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777B1 -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777B1
KR101396777B1 KR1020120075113A KR20120075113A KR101396777B1 KR 101396777 B1 KR101396777 B1 KR 101396777B1 KR 1020120075113 A KR1020120075113 A KR 1020120075113A KR 20120075113 A KR20120075113 A KR 20120075113A KR 101396777 B1 KR101396777 B1 KR 10139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nformation
connection point
connec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086A (ko
Inventor
이상국
이승준
최인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2007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777B1/ko
Priority to PCT/KR2013/005709 priority patent/WO2014010852A1/ko
Publication of KR2014000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무선 통신망, 예를접들어 Wi-Fi 망의 접속점(AP: Access Point)에서 이탈되는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 예를 들어 MAC 주소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도록 구성된 접속점 추적부와, 상기 타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찾은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하는 접속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ausing sequence information of access points according to a route and for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using the created seque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Wi-Fi 망과 같이 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AP: Access Point)이 산재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에 대하여,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그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그리고, 그 참조를 위한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이 발전하면서, 이용자들은 휴대폰은 물론이고,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하,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칭한다. )을 이용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와 컨텐츠를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무선통신 인프라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성능이 더욱 개선되면서, 이제는 고화질의 다양한 영상 컨텐츠, 예를 들어 드라마, 스포츠 중계, 뉴스, 음악 프로그램 등이, 다운로드 대기시간없는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도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차량이나 도보 등의 이동시에 그와 같이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이동시간을 무료하지 않게 보낼 수가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그러한 이동 중에 원하는 컨텐츠를 지정해 다운로드로 수신케 한 후, 편한 장소나 시간에 그렇게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시청할 수도 있게 되었다.
그런데, 이동 중에도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이용자들은, 광역의 안정적인 서비스 권역을 제공하고 있는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전화 통신망을 이용하는 데, 이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는 비용적 부담이 따른다.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망(網) 부하가 증가하게 되면, 음성통화 제공서비스라는 이동전화 통신망의 본질적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 사용량에 비례하여 이용자에게 과금하는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물론, 고정된 사용료로써 더 이상의 추가비용없이 데이터 사용량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도 도입되어 있지만, 이는 이동전화 통신망의 과부하의 주요요인으로 대두되어 이동통신 사업자는 점차 그 요금제를 축소할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동전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과부하를 피하고, 이용자들의 데이터 이용량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의 제한된 지역들에서만 비록 서비스되고 있지만, 그 서비스 속도는 이동전화 통신망보다 더 빠른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방식의 무선랜망( 이하, "Wi-Fi 망"이라 한다. )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 Wi-Fi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는 이용자에게 과금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사용해, 원격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Wi-Fi 망을 액세스할 수 없을 때에는 이동전화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Wi-Fi 망을 액세스할 수 있을 때에는 그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 이용환경 등을 고려할 때,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을 전환( 위 예를 든 이동전화 통신망과 Wi-Fi 망간의 전환 )하면서도 수신하고 있는 컨텐트 등의 데이터를 끊김없이 또는 손실없이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면 이용자로 하여금 상기의 비용적 잇점을 누리게 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번호 10-2011-066981호의 발명이 2011년 7월 6일자로 국내 출원된 바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Wi-Fi 망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은 제한된 지역들에 산포되어 있어서, 상기의 복수 무선 통신망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용자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언제 Wi-Fi 망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을 만나게 될 지 그리고 그 접속점이 실제 이동 중에 이용할 가치가 있는 지를 알 수가 없다. 이러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무선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잦은 검색이나 무선 통신망간의 잦은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오히려 무선통신 자원(resource)을 데이터 수신을 위해 이용하는 데 지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특정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여, 무선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불필요한 접속점에의 접속을 피하고, 이용가능한 접속점에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동경로상에서 필요한 시점에만 특정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이 이용가능한 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가 불필요한 검색에 통신자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의 이동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개인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할 있게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중의 고정된 이동경로, 예를 들어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 대중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대중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포(散布)된 접속점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도록 구성된 접속점 추적부와, 상기 접속점 추적부에 의해 상기 타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찾은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하는 접속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가, 상기 접속점 추적부에 의해 상기 타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는 경우,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하여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찾은 접속점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합하는 시점은,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지정된 허용범위내에서 상기 소요시간에 상당할 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의 검색요청을, 일정 주기로, 또는 검색요청하는시간격을 가변하면서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부합하는 시점을 기점으로 정한 일정 시간폭내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검색요청하는 시간격을 짧게하면서 상기의 반복적 검색요청을 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일정 시간폭은,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해 지정하고 있는 재역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될 때까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요청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임의적 검색에 의해 제 3의 접속점이 검색되어도, 그 제 3의 접속점이 상기 타 접속점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 처리부는 그 제 3의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임의적 검색은, 상기 소요시간에 대하여 지정된 비율에 따라 정해진, 20초보다 긴 시간격의 주기로 반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와 관련된 참조정보가 접속점 임의적 사용을 지정하고 있으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이탈시점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검색요청에 따라 임의의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임의적 검색에 의해 제 3의 접속점이 검색되는 경우, 그 제 3의 접속점이 상기 타 접속점에 해당하지 않아도 그 제 3의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기준 신호세기이상이면, 상기 접속 처리부는 그 제 3의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준 신호세기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반적 검색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 기준 신호세기보다 높은 값으로 정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찾은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반적 검색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 기준 신호세기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찾은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외에,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제 2의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고, 또한 그 제 2의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더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각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소요시간의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여, 그 어느 하나의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 종점(終點)으로 기재된 접속점과 일치하는 접속점을 찾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특정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하여 더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하는 시간이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소요시간에,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이 되는 지의 확인을 위한 동작은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의 접속점은 상기 타 접속점과 동일한 접속점일 수 있으며, 상기 타 접속점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소요시간은,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한 상기 소요시간과 다른 시간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하나 이상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 각각에 대하여, 그 역내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다른 접속점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그 종점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기재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역내 접속점들 중 임의의 하나에 접속한 후 이탈하면, 그 이탈된 하나의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만에 대해서, 그에서 지정된 소요시간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이 되는 지의 확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내의 구역이거나, 도시명, 또는 대도시권명으로서 특정되는 지역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과 이탈에 따라 파악된 시간정보와 그 접속과 이탈이 이루어진 접속점들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점 추적부가 구축한 정보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과 이탈간의 시간격이 기 지정된 시간격보다 짧은 경우에는, 그 임의의 접속점을 배제하고 그 전과 후로 검색된 접속점들로써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구축하는 정보에 포함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 접속점에의 접속 또는 이탈시에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시점(時点)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케하는 정보와 함께 외부 서버에 전송한다. 다르게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제 1접속점에 대한 접속 또는 이탈시에 그 제 1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이전에 접속하였던 제 2접속점의 식별정보, 그리고, 상기 제 2접속점으로부터 이탈 후 상기 제 1접속점 접속까지의 소요시간과, 상기 제 1접속점 또는 상기 제 2접속점에 대한 접속과 이탈간의 시간격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케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과의 접속해제, 또는 그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한계 신호세기이하가 된 상태를, 상기 이탈로 간주하도록 구성된다.
재역 시간이 접속점 구간정보에 포함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재역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폭보다 크면 상기 찾은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찾은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값이 기 지정된 기준치보다 낮으면, 그 낮은 정도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폭을 조정하여, 상기 재역 시간과의 비교에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일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의 어느 하나에, 상기 이탈이 있은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게 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합 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동작이진행되게 하는 단계와,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인 된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접속점이 상기 검색된 접속점에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이 진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방법에서는, 상기 진행하는 단계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을 때, 상기 시점부합된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한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그 일치하는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장치는,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는 제 1기능과,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는 제 2기능과,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그 찾은 접속점에 접속시키기 위한 동작이 진행되게 하는 제 3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라서는,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는 경우,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하여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그 찾은 접속점에 접속시키기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게 하는 기능이, 상기 제 3기능을 대신하여 상기 프로그램 구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일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제 1정보를 수신하는 1단계와, 상기 제 1정보에 기반하여,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終點) 접속점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와,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을 포함하여 기재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복수개 구성하는 2단계와,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2단계는, 상기 각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종점 접속점에 대한 재역(在域) 시간을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재역 시간은, 상기 종점 접속점이 설치된 장소에 차량이 정차하는 시간, 또는 그 종점 접속점의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을 자전거 또는 도보로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에 상응하는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망에 접속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각각의 상기 시점(始點) 접속점을 상기 접속한 접속점으로 하여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단계는, 상기 시점(始點)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공통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2단계는, 그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을 특정하여 그 특정된 역내 접속점들이 각기 시점(始點) 접속점이 되는 접속점 구간정보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일부에 대해서는, 타 접속점 구간정보의 종점 접속점이 그 일부 접속점 구간정보의 시점(始點) 접속점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는,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와 연계된 접속점 구간정보의 시점(始點) 접속점과 상기 특정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3단계는,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그와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그 접속점 구간정보의 양(兩)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내에서 검색되는 접속점에 대한 임의적 사용을 지정하는 참조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3단계는, 상기 참조정보를 그와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2단계는, 상기 제 1정보가 수신된 시간대 또는 요일에 따라, 그 외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 대해 구성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시점(始點) 접속점 또는 종점 접속점이 달라지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2단계는,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단계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개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과 이탈에 따라 파악된 시간정보와 그 접속과 이탈의 대상이 된 접속점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일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대상 접속점들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시점(始點)과 종점에 해당하는 양(兩)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양 접속점간의 소요시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의 반영은,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추가하는 것이거나,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 접속점에 있어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 동일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내의 기존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새로 반영한 평균값으로써 갱신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그 직전에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결합하여 단일의 접속점 구간정보로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추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이,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내에 등재되어 있는,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 접속점에 있어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 동일한 기존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새로 반영한 평균값으로써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요시간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또는 도보에 의해,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구간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상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일 장치는, 각기,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終點) 접속점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와,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이 포함되어 기재된 접속점 구간정보들로써 구성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특정 접속점이 시점(始點) 접속점으로 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서 찾고, 그 찾은 접속점 구간정보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게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장치에서는, 상기 처리부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역내 접속점들 각각에 대하여, 그 역내 접속점이 시점(始點) 접속점으로 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서 찾고, 그 찾은 접속점 구간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게 한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서비스 속도 측면에서 또는 이용시의 비용적 측면에서 이용자에게 유리한 특정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Wi-Fi 망을, 이동 중에 유효하게 또는 의미있게 이용할 수 있는 접속점들에 대한 타이밍(timing)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한다. 