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697B1 -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697B1
KR101362697B1 KR1020110088967A KR20110088967A KR101362697B1 KR 101362697 B1 KR101362697 B1 KR 101362697B1 KR 1020110088967 A KR1020110088967 A KR 1020110088967A KR 20110088967 A KR20110088967 A KR 20110088967A KR 101362697 B1 KR101362697 B1 KR 10136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nection point
connection
point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576A (ko
Inventor
구준모
이승준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어플러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어플러그
Priority to KR102011008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6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04W36/008375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based on historic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과 관련된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점과의 연결을 다른 접속점으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얻고,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기초로 연결 중인 제1 접속점 이후 연결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접속점에 이어 제2 접속점에 연결되면 상기 제2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접속점 연결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접속점 후보들의 순서대로 상기 제2 접속점에 연결을 시도할 순서가 정해지거나, 상기 접속점 후보에 대한 연결 품질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할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Method for changing access points in wireless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hanging access points}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가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점을 전환하는 방법과 무선 단말기에 접속점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MA, W-CDMA 등의 이동전화 통신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이동 통화는 물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과의 접속 및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무선 랜망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스마트 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사용자는, 데이터 양이 많은 데이터나 콘텐츠의 송수신을 위해 먼저 고속의 Wi-Fi 무선 랜망에 접속하고, 데이터 양이 적거나 Wi-Fi 무선 랜망에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데, 이는 Wi-Fi 무선 랜망이 전송 속도나 비용에서 유리하지만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의 스마트 폰 사용자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이동 통신망의 과부하로 데이터 통신 품질뿐만 아니라 이동전화 통화 품질도 저하되기 때문에, 이동전화 서비스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자들이 밀집하는 장소에 Wi-Fi 존, 예를 들어 '올레 와이파이 존', 'T 와이파이 존' 등의 다수의 Wi-Fi 무선 랜망의 접속점(AP: Access Point)을 마련하고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같은 장소에 Wi-Fi 무선 랜망(10)의 서비스 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이렇듯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Wi-Fi 존(10)이 늘어남에 따라, Wi-Fi 무선 랜망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여러 종류의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전자 책, 전자 수첩,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태블릿 PC 등도 많이 출시되어 빠른 속도로 그 이용자가 늘고 있다.
Wi-Fi 무선 랜망은 제한된 지역에서만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하는 무선 단말기는 곧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게 되어 현재 연결된 Wi-Fi 무선 랜망의 접속점(APc)과 연결을 끊고 다른 접속점(APn)과 연결하는 접속점 전환을 시도하거나 이동 통신망으로의 새로운 접속을 시도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무선 단말기의 이동이나 전송률 저하 등의 이유로 Wi-Fi 무선 랜망의 접속점을 전환할 때 여러 접속점 후보(APn_1 ~ APn_k) 중에 하나를 선택할 효과적인 방법이 없어서 이전에 연결한 적이 있는 접속점이 보이면 먼저 이에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러한 방법 역시 이동 방향, 접속률 등을 고려하지 못하여 효율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서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점을 원활하게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무선 데이터망의 접속점이나 통신망을 전환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점과의 연결을 다른 접속점으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기초로, 연결 중인 제1 접속점 이후 연결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속점에 이어 제2 접속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접속점 연결 정보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접속점 후보들의 순서대로 상기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할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접속점 후보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할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는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접속점 후보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 및 상기 접속점 후보의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품질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제2 접속점에 연결을 시도할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접속점과의 연결 품질을 기초로 접속점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되는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제1 접속점의 위치 및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의, 위치와 비교하여, 접속점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연결된 제2 접속점에서 다른 접속점으로 연결을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연결점 추천 정보의 전송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에 대한 정보는 SSID 또는 MAC 주소 중 하나 이상을 식별 정보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시킬 접속점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제2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나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 MAC 주소, 및 USIM 칩에 기재된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품질 정보는,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연결 소요 시간, 접속 성공률, 실제 전송률 중 하나이거나 그 중 둘 이상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얻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에 