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076B1 -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 Google Patents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076B1
KR101397076B1 KR1020120109465A KR20120109465A KR101397076B1 KR 101397076 B1 KR101397076 B1 KR 101397076B1 KR 1020120109465 A KR1020120109465 A KR 1020120109465A KR 20120109465 A KR20120109465 A KR 20120109465A KR 101397076 B1 KR101397076 B1 KR 10139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random copolymer
ethylene random
resin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562A (ko
Inventor
권순재
조성민
여천천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가지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높은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성형 이후의 후변형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RESIN MOLDED ARITCLE}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높은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성형 이후의 후변형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성형성, 기계적 물성 및 내약품성 등의 특징을 가져서, 자동차 내장부품, 가전부품, 산업자재, 섬유 분야 또는 필름 등의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장 강도 및 충격 강도 갖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등 인성 및 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는 그 사용이 제약되었다.
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인장 강도와 굴곡 강도 그리고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고분자 수지, 고무 성분 또는 무기 충진제 등의 강성 보강재를 첨가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강화 재료의 첨가는 기계적 물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였고, 이들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용화제가 비교적 고가여서 범용 소재로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최근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 부품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용시키기 위하여 유리 섬유(Glass Fiber)를 강성 보강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유리 섬유는 이전에 사용되었던 활석(Talc) 또는 휘스커(Whisker) 등에 비하여 적은 양을 사용하고도 보다 탁월한 물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유리 섬유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성형 시, 유리 섬유가 수지 흐름 방향(MD)으로 배향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최종 제품에서 MD 방향과 TD방향으로의 수축율이 달라지게 되고, 제품의 형상 수축에 따라 Warpage현상(뒤틀림 또는 휨)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59908호에는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올리스토나이트, 유리섬유 또는 운모 등의 무기 충진재와,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높은 강성, 내열성 및 충격 강도를 가지며 휨(Warpage) 발생이 줄어든 수지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높은 결정성을 갖는 이소탁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 등은 일정 정도 향상될 수 있으나, 최종 성형품에서 형상 수축에 따라 Warpage현상이 크게 나타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의 올리스토나이트를 상용화제 함께 과량으로 첨가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유리 섬유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기계적 물성 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도, Warpage현상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59908호
본 발명은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높은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성형 이후의 후변형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가지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성형물을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가지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리 섬유가 첨가된 올레핀 수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상기 특정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유리 장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수지 성형품이,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함께 우수한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다른 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성형 후에 나타나는 변형(Warpage)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상기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갖고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이전에 사용되던 운모 등의 무기 충전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물성과 탄성 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성형 이후에 형상이 변형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를 사용하면 유리 장섬유 이외의 무기 충진재 뿐만 아니라 상용화제 등의 첨가제 사용량도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수지 고유의 물성 발현이 용이하고, 제조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에틸렌 반복 단위와 프로필렌 반복 단위가 무작위로 결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체 중 에틸렌 반복 단위를 1wt% 내지 5wt%, 바람직하게는 2 wt% 내지 4.5wt%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중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미만이면 상기 랜덤공중합체의 후변형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5 wt% 초과이면 상기 랜덤공중합체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최종 제품의 탄성이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상술한 에틸렌 반복 단위를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에 따라서, 특이한 고분자 배열 및 결정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 또는 40% 내지 49%의 결정화도, 바람직하게는 42% 내지 48%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도는 고분자의 비결정질 영역을 제외한 결정 영역의 비율을 의미하며,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주사열량측정법에 의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특이한 고분자 배열 및 결정화 특성으로 인하여 100℃ 내지 120℃의 범위에서 결정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IR 스펙트럼의 700 내지 800 ㎝- 1파장 범위에서 특징적인 피크(peak)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710 내지 740 ㎝- 1파장 범위에서 1개의 특징적인 IR 피크(peak)를 가질 수 있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700 내지 800 ㎝- 1파장 범위에서 일정 강도 이상의 IR 피크(peak)가 나타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나, 700 내지 800 ㎝- 1파장 범위에서 2개의 IR 피크(peak)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와는 구별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34 g/10분 내지 150 g/10분(ASTM D1238, 230℃에서 측정)의 용융 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의 용융 지수가 34 g/10분 (ASTM D1238, 230℃) 미만이면 성형 과정에서 충분한 가공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높은 점도로 인해 유리 장섬유의 분산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 지수가 150 g/10분(ASTM D1238, 230℃) 초과이면 낮은 점도로 인해 최종 제품이 적절한 충격 강도를 갖기 어려울 수 있으며 그 외 인장 및 굴곡 강도 그리고 탄성율에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장섬유(Long glass fiber)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에 첨가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5mm 내지 15mm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8mm 내지 12mm의 길이를 갖는 유리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장섬유의 길이가 너무 작으면 성형후 최종 제품의 충격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보강재로 사용된 유리섬유의 특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유리 장섬유의 길이가 너무 크면, 최종 제품에서의 MD 방향 배향성이 커져서 Warpage현상이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성형제품 생산시 수지 이송의 원할함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리 장섬유는 5㎛내지 25㎛의 단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면 직경은 상기 유리 장섬유 담면의 최장 직경을 의미한다.