이러한 접속점에 대한 타이밍 정보에 근거해, 상기 특정 무선 통신망의 액세스 가능시간이 아니면,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특정 통신망의 검색을 위한 동작을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 상기 특정 통신망의 접속점이 검색되더라도 그 접속점을 통해서는 이동 중에 유의미한 시간동안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을,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접속점의 순차정보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접속을 행하지 않게 된다. 이는 곧 접속전환에 의한 시간손실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면, 무선통신 단말기는 그 특정 통신망에의 접속을 현재의 통신상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그 특정 통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 선택적 접속에 의해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통신상황에 비추어 접속전환에 의한 시간 손실이 전환에 따른 데이터 획득의 이익보다 큰 경우에는 이동 경로상에서 지정된 접속점에의 접속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데이터 수신에 있어 자신의 통신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하여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하여 접속점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지능적 AP접속 관리자의 논리적 구성과 그 인접 구성요소들과의 관계를 예시한 것이고,
도 3a는, 대중 교통수단의 가상의 운행경로 일부와 그 경로상에 설치된 Wi-Fi 망의 접속점들을 예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a에 예시된 경로 일부와 설치된 접속점을 전제로 한 경우에, 그 각 접속점에 대해 인접 접속점과의 타이밍 정보 등이 기재된 공중용(public) 접속점 체인(chain)정보의 예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접속점 순차정보가 구성되는 각각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 가능경로의 확정 또는 검증을 위해 특정 접속점이 사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a의 가상 경로와 설치 예에 대해, 이동 가능경로의 확정 또는 검증을 위한 참조정보가 추가된 접속점 순차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가능경로상의 접속점 설치 장소의 사이에서 임의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특별한 접속점에 대한 참조정보가 접속점 순차정보에 추가될 필요성과, 그에 따라 작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어진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하여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점을 검색하고 적절한 경우 그에 접속을 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어진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재된 각 타이밍 정보에 의한 시간격의 경과를 인지하기 위해 각 시간격에 해당하는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것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어진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재된 각 타이밍 정보에 의한 시간격이 경과하기 전부터 그 시간격에 연관된 접속점을 검색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어진 접속점 순차정보의 가능경로 엔트리(entry)에 기재된 접속점이 검색된 경우, 그 접속점에 접속할 지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데이터 수신량을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파악에 따라, 그 단말기가 진입할 가능성이 있는 주변 서비스 존(zone)의 접속점들에 대해서, 접속할 후보로서 포함시켜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의 자유로운 이동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개인별 이동경로에 따라 구축되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구성 예와, 그 접속점 순차정보에 새로운 체인정보 엔트리가 부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구축을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구축에 필요한 정보들을 모아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별 이동경로에 따라 구축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새로운 체인정보 엔트리의 부가시 직전 부가된 엔트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는 AP정보 서버의 구성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전체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통신인프라로써 구축된 2개의 이종망(異種網), 예를 들어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전화 통신망(10)( 이하, "셀룰러 망"으로 칭한다. )과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Wi-Fi 망(1,1I)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셀룰러 망(10)과 Wi-Fi 망(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200)와,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는 경로에 따른 접속점의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AP정보 서버(100)와, 클라이언트(client)로부터 요청된 정보 또는 컨텐트 파일 등을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11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 무선 통신망의 하나로서 Wi-Fi 망을 예로 하여 그 접속점에 대한 순차정보를 제공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Wi-Fi 망외의 다른 데이터 통신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들이 산포되어 있고 단말기에서 이들 간의 접속 전환이 수반되어야 하는 무선 통신망에 대해서 본 발명의 원리와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하는 데이터 통신망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통신망과 다르다는 이유로써는 청구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배척될 수 없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Wi-Fi 망(1)에 진입(p1)하게 되면, 그 진입한 접속점( 서비스 존 11을 형성하는 AP )을 기점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경로에 따른 접속점들의 순차적인(sequential)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제공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시점에 접속점을 검색하여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2a에 그 구성이 예시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셀룰러 망(10)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해당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21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상기 셀룰러 망(10)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21b)과, 상기 Wi-Fi 망(1)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해당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22a)( RF신호의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과, 상기 Wi-Fi 망(1)에서 채택된 통신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틀 복호하는 Wi-Fi 코덱(22b)과, 영상, 문자 등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25)과, 임의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4)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26a)와,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26b)와, 상기 터치 센서(26a)와 키패드(26b)상의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26)와, 상기 입력 제어부(26)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중 그에 맞는 구성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 부터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의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24)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20)와, 상기 주 제어부(20)의 동작 또는 그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 등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부(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 제어부(20)는, 자신에게 구비된 펌웨어(firmware) 등의 명령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하드웨어 자원의 구동, 해당 자원과의 적절한 신호 및/또는 정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시스템(200a)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또한 구비된 지능형 AP접속 관리자(210)( IACM Agent: Intelligent AP Connection Managing Agent )( 이하, "AP접속 관리자"로 약칭한다. )의 적어도 일부의 명령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그 AP접속 관리자(210)로 하여금, 상기 AP정보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Wi-Fi 망(1)에 접속할 시점과 접속여부 등을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지정된 접속점을 통해 상기 Wi-Fi 망(1)에의 접속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AP접속 관리자(21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구현된 프로세스(process) 또는 어플리케이션( 이하, "어플"로 약칭한다. )으로서,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들의 구조를 갖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대용량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구비된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특정의 서버로부터 통상의 온라인(on-line) 구매과정 등을 거쳐 상기 대용량 저장수단에 수록된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후 이 후 실행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의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어플들이 기반(基盤)하는 플랫폼(platform) 형태로,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의 일부의 형태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하드웨어(hardware)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기능의 일부를 그 하드웨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구성과 동작방식이 설명되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는 그 구현하는 형태 또는 사용된 자원의 유형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P접속 관리자(210)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지의 상기 AP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근거하여, 앞으로 접속할 접속점을 결정하는 접속점 추적부(211)와,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서 결정된 접속점에의 접속여부를, 다른 통신특성 또는 통신환경에 따라 결정하는 접속 처리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AP접속 관리자(210),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 또는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동작들의 일부의 경우에,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제공하는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를 통해, 도 2a에 예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과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각기 제공하는 특정기능( 예를 들어, 정보나 메뉴 등의 화면 표시, 프로토콜에 기반한 외부와의 통신, 통신상태 확인, 하드웨어 상태 확인, 타이머관련 기능, 프로세스 현황 파악, 실시간 정보의 확인 등 )을 요구함으로써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2a에 예시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를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개념과 주제를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들은 도 2a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예시된 구성요소의 일부를 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AP접속 관리자(21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그 동작의 기초가 되는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211a)가 구성되는 방법에 대해서 먼저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중 교통수단, 예를 들어 버스, 지하철, 고속버스, 기차 등의 고정된 운행경로상에 설치된 접속점들에 대해서, 하나의 접속점에 임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게 되는 경우 접속점 순차정보가 그 접속점을 기점으로 구해진다. 도 3a 및 3b는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a는, 대중 교통수단, 예를 들어 버스, 또는 지하철에 대한 가상의 운행경로 일부와 그 일부 경로상에 설치된 Wi-Fi 망의 접속점들의 예이고, 도 3b는, 도 3a의 가상 경로와 설치된 접속점을 전제하였을 때, 각 접속점에 대해 그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는 접속점 구간정보, 즉, 그 각 접속점에 대해 그 접속점을 시점으로 그리고 그와 인접된 접속점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그 종점과의 타이밍 정보( 버스 또는 지하철의 구간 이동시의 소요시간, 그 인접 접속점이 설치된 정류장 또는 역에서 정차하는 시간 등 )가 기재된 공중용(public) 접속점 체인(chain)정보의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한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가 도 3b에 예시된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는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접속점, 예를 들어 식별정보가 "AP_100"인 접속점의 서비스 존에 진입(p3)하여 해당 접속점(AP_100)을 통해 상기 Wi-Fi 망(1)에 접속하게 되면, 그 접속 사실이 상기 운영 시스템(200a)에 의해 상기 AP접속 관리자(210)에 통지된다. 그러면, 그 통지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전달되고,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운영 시스템(200a)에 Wi-Fi 망 접속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운영시스템(200a)은 상기 Wi-Fi 모뎀(22a)이 검출하여(r21) 제공하는 현 접속점(AP_100)의 신호세기 값, 즉 RSSI 값과, 서비스 식별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 그리고 MAC 주소 등의 정보를,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리턴하고,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그 리턴된 정보에서 상기 접속점(AP_100)의 유일 식별정보, 예를 들어 MAC 주소를, 기 설정된 액세스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여 생성한 통신소켓과, 그 통신소켓과 연계하여 상기 AP정보 서버(100)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개설한 세션(session)이 이용된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임의의 접속점 식별정보, 전술한 예에서 상기 식별정보 “AP_100”이 수신되면,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기 구축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로부터, 그 수신된 접속점을 기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한다. 도 3b에 예시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는, 도 3a에 예시된 가상의 버스( 또는 지하철 ) 운행경로들 일부와 설치된 접속점들에 대해 작성된 기재 예를 포함하고 있다.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는, 임의 교통수단에 탑승하였을 때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동하게 되는 고정된 경로( 위 예에서, 각 버스 또는 지하철의 운행경로 )상에 있는 각 접속점을 발원(發源) 접속점(300)으로 하여, 그와 고정 경로상에서 전후로 인접된 접속점의 식별정보(310)와, 그 인접 접속점까지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320)( 이하, "구간 소요시간"으로 칭한다. ), 그리고 그 인접 접속점( 실제적으로, 그 인접 접속점에 의한 신호가 도달되는 거리내의 특정 장소 )에서 해당 교통수단이 머무르는 시간(330)( 이하, "재역(在域) 시간"으로 칭한다. )에 대한 정보가 기 파악되어 접속점 구간정보로서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인접 접속점까지의 도달 소요시간은, 각 정류장( 또는 각 역(驛) )간의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 소요시간으로 파악된 것이며, 그 사이에 접속점이 없는 정류장( 또는 역 )이 있는 경우에는 거기서 버스( 또는 지하철 )가 머무르는 시간이 당연히 포함되어 계산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 및 3b의 예에서, 구간 소요시간 Tint_100_101(341)은 해당 구간(LM1_k+1)의 운행 소요시간 TM1_k+1에 해당하며, 구간 소요시간 Tint_100_99(342)는, 해당되는 각 구간(LM1_k, LM1_k-1)의 운행 소요시간의 합(=TM1+k+TM1_k-1)에 그 사이의 한 개의 정류장( 또는 역 )(31)에서 버스( 또는 지하철 )가 평균적으로 머무르는 시간을 더한 시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접속점 식별정보, 예를 들어 "AP_100"을,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검색하여, 그 접속점 식별정보가 기재된 체인정보 엔트리(entry)에서의 전 또는 후의 인접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인접 접속점과 관련된 타이밍 정보, 즉 그 인접 접속점까지의 구간 소요시간과, 그 인접 접속점에서의 재역 시간을 읽어서 그 읽은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한다.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식별정보 "AP_100"의 접속점은 2개의 버스( 또는 지하철 ) 운행경로(M1, M2)가 교차하는 정류장( 또는 역 )에 설치된 것이어서, 해당 접속점에 대해서는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2개의 체인정보 엔트리들(301)들이 등재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접속점 식별정보 "AP_100"을 수신한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예시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전제할 때,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은, 3개의 인접 접속점을 선착(先着) 접속점(401)으로 하여 그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는,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의 접속점(AP_100)을 공통 시점(始點)으로 한 3개의 접속점 구간정보( 즉, 3개의접속점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각기 정해진 구간에 대한 정보 )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상기 접속점 AP_100의 서비스 존에 진입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어떤 대중 교통수단을 선택하여 어떤 방향으로 이동할 지 알 수 없으므로,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해당 접속점(AP_100)을 기점으로 하여 인접된 접속점들( 도 3b의 예에서 점표시된 블록의 3개의 접속점들 )에 대한 식별정보와 타이밍 정보를 가능경로 엔트리 정보로서 접속점 순차정보에 포함시키게 된다.
