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83B1 -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83B1
KR101397683B1 KR1020120074828A KR20120074828A KR101397683B1 KR 101397683 B1 KR101397683 B1 KR 101397683B1 KR 1020120074828 A KR1020120074828 A KR 1020120074828A KR 20120074828 A KR20120074828 A KR 20120074828A KR 101397683 B1 KR101397683 B1 KR 10139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vent
generating
size
ga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482A (ko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to KR102012007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의 게임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게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THE METHOD,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GAME INTERFACE}
본 발명은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지식 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인 게임산업은 멀티미디어 산업의 핵심기술이 요구되므로 주변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고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추세이며, 자본과 인력이 집중되는 이러한 게임산업은 규모의 대형화와 글로벌 마케팅 추세로 보이지 않는 진입장벽이 크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경쟁력 있는 산업분야라 할 수 있다.
이중 땅따먹기 게임은 땅 위에 돌멩이가 지나간 자리를 따라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고,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 사람이 이기는 전통적인 게임으로, 게임 방식이 단순하고 사용자 수에 제한이 없어 다양한 형태의 게임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게임 기기나 네트워크 기반의 PC, 핸드폰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오고 있는데, 조이스틱이나 마우스, 키버튼 등의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게임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의 게임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게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여러 종류의 땅따먹기 게임에 있어서, 게임 진행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오브젝트 위치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진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이벤트 발생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오브젝트 생성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조절단계;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게임진행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기능;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 및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게임 진행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보다 간편한 조작으로 위치와 크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생성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생성된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 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가 땅따먹기 게임에 적용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예시도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가 아이템 획득 게임에 적용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 크기의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생성된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것으로 진행되는 방식의 게임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임의 장르나 구현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진행 방식이 적용되는 게임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100)은, 터치스크린(110)과, 상기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140)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오브젝트 위치 제어부(130)와,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진행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는 상기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 위치 제어부(130)는 제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이 포함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을 설정하는 모양 설정부(210)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의 입력시간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 조절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모양 설정부(210)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을 사각형이나 원형 등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리 저장된 각 모양 데이터에 대해 임의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해진 모양의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동일 지점에 대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의 입력 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킨다.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입력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입력시간을 기산하는데, 예를 들어 크기조절 시간간격을 1초로 설정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입력된지 1초가 경과하면 상기 크기확장값만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다시 1초가 경과하면 다시 상기 크기확장값만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킨다.
상기 크기확장값은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면적을 의미하며 크기를 확장시키는 차이값 또는 확장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브젝트가 3의 크기로 생성되고, 상기 크기확장값이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차이값으로 5를 설정한 경우, 크기조절 시간간격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는 8, 13, 18, 23, 28, 33의 순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크기확장값이 오브젝트의 확장된 값으로 5, 8, 12, 17, 23의 값을 갖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크기조절 시간간격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는 5, 8, 12, 17, 23의 순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크기조절 시간간격을 경과한 데에 따른 확장횟수에 따른 크기확장값은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도달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설정된 크기를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크기는 상기 오브젝트의 최대 크기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자가 아무리 길게 터치동작을 유지하더라도 상기 오브젝트는 미리 설정된 최대 크기 이상으로 확장되지 않는다.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플릭킹(flicking)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거리만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터치 플릭킹(flicking) 이벤트는 터치스크린에 대해 페이지를 넘기는 듯한 동작을 나타내는 이벤트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중 일 방향으로 이동 후 접점이 띄어지는 동작(날리는 동작)에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점이 떨어진 데에 따른 이벤트 발생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는 터치 플릭킹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터치 동작이 이동한 방향과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산출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해야 할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산출된 이동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생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마다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파악된 드래그 경로를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터치 드래그 이벤트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한 후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이벤트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드래그 경로를 파악하고, 파악된 드래그 경로를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좌표값 등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파악된 드래그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시간이 크기조절 시간간격을 경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중인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탭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 터치 플릭킹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 등 어느 터치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크기 조절부(220) 또는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생성된 오브젝트를 통해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이 완료된 지점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산출된 이동거리의 마지막 지점을 최종 위치로 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이 완료되어 크기가 정해진 상기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한 지점의 Y축 좌표값을 미리 설정된 위치조절 시간간격으로 일정 값만큼 감소시키고 감소된 Y축 좌표값이 포함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브젝트 생성부(140) 및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의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생성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함에 따라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오브젝트 생성부(140)로 입력되면,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는 모양 설정부(210)에서 설정된 모양과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O1)를 생성한다. 