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275B1 -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275B1
KR101399275B1 KR1020120101104A KR20120101104A KR101399275B1 KR 101399275 B1 KR101399275 B1 KR 101399275B1 KR 1020120101104 A KR1020120101104 A KR 1020120101104A KR 20120101104 A KR20120101104 A KR 20120101104A KR 101399275 B1 KR101399275 B1 KR 101399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olumn unit
retaining wall
installing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582A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2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의 보강작업을 통하여 작업시간 단축 및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가져오면서도 견고한 지반 보강이 가능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형 상에 각각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의 횡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홀에 인력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라우팅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경량기초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경량기초골조가 설치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보강칼럼유닛을 절토 지형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칼럼유닛에 보강콘크리트캡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콘크리트캡의 상측으로 일부 길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구축된 전방측 지형을 굴삭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 지형으로 보강부재를 일단부가 소정 길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면서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지형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보강칼럼유닛을 가압 가능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2차지압판에 보조철근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부가 상기 연결철근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하부는 상기 보조철근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상기 거푸집 사이로 상기 2차지압판 및 보조철근이 삽입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의 전방측으로 격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on for RWC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nsisting of sidewall for architectural structure}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선근과 보강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칼럼유닛이 적용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되며,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형태별로 중력식, 보강콘크리트식, 보강토식 보강토 옹벽 등으로 구분된다.
이하, 종래 보강토 옹벽의 일 형태에 따른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일반적인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경사부가 형성된 지반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이 시공될 위치의 후방으로 상기 지반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그라우트 교량체인 보강칼럼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를 위해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경사 지형 상에 천공홀(H)을 형성한다. 상기 천공홀(H)은 지반의 상측부터 하측으로 형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다수 개가 일렬로 인접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다음으로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홀(H) 내측으로 H빔(20)을 삽입한 후, 그라우팅재(10)를 상기 H빔(20)과 일체형을 이루면서 응고되도록 상기 천공홀(H) 내측으로 주입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그라우팅재(10)가 응결되어 굳어진 후에는 차후의 보강토 옹벽과 맞닿게 되는 전방측에 위치된 보강칼럼유닛은 보강토 옹벽이 설치되는 지반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연결된 형태로 시공된다.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설치된 전방측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사면의 일부 구간(A)을 소정 구간별로 절취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 지반에 이르기까지 봉상 보강부재(2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상기 잔존지반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봉상 보강부재(21)를 설치하는 단계는 먼저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지반이 동시에 연결된 형태를 이루도록 천공홀(H)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홀(H)에 봉상 보강부재(21)를 설치한 후, 상기 봉상 보강부재(21) 주위로 그라우팅재(22)를 주입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H)에 주입된 그라우팅재의 경화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일정구간에 있어서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지반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소정의 구간만큼씩 다시 지반의 경사면을 절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절취 구간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봉상 보강부재(21)를 설치하는 단계를 재차 거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경사면의 절취과정과 봉상 보강부재(21)의 설치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상기 보강칼럼유닛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되며, 이를 나타낸 도면은 도 6에서와 같다.