도 4a에 예시된 접속점 순차정보는, 가능한 이동경로를 따른 접속점들에 대해서 1단(段)으로 구성한 것이지만,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각 가능한 이동경로를 따른 접속점을 그 순서에 따라 다단(多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b는 이러한 방식으로 작성된 접속점 순차정보의 예로서, 인접된 접속점 AP_101의 경로상의 다음 접속점 AP_102에 대한 정보(411)도 포함되어 구성된 것이다. 즉, AP_101을 선착 접속점으로 하는 가능 경로 엔트리는 2개의 접속점 구간정보( 기점 접속점 AP_100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인접 접속점 AP_101이 종점(終點)이 되는 제 1접속점 구간과 인접 접속점 AP_101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그에 인접된 접속점 AP_102가 종점(終點)이 되는 제 2접속점 구간에 대한 정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주어진 기점 접속점에 대한 하나의 인접 접속점이 파악되면, 그 인접 접속점이 발원 접속점으로 등재된 체인정보 엔트리에서 그 인접 접속점의 방향( 도면에서의 역방향("Backward") 또는 정방향("Forward") )과 동일 방향으로서 등재된 접속점을 다음 단의 접속점으로 하여,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속점 순차정보를 다단으로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어진 기점 접속점 AP_100의 정방향 인접 접속점으로 파악된 접속점 AP_101에 대해서, 그 식별정보가 발원 접속점으로 등재된 체인정보 엔트리(302)에서 정방향 인접 접속점으로 등재된 접속점 AP_102에 대한 정보를,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의 접속점 정보(411)로서 기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인접 접속점 AP_101을 발원 접속점으로 하는 체인정보 엔트리가 복수개 등재되어 있다면, 다단( 본 예에서, 2단 )으로 기재된 접속점 항목이 복수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2단으로 포함시킨 상기 접속점 AP_102를 발원 접속점으로 하는 체인정보 엔트리에서 동일 방향으로 인접된 접속점이 또 있으면 그 접속점의 정보를 그 다음 단으로 추가하여 접속점 순차정보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b에 예시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는, 접속점 AP_100의 역방향 인접 접속점(AP_99)을 발원 접속점으로 한 엔트리(303)에는 동일 방향, 즉 역방향 인접 접속점이 등재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접속점 AP_100의 다른 경로상의 정방향 인접 접속점(AP_111)을 발원 접속점으로 한 엔트리(304)에도 동일 방향, 즉 정방향 인접 접속점이 등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 4b에 예시된 접속점 순차정보에서는, 해당되는 각 인접 접속점을 선착 접속점으로 하는 가능경로 엔트리(420)가 1단으로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바의 접속점 순차정보의 구성은,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경로가 고정되어 있어 그에 대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도 확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시간 또는 요일에 따라 대중 교통수단이 운행하는 경로가 달라지는 경우( 예를 들어, 심야시간대의 지하철 운행경로가 단축되는 경우 등 )도 있으므로, 접속점간의 체인정보도 시간에 따라 또는 요일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대해서, 시간대 또는 요일에 따라 구분하여 각기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접속점 순차정보가 요청된 시간대 또는 요일에 대응하는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시간대 또는 요일을 달리하여 동일 접속점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의해 구성되는 그 접속점을 기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도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성하는 접속점 순차정보에서, 접속한 접속점에 대한 인접 접속점( 즉, 구간의 종점(終點) 접속점 )에 대한 정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중 교통수단에 의한 고정된 이동경로상의 접속점들에 대한 순차정보외에, 무선통신 단말기 이용자의 도보, 또는 자전거 등을 이용한 자유로운 이동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예에서, 접속점 AP_101이 버스( 또는 지하철 )를 탑승하지 않고 도보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또는 자전거로 빈번이 이동하는 거리인 경우, 접속점 AP_100의 서비스 존에 진입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도 4c에서와 같이, 도보 이동에 따른 인접 접속점으로서의 가능경로 엔트리(430)를 포함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엔트리의 구간 소요시간(431)은 당연히 평균적인 도보속도에 의해 파악된 이동시간이며, 해당 접속점에서 머무르는 시간(432)은, 해당 접속점(AP_101)에 의한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 즉 서비스 존을 도보로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 본 명세서에서는 "재역(在域) 시간"의 용어를 이러한 시간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한다. )에 상응하는 값(Tthru_101)일 수 있다.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이동가능한 경로상에 있는 접속점에 대한 가능경로 엔트리를,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주어진 기점 접속점으로부터 이동가능한 경로상에서 검색될 수 있는 접속점들에 대해서 특별한 용도를 지정하여, 그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는 접속점 순차정보에 참조정보로서 포함시킬 수도 있다.
특별한 용도의 하나로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가능한 이동 경로들 중 하나의 경로를 확정하거나 또는 검증하기 위한 용도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a는 접속점에 대한 정보가 이러한 접속점 구간 확인용도로서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의 부분적인 대중교통의 운행경로상의 접속점 배치 예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진입한 서비스 권역의 접속점(AP_100)에 인접된 접속점(AP_111)간의 버스( 또는 지하철 ) 운행구간사이에 별도의 접속점(AP_t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접속점(AP_t1)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이동 경로 확정( 또는 검증 )에 이용할 수 있도록,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접속점 순차정보에 해당 가능경로 엔트리(510)에 대한 참조정보(520)로서 포함시키게 된다.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참조정보(520)에는, 그 특정 용도의 접속점이 검색가능해 지는 시간격 값(521)이 기재된다. 이 시간격 값(521)은, 작성된 접속점 순차정보의 기점 접속점(51)( 그 접속점이 설치된 정류장(51bs) )으로부터 그 특정 용도의 접속점 검출지점까지의 이동시의 소요시간(Tint_100_t1)이거나, 아니면 그 특정 용도의 접속점이 검출된 후 재검출이 안되는 지점부터 해당 경로상의 다음 접속점(52)( 그 접속점이 설치된 정류장(52bs) )까지의 이동시의 소요시간(Tint_t1_11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조정보(520)에는, 그 참조정보가 사용되는 용도를 식별케 하는 지시정보(522)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b의 예시에서는 "경로 확정용"을 지시하는 정보가 기재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당연히 다른 용도를 위한 것일 경우에는 그 용도를 지시하는 정보가 기재된다. 물론, 상기 참조정보(520)가 기 정해진 단일의 용도, 예를 들어 "경로 확정용"으로만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도 지시정보는 당연히 참조정보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용도의 참조정보도 단수가 아닌 복수개 포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능경로 엔트리상에 그 경로임을 확정하거나 검증하는 데 이용될 접속점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참조정보가 그 엔트리에 복수개 부가될 수 있다.
전술한 접속점의 특별한 용도의 다른 하나로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가능한 이동 경로상에서의 접속점의 임의적 사용을 지정하기 위한 용도가 해당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이러한 접속점의 임의적 사용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접속점들이 설치된 지하철 역들로써 구성된 부분적인 지하철 노선에 대해, 만약,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그 역들 중의 하나의 지하철 역(SS_N)에 진입(p6)하여 그 역에 설치된 하나의 접속점(sAPN1)에 접속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였다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1단으로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 즉 그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b에 예시된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재되는 인접 접속점까지의 구간 소요시간(61)은, 지하철이 해당 역간을 운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해당하며, 그 접속점에서의 재역 시간(62)은, 그 인접 접속점이 설치된 역에서 지하철이 정차해 있는 시간에 해당한다.
그런데,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Wi-Fi 망(1)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접속점(mAPKi)이 운행하는 차량의 각 객실에도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기점 접속점(sAPN1)이 설치된 역(SS_N)에서 지하철을 탑승하여 다음 역(SS_N+1 또는 SS_N-1)에 도달할 때까지 지하철의 임의 객실내의 접속점(mAPKi)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시 및 방향에 따라 해당 역(SS_N)에 진입하는 지하철은 달라지므로, 그 이동성의 접속점을 특정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전 정보가 필요하다. 각 노선에 대한 모든 지하철의 요일에 따른 운행시각표를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역(SS_N)에 그 시점에 진입하는 차량에 설치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이동성 접속점들에 대해서는, 참조정보로서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6d는 본 실시예에 따라 작성된 접속점 순차정보의 예로서, 상기 기점 접속점(sAPN1)에 대해서 참조정보(640)가 기재된 것이다. 예시된 참조정보(640)는, 해당 용도의 대상이 되는 AP에 대해서 임의의 어떤 접속점이라도 해당됨을 지시하는 정보(641)와, 그 이용요건을 규정하는 정보(642)와, 해당 참조정보의 용도를 지시하는 정보(64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용요건을 규정하는 정보(642)는, 예를 들어 접속점에 대한 SSID이거나 또는 최저 신호세기 등을 규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경우에 대한 상기 용도 지시정보(643)는, 가능경로 엔트리에서 지정된 접속점과의 구간( sAPN1과 sAP(N+1)1간 또는 sAPN1과 sAP(N-1)1간 )에서 임의적으로 접속점을 이용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내용이 기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지정된 참조정보가 있으면, 이 후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수신하여 저장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서 해당 기점 접속점(sAPN1)과의 접속이 해제되거나 일정이하의 신호세기가 검출되는 시점에 그 참조정보(640)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임의의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접속 처리부(212)로 하여금 그 접속점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6d에 예시된 참조정보(640)는, 기점 접속점과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 상기 기점 접속점에 인접된 접속점 )간에 검색되는 임의의 접속점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정보가 다른 포맷으로 또는 예시된 정보요소들의 일부가 배제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sAP(N+1)1, sAP(N-1)1)과 그와 인접된 접속점간의 구간( 즉, 그 가능경로 엔트리 )에 대해서도 각기 참조정보를 부가하여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결합된 실시예에 따라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면, 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앞선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상기 Wi-Fi 망(1)(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셀룰러 망(10) )을 통해 전송하게 되고, 그 전송된 접속점 순차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상기 Wi-Fi 모뎀(22a)과 Wi-Fi 코덱(22b)( 또는 상기 셀룰러 모뎀(21a)와 셀룰러 코덱(21b) )을 거쳐 데이터로 복원되어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운영시스템(200a)은 해당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서 분석하여 세션을 식별한 후 그 세션과 연관되어 있는 이전에 생성하였던 통신소켓을 통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로 전달한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접속점 순차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 후, 도 7에 예시된 바와같은, 그 저장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반한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수신하여 저장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재된 기점 접속점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그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 여부 또는 수신 신호세기의 크기를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주기적으로 확인한다(S70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그 기점 접속점( 접속점 순차정보가 다단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각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과 그 이후의 인접 접속점도 포함하여 )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할 한계 신호세기 값, 예를 들어 -80dBm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접속점에 대한 한계 신호세기 값을 기 확인하여 저장하고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점 접속점에 대한 한계 신호세기 값이 기재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확인되는 현재 접속된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상기 기재된 한계 신호세기 값이하가 될 때 해당 접속점으로부터의 이탈로 판단한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의 주기적 확인대신, 접속 해제시 또는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특정 세기이하인 경우에 이벤트를 발생하도록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등록요청함으로써, 기점 접속점( 또는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 )으로부터 이탈되었음을 통지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이탈을 확인하거나 또는 통지받게 되면 상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재된 각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구간 소요시간에 대해 타이머를 구동시킨다(S701).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은 접속점 순차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도 8과 같이 기점 접속점(AP_100)으로부터 이탈(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접속점과의 접속이 해제되거나 신호세기가 지정된 한계 세기이하가 된 경우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되는 시점에, Tint_100_99, Tint_100_101, Tint_100_111의 시간값을 갖는 타이머의 실행을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한다(80). 그리고, 구동시킨 각 타이머와 연관된,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211a)의 가능경로 엔트리를 참조하는 인덱스(810)를 기록해 둔다. 물론, 도 5b에서와 같이, 경로 확정 또는 검증을 위한 참조정보가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당 참조정보에서 지정된 시간격을 위한 타이머도 구동시키고(81) 그 타이머에 대해서는 연관된 참조정보를 인덱스하기 위한 정보를 기록해 둔다(811).
