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600B1 - 분말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분말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600B1
KR101397600B1 KR1020110126726A KR20110126726A KR101397600B1 KR 101397600 B1 KR101397600 B1 KR 101397600B1 KR 1020110126726 A KR1020110126726 A KR 1020110126726A KR 20110126726 A KR20110126726 A KR 20110126726A KR 101397600 B1 KR101397600 B1 KR 10139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ir
air pump
discharge port
powd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589A (ko
Inventor
김종현
임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네웰
리드메디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네웰, 리드메디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네웰
Priority to KR1020110126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Abstract

분말 분사장치는, 분말을 수용하는 분말 수용공간, 분말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분말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분말 보관부; 및 공기 유입구를 통해 분말 보관부에 결합되며, 공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 토출구를 통해서 공기 유입구, 분말 수용공간, 및 분말 토출구를 경유하여 일렬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경로로 압축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공기 펌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펌프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는 일렬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며, 이동하는 압축 공기를 따라서 분말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분말이 분말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말 분사장치{APPARATUS FOR SPRAYING POWDER}
본 발명은 분말을 분사하는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분말을 분사시킬 수 있는 분말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사 용기는 다양한 약품이나, 화장품 등을 보관할 수 있고, 이를 사용 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보관된 물질이 액상이거나 분말 상태일 수도 있다.
이때 분사 용기에 포함된 물질이 사용기간이 경과하였거나, 수술과 같이 위생상태가 양호해야 하는 경우에는 분사 용기 자체의 교환을 요구할 때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료용 분사 용기는 전동 펌프가 내장된 기기로 여러 번 내용물만 재주입하여 사용하는 고가의 장비가 사용되어 교환이 불가한 경우가 많고, 용기의 세척에도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개복 수술이나 신체 내부 조직의 수술 시에는 원하지 않는 조직의 연결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내부 조직의 점착을 방지하고자 고분자량 카르복실을 포함하는 생중합체와 같은 분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술 시에 사용되는 항점착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용기는 재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번잡한 소독 과정을 거쳐야 하고, 이로 인한 시간 및 비용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분말 보관부에 보관된 분말을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사시킬 수 있는 분말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말 보관부에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펌프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분말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기 펌프부에 결합되는 분말 보관부의 교환이 용이하여, 종래와 같이 전동 펌프가 내장된 기기로 여러 번 내용물만 재주입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위생상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용기의 세척 시 발생하는 비용이나 장비의 사용이 불가한 기간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말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을 수용하는 분말 수용공간, 분말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분말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분말 보관부; 공기 유입구를 통해 분말 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 토출구를 통해서 공기 유입구, 분말 수용공간, 및 분말 토출구를 경유하여 일렬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경로로 압축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되며, 공기 토출구에 대향하여 형상 복원을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보급홀이 형성되는 공기 펌프부; 및 분말 수용공간 및 공기 토출구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 공기가 공기 토출구에서 분말 수용공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 펌프부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는 일렬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며, 이동하는 압축 공기를 따라서 분말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분말이 분말 토출구로 토출되고, 공기 펌프부의 형상 복원 시, 원-웨이 밸브에 의해서 분말 수용공간에서 공기 토출구 방향으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며, 공기 보급홀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공기 펌프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말 보관부가 공기 펌프부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용도의 분말이 담긴 분말 보관부나 용량이 서로 다른 분말 보관부를 미리 제작해 놓고, 사용처에 적합한 분말이나 분말의 양이 정해진 분말 보관부를 공기 펌프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분말 보관부를 재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동 펌프가 내장된 기기로 여러 번 내용물만 재주입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위생상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용기의 세척 시 발생하는 비용이나 장비의 사용이 불가한 기간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공기 펌프부는 내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토출구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순한 풍선 형태는 물론 주름이 잡힌 원통형 벨로즈(bellows)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벨로즈 형태의 공기 펌프부가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제공되면, 손가락으로 분말 보관부를 잡은 상태에서 손바닥이나 다른 손가락으로 공기 펌프부를 밀어 한 손만으로 편안하게 공기 펌프부를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부의 