그리고 난 후에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전방 외부로 노출된 봉상 보강부재(21)의 일단부에 거푸집(30) 및 철근의 배근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7에서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보강토 옹벽 구축 시 보다 견고한 구조를 이루도록 한 쌍의 거푸집(30)이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거푸집(30)과 상기 보강칼럼유닛 사이에는 콘크리트(40)가 타설되고, 소정 시간이 지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가 모두 경화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거푸집(30)을 철거하여 최종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별도의 파이프 등을 설치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이와 같이 형성된 보강토 옹벽의 전방측으로는 소정 건축구조물(60)이 구축되는 경우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보강토 옹벽(40)과 전방 건축구조물(60)과의 사이에 일부 이격 거리(L)를 형성한 후, 이격된 거리 상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모두 구축된 후에는 거푸집 등을 제거하여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 절토 시에 H빔의 면을 따라서 그라우팅재가 일부 탈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도시된 것처럼, 일측 H빔의 그라우팅재가 탈락 시 인접된 부분 또는 광범위한 부분에 걸쳐 H빔에 결합된 그라우팅재가 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보강토 옹벽 전방 측으로 건축구조물을 시공 시 거푸집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보강토 옹벽과 건축구조물을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경우에는 공간상의 낭비가 있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보강칼럼유닛의 시공 시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보강칼럼유닛의 전방 측을 절토 시에 보강칼럼유닛의 전방 측 일부가 H빔 전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그라우팅재가 견고하게 밀착되는 기초 구조물이 적용된 보강칼럼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형 상에 각각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의 횡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홀에 인력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라우팅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경량기초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경량기초골조가 설치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보강칼럼유닛을 절토 지형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칼럼유닛에 보강콘크리트캡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콘크리트캡의 상측으로 일부 길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구축된 전방측 지형을 굴삭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 지형으로 보강부재를 일단부가 소정 길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면서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지형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보강칼럼유닛을 가압 가능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2차지압판에 보조철근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부가 상기 연결철근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하부는 상기 보조철근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상기 거푸집 사이로 상기 2차지압판 및 보조철근이 삽입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와, 기 설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의 전방측으로 격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량기초골조는 나선근이 결합된 보강철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천공홀은 각각 인접된 형태로 일렬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천공홀 중 일정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천공홀에는 H빔 및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보강칼럼유닛이 구축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RWC옹벽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칼럼유닛으로써 그라우팅재의 충진 전에 그라우팅재가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뼈대 형태의 나선근과 보강철근을 적용함으로써 견고한 보강칼럼유닛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뼈대 형태의 나선근과 보강철근에 그라우팅재가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그라우팅재와 보강철근의 밀착 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H빔과 비교하여 보강칼럼유닛의 기초를 이루는 나선근과 보강철근이 상대적 경량화를 이용하여 천공홀에의 설치작업이 별도의 장비가 없이도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서 작업이 간편하여 짐은 물론 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콘크리트캡을 별도 설치하여 보강칼럼을 지면에 일체화시킴으로써 굴착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전도와 활동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커지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안전성이 향상되고 굴착 중 시공이 용이하여 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넷째, 본 발명은 연결철근을 별도로 적용하여 거푸집의 구축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천공홀에 보강칼럼유닛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보강칼럼유닛을 상부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보강칼럼유닛이 설치된 지형의 상측 일부를 절삭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고 5은 상기 도 4의 지형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절삭면 전체에 걸쳐 보강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의 보강칼럼유닛 전방측으로 거푸집 및 건물구조체를 축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보강칼럼유닛 전방측으로 시공이 완료된 보강토 옹벽 및 건물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보강칼럼유닛의 일부에 있어서 H빔의 전방측이 탈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칼럼유닛을 위한 나선근 및 보강철근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10의 보강철근 일측으로 나선근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도 11에 나선근을 보강철근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인장시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지반에 형성한 천공홀에 상기 보강칼럼유닛을 설치한 후, 그라우팅재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보강칼럼유닛이 설치된 지형을 상측에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보강칼럼유닛의 상측으로 콘크리트보강캡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보강칼럼유닛 상측 지형을 일부 구간 절취한 후, 보강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인접하는 두 개의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 