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최종 제조되는 수지 성형품의 물성 또는 품질 등을 고려하여 상술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유리 장섬유를 적정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가지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50 내지99중량%; 및 유리 장섬유 1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유리 장섬유 간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높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상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화제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통상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올레핀 주쇄에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래프트되어 분지쇄를 이루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말레인산, 프탈산, 이타콘산, 씨트라콘산, 알케닐숙신산, 씨스-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4-메틸-1,2,3,6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이무수물은 상술한 예의 디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일 수 있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중 그라프트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의 함량은 0.1중량%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0.1중량%미만으로 그라프트되면 상용화제의 성능이 충분히 발현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30중량% 초과로 그라프트 되면,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형성되는 수지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또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의 그라프트화 비율은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를 산-염기 적정하여 얻어진 결과로부터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약 1g을 물로 포화된 150㎖의 크실렌에 넣고 2시간정도 환류한 다음, 1중량% 티몰블루-디메틸포름아미드용액을 소량 가하고, 0.05N 수산화나트륨-에틸알콜용액으로 약간 초과 적정하여 군청색의 용액을 얻은 후, 이러한 용액을 다시 0.05N의 염산-이소프로필알콜용액으로 노란빛을 나타낼 때까지 역적정하여 산가를 구하고, 이로부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그라프트된 디카르복실산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 내지 800,000일 수 있다.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을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란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알파-그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베타-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알파-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알파-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상용화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50 내지 95중량%; 상기 유리 장섬유 3 내지 30중량%; 및 상용화제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적용되는 분야 및 확보하기 위한 특정 물성을 위하여 기타 충진재 및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에 유리 장섬유를 함침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에 유리 장섬유를 함침(impregnation)시키는 단계에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유리 장섬유를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내부로 복수의 가닥의 유리 장섬유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유리 장섬유와 수지 원료가 서로 충분히 접촉될 수 있도록 유리 장섬유의 다발을 일정한 방향으로 펼쳐서 통과시키는 방법, 또는 섬유 다발을 회전시키거나 엮어서 표면적을 늘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함침 단계에서는 220 내지 280℃의 온도 및 상압조건에서, 20 내지 40m/min의 속도로 유리 장섬유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로 투입되어 최종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침 단계 이전에 또는 함침 단계와 동시에, 상술한 상용화제, 기타 첨가재 또는 무기 충진재가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고온에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다른 성분을 용융 압출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성형물을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특정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와 유리 장섬유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 성형품은,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와 함께 우수한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다른 올레핀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성형 후에 나타나는 변형(Warpage) 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온도에서 50%미만의 결정화도를 갖고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유리 장섬유, 선택적으로 첨가 가능한 성분 및 상기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수지 성형품은 각종 자동차 내장재/외장재, 가전 제품의 커버, 각종 플라스틱 성형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자동차의 도어모듈, 시스템 에어컨의 커버, 그리고 플라스틱 엔진 커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충격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높은 탄성 및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내며, 성형 이후의 후변형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과 이러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수지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의 DSC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비교예1의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의 DSC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비교예2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수지의 DSC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4는 실험예에서 성형후 뒤틀림 정도를 측정한 지점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5는 실시예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비교예1의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비교예2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수지 각각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은 실시예, 비교예 1 및 2의 성형후 후변형 정도를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4.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결정화 온도(107.37℃)에서는 결정화도: 45.81%]와 유리 장섬유(길이: 10mm, 직경: 15㎛)를 4: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상온 및 상압의 건식혼합 장치에서 사출 성형하여, 고분자 수지 조성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의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 온도는 TA Instrument사의 Q200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1 >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대신에,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 온도는 TA Instrument사의 Q200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118.92℃의 결정화 온도에서 58.16%의 결정화도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2 >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대신에,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미만인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수지[중량평균분자량 231,800, 분자량분포(PI) 9.13]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화 온도 및 결정화 온도는 TA Instrument사의 Q200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119.35℃의 결정화 온도에서 50.9%의 결정화도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 성형후 뒤틀림 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280도 온도 조건 및 압력 140 kg·f/cm2, 속도 55 mm/sec조건으로 성형하여 35mm*10mm*3mm (가로*세로*두께)의 시편을 제작하고, 이러한 시편을 약 2일간 항온항습 조건에서 annealing 시켰다.