신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말 보관부로부터 돌출되는 손 걸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손 걸이부에 손가락을 걸어 분말 보관부를 손안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기 펌프부를 압축/팽창(신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부는 분말 보관부에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벨로즈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분말 수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나사 결합을 통해서 공기 펌프부를 간단하게 분말 보관부로부터 분리/결합시킬 수 있고, 공기 펌프부 일부가 분말 보관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분말 분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손으로 잡고 공기 펌프부를 압축시키기 편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가 공기 유입구 내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 토출구 및 분말 수용공간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고, 이에, 공기 펌프부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의 압력이 거의 손실 없이 분말 수용공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분말 수용공간 및 공기 토출구 사이에는 공기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공기 토출구에서 분말 수용공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밸브가 개재될 수 있다. 원-웨이 밸브는 공기 펌프부의 공기 토출구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분말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분말 보관부는 분말 토출구 주변으로 배치되는 단면이 평탄한 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림부에 대응하여 분말 보관부의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림부의 단면과 밀착되고, 특히, 분말 토출구에 삽입되어 분말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돌기부를 갖는 개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부는 분말 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공기 펌프부가 결합되기 전에 분말 보관부의 공기 유입구에는 내부의 분말 수용공간에 배치된 분말이 쏟아지지 않도록 공기 유입구를 커버할 수 있는 실링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전동 펌프가 내장된 기기로 여러 번 내용물만 재주입하여 사용하여,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고, 용기의 세척 시 발생하는 비용이나 장비의 사용이 불가한 기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들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의 분말 보관부는 한 번 사용하고 다른 분말 보관부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으로 인한 위생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용기의 세척이 필요 없어 장비의 사용이 불가한 대기 시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에서는 분말 보관부 및 공기 펌프부가 결합되어 일렬의 공기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공기 이동경로가 일렬로 제공되기 때문에 경로의 길이를 최단거리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줄어든 경로의 길이는 압축 공기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직결된다. 따라서, 공기 펌프부를 적은 힘으로 압축시켜도 압축 공기의 압력 손실이 적기 때문에, 분말 토출구를 통해서 원하는 분말의 분사 량을 충분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는 분말 보관부가 공기 펌프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용도의 분말이 담긴 분말 보관부나 용량이 서로 다른 분말 보관부를 미리 제작해 놓고, 사용처에 적합한 분말이나 분말의 양이 정해진 분말 보관부를 공기 펌프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말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말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분말 분사장치(100)는 분말을 분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관된 내용물이 분말 상태라면 성분이나 용량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의 분말 분사장치(100)에 사용되는 분말로서 개복 수술이나 신체 내부 조직의 수술 시에는 원하지 않는 조직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는 항점착 물질을 분사하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분말 분사장치(100)는 분말 보관부(110) 및 공기 펌프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말 보관부(110)는 분말을 수용하는 분말 수용공간(112), 분말 수용공간(11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분말 토출구(114), 및 공기 유입구(116)가 형성된다. 그 재질로는 내용물과 반응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플라스틱, 유리, 및 금속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펌프부(120) 및 분말 보관부(110)는 서로 간단한 나사 결합을 통해서 결합/분리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는 서로 다른 용도의 분말이나 용량이 다른 분말 보관부(110)를 미리 제작해 놓고, 사용처에 적합한 분말이나 분말의 양이 정해진 분말 보관부(110)를 공기 펌프부(12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분말 보관부(110)를 재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전동 펌프가 내장된 기기로 여러 번 내용물만 재주입하여 사용할 때 발생하는 위생상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용기의 세척 시 발생하는 비용이나 장비의 사용이 불가한 기간이 발생하는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말 보관부(110) 및 공기 펌프부(120)가 상호 결합되면, 공기 펌프부(120)의 공기 토출구(122), 공기 유입구(116), 분말 수용공간(112), 및 분말 토출구(114)가 일렬로 놓이는 공기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공기 이동경로가 일렬로 제공되기 때문에 경로의 길이를 최단거리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줄어든 경로의 길이는 압축 공기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직결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공기 펌프부(120)를 적은 힘으로 압축시켜도 압축 공기의 압력 손실이 적기 때문에, 분말 토출구(114)릍 통해서 분말의 분사 량을 충분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펌프부(120)는 내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토출구(122)로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얼마든지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이 잡힌 원통형 벨로즈(bellows) 형태로 제공된다.
벨로즈 형태의 공기 펌프부(120)가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제공되면, 집게나 중지를 이용하여 그 사이에서 분말 보관부(110)를 고정시키고 손바닥이나 엄지 손가락 등으로 공기 펌프부(120)를 밀어 한 손만으로 편안하게 공기 펌프부(120)를 신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여 사용의 편이성이 증가한다.