철근을 이용 구조적 보강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보강칼럼유닛의 전체에 걸쳐 보강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보강칼럼유닛 전방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 보강토 옹벽이 구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21은 보강토 옹벽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이 구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서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WC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에 적용되는 보강칼럼유닛용 나선근과 보강철근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서와 같이, 보강칼럼유닛(85: 도 13 참조)을 이루는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을 준비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근(82)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밀착된 형태 즉 다수의 링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나사산 방식으로 말려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강철근(84)은 일반적인 건축 현장에 적용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철근을 의미하며,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의 내구성 및 높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두께와 길이를 가지는 철근이 사용될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보강철근(84)은 두 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네 개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이 준비된 후에는, 상기 나선근(82)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보강철근(84)을 배치시킨 후, 상기 나선근(82)을 일측 또는 양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보강철근(84)의 길이방향에 대응될 때까지 인장시킨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이 맞닿는 부위는 일정 이격된 위치마다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보조철근(미도시)을 적용하거나 또는 용접 등으로 상기 양 부재(82,84)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의 결합과정과는 별개로 종래와 마찬가지로 경사부가 형성된 지반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이 시공될 위치의 후방측으로 천공홀(80)을 복수 개 서로 인접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종래와 마찬가지로 구축되는 보강칼럼유닛(85)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이 중첩되도록 상기 천공홀(80) 또한 가장자리 일부가 중첩되게 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축되는 보강칼럼유닛(85)의 심도는 가상활동면(파괴면)보다 최소 1m 이상 길게 위치되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을 보다 확고히 취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천공홀(80)의 깊이 또한 결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나선근(82)이 결합된 보강철근(84)을 상기 천공홀(80)에 삽입 설치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나선근(82)이 결합된 보강철근(84)이 삽입된 천공홀(84)에 그라우팅재(81)를 주입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그라우팅재(81)가 굳어진 후에는,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후 설치되는 콘크리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과 맞닿게 되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보강칼럼유닛(85)은 보강토 옹벽이 설치되는 지반을 따라서 다수 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은 보강칼럼유닛(85)의 일종의 기초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써, 그라우팅재(81)가 결착되어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과 함께 보다 강한 내구성을 이루게 되며, 천공홀(80) 내측 공간 전체에 걸쳐 구조적 안정을 이루며 배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그라우팅재(81)가 천공홀(80) 내측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에 결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보다 견고한 보강칼럼유닛(85)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을 보강칼럼유닛(85)의 기초 뼈대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 중량이 작게 나가 별도의 이송장비 없이 인력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 속도가 빨라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일렬로 복수 개를 형성한 천공홀(80) 모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이 구비된 보강칼럼유닛(85)이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일정 이격된 천공홀(80)에는 종래와 같은 H빔(90)을 이용한 보강칼럼유닛(99)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종래와 같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보강칼럼유닛(85)은 지형 상측으로 일부 길이가 노출된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첨부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상측이 모두 연결되는 형태로 보강콘크리트캡(98)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보강콘크리트캡(98)의 상측으로 일부 길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소정의 연결철근(95)이 배근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전방측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구간별로 나뉘어 지형을 절삭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난 후,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는 구축된 보강칼럼유닛(85)이 지형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보강부재(108)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전방 외부로 노출된 보강부재(108)의 일단부에는 지압판(111,122)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압판은 보강칼럼유닛 측에 인접하는 1차지압판(111)과 상기 1차지압판(111)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2차지압판(122)으로 나뉘어 배치된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지압판(111)과 상기 보강칼럼유닛(85) 사이로는 보강철근(77)이 배치되되, 상기 보강철근(77)은 상기 보강칼럼유닛(85)의 길이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1차지압판(111)과 보강칼럼유닛(85) 사이에 압착된 상태로 양측 보강칼럼유닛(85)을 지지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형의 절삭 및 보강부재, 1차/2차지압판 및 보강철근의 설치작업은 시공하고자 하는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대응되어 다수 구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모든 과정이 완료된 상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첨부된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108)의 외부 노출된 부분 및 상기 2차지압판(122)을 사용하여 거푸집(170)과 거푸집(170) 형성을 위한 보조철근(180)이 설치된다.