한편, 각 가능경로 엔트리 등에 등재된 구간 소요시간에 대한 타이머를 구동시킬 때는, 기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일정 시간을 단축시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교통수단 또는 도보 등을 이용한 구간이동 시의 시간적 변동성을 고려하고, 또한 가능경로 엔트리에서 지정된 접속점을 지나치지 않고 확실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단축시키는 시간길이는, 예를 들어 각 엔트리에서 지정된 구간 소요시간의 5%~20%의 범위에 해당하는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가능경로 엔트리 등에 등재된 구간 소요시간에 대한 타이머를 구동시킬 때, 기 지정된 방식에 따라 일정 시간을 연장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구간이동 시의 시간적 변동성을 대비하고 접속점 검출의 안정성을 위해 충분히 구간 소요시간을 짧게 하여 접속점 체인정보 또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간 소요시간의 단축 또는 연장에 따른 시간길이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제공하는 환경설정을 통해서 사용자가, 구간 소요시간에 대한 임의의 비율로써 또는 절대적 시간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의 가능경로 엔트리들의 구간 소요시간들 중 최단 시간이, 기 지정된 일정 시간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여 상기 Wi-Fi 망(1)을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자원( 상기 Wi-Fi 모뎀(22a)과 Wi-Fi 코덱(22b) )에의 전력공급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소모전력을 상당히 절감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시킨 각 타이머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또는 그에 기반한 연결 관리 어플 등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 행하는 일반적 검색주기, 예를 들어 15~20초범위의 주기로 상기 Wi-Fi 망(1)을 검색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검색되는 접속점에 대한 접속요건을, 통상의 접속요건보다 더 강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하지 않는 일반적 검색에서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 기준 신호세기가 -75dBm이라면,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의한 접속점간의 구간내에서( 즉, 타이머가 진행중인 경우 ) 검색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 기준 신호세기는 -65dBm과 같이 보다 더 엄격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 타이머가 진행되는 동안에, 반복적 검색을 위한 주기를 앞서 언급한 일반적인 검색주기인 15~20초에 비해서 더 길게 하여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접속점간의 구간내에서 이루어지는 검색 횟수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되는 주기는, 가능경로 엔트리들의 구간 소요시간들 중 최단 시간의 일정 비율, 예를 들어 10%~50% 범위의 비율에서 상기 일반적 검색주기보다 큰 시간격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구동시킨 타이머들의 어느 하나가 타임아웃이 될 때까지, 상기 Wi-Fi 망(1)의 검색을 중단하도록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설정한다. 이는 Wi-Fi 망의 검색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도 6d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간내 임의적 이용"을 지정하는 참조정보(640)가 상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기점 접속점과의 이탈이 감지된 시점에 상기와 같이 가능경로 엔트리의 각 구간 소요시간에 대한 타이머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그 구동시킨 각 타이머의 타임아웃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주변 접속점의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이, 상기 참조정보(640)에서 지정하고 있는 요건( 이용요건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에 의한 이용요건 )을 충족하고 있으면,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통지하면서 무조건적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만약, 이용요건이 없으면 검색된 접속점들 중에서 가장 신호세기가 좋은 접속점을 특정하여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무조건적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한편, 기점 접속점으로부터 이탈한 후, "구간내 임의적 이용"을 위한 참조정보가 부재하여, 해당 이동구간내에서 상기 Wi-Fi 망(1)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 또는 그에 기반하여 실행되는 타 프로세스 또는 어플 등( 이하, "실행 개체"로 칭한다. )에 의해 접속 통신망이 상기 셀룰러 망(10)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각 구간 소요시간에 대한 타이머의 구동 후에, 어느 하나의 타이머의 타임아웃(time-out)이 감지되면, 예를 들어, 상기 운영시스템(200a)으로부터 통지되면(S702),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시점(901)부터 일정 시간폭의 시간창을 설정하고 그 시간창 동안에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상기 Wi-Fi 망(1)에 대한 주변 검색을 반복적으로 요청한다(S703). 도 9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상기 시간창을 설정하는 방식의 한 가지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시간창(910)의 폭은,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재된 가능경로 엔트리의 구간 소요시간( 또는 참조정보의 시간격을 포함하여 )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구동시에 그 시간을 단축시켰다면 그 단축시킨 시간(911)과, 해당 엔트리의 재역 시간의 일정비율, 예를 들어 50%의 시간(912)을 더한 값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엔트리에 재역 시간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지정된 디폴트(default) 시간이 상기 단축시킨 시간(911)에 더해질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설정한 시간창(910)내에서는, 일정 주기, 예를 들어 상기 운영시스템(200a) 등이 상기 Wi-Fi 망(1)을 검색하는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주변 접속점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한 시간창(910)내에서, 검색요청하는 시간격을 가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한 시간창(910)이 시작되는 시구간보다 끝나가는 시구간에서 보다 검색간격이 조밀해 지도록 검색 요청간격을 변동시킬 수도 있다(920).
전술한 바의 각 검색 요청에 대하여 상기 운영시스템(200a)으로부터 검색된 결과가 통지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그 검색결과를 확인하고, 그 검색결과에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타임아웃된 타이머에 연관된 인덱스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가능경로 엔트리( 또는 참조정보 )에 등재된 접속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S710). 만약, 상기 설정한 시간창(910)내의 반복적 검색동안에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지 않은 경우에는, 그 타이머가 앞서 구동시킨 타이머의 마지막이 아니면(S721) 다음 타이머의 타임아웃을 대기한다.
만약,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으면, 상기 설정한 시간창(910)내에서의 더 이상의 검색요청은 하지 않고, 상기 타임아웃된 타이머에 연관된 엔트리의 종류, 예를 들어 가능경로 엔트리인지, 참조정보, 예를 들어 경로 확정 또는 검증용 참조정보인지를 확인한다(S711). 참조정보이면, 그 참조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가능경로 엔트리에 대해 구동된 타이머( 그 가능경로 엔트리에 부가되어 있는 또 다른 참조정보가 있으면 그 참조정보에 대해 구동된 타이머도 포함 )를 제외하고 나머지 타이머에 대해서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그 진행을 중단시킨다(S714). 이는, 현재 무선통신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로가 확인된 것이므로 나머지의 가능경로에 대해서는 이 후 확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만약, 가능경로 엔트리로서 확인되면, 현재 구동중인 모든 타이머에 대해서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그 진행을 중단시킨다(S712). 그리고, 그 가능경로 엔트리에 등재된 선착 접속점을, 상기 Wi-Fi 망(1)의 연결을 위한 접속점으로 또는 전환할 접속점으로( 현재 타 접속점을 통해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 결정한다(S713). 이 결정시에는, 그 접속점의 현재 신호세기는 불문한다. 다시 말하면, 임의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준 신호세기( 예를 들어, 접속점 순차정보에 의하지 않고 임의의 검색에 의해 보이는 접속점에 대해 접속할 때의 최저 신호세기 )보다 훨씬 더 낮은 신호세기이더라도, 엔트리에 등재된 선착 접속점과 일치하는 검색된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등재된 가능경로 엔트리의 접속점이 비록 미미한 신호세기이지만 검색되었다는 것은, 매우 높은 신호세기를 보이는 상태가 곧 만들어지고 그 상태가 통신상황 또는 통신환경에서의 유효한 의미를 갖는 시간동안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접속하기로 결정한 접속점에 대한 경로가능 엔트리에 등재된 재역 시간을,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전달하여 접속점에의 선택적 접속을 요청한다. 이 선택적 접속요청이 있으면,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그 전달된 재역 시간, 그리고 현재의 통신상황 또는 통신환경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상기 통지된 접속점에의 접속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이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접속할 접속점을 선정하여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통지할 때, 요청하는 유형( 예를 들어, 무조건적 또는 선택적 접속 요청 )을 구분하지 않고 접속요청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하기로 결정한 접속점에 대한 경로가능 엔트리에 등재된 재역 시간을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접속점 체인정보에, 그리고 그에 기반해 구성되는 접속점 순차정보에 재역 시간 필드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접속요청 후에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타임아웃된 타이머에 연관된 가능경로 엔트리가, 도 4a에서와 같이 1단으로 작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처리부(212)로부터의 Wi-Fi 망 접속성공의 통지를 대기하게 된다. 대기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해당 엔트리의 재역 시간의 1/2에 해당하는 시점까지일 수 있다. 만약,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접속 처리부(212)로부터 Wi-Fi 망에의 접속성공 통지가 없으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상기 셀룰러 망(10)에의 접속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상기 셀룰러 망(10)에 접속되면, 전술하였던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타임아웃과 관련된 경로 가능 엔트리에 등재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그 접속점을 기점 접속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게 되고, 만약, 상기 대기시간내에 상기 접속 처리부(212)로부터 Wi-Fi 망에 대한 접속성공이 통지되면, 상기 경로 가능 엔트리에 상기 접속성공한 접속점 다음 단의 접속점이 추가 기재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다음 단의 접속점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확인하고, 접속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확인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함으로써, 그 접속점을 기점 접속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앞서 저장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를 갱신하게 된다(S714). 만약, 상기 타임아웃된 타이머에 연관된 가능경로 엔트리가, 도 4b에서와 같이 다단으로 작성되어 있고 현재 접속성공한 접속점의 다음 단의 접속점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엔트리의 1단의 접속점은 기점 접속점으로,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 이 항목 또한 복수개일 수 있다. )의 정보는 가능경로 엔트리 정보로서 이용하게 된다(S714). 예를 들어, 도 4b와 같이 구성된 접속점 순차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만약, 구간 소요시간 Tint_100_101이 타임아웃되었을 때 검색된 접속점들 중에 식별정보가 "AP_101"인 접속점이 있다면, 그 접속점을 전술한 바의 기점 접속점으로 적용하게 된다. 즉, 접속점 AP_101로부터 이탈을 모니터링하고 이탈이 감지된 시점에, 그 엔트리상의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411)에 있는 구간 소요시간(Tint_101_102)의 타이머의 구동을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게 된다. 이 타이머의 타임아웃이 되면 앞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그 접속점 항목(411)의 재역 시간을 해당 항목의 접속점 식별정보 "AP_102"와 함께 상기 접속 처리부(212)에 전달하면서 선택적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 이후 단이 더 있는 경우 그 단의 접속점 항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행된다.