연결된 후 측정되는 실제 전송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와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연결된 제2 접속점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접속점 및 새로 연결된 제2 접속점을 포함하고 접속점이 이어지는 체인 형식으로 구성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2회 전환되는 3개 접속점 순서쌍(APp, APc, APn)들에 대해서 가운데 접속점(APc)을 중심으로 3개 계층으로 구성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3개 계층으로 구성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에서 마지막 접속점(APn)에 해당하는 가장 하위 계층의 정보는, 해당 순서쌍(APp, APc, APn)의 발생 회수, 상기 가운데 접속점(APc)으로부터 상기 마지막 접속점(APn)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연결 품질 정보, 또는 상기 마지막 접속점(APn)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3개의 계층으로 구성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관리되고, 상기 소정의 기준은 요일, 시간대, 접속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보안 설정 여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와 별개로 저장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접속점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무선 랜망을 제공하는 접속점 후보에 연결이 실패한 경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 시도에 앞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는, 무선 랜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랜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접속점 후보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랜망을 제공하는 접속점에 연결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점과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접속점 연결 후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접속점 추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 중인 제1 접속점 이후 제2 접속점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접속점에 이어 제2 접속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접속점 연결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가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정보를 접속점 후보로 포함하거나,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무선 랜망을 제공하는 무선 랜 접속점 후보에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네트워크부; 무선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속점 연결을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점 전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새로 연결된 현재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거나 갱신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의 전송에 대한 대응으로 또는 별도의 요청에 대한 대응으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요청을 한 무선 단말기가 현재 연결 중인 현재 접속점 이후 연결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부는 상기 정보 처리부가 생성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각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무선 단말기가 연결된 현재 접속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서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 포함되고 아직 갱신되지 않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의 현재 접속점에서 다음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이 이루어질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무선 단말기가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하기 전에 연결되었던 이전 접속점 정보 및 상기 이전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상기 접속점에 대한 정보는 해당 접속점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접속점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 해당 접속점의 위치를 기록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지정된 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접속점 후보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상기 결정되는 각 접속점 후보에 대한 품질 정보를 기록하고, 각 접속점 후보에 대한 품질 정보는 상기 지정된 방법과 다른 방법에 따른 품질 평가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현재 접속점 바로 이전에 연결되었던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현재 접속점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 상기 이전 접속점에서 현재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품질 정보는, 상기 현재 접속점에 연결되는 과정에 측정되는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연결 소요 시간, 접속 성공률 중 하나 또는 그 중 둘 이상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얻은 값, 및 상기 현재 접속점에 연결된 후 측정되는 실제 전송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제2 접속점과 제3 접속점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전송한 무선 단말기의 현재 접속점 또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이전 접속점 및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을 각각 상기 제2 접속점 및 상기 제3 접속점으로 하는 원소를 생성하여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 바로 이전에 연결되었던 제1 접속점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상기 제2 접속점으로 연결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 상기 제2 접속점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정보, 상기 제2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한 요일/시간대, 무선 단말기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 분류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또는 갱신하고, 상기 소정의 분류 기준은 상기 요일/시간대, 서비스사 정보, 보안 설정 여부, 무선 단말기 식별 정보 항목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상기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소정 시간 주기로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 조건에 맞는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찾고, 상기 찾아진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 및 이로부터 추적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원소들을 찾고, 상기 찾아진 데이터 원소들 중에서 데이터 원소의 개수가 많거나 또는 품질 정보가 좋은 소정 개수의 제3 접속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제3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접속점 후보로 포함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소정 개수의 제3 접속점을 선택할 때 상기 제3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및 상기 제3 접속점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의 