또한, 공기 펌프부(120)는 분말 보관부(110)에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 토출구(122)가 형성되는 벨로즈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 유입구(116)를 통해서 분말 수용공간(112)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공기 펌프부(120) 일부가 분말 보관부(11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 분말 분사장치(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한 손으로 분말 분사장치(100)를 그립하기 용이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공기 펌프부(120)를 압축시키기 편해질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122)가 공기 유입구(116) 내측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 토출구(122) 및 분말 수용공간(112)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고, 이에, 공기 펌프부(120)에서 발생한 압축 공기의 압력이 거의 손실 없이 분말 수용공간(112)에 전달할 수 있다. 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분말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 펌프부(120)의 신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말 보관부(110)로부터 돌출되는 손 걸이부(130)를 분말 보관부(110) 양쪽에 제공함으로써, 손 걸이부(130)에 집게 손가락 및 중지 손가락을 걸어 분말 보관부(110)를 한 손안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기 펌프부(120)를 손바닥이나 엄지 손가락 등으로 압축/팽창(신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분말 분사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공기 펌프부(120)가 압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펌프부(120)가 압축되면, 공기 펌프부(120) 내측의 공기가 압축되어 공기 토출구(122)를 통해서 압축 공기가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압축 공기는 일렬로 제공되는 공기 토출구(122), 공기 유입구(116), 분말 수용공간(112), 및 분말 토출구(114)를 경유하는 공기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분말 수용공간(112)에 수용되어 있는 분말이 압축 공기와 함께 분말 토출구(114)로 토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 4를 살펴보면, 공기 펌프부(120)에 가해지던 압력을 제거하면, 공기 펌프부(120)는 다시 팽창되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참고로, 공기 펌프부(120)에는 공기 토출구(122)의 반대쪽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말 수용공간(112) 및 공기 토출구(122) 사이에는 공기 토출구(122)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가 공기 토출구(122)에서 분말 수용공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밸브가 개재될 수가 있으며, 원-웨이 밸브는 공기 펌프부(120)의 공기 토출구(122)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고, 분말 수용공간(112)에 배치되는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공기 펌프부(120) 및 분말 보관부(11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제공되고, 사용 시에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공기 펌프부(120)가 결합되기 전에 분말 보관부(110)의 공기 유입구(116)에는 공기 유입구(116)를 커버하여 내부의 분말 수용공간(112)에 배치된 분말이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얇은 박막이나 마개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 분사장치의 단면도이며, 본 실시예의 분말 분사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 중 분말 보관부나 공기 펌프부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분말 보관부를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분말 보관부(210)는 분말 토출구(214) 주변으로 배치되는 단면이 평탄한 림부(217)를 포함한다. 이때, 분말 토출구(214)에 삽입되어 분말 토출구(214)를 개폐할 수 있는 돌기부(242)를 갖는 개폐커버(240)를 분말 보관부(210)의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커버(240)는 분말 보관부(210) 단부에서 회동하여 림부(217)의 단면과 밀착되어 돌기부(242)와 함께 2중 밀폐가 가능하며, 개폐커버(240)가 제쳐있는 경우, 림부(217)의 단면이 평탄하여 분말 보관부(210)를 세워 보관하기 편리하다. 참고로, 상기 분말 보관부(210)에는 앞선 실시예의 벨로즈형 공기 펌프부(110)가 장착될 수 있고, 그 외에 내부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토출구를 갖는 여타의 펌프부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분말 보관부(210)의 분말 수용공간(212) 및 공기 유입구(216)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으며, 상기 분말 보관부(210)가 공기 펌프부와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때, 공기 유입구(216)를 커버하여 내부의 분말 수용공간(212)에 배치된 분말이 쏟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얇은 박막의 실링부재(25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실링부재(250)는 공기 펌프부와 분말 보관부의 결합 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분말 분사장치 110:분말 보관부
112:분말 수용공간 114:분말 토출구
116:공기 유입구 120:공기 펌프부
122:공기 토출구 130:손 걸이부

Claims (7)

  1. 분말을 수용하는 분말 수용공간, 상기 분말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분말 토출구, 및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분말 보관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분말 보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 토출구를 통해서 상기 공기 유입구, 상기 분말 수용공간, 및 상기 분말 토출구를 경유하여 일렬로 형성되는 공기 이동경로로 압축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키도록 신축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에 대향하여 형상 복원을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보급홀이 형성되는 공기 펌프부; 및