한편, 검색된 접속점들 중에, 타임아웃된 타이머에 연관된 엔트리에 등재된 접속점과 일치하는 것이 없고, 그 타임아웃된 타이머가, 앞서 구동시킨 타이머들 중 마지막에 해당하면(S721),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이 경우에 대해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Wi-Fi 망(1)에 대한 검색을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게 된다(S722). 상기 설정된 규칙은, 현재 Wi-Fi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대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상기 Wi-Fi 망(1)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고, 검색없이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는 지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타 어플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필요 시에 상기 Wi-Fi 망(1)에 접속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위 마지막 타이머 확인단계(S721)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부가되어 있는 "구간내 임의적 이용"을 위한 참조정보에서 지정한 접속점( 예를 들어, 지하철 객차내에 설치된 이동성 접속점 )에 접속된 상태에서, 가능경로 엔트리로서 지정된, 지하철 역내에 설치된 접속점에 대한 검색이 실패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위 설명한 어떠한 경우이던, 새로운 접속점을 통해 상기 Wi-Fi 망(1)에 접속되는 경우( 즉, 상기 셀룰러 망(10)에서 상기 Wi-Fi 망(1)으로 전환접속되는 경우 또는 상기 Wi-Fi 망(1)이 기존 접속점, 예를 들어 이동성 접속점에서 새 접속점으로 전환되어 연결되는 경우 )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접속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새로운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게 된다(S723).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과정들에 의해 새로운 접속점을 기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전술한 바의, 그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기반한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로부터 접속요청을 받은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그 접속요청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그 요청에 부응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로부터의 무조건적 접속을 요청받은 경우에는, 그 요청에 수반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지정하여 상기 Wi-Fi 망(1)에의 접속을 바로 요청하게 된다. 이 요청에 따라 해당 망으로의 접속성공이 상기 운영시스템(200a)으로부터 통지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접속된 통신망의 커넥션 유형(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API를 통한 망접속 정보 요청에 대해 제공하는 정보에는, 접속된 통신망으로부터 할당받은 접속 IP주소와, 연결된 통신망의 커넥션 유형( 예를 들어, 3G 이동전화 통신망, Wi-Fi 망 ) 등이 포함된다. )을 확인하여 접속성공된 것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그 접속성공 사실을 무조건적 접속을 요청한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알리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요청 유형 없이 접속요청된 경우에도,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그 접속요청에서 지정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지정하여 상기 Wi-Fi 망(1)에의 접속을 바로 요청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로부터의 요청이 선택적 접속이면,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그 요청과 함께 수신된 재역 시간에 근거하여 해당 접속점에 접속할 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신된 재역 시간이, 접속을 위한 기준 시간폭보다 큰 경우에 해당 접속점에 접속할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기준 시간폭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상 접속전환과정에 걸리는 시간, 예를 들어 2~5초의 일정배수, 예를 들어 2~5배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 시간폭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 또는 접속점의 서비스 품질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이동성 접속점(mAPKi)을 통해 상기 Wi-Fi 망(1)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200a)으로부터 확인되는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기준치보다 낮은 값이면, 그 기준치와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폭을 축소하여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파악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212)가,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아닌 타 실행개체가 원격지의 파일 데이터에 대해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속도( 다운로드 요청은 그 요구 전송속도를 무한대로 간주한다. )를 파악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속도가 일정 기준속도보다 낮으면서 또한 상기 파악된 요구 전송속도보다 낮은 경우, 그 차에 따라 품질의 불량정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폭을 축소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판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통신망이 상기 셀룰러 망(10)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타 실행개체가 원격지 파일 데이터에 대해 요구하는 전송속도를 상기 접속 처리부(212)가 파악하는 것은,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프로세스간의 정보/명령 등의 교환을 위해 정의한 정보포맷에 부합하여 구성한 정보 구조제(體), 예를 들어 인텐트(intent) 오브젝트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행개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프로세스의 ID, 패키지명 등 )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여 얻어지는 현재의 실행 프로세스 현황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확인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접속 처리부(212)가 기 지정된 특정 서버에 기 약속된 테스트 파일을 요청하여 그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데이터의 수신 속도를 측정하여 그로부터 현재의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추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데이터 수신속도를, 도 10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주기에 따른 각 시점(ti, i=..,k-1,k,k+1,..)에 확인되는 프로세스별 또는 전체 수신 데이터의 누적 수신량을 그 주기로써 나누게 되면 프로세스별 또는 전체의 데이터 수신속도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데이터 수신량에 따라 상기 선택적 접속 요청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수신량에 따른 결정을 위해, 상기 접속 처리부(212)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여, 각 프로세스별 누적 사용된 데이터량에 대한 정보인 데이터 통신내역(1001i, i=..,k-1,k,k+1,..)을 획득하고, 그 획득된 각 데이터 통신내역으로부터 총 수신량(ΣNjRi, j=1,2.3,…, i=..,k-1,k,k+1,..)을 파악한 뒤, 각 획득 시점간의 데이터 변화량(rDDi, i=..,k-1,k,k+1,..)을 파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파악되는 데이터 변화량이 해당 시구간(ti-ti-1, i=..,k-1,k,k+1,..)동안의 총 데이터 수신량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 처리부(212)는, 상기 선택적 접속 요청이 있게 되면(1011), 그 시점 전에 파악하고 있는 실시간 데이터 수신량(rDDk+1)( 또는 그 이전 몇 개의 파악된 수신량들의 평균치 )이 기 지정된 문턱치이하이면, 상기 접속 요청과 함께 수신된 식별정보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을 행하지 않는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수신하는 데이터량이 얼마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새로이 발견된 이동 경로상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이용자의 잇점이 미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기 지정된 문턱치이상이면, 상기 통지된 식별정보의 접속점에 대해서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접속요청하고, 그에 따라 해당 접속점에 접속성공하면 그 사실을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알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실시간 데이터 수신량에 따른, 접속 요청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여부의 결정을,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재역 시간에 근거해 접속 결정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더 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선택적 접속요청과 함께 수신된 재역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폭의 요건을 만족할 때, 추가적으로 실시간 데이터 수신량에 근거해 해당 접속점에의 접속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 들간에 그 선후를 바꾸어서 접속결정에 고려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처리부(212)가, 선택적 접속요청된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는, 그 요청과 함께 수신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리턴하면서 "접속 비전환"을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통지하게 된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이러한 통지가 있으면, 그 통지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여 그 접속점을 기점 접속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하게 된다. 물론, 이 때는, 현재 접속된 상기 셀룰러 망(10), 또는 타 접속점을 통해 현재 접속된 상기 Wi-Fi 망(1)을 통해 상기 AP정보 서버(100)와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만약, 앞서 수신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상기 "접속 비전환" 통지된 접속점이 등재된 가능경로 엔트리내에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이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통지된 접속점을 기점 접속점으로,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의 정보는 가능경로 엔트리 정보로서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 비전환" 통지된 접속점에 대해서는 현재 접속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접속 비전환"의 통지가 있는 시점부터, 그 통지된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그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한계 세기이하가 되면 이탈로 판단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근거해, 이동 중에 그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서 지정된 접속점에 대해서 바로 접속하거나 또는 선택적 접속을 행하게 되면, 접속점 구간상에 지정되지 않은 임의의 접속점이 이동 중에 검색되어도 불필요한 접속을 하지 않음으로써 전환에 따른 시간소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한 접속점에 대한 접속이 적용되지 않은 무선통신 단말기는, 그 운영시스템이나 어플 등에 의해 상기 Wi-Fi 망(1)에 대한 주기적인 검색이 수행되고, 매 검색시 최고 신호세기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예에서와 같은 경우에, 이동 경로(LM2_n) 상에 있는 별도 접속점(AP_t1)이 이동 중의 주기적인 검색에 의해 발견되면 그 접속점으로 접속전환이 될 수 있고, 도 6a의 예에서와 같은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지하철 역 SS_N에서 접속점 sAPN1에 접속한 뒤 지하철을 탑승하여 다른 지하철 역(SS_N+1)으로 진입하는 중에, 그 지하철 역(SS_N+1)의 진입지점의 접속점 sAP(N+1)2이 주기적인 검색에 의해 발견되면, 그 접속점(sAP(N+1)2)으로 접속전환될 수도 있다(지하철 차량내에 설치된 접속점에 의한 신호품질보다 지하철 역내 설치된 접속점의 신호품질이 통상 더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 하지만, 전자의 경우나 후자의 경우 모두, 짧은 시간 스쳐지나가는 접속점일 뿐이어서, 이들에 접속전환하더라도 바로 타 통신망( 도 5a의 경우에 상기 셀룰러 망(10) ) 또는 타 접속점( 도 6a의 경우에, 지하철이 정차하였을 때 인접하게 되는 접속점 sAP(N+1)1 )으로 접속전환될 수 있다. 즉, 중간에 지나치는 접속점으로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그 접속전환과 이후 재전환을 위한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됨으로써, 짧은 시간 지나치게 되는 접속점에 대해서는, 가능경로 엔트리에서 배제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그러한 접속점에 대한 접속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접속전환 시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접속점 순차정보의 요청이 있게 되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한 접속점을 기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그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Wi-Fi 망(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도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현재 연결된 상기 셀룰러 망(10)을 통해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할 때, 자신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가입자 전화번호를 함께 제공하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단말기 고유 식별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특정 서버,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망(10)의 위치정보 서버에 전달하면서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기 셀룰러 망(10)의 각 기지국에 도달하는 신호의 세기로부터 파악된 대략적인 위치( 영역 )정보가 실시간으로 집중된다. 상기 위치정보 서버는, 상기의 위치정보 요청에 대해,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중심 좌표와 반경정보 )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도 3a와 같이 구축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발원 접속점들(300)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의 구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을 특정한다. 