상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생성된 오브젝트(O1)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상기 터치스크린(110)의 화면(S)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게임진행 제어부(120)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접점을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터치 프레스 이벤트)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크기 조절부(220)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크기조절 시간간격이 경과하면 생성된 오브젝트(O1)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O1)가 생성되고 화면(S)에 표시되고 난 다음, 상기 터치 동작이 해제되지 않고 접점을 터치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하면, 크기 조절부(220)는 경과된 시간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1)의 크기가 커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오브젝트(O1)가 표시된 위치에서 사각형의 모양을 유지하면서 각 화살표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확대시켜 터치스크린의 화면(S)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생성된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 방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생성된 오브젝트는 터치 동작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의해 터치 동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에 의한 접점의 위치가 변경되면(드래그 경로),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변경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새로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4, O4')가 변경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터치 플릭킹 이벤트가 지시하는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며, 산출된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토대로 상기 오브젝트(O4, O4')가 이동하도록 위치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동작이 해제되거나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최대 크기에 도달한 경우, 상기 오브젝트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이상 크기가 커지지 않는다. 이때 상기 크기 조절부(220)와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터치 동작이 해제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오브젝트(O2)의 크기와 위치정보가 더이상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2)는 특정 위치를 최종 위치로 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이 해제된 시점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중력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는 터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크기가 정해진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오브젝트(O3)가 터치스크린 화면(S)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생성된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3)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O3)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단말(100)은 일반적인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를 포함하고,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게임의 실행을 위한 게임전용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가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해 상기 서버와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위치정보와,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오브젝트의 모양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송신된 데이터에 따른 게임 진행 결과 데이터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단말의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게임 진행결과 데이터가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과 서버를 연결하는 상기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 DNS, SMTP, SNMP, NFS, NIS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100)이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이벤트 발생단계(S100)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S110),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오브젝트 생성단계(S120, S130)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조절단계(S140)와,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게임진행제어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이 땅따먹기 게임인 경우, 상기 게임진행제어단계(S150)는, 미리 설정된 위치고정시간 이상 상기 오브젝트가 동일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게임 화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영역 획득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1 내지 도6에서와 같은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가 땅따먹기 게임에 적용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전통적인 땅따먹기 게임은 일정의 영역에 대해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으로, 일반적으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체 영역 중 일부를 선택하면, 선택된 영역에 가려져 있던 이미지가 표시되면서 해당 사용자의 영역임이 표시되고, 표시된 이미지의 면적에 따라 승패 등의 게임 결과가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가 땅따먹기 게임에 적용되면, 터치 동작에 의해 일정 모양과 크기의 오브젝트가 생성되어 게임 화면(S)에 표시된다.
상기 터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오브젝트의 크기와 위치가 고정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고정된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고정시간 이상 상기 오브젝트(O7)가 동일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오브젝트(O7)가 게임 화면(S)에서 차지하는 영역만큼 해당 사용자가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브젝트(O7)의 고정된 위치와 크기(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게임 화면(S) 상에 가려져 있던 이미지의 일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오브젝트가 생성되도록 조작한 사용자가 해당 오브젝트의 크기만큼 영역을 획득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O7)를 나타내던 이미지가 해당 사용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땅따먹기 게임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방해하는 방해객체(B)를 생성하고 게임 화면에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S)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생성되고 크기와 위치가 조절되고 있는 오브젝트가 상기 방해객체(B)와 맞닿거나 상기 방해객체(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를 소멸시키는 등으로 상기 방해객체(B)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방해객체(B)를 피해서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위치함에 따라 영역(D)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게임 인터페이스가 아이템 획득 게임에 적용된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아이템 획득 게임의 기본적인 게임 방식은 용어 그대로, 게임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에 대해 사용자가 게임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원하는 아이템을 획득하며 이러한 기본적인 게임 방식을 토대로 다양하게 변용되고 있으며, 상술한 땅 따먹기 게임과 같이 다른 종류의 게임과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가 아이템 획득 게임에 적용된 경우,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S)에 미리 설정된 여러 종류의 아이템(I)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땅따먹기 게임에서와 유사하게 방해객체(B)를 생성하여 상기 아이템(I)과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게임 화면(S)의 임의 지점에 대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생성부(140)에서 사각형 모양의 오브젝트(O5)를 생성하고,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생성된 오브젝트(O5)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게임 화면(S)의 터치 지점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140)의 크기 조절부(220)는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O5)의 크기를 확장시키는데, 확장에 따라 게임 화면(S)에 표시된 아이템이 오브젝트(O5)가 차지하는 영역 내에 포함되면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포함된 아이템(I)이 상기 오브젝트(O5)를 생성 및 제어하는 사용자에게 획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게임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게임 화면(S)에 표시되는 각 아이템과 방해객체가 움직임을 갖고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템(I)은 상기 아이템을 나타내는 이미지(I)가 오브젝트(O5)의 크기가 확장하면서 차지하는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거나 면적의 절반 이상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포함된 아이템이 해당 오브젝트(O5)를 조작한 사용자에게 획득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진행 제어부(12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확장이 완료된 오브젝트(O6)에 대해 터치 플릭킹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치 플릭킹 이벤트에 의한 상기 오브젝트(O6)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화면에 표시된 여러 방해객체(B, B1) 중 상기 오브젝트(O6)가 이동하는 방향과 이동 거리 내에 위치한 방해 객체(B1)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O6)가 공격을 수행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임진행 제어부(120)는 상기 오브젝트(O6)가 방해 객체 또는 타 사용자의 오브젝트에 대해 공격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공격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공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O6)가 상기 