들 기어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4164B2 (ja) 2014-02-12 2019-04-0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アーム構造
JP6522492B2 (ja) * 2015-12-11 2019-05-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装置および搬送装置
JP6491253B2 (ja) * 2017-03-22 2019-03-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CN109973657B (zh) * 2018-01-03 2024-05-31 双龙集团有限公司 唇式机械密封装置
CN109185435A (zh) * 2018-10-25 2019-01-11 王化明 一种完全密封的谐波减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573A (ja) * 2004-10-20 2006-05-11 Tsubaki Emerson Co スリーブ内蔵型中空出力軸減速機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ベヤ
JP2007182956A (ja) * 2006-01-10 2007-07-19 Nok Corp オイル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2835A (ja) * 2004-07-06 2006-01-26 Tsubaki Emerson Co 減速機の出力軸のシール構造
CN200961689Y (zh) * 2006-10-23 2007-10-17 青岛开世密封工业有限公司 内外组合式主齿油封
CN201057271Y (zh) * 2007-06-18 2008-05-07 张先明 组合式油封
CN201103687Y (zh) * 2007-09-30 2008-08-20 青岛海力威密封有限公司 分体组合式双唇口油封
JP4908482B2 (ja) * 2008-11-19 2012-04-04 株式会社ツバキエマソン 中空出力軸減速機の油漏れ防止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8573A (ja) * 2004-10-20 2006-05-11 Tsubaki Emerson Co スリーブ内蔵型中空出力軸減速機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ベヤ
JP2007182956A (ja) * 2006-01-10 2007-07-19 Nok Corp オイルシ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49A1 (ko) * 2018-07-27 2020-01-30 조종일 가금류 오버 헤드 컨베이어용 아이들 기어 세트
KR20200012347A (ko) * 2018-07-27 2020-02-05 조종일 가금류 오버 헤드 컨베이어용 아이들 기어 세트
KR102093330B1 (ko) * 2018-07-27 2020-03-25 조종일 가금류 오버 헤드 컨베이어용 아이들 기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5694B (zh) 2015-11-11
JP2013155813A (ja) 2013-08-15
KR20130088733A (ko) 2013-08-08
JP5806944B2 (ja) 2015-11-10
TW201335517A (zh) 2013-09-01
CN103225694A (zh)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489B1 (ko) 반송장치
US8292064B2 (en) Conveyor drive roller
JP4361117B2 (ja) サイドローラ付きコンベヤチェーン
US9359142B2 (en) Hygienic drum motor
US11136194B2 (en) Motorized conveyor roller with drive assembly
US9493310B2 (en) Sync motor with reduced noise level
JP6479259B2 (ja) 遊星歯車装置および車輪駆動装置
WO2001049591A1 (en) Motorized conveyor pulley with reduced internal loading
US9776802B2 (en) Drive device for belt conveyor device
WO2020227778A1 (en) Split plummer block bearing housing
US20030192775A1 (en) Roller conveyor with clutched idler rollers
US3683713A (en) Shaft drive for scrapers
KR20190047170A (ko) 등속과 배속이 공존하는 수평형 컨베이어 시스템
JP2005212948A (ja) コンベヤ装置
JP2006290624A (ja) ベルトコンベヤによって被印刷体枚葉紙を搬送する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適したベルトコンベヤ
CN216070743U (zh) 用于开箱机的输送系统和开箱机
US20080026895A1 (en) Chain Drive System
KR200355096Y1 (ko) 마찰값 조정 로울러
KR20090006367U (ko) 롤러컨베이어
US20210002083A1 (en) Passively-operated accumulation module for use with a powered conveyor system
KR20180031128A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9980072416A (ko) 롤러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JPH0224723B2 (ko)
KR200267713Y1 (ko) 롤러컨베이어의궤도수송장치
KR200151794Y1 (ko) 컨베이어용 롤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