그리고, 상기 시편의 한쪽 끝단을 고정하여 다른 한쪽의 지면에서 떠있는 높이를 측정하고, 또한, 시편을 그대로 놔두었을 때 지면에서 최대로 떠있는 부분의 높이를 측정하여, warpage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warpage 변화량을 측정 결과 [단위: 변형량 mm]
구분 (1) 지점 (2) 지점 (3) 지점 (4) 지점
실시예1 0 0 5.5 5.5
비교예1 0 0.5 1.5 19
비교예2 0 0.5 6 7
상기 표1에서, (1) 내지 (4) 지점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4.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결정화 온도(107.37℃)에서는 결정화도: 45.81%] 및 유리 장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실시예의 수지 성형물을 사용하면, 수지 성형 이후의 후변형이 크게 감소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또는 2의 경우, 수지 성형 이후의 후변형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도6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1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도6의 좌측 2개의 시편)이 가장 큰 후변형(Warpage)가 발생되었고, 비교예2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도6의 가운데 2개의 시편)은 비교예1에 비하여 후변형(Warpage) 발생 정도가 작으나,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체(도6의 오른쪽 2개의 시편)에 비하여 구별될 수 있을 정도로 큰 후변형이 발생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9)

  1. 결정화 온도에서 40% 내지 49%의 결정화도를 가지며, 에틸렌 반복 단위의 함량이 1wt% 내지 5wt%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및 유리 장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가 결정화 온도에서 42% 내지 48%의 결정도를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는 34 g/10분 내지 150 g/10분(ASTM D1238, 230℃에서 측정)의 용융 지수를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의 결정화 온도는 100℃ 내지 120℃인, 고분자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장섬유는 5㎛내지 25㎛의 단면 직경 및 5mm 내지 15mm의 길이를 갖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용화제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산무수물이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및 실란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 50 내지 95중량%;
    상기 유리 장섬유 3 내지 30중량%; 및
    상기 상용화제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9. 제1항의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성형물을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

KR1020120109465A 2012-09-28 2012-09-28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KR10139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65A KR101397076B1 (ko) 2012-09-28 2012-09-28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65A KR101397076B1 (ko) 2012-09-28 2012-09-28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562A KR20140042562A (ko) 2014-04-07
KR101397076B1 true KR101397076B1 (ko) 2014-05-19

Family

ID=506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465A KR101397076B1 (ko) 2012-09-28 2012-09-28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84B1 (ko) 1998-06-17 2001-10-27 이정국 섬유강화수지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20040050857A (ko) * 2002-12-10 2004-06-17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섬유/수지 복합체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080048473A (ko) * 2005-08-31 2008-06-0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충전재-강화된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고 내스크라치성 및부드러운 촉감이 우수한 몰딩 조성물
US20100120953A1 (en) 2008-11-12 2010-05-13 Aarts Maarten W Highly Filled, 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184B1 (ko) 1998-06-17 2001-10-27 이정국 섬유강화수지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20040050857A (ko) * 2002-12-10 2004-06-17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섬유/수지 복합체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080048473A (ko) * 2005-08-31 2008-06-02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충전재-강화된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고 내스크라치성 및부드러운 촉감이 우수한 몰딩 조성물
US20100120953A1 (en) 2008-11-12 2010-05-13 Aarts Maarten W Highly Filled, Propylene-Ethylene Copolymer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562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458B1 (ko) 압출성형용 폴리올레핀-천연섬유 복합재 조성물
EP3039071B1 (en) Soft touch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CN107722448B (zh) 利用天然纤维的汽车内饰材料用复合组合物
WO2015000738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glass fiber fillers
KR101470127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976381A1 (en) Bamboo fibers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KR101526586B1 (ko)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734268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고분자 복합재 테이프 및 자동차 프론트 범퍼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N109890848B (zh) 含有玻璃纤维填料的聚丙烯组合物
KR101397076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KR10135469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275451B1 (ko)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981956B1 (ko) 자동차 부품용 복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자동차 부품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18756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CN113260674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品
KR10155197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230212393A1 (en)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amide, on carbon fibers and on hollow glass beads and use thereof
FI96771B (fi) Polyolefiini-kondensaatiopolymeeriseos
CN111936576A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制造的模制产品
KR20100028161A (ko) 충격강도가 뛰어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