게임에서 제공된 여러 아이템 중 공격 특성을 갖는 아이템을 실행시킨 상태인 경우 공격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100)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100)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100)의 운영체제는, 데스크 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이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운영체제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100)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기능과,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과,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뿐만 아니라,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웹 서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된 이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을 토대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진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모양을 설정하는 모양 설정부; 및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동일 지점에서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마다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키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도달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설정된 크기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플릭킹(flicking)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거리만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오브젝트 생성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산출된 이동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생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마다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드래그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드래그 경로를 파악하고, 파악된 드래그 경로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6.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입력된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을 토대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생성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이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게임진행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브젝트 위치제어부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이 완료되어 크기가 정해진 상기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한 지점의 Y축 좌표값을 미리 설정된 위치조절 시간간격으로 일정 값만큼 감소시키고 감소된 상기 Y축 좌표값을 포함하는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7.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이벤트 발생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오브젝트 생성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조절단계;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게임진행제어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브젝트 위치조절단계는,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터치 플릭킹(flicking) 이벤트에 의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를 토대로 상기 오브젝트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이동방향으로 상기 이동거리만큼 상기 오브젝트가 이동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 생성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산출된 이동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생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마다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8.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이벤트 발생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오브젝트 생성단계;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오브젝트 위치조절단계; 및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게임진행제어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게임진행제어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게임 화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획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영역 획득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9. 단말이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모양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장시키되,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신호가 동일 지점에서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크기조절 시간간격마다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크기확장값만큼 확장시키고,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도달한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의 입력 시간과 무관하게 상기 설정된 크기를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기능;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신호가 입력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생성된 오브젝트가 위치하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 및
    상기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기능
    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74828A 2012-07-10 2012-07-10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KR10139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28A KR101397683B1 (ko) 2012-07-10 2012-07-10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828A KR101397683B1 (ko) 2012-07-10 2012-07-10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482A KR20140008482A (ko) 2014-01-21
KR101397683B1 true KR101397683B1 (ko) 2014-05-23

Family

ID=5014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828A KR101397683B1 (ko) 2012-07-10 2012-07-10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16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015A (ja) * 2003-07-04 2005-02-03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2088A (ja) * 2004-05-10 2005-11-17 Namco Ltd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JP2009199621A (ja) * 2009-06-01 2009-09-03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JP2010020608A (ja) * 2008-07-11 2010-01-28 Olympus Imaging Corp 電子装置、カメラ、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および、オブジェクト選択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2015A (ja) * 2003-07-04 2005-02-03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5322088A (ja) * 2004-05-10 2005-11-17 Namco Ltd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JP2010020608A (ja) * 2008-07-11 2010-01-28 Olympus Imaging Corp 電子装置、カメラ、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および、オブジェクト選択プログラム
JP2009199621A (ja) * 2009-06-01 2009-09-03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916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482A (ko)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4283B2 (ja) 触覚効果によってシミュレートされる物理相互作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9808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102034367B1 (ko) 정보 처리 방법과 단말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ES2617539T3 (es) Interfaz gráfica de usuario para un sistema de juego
JP5525096B1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081769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336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in a mobile terminal
JP5767390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08776544A (zh) 增强现实中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US9174132B2 (en) Electronic game device, electronic gam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WO2013074398A1 (en) Input mapping regions
KR101397683B1 (ko) 게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기록매체
KR20180010240A (ko) 유저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게임 시스템, 전자 장치, 서버 및 게임 제어 방법
KR101417947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JP5838279B1 (ja) サーバ装置、サーバプログラム
KR102169611B1 (ko) 가상 공간이 표시된 단말기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5911992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20200080818A (ko)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89352B1 (ko)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입력으로 하는 게임방법, 게임장치 및 기록매체
KR101340373B1 (ko) 잠금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6293255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952947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5746253B2 (ja) 端末制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52946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072970B2 (ja)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