개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제3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원소의 개수가 많거나 또는 품질 정보가 좋은 순서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하거나, 상기 선택된 제3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접속점에 대한 품질 정보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접속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각 제3 접속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무선 랜망을 제공하는, 접속점 후보를 소정 개수 얻지 못하는 경우,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정보를 상기 접속점 후보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와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새로 연결된 현재 접속점과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받는 단계;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속점 연결을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 이후에 연결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다음 접속점 후보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다음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현재 연결된 제1 접속점 이후 연결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되는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속점에 이어 제2 접속점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점에 대한 정보, 상기 제2 접속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가 품질이 우수한 접속점을 선택하여 접속점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합한 접속점 후보를 제공하여 원활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질 있도록 도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다수의 Wi-Fi 무선 랜망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을 전환하고 접속점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점의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 전환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속점 이력 정보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단말기로부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접속점 후보를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도 7은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점의 위치를 얻는 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생성 및 관리하는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를 예시한 것이고,
도 9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의 접속점 순서 정보와 해당 접속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10은 정보 제공 서버가 단말기에 제공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의 여러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을 전환하고 접속점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성은 서로 다른 통신 인프라로서, 예를 들어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망(10)과 이동 통신망(20)을 포함하고, 구성 요소로 상기 무선 랜망(1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상기 무선 랜망(10) 또는 이동 통신망(20)의 접속점을 전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접속점에 대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새로 전환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방식의 무선 랜망(이하 Wi-Fi 망으로 약칭함)을 상기 고속의 무선 랜망(10)의 예로 하고, 3G 또는 4G방식의 셀룰러 망(이하 셀룰러 망으로 약칭함)을 상기 이동 통신망(20)의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무선 단말기가 연결하는 접속점은, 무선 랜망(10)을 제공하고 SSID(Service Set IDentifier)로 구분되는 무선 랜 접속점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망(20)을 제공하고 기지국 식별자로 구분되는 셀룰러 접속점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정보 제공 서버(200)가 접속점의 전환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는 신호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새로운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발생하면(S10), 이전 접속점, 새로 연결된 현재 접속점 및 새로운 접속점에 연결될 때의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S20), 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S25).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는, 수신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점 쌍에 대한 품질 정보를 갱신하여 접속점 전환 정보를 생성하고(S30), 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이 이후에 연결될 소정 개수의 다음 접속점 후보를 접속점 추천 정보(해당 접속점에 대한 연결 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로 생성하고(S40),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45).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S50), 이후 현재 접속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여(S60) 접속점을 전환할 시점이라고 판단되면(S60에서 YES), 스캐닝을 통해 전환 가능한 접속점을 찾고(S70),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참조하여 연결 품질이 우수한 접속점 순서대로 접속점 전환을 시도한다(S80).
이하에서는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의 각 단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환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 전환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받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공중의 이동 통신망(20)과 고속의 무선 랜망(10)을 모두 액세스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Wi-Fi 모듈(110), 셀룰러 모듈(120),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는 GPS 모듈(130), 출력 모듈(140), 입력 모듈(150), 제어부(16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Wi-Fi 모듈(110)은, 고속의 무선 데이터망, 예를 들어 Wi-Fi 방식의 무선랜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상기 무선 데이터망과 송수신하는 Wi-Fi 모뎀(111)(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 요소)과 상기 무선 데이터망에서 채택된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Wi-Fi 코덱(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모듈(120)은, 공중의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2G, 3G 또는 4G의 셀룰러(cellular) 망의 지정된 방식에 따라 신호를 변조 또는 복조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과 송수신하는 셀룰러 모뎀(121)(RF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 요소)과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채택된 통신 규약에 따라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거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decoding)하는 셀룰러 