    상기 분말 수용공간 및 상기 공기 토출구 사이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공기 토출구에서 상기 분말 수용공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는 원-웨이 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펌프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압축 공기는 상기 분말 수용공간에 직접 유입되어 상기 분말 보관부 내의 상기 분말과 함께 일렬로 형성되는 상기 공기 이동경로를 통해서 이동하며, 이동하는 상기 압축 공기를 따라서 상기 분말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분말이 상기 분말 토출구로 토출되고, 상기 공기 펌프부의 형상 복원 시, 상기 원-웨이 밸브에 의해서 상기 분말 수용공간에서 상기 공기 토출구 방향으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며, 상기 공기 보급홀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펌프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부는 상기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으로 신축 가능하게 제공되는 원통형 벨로즈(bellows)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부의 신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분말 보관부로부터 돌출되는 손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펌프부는 상기 분말 보관부에 상기 공기 이동경로와 동일한 축 상에서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벨로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분말 수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보관부는 상기 분말 토출구 주변으로 배치되는 단면이 평탄한 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림부에 대응하여 상기 분말 보관부의 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분말 토출구에 삽입되어 상기 분말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돌기부를 갖는 개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보관부에 상기 공기 펌프부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분말 보관부의 상기 공기 유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분사장치.
KR1020110126726A 2011-11-30 2011-11-30 분말 분사장치 KR10139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26A KR101397600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26A KR101397600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89A KR20130060589A (ko) 2013-06-10
KR101397600B1 true KR101397600B1 (ko) 2014-05-28

Family

ID=4885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26A KR101397600B1 (ko) 2011-11-30 2011-11-30 분말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53A (ko) 2018-04-18 2019-10-28 라이프리버 주식회사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KR20210112458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다용도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716B1 (ko) * 2018-12-17 2019-08-23 김용건 지혈제 분말 분사장치
KR102630827B1 (ko) * 2021-12-15 2024-01-29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지혈제 분사기
KR102425471B1 (ko) * 2022-01-25 2022-07-27 주식회사 건바이오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798A (ja) * 1995-05-26 1997-06-03 Bayer Ag 鼻腔用アプリケーター
JP2003192056A (ja) * 2001-12-27 2003-07-09 Yosuke Naito 粉体噴射容器
JP2011015954A (ja) * 2009-06-12 2011-01-27 Shinko Chemical Co Ltd 投薬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798A (ja) * 1995-05-26 1997-06-03 Bayer Ag 鼻腔用アプリケーター
JP2003192056A (ja) * 2001-12-27 2003-07-09 Yosuke Naito 粉体噴射容器
JP2011015954A (ja) * 2009-06-12 2011-01-27 Shinko Chemical Co Ltd 投薬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553A (ko) 2018-04-18 2019-10-28 라이프리버 주식회사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분말 분사장치
KR20210112458A (ko)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다용도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589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600B1 (ko) 분말 분사장치
US7021495B2 (en) Device for dispensing product having flexible-walled pouch and airless pump
KR101567606B1 (ko) 개인용 사용을 위한 유체 디스펜서
RU2407682C2 (ru) Герметичная по всей поверхности одноходовая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080086862A (ko) 일방향 밸브 어셈블리
DK3024521T3 (en) Replacement cartridge
KR20150004727A (ko) 착용 가능한 분배기
HRP20000548A2 (en) Drug delivery devices
RU2721063C2 (ru) Однодозовый асептический аэрозольный туманообразователь
US20170119239A1 (en) Dental mirror device
JP2005515817A (ja) 使い捨てで無いノズル上に衛生的な使い捨てノズルプロテクターを備えた携帯用の衛生水噴流
CN109564123B (zh) 泵压头和计量装置
WO2013076682A1 (en) Multidose dispenser nozzle
KR101410174B1 (ko) 호신용 스프레이
US20130180521A1 (en) Nasal spray and tissue dispenser
JP4949069B2 (ja) 流動性物質の分配装置
KR102425471B1 (ko)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JP6816325B1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ー
JP3993487B2 (ja) 流動体のチューブ型容器
KR20180003252U (ko) 화장료 보관용기
KR200477465Y1 (ko) 화장용 분무기
KR100887864B1 (ko) 기능성 액제 내장 위생도구
US10189039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fluid, liquid or pasty products
KR20190056757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001367U (ko) 코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