이를 위해,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는 각 발원 접속점(300)에 대한 위치좌표가 기 수록되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1a에 예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통신 환경하에서,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각 발원 접속점(300)의 위치좌표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의 영역(1100)에 속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로부터 해당 영역(1100)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된 접속점들(AP_a,AP_b,AP_p)에 대해서는, 도 11b에서와 같이 그 각각을 기점후보 접속점(1110)로 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게 된다. 각 기점후보 접속점(111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참조하여 가능경로 엔트리들을 부가하게( 또는 참조정보를 더 포함시키게 ) 된다.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상기 Wi-Fi 망(1)으로 접속전환되는 지를 모니터링하고, 접속전환되면, 그 때 접속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의 기점후보 접속점에서 검색한 뒤, 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기점후보 접속점과 그에 부가된 가능경로 엔트리 등을 유효 접속점 순차정보로 간주하여( 타 기점후보 접속점에 대한 정보와 그에 대한 가능경로 엔트리들은 삭제하거나 또는 무시한다. ), 전술한 바와 같은 접속점 순차정보에 기반한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 Wi-Fi 망(1)을 접속하게 된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기점후보 접속점이 상기 수신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없다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그 수신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삭제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접속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그 접속점을 기점으로 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를 접속점 검색/접속에 이용하게 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직접 현재 위치좌표를 얻는 수단, 예를 들어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현재 상기 셀룰러 망(1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그 GPS 모듈이 파악하는 현재의 경위도 좌표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위치좌표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본 경우에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상기 위치정보 서버에의 별도의 요청없이 그 수신된 경위도 좌표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에게 구축되어 있는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검색함으로써,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복수개의 기점후보 접속점들(1110)을 갖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의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가 상기 AP접속 관리기(210)에 직접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Wi-Fi 망(1)의 하나의 접속점에 접속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자신에게 구비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발원 접속점들에서 검색하여 하나 이상 찾고, 그 찾아진 식별정보의 체인정보 엔트리에 기재된 각 방향의 인접 접속점을, 전술한 바의 가능경로 엔트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접속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자신에게 기 구비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검색하여,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 있는,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한 뒤, 그 접속점 순차정보(211a)를 이용하여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실행될 때,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가 획득되어 저장되어 있는 지를 확인하고, 획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임의의 연결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요청하여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에게 구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그 위치를 파악(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직접 제공하는 현재 위치좌표 정보로부터,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바의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파악 )하고, 그 위치가 속한 지역( 예를 들어, 소도시, 대도시, 또는 대도시권 등 )의 공중을 위한 지역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지역용 접속점 체인정보는, 그 파악된 지역에 설치된 역내(域內) 접속점들이 발원 접속점으로 등재된 체인정보 엔트리들의 집합이 된다. 구분된 둘 이상의 지역을 가로지르는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경로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타 지역에 속하는 발원 접속점을 갖는 일부 체인정보 엔트리가 해당 지역에 대한 지역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상기 운영시스템(200a)이 제공하는 적절한 API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 구성한 환경설정창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정보가 있다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그 지역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함으로써, 그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대중 교통수단에 의해 정해진 고정된 경로에 대해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용자의 자유로운 이동, 예를 들어 승용차를 탑승하고 이동하거나, 또는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도보 또는 자전거 등을 이용해 이동함에 따른 그 이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대해, 그 이동 경로상의 접속점들에 대해서 동적으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구축하고, 그 구축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을 위해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무선통신 단말기들에대해 개별적으로 구축하는 개인용(private) 접속점 체인정보(1200)의 구성 예로서,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새로이 접속한 접속점, 그리고 앞서 이탈한 접속점, 그리고 이탈시점부터 상기 새 접속점에 접속할 때까지의 소요시간, 그리고 상기 새로이 접속한 접속점으로부터 이탈된 시간을 알 수 있는 정보가 수신되면, 그 임의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로서 엔트리를 등재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P접속 관리자(21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상기 Wi-Fi 망(1)에 접속하는 지를 확인하고, 임의의 접속점을 통해 접속하게 되면, 이를 상기 운영시스템(200a)을 통해 확인하여, 그 접속한 시점과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접속한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의 고유 식별정보( 이하, "단말 식별자"로 약칭한다. )와 함께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면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수신된 단말 식별자에 대해,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축되어 있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 그 단말기에 대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엔트리가 없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생성한다. )를 검색하여 수신된 접속점 식별자가 발원 접속점(1210)으로 등재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만약 등재되어 있으면, 그 엔트리( 이는 복수개 일 수 있다. )에 등재된 다음 접속점, 그리고 구간 소요시간, 그 다음 접속점에서의 재역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속점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한다. 물론, 해당 단말기의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음 접속점이 발원 접속점으로 등재되어 있는 엔트리가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점 순차정보를 다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수신된 접속점 식별자를 발원 접속점(1210)으로 하는 엔트리가 없으면, 당연히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접속점 순차정보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접속점 순차정보를,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순차정보 없음"의 지시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앞서의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의 응답으로서 접속점 순차정보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접속점 순차정보(211a)를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가 현재 접속한 접속점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면 그 이탈한 접속점 식별정보와 이탈 시점을 또한 저장한다. 이 때, 이전 접속점에서의 이탈 시점과, 그 이탈 접속점의 식별정보가 앞서 저장되어 있다면, 이를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로서 상기 AP정보 서버(200)에 보고하고,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1301) 다음에 접속하는 접속점에서의 이탈 시에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보고하게 된다(1302). 이 때 보고되는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에는, 그 보고 시점에 이탈된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1310)와 그에 대한 접속 및 이탈 시점(1310a, 1310b), 그리고 이전 접속점의 식별정보(1311)와 그에 대한 이탈 시점(1311b)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시점에 대한 정보대신, 시점과 시점간의 시간격으로써 상기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현재 접속한 접속점에서 이탈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접속점 순차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그 정보(211a)에 기반하여 접속점 검색/접속 동작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임의 주기에 따라 접속점 검색/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새로운 접속점에 접속하게 되면 그 시점을 저장한다. 이 때, 그 접속된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제공하면서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한다. 만약, 앞서 수신한 접속점 순차정보(211a)에, 상기 새로이 접속한 접속점의 가능경로 엔트리에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새 접속점에 접속하였을 때 그 접속점 항목의 정보를 이용하고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새로이 접속한 그 접속점에 대해서도 이탈되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이탈한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이탈 시점 정보, 그리고 앞서 저장하고 있던 접속 시점정보와, 이전에 이탈하였던 접속점의 식별정보 및 그에 대한 이탈 시점에 대한 정보로써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보고한다(1302).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새로이 접속한 접속점에의 접속 시점과 그 이탈 시점간의 시간격이 기 정해진 최소시간, 예를 들어 5~10초이하이면 그 접속점에 대해 접속과 이탈한 시점 정보를 삭제하고, 그 이탈한 접속점에 대해서는 접속이 없었던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즉, 이후에 다시 접속점이 접속되면 그 접속점의 접속 시점과 이탈 시점에 의한 시간격에 근거하여, 그 시점에 앞서 저장된 정보와 함께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여 보고할 지를 결정한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고되는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그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반영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임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 또는 이탈이 발생되는 시점에, 해당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시점정보를, 단말 식별자와 함께 이벤트 정보로서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보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수신되는 각 이벤트의 정보를 모으고, 그 모아진 이벤트 정보들로부터, 앞서 설명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요소들(1230)를 모두 얻게 되면, 해당 단말기에 대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그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반영하게 된다.
먼저,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또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얻어진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의 접속점 쌍(1231)에 대해서, 이전 이탈 접속점을 발원 접속점으로 하고 현재 이탈 접속점을 다음 접속점으로 하여 등재되어 있는 체인정보 엔트리를 해당되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검색한다. 만약, 그러한 엔트리가 찾아지지 않으면, 해당되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새 체인정보 엔트리(1220)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엔트리(1220)의 해당되는 각 필드( 발원 접속점, 다음 접속점, 구간 소요시간, 재역 시간 )에 대한 정보를, 그 수신된 또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얻어진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로부터 파악하여 기입한다(1240). 만약, 그러한 체인정보 엔트리가 찾아지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엔트리에 등재된 타이밍 정보, 즉 구간 소요시간과 재역 시간을 상기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로부터 파악된 시간( 도 12의 Tint_a01_b22, Tstay_b22 )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 정보를 대체하는 대신, 수신된 또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얻어진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1230)의 시간을 반영하여 기존 기재된 타이밍 정보를 새로이 평균하여 그 평균값으로서 갱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각 발원-다음의 접속점 쌍에 대해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획득한 횟수(RI_RecNum)를 해당 체인정보 엔트리에 추가로 기재하고, 해당 엔트리에 대해 새로운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가 획득되면, 그 엔트리에 기재된 타이밍 정보(RegAvTold)( 구간 소요시간, 재역시간 )를 그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에 기재된 대응되는 시간(NowRecT)을 이용하여 다음 식 [1]에 따른 새 평균값(RegAvTnew)을 구한 후 해당 타이밍 정보를 그 평균값으로 갱신하게 된다.