코덱(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 모듈(140)은, 영상, 문자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142)과 임의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에서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4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5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전면에 부착된 터치 센서(151), 키(key) 및/또는 버튼(button)이 구비되어 있는 키 패드(152), 및 상기 터치 센서(151)와 키 패드(152)를 통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선택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 모듈(150)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 요소들 중 그에 맞는 구성 요소에 적절히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하며 그에 따른 결과나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의 표시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141)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제어부(160)의 동작 또는 그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 등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펌웨어 등의 명령 코드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자원의 구동, 해당 자원과의 적절한 신호 및/또는 정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 시스템(O/S)(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의 동작 또는 그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상기 운영 시스템(161)의 적절한 중개 동작(예를 들어 적절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도 4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과 상기 운영 시스템(161)이 각각 제공하는 특정 기능, 예를 들어, 화면을 통한 입출력, 프로토콜에 기반한 외부와의 통신, 하드웨어 상태 확인, 타이머 등을 요구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그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중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는, 상기 Wi-Fi 망(10)의 접속점을 전환한 경우 새로 연결된 접속점에 대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고 또한 서버로부터 접속점 전환을 위한 새로운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현된 프로세스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운영시스템(161)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미들웨어(middle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에 기반하는 플랫폼(platform) 형태로 제공되거나, 다르게는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예시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이고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단지 하나의 예일 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하지만, 예시되지 않은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더라도 이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구현하고 있는 또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개념과 주제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청구범위의 해석에서 배제되지 않는 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기가 Wi-Fi 망에 연결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Wi-Fi 망의 접속점은 주기적으로 서비스 식별 정보인 SSID와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의 주소(MAC 주소)가 포함된 비콘(Beacon)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무선 단말기가 수동적으로 수신하여 단말기 주변에 어떠한 접속점이 존재하는지 탐색 과정(수동 스캐닝)을 진행한다. 만약 접속점이 비콘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무선 단말기가 능동적으로 탐색(Probe) 요청 메시지를 접속점에 발송하여 접속점에 접속하는데, 해당 접속점은 자신의 속성(대역폭, 보안 수준, 암호화 등)을 탐색 응답(Probe Response)로 답하게 된다(능동 스캐닝). 무선 단말기와 접속점은, 상기 탐색 과정 이후 인증(Authentication) 과정과 결합(Association)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결합 과정을 거쳐야 비로서 무선 단말기와 접속점 사이에 연결이 된 것이다. 연결 된 후에는 결합 식별자(Association ID: AID)를 유지하게 되고, 무선 단말기는 접속점에게 데이터 메시지를 보내고 접속점은 데이터 메시지를 목적지에 전달한다. 보통 무선 단말기와 접속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적의 속도를 협상에 의해서 결정하는데,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손실률, 신호 대 잡음 비(SNR: Signal-to-Noise Radio)에 의존해서 결정되고, 보통 접속점이 지원 가능한 여러 전송 속도 중에서 mandatory를 우선해서 협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연결 중인 접속점(APc)이 제공하는 Wi-Fi 존(10c)의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의 접속점(APn_1-APn_k)이 제공하는 Wi-Fi 존(101-10k)에 위치하게 되거나 해당 위치에서 새로 Wi-Fi 존에의 연결을 시도하게 되면, 상기 Wi-Fi 모뎀(111)은, Wi-Fi 신호 대역에 할당된 채널, 예를 들어 13개의 채널 각각에 대해 탐색 패킷(probing packet)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 패킷(response packet)을 주변의 접속점으로부터 수신하고, 그 응답 패킷 신호로부터 RSSI, 채널 정보, 서비스 식별 정보(SSID), 및 접속점의 MAC 주소를 추출하는데, 이러한 상태가 되면 현재 연결 중인 접속점(APc)과의 연결을 끊고 하나의 접속점(APn)을 선택하여 인증 과정과 결합 과정을 거쳐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 받아서 로컬 주소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접속점 APc로부터 새로 연결된 접속점 APn의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상기 접속점 APn 이후 접속이 추천되는 접속점 후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전송 받게 되는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접속점 전환을 통해 새로운 접속점 APn에 액세스 하면, 상기 새로운 접속점 APn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접속점 APn과의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데, 상기 접속점 식별 정보는 해당 접속점의 MAC 주소 및/또는 서비스 식별 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속점의 품질 정보는 상기 Wi-Fi 모뎀(111)이 해당 접속점에서 수신한 패킷에서 추출한 신호 강도 정보(예를 들어 RSSI), 해당 접속점과 협상을 통해 결정된 전송 속도 정보, 해당 접속점에 연결되는 데 소요된 시간, 또는 연결 성공률(예를 들어 해당 접속점에서 응답 패킷을 받기 전까지 보낸 탐색 패킷의 개수로 결정)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접속점의 품질 정보에는, 예를 들어 신호 강도 정보의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몇 개의 등급으로 나눈, 예를 들어 5분위로 나눈 값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시간, 성공률 중의 둘 이상에 소정의 가중치가 적용되어 얻은 5분위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접속점의 품질 정보는, 상기 새로운 접속점 APn에 연결된 이후에 소정의 방식으로 측정된 실제 대역폭 정보를, 상기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 정보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 내의 접속점 품질 정보는, 품질 정보의 유형과 해당 유형에 대한 평가 값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품질 정보의 유형에는 신호 강도는 1, 전송 속도 2, 