이때, 최상부의 연결철근(95)을 이용하여 거푸집(170) 상측의 고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형 측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별도의 배수로(150)가 파이프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보강칼럼유닛(85)과 거푸집(170)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토 옹벽이 구축되도록 하며, 구축이 완료된 보강토 옹벽(200)과 보강콘크리트캡(98)을 동시에 덮어 감싸는 마감콘크리트캡(188)을 적용하여 전체 RWC 보강토 옹벽(200)의 구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RWC 보강토 옹벽의 전방측으로는 다시 지하베이스부 또는 각각의 격벽층(210)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강토 옹벽(200) 자체가 건축구조물의 일측 벽을 이루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 RWC 보강토 옹벽 구축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구축된 보강토 옹벽을 이용 건축구조물의 구조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 시공이 간편한 건축구조물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나선근(82)과 보강철근(84)이 구비된 보강칼럼유닛(85)만이 아닌 일정 이격된 천공홀(80)마다 H빔(90)을 이용한 보강칼럼유닛(99)을 적용하는 경우, 그라우팅재가 양측이 서로 간섭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전과 비교하여 H빔 전방측에 흡착된 그라우팅재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H빔 자체의 강도를 통한 보강칼럼유닛의 내구성 증대도 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 RWV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에 보강칼럼유닛에 적용되는 그라우팅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물은 인력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량기초골조를 의미하며, 상술한 나선근과 보강철근은 그 중 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경량기초골조는 나선근과 보강철근이 아닌 새로운 형태 즉 소정의 강직성을 가지며 그라우팅재가 원활하게 결합되는 다른 형태의 철근 구조물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77: 보조철근 80: 천공홀
82: 나선근 84: 보강철근
85: 보강칼럼유닛 90: H빔
95: 연결철근 98: 보강콘크리트캡
108: 보강부재 111: 1차지압판
122: 2차지압판 133: 고정부재
150: 배수공 170: 거푸집
180: 연결철근 200: RWC 보강토 옹벽

Claims (5)

  1. 지형 상에 각각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의 횡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인력 작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그라우팅재와의 결합이 가능한 경량기초골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경량기초골조가 설치된 천공홀에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보강칼럼유닛을 절토 지형의 상부로 일부 노출되게 구축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보강칼럼유닛에 보강콘크리트캡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콘크리트캡의 상측으로 일부 길이 노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보강칼럼유닛이 구축된 전방측 지형을 굴삭하는 단계;
    상기 보강칼럼유닛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 지형으로 보강부재를 일단부가 소정 길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면서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지형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보강칼럼유닛을 가압 가능하도록 1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보강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1차지압판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2차지압판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2차지압판에 보조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부가 상기 연결철근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하부는 상기 보조철근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칼럼유닛과 상기 거푸집 사이로 상기 2차지압판 및 보조철근이 삽입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설치된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토 옹벽의 전방측으로 격벽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초골조는,
    나선근이 결합된 보강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천공홀은 각각 인접된 형태로 일렬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천공홀 중 일정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천공홀에는 H빔 및 그라우팅재를 주입하여 형성되는 보강칼럼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용 일측 벽을 이루는 RWC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20120101104A 2012-09-12 2012-09-12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139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04A KR101399275B1 (ko) 2012-09-12 2012-09-12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04A KR101399275B1 (ko) 2012-09-12 2012-09-12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82A KR20140034582A (ko) 2014-03-20
KR101399275B1 true KR101399275B1 (ko) 2014-06-27

Family

ID=5064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04A KR101399275B1 (ko) 2012-09-12 2012-09-12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2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137A (zh) * 2019-04-09 2019-07-02 山西省工业设备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加筋土钉护面墙及成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758B1 (ko) 2005-10-18 2007-03-22 김재선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20070039189A (ko) * 2005-10-07 2007-04-11 이창남 철근트러스 웨일 합벽 공법
KR101032408B1 (ko) * 2010-12-10 2011-05-03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20120013820A (ko) * 2010-08-06 2012-02-15 이상헌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189A (ko) * 2005-10-07 2007-04-11 이창남 철근트러스 웨일 합벽 공법
KR100698758B1 (ko) 2005-10-18 2007-03-22 김재선 네일보강 합벽식 옹벽 및 그 구축방법
KR20120013820A (ko) * 2010-08-06 2012-02-15 이상헌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1032408B1 (ko) * 2010-12-10 2011-05-03 지반이엔씨 주식회사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82A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KR101182704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을 이용한 건물 지하층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290140B1 (ko) 강관말뚝과 중공 콘크리트 말뚝의 합성에 의한 심부구속구조를 가지는 합성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399275B1 (ko) Rwc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0824713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20213B1 (ko) 말뚝 조립체를 이용한 주열식 흙막이 공법
KR101324231B1 (ko)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5457276B2 (ja) 地下躯体の構真柱先行逆打ち工法
CN208023735U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t形连接节点
JP7386095B2 (ja) 地下構造体施工方法
JP6693115B2 (ja) 地下工法
JP6422084B2 (ja) 地下空間構築方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JP5686414B2 (ja) 構真柱
KR101460558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직파일 삽입용 가이드 튜브 일체형 보강철근망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297110B1 (ko) 충전 강관
JP6514739B2 (ja) 地下構造を形成する施工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完成される地下構造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JP6938198B2 (ja) 施工方法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KR20130087669A (ko)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