RegAvTnew = (RI_RecNum*RegAvTold + NowRecT)/(RI_RecNum+1) 식 [1]
이전과 현재 이탈한 각 접속점의 식별정보 쌍을 각기 발원 접속점과 다음 접속점으로 하는 체인정보 엔트리가 찾아지는 경우에도, 그 획득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로부터 파악되는 구간 소요시간이, 그 찾은 체인정보 엔트리에 기재된 구간 소요시간과 일정 비율, 예를 들어 2배이상 또는 1/2배이하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획득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에 대해서, 기존 체인정보 엔트리의 타이밍 정보를 갱신하는 대신, 새 체인정보 엔트리를 생성한다. 이는, 발원-다음의 접속점 쌍으로써 지정된 경로 구간이라 하더라도, 그 구간을, 이용자가 차량, 자전거 또는 도보와 같이 서로 다른 이동 수단을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경로 구간에 대한 이동 소요시간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에 별도의 이동가능 경로로서 타이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보고되는, 또는 보고되는 이벤트 정보로부터 얻은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반영하여, 해당되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새 엔트리를 등재시킨 경우에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직전에 등재한( 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직전에 결합한 ) 체인정보 엔트리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용자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유의미한 시간동안 이용할 수 있는 장소( 예를 들어, 정류장 등 )에 설치된 접속점에 따른 것인 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장소에 설치된 접속점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직전 등재한 또는 직전 결합한 엔트리를 상기 등재시킨 새 엔트리와 결합시키게 된다. 즉, 유의미한 시간동안 이용할 수 없는 장소의 접속점에 대해서는 그를 배제하고, 경로 이동상 그 전후의 접속점으로써 엔트리를 구성하게 된다. 도 14는 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 생성하여 부가한 체인정보 엔트리(1410)의 발원 접속점(1411)과 직전 등재한 체인정보 엔트리(1420)의 다음 접속점(1422)이 동일 접속점이면, 상기 직전 등재한 체인정보 엔트리(1420)의 재역 시간(Tstay_b22)을, 기 지정된 유의미한 시간격과 비교하고, 만약 그 시간격보다 더 짧으면, 상기 2개의 연속적으로 등재된 접속점 구간정보에 해당하는 엔트리(1410,1420)를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엔트리로 대체하여 등재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전 등재한 체인정보 엔트리(1420)의 발원 접속점(1421)과, 현재 부가한 체인정보 엔트리(1410)의 다음 접속점(1412)을 쌍으로 하는 엔트리(1430)로 대체한다. 그 대체 엔트리(1430)의 구간 소요시간(Tint_a01_c02)은, 직전 엔트리(1420)의 구간 소요시간(Tint_a01_b22), 재역 시간(Tstay_b22), 그리고 현재 부가한 엔트리(1410)의 구간 소요시간(Tint_b22_c02)을 모두 더한 시간으로 정해지고(1433), 그 대체 엔트리(1430)의 재역 시간(1434)은 현재 부가한 엔트리(1410)의 재역 시간(Tstay_c02)으로 지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존 체인정보 엔트리의 타이밍 정보 갱신, 새 엔트리의 부가, 또는 연속적인 엔트리 쌍의 결합 등의 동작은,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가 획득될 때마다 수행되며, 또한, 그 과정 중에도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이 있게 되면,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그 시점까지 획득된 정보가 반영된 해당 단말기의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시간대( 출퇴근 시간대와 그 외 시간대 등 ) 또는 요일( 평일, 주말/휴일 등 )에 따라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 또는 이벤트 정보가 수신되는 시간대 또는 요일에 의해 특정되는, 구분된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획득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반영( 타이밍 정보 갱신, 새 엔트리의 생성 또는 결합 )하고, 요청되는 접속점 순차정보는 그 구분된 접속점 체인정보에 근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단말기로부터의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에 따라 구축하고, 그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의해 병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AP접속 관리자(210)는 요청하는 접속점 순차정보의 유형을 지정하는 정보를 그 요청에 부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단말 식별자의 요청에의 포함여부가 그러한 용도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경우에는, 상기 AP접속 관리자(210)에 설정되는 환경변수의 값에 의해, 또는 전면실행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5)상에 제공하는 선택버튼 등을 통해 "개인모드"가 지정되었을 때에,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고, 타 모드일 때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기반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모드"가 지정되었을 때는,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여 또는 접속점에의 접속 또는 이탈시에 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단말 식별자와 함께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개인모드"가 아닌 경우에도, 각 접속점 구간에 대한 통계정보의 이용을 위해,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구성하여 또는 접속/이탈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경우에는,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획득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의 이전과 현재 이탈의 접속점들을 각기 발원 접속점과 인접 접속점으로 하는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의 엔트리에 기재된 타이밍 정보에 대해, 상기 획득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의 시간을 통계적으로 반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가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구축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내의 상기 메모리(27)에 구축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추적부(2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하는 각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구축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메모리(27)상에 자신의 접속점 체인정보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시, 즉 상기 Wi-Fi 망(1)의 임의 접속점에의 진입시 자신의 접속점 체인정보로부터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하고( 또는 다음 접속점까지의 구간 소요시간과 재역 시간을 확인하고 ), 그 구성된 정보( 또는 확인된 정보 )에 따라 접속점 검색/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지정된 모드에 무관하게, 각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자신의 접속점 체인정보에 반영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정된 모드가 "개인모드"일 때는 자신의 접속점 체인정보를 이용하게 되고, 다른 모드일 때는, 상기 AP정보 서버(100)에 구축된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이용한 접속점 순차정보를 요청하여 이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운영시스템(200a) 기반하에 실행되는 특정 실행개체,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 도 2b의 220 )는, 상기 운영시스템(200a)에 요청하여 생성한 통신소켓(2201)을 통해 외부 컨텐트 서버(110)로부터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전술한 바의 상기 AP접속 관리자(210)의 동작에 따라, 상기 Wi-Fi 망(1)의 접속점간의 전환 또는 상기 Wi-Fi 망(1)과 상기 셀룰러 망(10)간의 전환이 발생하여도, 데이터의 끊김이나 손실없이 연속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20)는, 요청한 상기 미디어 파일에 대하여 수신하는 데이터의 총량을 모니터링한다. 미디어 파일에 대한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운영시스템(200a)으로부터 접속전환 사실을 통지받으면,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220)는, 새로이 접속된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컨텐트 서버(1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소켓(2202)을 생성하고, 접속 전환전 데이터 수신하던 통신소켓(2201)을 통해 수신한 마지막 데이터에 의한 수신데이터 총량을 확인한 뒤, 그 다음 데이터부터 요청하는 통신규약에 의한 요구, 예를 들어 HTTP Request를 상기 새로이 생성한 통신소켓(2202)을 통해 상기 컨텐트 서버(110)에 송신함으로써, 접속전환에도 불구하고 상기 미디어 파일의 데이터가 이어져 수신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그 동작을 설명한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망 접속기(101), AP정보 처리기(102) 그리고 DB 관리기(1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P정보 서버(100)는 단일의 컴퓨팅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호 독립된 복수개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가 독립된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서버(server)로 구축되는 경우에는, 이들 간에는 전용선 또는 전용망으로 상호 연결되며 적절한 네트워크 보안통신 프로토콜하에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5에 예시된 상기 각 구성요소, 즉 망 접속기(101), AP정보 처리기(102) 그리고 DB 관리기(103)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의 상기 AP정보 서버(100)가 수행하는 전술한 동작들을 상호 협력하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망 접속기(101)는 상기 셀룰러 망(10) 및/또는 Wi-Fi 망(1)에 연결된 통신 노드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이들로부터의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 AP정보 처리기(102)로 전달하며, 실시예에 따라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 또는 접속/이탈에 따른 이벤트 정보 )가 단말 식별자와 함께 수신되면 상기 DB 관리기(103)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AP정보 처리기(102)로부터 접속점 순차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기에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을 송신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특정하여 접속점 순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켓 및/또는 세션과 같은 통신용 논리적 객체들을 관리한다.
상기 DB 관리기(103)는, 전술한 바의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 구비하고 있거나, 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중용 접속점 체인정보는 적절한 기간단위로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라,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와 단말 식별자가 수신되면 그 식별자에 의해 지정되는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그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를 반영한다.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그들로부터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의 정보요소가 모두 획득된 후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에 그 정보요소들을 반영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반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정보 엔트리의 부가, 기존 엔트리의 타이밍 정보 갱신 또는 엔트리들의 결합 등이 포함된다. 상기 AP정보 처리기(102)로부터 접속점 식별정보와 함께 매칭(matching) 엔트리의 요구가 있게 되면, 해당되는 접속점 체인정보에서 그 접속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발원 접속점을 갖는 엔트리들을 찾아서 상기 AP정보 처리기(102)에 전달하거나 이들을 액세스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위치정보를 전달한다. 물론,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공중용 및 개인용 접속점 체인정보가 시간대 또는 요일에 따라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경로상 이탈/접속 정보가 반영되는 또는 일치하는 발원 접속점을 검색하게 되는 대상은 그 시점에 부합하는 구분된 접속점 체인정보가 된다.
상기 AP정보 처리기(102)는, 상기 망 접속기(101)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에 포함된 접속점 식별정보를 상기 DB 관리기(103)에 전달하면서 매칭 엔트리들을 요구한다. 만약, 상기 접속점 순차정보 요청에 유형( 공중용 또는 개인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유형정보에 따라 상기 DB 관리기(103)가 검색할 접속점 체인정보가 지정되도록 한다. 상기에 따른 응답으로서, 매칭 엔트리들이 수신되면, 또는 그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와 같이, 그 매칭되는 체인정보 엔트리들로써 접속점 순차정보를 구성한다. 만약, 접속점 순차정보를 다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그 구성된 접속점 순차정보의 각 가능경로 엔트리의 선착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다시 상기 DB 관리기(103)에 전달하면서 그 식별정보의 매칭 엔트리를 요구하여 수신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체인정보 엔트리들로써, 앞서 구성한 접속점 순차정보의 다음 단의 접속점 항목들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정한 또는 기 정해진 단수에 해당하는 다단의 접속점 순차정보의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망 접속기(101)로 전달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에의 전송을 요청한다.
상기 망 접속기(101), AP정보 처리기(102) 그리고 DB 관리기(103)간에는 정보 전달에 의한 요청과 응답간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요청에 기재된 정보식별자를 그 응답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응답되는 정보를 요청에 부가하여 응답할 수도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AP정보 서버(100)의 각 구성요소(101,102,103)에 대한 전술한 동작 설명은, 본 발명의 개념과 기술적 사상에서의 기본적인 사항만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각 구성요소(101,102,103)의 동작은 도 15의 장치에 대한 위 설명으로써 제한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각 구성요소(101,102,103)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AP정보 서버(100)의 동작(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획득과 획득된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동작 등 )을, 각기 할당된 기능에 부합하는 형태로 분배하여 각각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101,102,103)의 동작은, 도 1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사항에 국한되지 않고,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상기 AP정보 서버(100)의 각 동작의 부분들로 당연히 확장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 Wi-Fi 망 10: 셀룰러 망
20: 주 제어부 21a: 셀룰러 모뎀
21b: 셀룰러 코덱 22a: Wi-Fi 모뎀
22b: Wi-Fi 코덱 24: 디스플레이 구동부
25: 디스플레이 패널 26a: 터치 센서
26b: 키패드 27: 메모리
100: AP정보 서버 101: 망 접속기
102: AP정보 처리기 103: DB 관리기
110: 컨텐트 서버 200a: 운영시스템(O/S)
200: 무선통신 단말기 210: AP접속 관리자
211: 접속점 추적부 211a: 접속점 순차정보
212: 접속 처리부 220: 미디어 플레이어
220k: 통신소켓

Claims (47)

  1. 산포(散布)된 접속점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도록 구성된 접속점 추적부와,
    상기 접속점 추적부에 의해 상기 타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찾은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하는 접속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합하는 시점은,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지정된 허용범위내에서 상기 소요시간에 해당할 때인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의 검색요청을, 일정 주기로, 또는 검색요청하는시간격을 가변하면서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부합하는 시점을 기점으로 정한 일정 시간폭내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검색요청하는 시간격을 짧게하면서 상기의 반복적 검색요청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폭은,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해 지정하고 있는 재역(在域)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을 넘어서지 않도록 정해지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될 때까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요청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임의적 검색에 의해 제 3의 접속점이 검색되어도, 그 제 3의 접속점이 상기 타 접속점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접속 처리부는 그 제 3의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와 관련된 참조정보가 접속점 임의적 사용을 지정하고 있으면,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이탈시점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검색요청에 따라 임의의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임의의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적 검색은, 상기 소요시간에 대하여 지정된 비율에 따라 정해진, 20초보다 긴 시간격의 주기로 반복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망에 대한 임의적 검색에 의해 제 3의 접속점이 검색되는 경우, 그 제 3의 접속점이 상기 타 접속점에 해당하지 않아도 그 제 3의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기 지정된 기준 신호세기이상이면, 상기 접속 처리부는 그 제 3의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행하도록 더 구성되되,
    상기 기준 신호세기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반적 검색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 기준 신호세기보다 높은 값으로 정해진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찾은 접속점의 신호세기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반적 검색에 의해 검색된 접속점에 접속하기 위한 보편적 기준 신호세기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찾은 접속점에 대해 접속되게 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외에,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제 2의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고, 또한 그 제 2의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각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소요시간의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시점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여, 그 어느 하나의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 종점(終點)으로 기재된 접속점과 일치하는 접속점을 찾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특정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계하여 더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경과하는 시간이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소요시간에,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이 되는 지의 확인을 위한 동작은 수행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접속점은 상기 타 접속점과 동일한 접속점일 수 있으며, 상기 타 접속점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접속점에 대한 상기 소요시간은,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한 상기 소요시간과 다른 시간길이를 갖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접속하면, 각각 그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다른 접속점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그 종점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기재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 각각에 대하여, 그 역내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다른 접속점을 종점(終點)으로 하여 그 종점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을 기재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역내 접속점들 중 임의의 하나에 접속한 후 이탈하면, 그 이탈된 하나의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만에 대해서, 그에서 지정된 소요시간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이 되는 지의 확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내의 구역이거나, 도시명, 또는 대도시권명으로서 특정되는 지역에 해당하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과 이탈에 따라 파악된 시간정보와 그 접속과 이탈이 이루어진 접속점들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점 추적부가 구축한 정보에 포함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접속과 이탈간의 시간격이 기 지정된 시간격보다 짧은 경우에는, 그 임의의 접속점을 배제하고 그 전과 후로 검색된 접속점들로써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여 상기 구축하는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 접속점에의 접속 또는 이탈시에 그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시점(時点)의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케하는 정보와 함께 외부 서버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제 1접속점에 대한 접속 또는 이탈시에 그 제 1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이전에 접속하였던 제 2접속점의 식별정보, 그리고, 상기 제 2접속점으로부터 이탈 후 상기 제 1접속점 접속까지의 소요시간과, 상기 제 1접속점 또는 상기 제 2접속점에 대한 접속과 이탈간의 시간격을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고유하게 식별케하는 정보와 함께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적부는, 상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과의 접속해제, 또는 그 접속점으로부터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한계 신호세기이하가 된 상태를, 상기 이탈로 간주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2. 산포(散布)된 접속점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을 액세스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도록 구성된 접속점 추적부와,
    상기 접속점 추적부에 의해 상기 타 접속점과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하여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그 찾은 접속점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접속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재역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폭보다 크면 상기 찾은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찾은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망에 의한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값이 기 지정된 기준치보다 낮으면, 그 낮은 정도에 따라 상기 기준 시간폭을 조정하여, 상기 재역 시간과의 비교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통신 단말기.