연결 소요 시간 3, 접속 성공률 4, 실제 대역폭 5 등의 3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로 표현하고, 상기 유형에 대한 평가 값을 예를 들어 8분위(3bits)로 표현하여 하나의 바이트로 접속점 품질 정보를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품질 정보의 유형에서 나머지 값에는 둘 이상의 요소가 결합된 각각의 조합을 지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신호 강도와 연결 소요 시간의 조합에 대해 6, 신호 강도와 접속 성공률에 대해 7의 값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품질 정보의 유형과 평가 값 쌍으로 구성되는 접속점 품질 정보를 두 개 이상 접속점 연결 정보에 기록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이전 접속점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속점 식별 정보는 해당 접속점의 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예를 들어 KT, SKT, LGU+, Unknown 등), 보안 설정 여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단말기의 전화 번호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에 기재된 사용자 번호가 될 수도 있고, 또는 단말기가 Wi-Fi 모듈만 있고 셀룰러 모듈이 없는 무선 인터넷 장치인 경우 해당 단말기의 MAC 주소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이전 접속점 MAC 주소, 새로 접속한 접속점 MAC 주소, 새로운 접속점의 품질 정보로 신호 강도 값, 단말기의 MAC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새로 접속한 접속점의 MAC 주소와 단말기의 MAC 주소만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상기 셀룰러 모듈(120) 또는 Wi-Fi 모듈(110)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접속점 전환과 관련하여 이후에 새로 접속할 접속점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할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접속한 접속점이 이어지는 체인 형식으로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고, 각 접속점을 중심으로 계층적으로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접속점 APc에서 새로운 접속점 APn으로 접속점을 전환하는 경우, 새로 접속한 접속점 APn이 아닌 접속점 APc에 대해서 이력 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는데, 접속점 APc에 대한 정보 내에 하위 계층으로 APn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거나 이미 기록된 접속점 APn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APc 이전 접속점을 더 고려하여, 현재 접속점 APc에 대한 정보 내에 상기 APc 이전에 접속한 접속점 APp과 새로운 접속점 APn을 하나의 순서쌍(APp, APn)으로 관리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현재 접속점(APc)을 최상위 계층으로 하고 이전 접속점(APp)을 그 아래 그리고 새로운 접속점(APn)을 가장 하위 계층으로 하여 계층적으로 관리하고, 각 순서쌍에 대해서(새로운 접속점에 해당하는 가장 하위 계층의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요일, 시간대(출근 시간대, 근무 시간대, 퇴근 시간대 등), 휴일 여부 등으로 분류하여 해당 분류 항목(예를 들어, 월요일, 휴일 아님, 출근 시간대)에 대해서 연결 회수만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APn에 접속과 관련된 연결 품질 정보, 예를 들어 신호 강도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평균값(이전에 기록된 평균값과 누적 회수를 기초로 새로운 평균값을 계산하여)을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 접속점의 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및/또는 보안 설정 여부 등을 기준으로 추가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대신 또는 추가로 전송 속도, 시간, 성공률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을 가중하여 얻은 값을 접속점 이력 정보의 연결 품질 정보로 기록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접속점 이력 정보의 연결 품질 정보에 접속점에 연결된 후에 실제로 측정한 실제 대역폭을 상기 신호 강도 정보 대신 또는 추가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점 이력 정보의 연결 품질 정보에 품질 정보의 유형과 해당 품질 유형에 대한 평가 값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GPS 모듈(130)이 검출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즉 새로운 접속점으로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 및/또는 상기 접속점 이력 정보에 추가할 수 있는데, 상기 접속점 이력 정보의 임의의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접속점 전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점에 대한 대략적인 위치를 구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처음으로 접속점에 연결되는 경우나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3G나 4G 통신망을 통해 IP 주소를 할당 받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을 끊고 새로 Wi-Fi 접속점에 연결되어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 받은 경우에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Wi-Fi 접속점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망으로 전환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망을 현재 접속점으로 하여 접속점 연결 정보와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현재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 소정의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값을 기록하고, 연결 과정에서의 접속점 품질 정보, 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정보, 보안 설정 여부 등은 생략하거나 이동 통신망에 대응하는 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새로운 접속점에 대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접속점 후보를 추천하는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200)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부(210)와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내부 또는 외부에 데이터베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는 각 구성 요소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 요소가 독립된 장치, 예를 들어 서버로 구축되는 경우에는 이들 간에는 전용선 또는 전용망으로 상호 연결되며 적절한 네트워크 보안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서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서로 협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점 추천 정보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할 뿐만 아니라 접속점 연결 정보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점 전환 정보만을 갱신하고 단말기로부터 접속점 추천 요청을 받은 경우에만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현재 접속점에 대한 정보와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정보가 생략될 수도 있지만, 후자의 경우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현재 접속점에 대한 정보와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고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생략될 수는 있고, 접속점 추천 요청에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만이 포함되고 현재 접속점과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도 있다. 