  25. 산포(散布)된 접속점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의 어느 하나에, 상기 이탈이 있은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게 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합 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동작이진행되게 하는 단계와,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인 된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접속점이 상기 검색된 접속점에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으면, 그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이 진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이용한 무선 통신망 접속방법.
  26. 산포(散布)된 접속점들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와,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의 어느 하나에, 상기 이탈이 있은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게 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부합 시점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에 대한 검색동작이진행되게 하는 단계와,
    접속점이 검색되면, 상기 경과되는 시간이 부합하는 시점인 된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시점부합된 접속점 구간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접속점이 상기 검색된 접속점에 있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으면, 상기 시점부합된 소요시간을 지정하고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한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그 일치하는 접속점에의 접속을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이용한 무선 통신망 접속방법.
  27.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는 기능과,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고,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그 찾은 접속점에 접속시키기 위한 동작이 진행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프로그램 공급장치.
  28. 저장공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프로그램 공급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수록되어 있는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에서 이탈된 경우에, 그 이탈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이, 상기 이탈된 접속점을 시점(始點)으로 하고 타 접속점이 종점(終點)으로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상기 타 접속점까지의 소요시간에 부합하는 시점(時點)이 되면,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을 검색요청하는 기능과,
    그 요청에 따라 검색된 접속점들에서 상기 타 접속점과 일치하는 식별정보를 갖는 접속점이 있는 지를 찾고, 일치하는 접속점이 찾아지면, 상기 타 접속점에 대하여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에서 지정하고 있는 재역(在域)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그 찾은 접속점에 접속시키기 위한 동작이 선택적으로 진행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프로그램 공급장치.
  29.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접속점 식별정보나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알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1단계와,
    상기 특정 정보에 기반하여,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終點) 접속점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와,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을 포함하여 기재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복수개 구성하는 2단계와,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는, 동일한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를 시점 접속점의 식별정보로서 각기 기재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각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종점 접속점에 대한 재역(在域) 시간을 더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재역 시간은, 상기 종점 접속점이 설치된 장소에 차량이 정차하는 시간, 또는 그 종점 접속점의 신호가 도달하는 영역을 자전거 또는 도보로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에 상응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가, 접속점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각각의 상기 시점(始點) 접속점에 대하여 상기 특정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식별정보로써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시점(始點) 접속점의 식별정보를 공통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2단계는, 그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그 식별된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을 특정하여 그 특정된 역내 접속점들이 각기 시점(始點) 접속점이 되는 접속점 구간정보들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내의 구역이거나, 도시명, 또는 대도시권명으로서 식별되는 지역에 해당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6.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일부에 대해서는, 타 접속점 구간정보의 종점 접속점이 그 일부 접속점 구간정보의 시점(始點) 접속점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7.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단계는, 상기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를 그와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구성되는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는,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구간 확인용 접속점 정보와 연계된 접속점 구간정보의 시점(始點) 접속점과 상기 특정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8.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그 접속점 구간정보의 양(兩)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내에서 검색되는 접속점에 대한 임의적 사용을 지정하는 참조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단계는, 상기 참조정보를 그와 연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39.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특정 정보가 수신된 시간대 또는 요일에 따라, 그 외의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 대해 구성하게 되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그 시점(始點) 접속점 또는 종점 접속점이 달라지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해 개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구성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과 이탈에 따라 파악된 시간정보와 그 접속과 이탈의 대상이 된 접속점들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일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정보와 상기 대상 접속점들의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시점(始點)과 종점에 해당하는 양(兩) 접속점의 식별정보와 그 양 접속점간의 소요시간을 적어도 포함하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접속점 구간정보의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의 상기 반영은,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추가하는 것이거나,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 접속점에 있어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 동일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내의 기존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새로 반영한 평균값으로써 갱신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를, 그 직전에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결합하여 단일의 접속점 구간정보로서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 추가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다수의 무선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내에 등재되어 있는,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 접속점에 있어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와 동일한 기존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상기 생성한 접속점 구간정보의 소요시간을 새로 반영한 평균값으로써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5.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시간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또는 도보에 의해,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구간을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상응하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46.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기,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終點) 접속점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와,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이 포함되어 기재된 접속점 구간정보들로써 구성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특정 접속점의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그 특정 접속점이 시점(始點) 접속점으로 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서 복수개 찾고, 그 찾은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게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7.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들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기, 시점(始點) 접속점과 종점(終點) 접속점에 대한 각각의 식별정보와, 상기 양 접속점에 의해 정해지는 구간에 대한 소요시간이 포함되어 기재된 접속점 구간정보들로써 구성된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의해 정해지는 영역에 속하는 역내(域內) 접속점들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역내 접속점들 각각에 대하여, 그 역내 접속점이 시점(始點) 접속점으로 되어 있는 접속점 구간정보를 상기 접속점 구간정보 군(群)에서 찾으며, 그 찾은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게 하는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접속점 구간정보는, 동일한 접속점에 대한 식별정보를 시점 접속점의 식별정보로서 각기 기재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접속점 구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인 가능경로에 따른 접속점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120075113A 2012-07-10 2012-07-10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KR10139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13A KR101396777B1 (ko) 2012-07-10 2012-07-10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PCT/KR2013/005709 WO2014010852A1 (ko) 2012-07-10 2013-06-27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113A KR101396777B1 (ko) 2012-07-10 2012-07-10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86A KR20140008086A (ko) 2014-01-21
KR101396777B1 true KR101396777B1 (ko) 2014-05-20

Family

ID=49916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13A KR101396777B1 (ko) 2012-07-10 2012-07-10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6777B1 (ko)
WO (1) WO20140108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9595A (zh) * 2015-08-07 2015-12-0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用户提醒方法及终端
KR20200070954A (ko) * 2018-12-10 2020-06-18 에이미파이(주) 복수의 개인 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전철 운행경로를 따른 무선 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861B1 (ko) * 2014-04-28 2020-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95774B1 (ko) * 2016-02-16 2018-09-05 이원찬 공중에 위치 혹은 이동하는 비콘을 활용한 위치 및 연계정보서비스
KR102443628B1 (ko) * 2017-12-2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738010A (zh) * 2018-04-12 2018-11-02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终端的网络搜索方法、带网络搜索功能的终端
KR102050676B1 (ko) * 2018-11-14 2019-12-03 에이미파이(주) 개인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지하철 운행 경로 상의 무선 서비스 특성을 승강장과 터널을 구분하여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N112788557B (zh) * 2019-11-08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物联网传感器管理方法以及无线访问点
KR102102709B1 (ko) * 2019-11-22 2020-05-29 에이미파이(주) 이동체의 운행에 따른 움직임 상태를 파악함에 있어서 그 이동체로부터의 사운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956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지하철 목적역 도착 알람 서비스방법
JP2005354448A (ja) 2004-06-11 2005-12-22 Hitachi Cable Ltd 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2006129151A (ja) 2004-10-29 2006-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ベルパス制御方法
KR101065773B1 (ko) 2010-05-19 2011-09-20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하철 cctⅴ 영상 핸드오프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956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지하철 목적역 도착 알람 서비스방법
JP2005354448A (ja) 2004-06-11 2005-12-22 Hitachi Cable Ltd 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2006129151A (ja) 2004-10-29 2006-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ラベルパス制御方法
KR101065773B1 (ko) 2010-05-19 2011-09-20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지하철 cctⅴ 영상 핸드오프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9595A (zh) * 2015-08-07 2015-12-09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用户提醒方法及终端
KR20200070954A (ko) * 2018-12-10 2020-06-18 에이미파이(주) 복수의 개인 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전철 운행경로를 따른 무선 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KR102127575B1 (ko) 2018-12-10 2020-06-29 에이미파이(주) 복수의 개인 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전철 운행경로를 따른 무선 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86A (ko) 2014-01-21
WO2014010852A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777B1 (ko) 경로에 따른 접속점 순차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접속점 순차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는 방법과 장치
KR101440080B1 (ko)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 정보에 기반하여 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374280B2 (en) Device-to-device based content delivery for time-constrained communications
Al-Turjman Mobile couriers’ selection for the smart-grid in smart-cities’ pervasive sensing
JP5855292B2 (ja) データスポットの位置を特定する方法、ならびにデータスポットを使用するネットワークおよびユーザ機器
JP559251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160295449A1 (en) Proximity Based Sub-Pooling of Network Devices in Mobile Wireless Networks
US113305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selection and load balancing
CN103140869A (zh) 创建和加入社交群组的方法、用于执行该方法的用户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US20150189024A1 (en) Implementations of collaborative bandwidth sharing
CN103109541A (zh) 处理针对内容的请求并发起针对内容的互连的方法
CN105706477A (zh) 加入社区Wi-Fi网络的接入点配置
Hagenauer et al. Parked cars as virtual network infrastructure: Enabling stable V2I access for long-lasting data flows
CN101690133B (zh) 用于自动确定位置接近通信网络中的对等节点的一组对等节点的方法以及相应的服务器、分析装置和通信装置
Yaqub et al. Asking neighbors a favor: Cooperative video retrieval using cellular networks in VANETs
CN101223809A (zh) 网络节点
CN105101324A (zh) 异构网络切换方法、功能实体和终端
JP201406826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6269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CN113359727A (zh) 无人车远程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
Hagenauer et al. Cars as a main ICT resource of smart cities
US10004129B2 (en) Extending coverage in an outdoor lighting system by using a mobile device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CN112788692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101669557B1 (ko) 와이파이 활성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이동 통신 데이터 네트워크 활성화 방법
Agaskar Architectural constructs for time-critical networking in the smart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