접속점 연결 정보와 접속점 추천 요청에 포함되는 정보가 대부분 중복되고 다시 전송해야 하고 접속점 연결 정보 제공과 접속점 추천 요청의 시간적 사이에 접속점의 환경이 크게 바뀔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나 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점 연결 정보와 접속점 추천 요청을 분리하여 전송하는 처리하는 후자의 경우보다 접속점 연결 정보에 접속점 추천 요청이 포함되는 것으로 처리하는 전자의 경우가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접속점 연결 정보 내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는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 관리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에 관리되는 접속점 전환 위치를 참조하여 좀더 정확하게 다음 접속점을 단말기에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현재 접속점에 새로 연결되어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제공할 때의 위치와 현재 접속점에서 다음 접속점으로 전환할 때의 위치가 다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접속점 전환이 필요할 때 별도로 접속점 추천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이 때에도 현재의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부(210)는, 상기 Wi-Fi 망(10) 및/또는 셀룰러 망(2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로부터의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로 전달하며,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로부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네트워크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점 전환과 관련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록 또는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하고,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초로 무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접속점 이후에 연결을 전환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부(210)를 통해 해당 무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해당 단말기가 새로 연결되어 현재 연결 중인 현재 접속점(APc)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APc)에 연결과 관련된 품질 정보, 해당 단말기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되고, 이전 접속점(APp)에 대한 식별 정보 및/또는 현재 접속점(APc)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위치 정보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이전 접속점(APp)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해당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전 접속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각 단말기에 대해서 현재 접속점(APcd)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이를 갱신하는데,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로 갱신하기 전의 현재 접속점(APc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APc)의 이전 접속점(APp=APcd)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각 단말기에 대한 현재 접속점 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각 단말기에 대한 현재 접속점(APcd)을 관리할 때 상기 현재 접속점(APcd)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Lcd)도 추가로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이전 접속점(APp=APcd)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Lp)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각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각 접속점에 대해서 해당 접속점으로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갱신 관리하고 이를 기초로 해당 접속점의 위치를 얻을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해당 접속점으로 전환 또는 새로운 접속점의 연결이 이루어진 위치는 해당 접속점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의 외곽 또는 영역 내 임의의 위치에 분포하기 때문에 이러한 위치 값들의 평균 값이나 중심 값으로 해당 접속점의 대략적인 위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이렇게 구한 각 접속점의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할 수 있고, 접속점을 제공하는 서비스사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를 운용하는 이동전화 서비스사가 제공하는 접속점은 그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치를 갱신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가 전송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이전 접속점, 현재 접속점, 이전 접속점에서 현재 접속점으로 전환과 관련된 연결 품질 정보, 단말기의 식별 정보 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전송하여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원소로 추가하는데, 현재 접속점에서 측정된 실제 대역폭, 현재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가 수신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요일, 휴무 여부, 시간대)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접속점에 대해서 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 및 보안 설정 여부 정보도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에는, 이전 접속점에 해당하는 제1 접속점(1st AP), 현재 접속점에 해당하는 제2 접속점(2nd AP), 제2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Location), 연결 품질 정보의 유형 정보(Q_type), 연결 품질 정보의 평가 값(Quality), 요일(Day), 시간대(Time zone), 서비스사(Provider), 보안 설정 여부(Security), 단말기(Terminal) 등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데, 연결 품질 정보의 유형 정보(Q_type)과 연결 품질 정보의 평가 값(Quality) 쌍이 둘 이상 포함될 수 있고,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속점과 제2 접속점만이 기본 데이터의 항목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이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경우, 상기 기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 접속점에는 이동 통신망을 식별하는 정보가 기록되고 연결 품질과 관련된 정보 정보, 서비스사, 보안 설정 여부 등의 항목은 생략되거나 이동 통신망에 대응되는 값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해당 단말기의 현재 접속점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는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가 기록되고 이를 기초로 가공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테이블이 더 있을 수 있는데, 소정 분류(예를 들어 요일과 시간대가 결합된 조건에 따른 분류 또는 서비스사를 분류 항목으로 하는 기준) 기준에 따른 각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데이터 항목에 단말기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단말기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데이터 테이블도 가능한데, 이는 해당 단말기의 접속점 전환 이력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본 데이터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하나의 요소가 추가되어 갱신될 수 있지만, 각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상기 기본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 시간 주기, 예를 들어 6시간, 12시간 또는 하루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1)는, 최근에 기록된 연결점 연결 정보를 우선 반영할 수 있도록, 기본 데이터의 각 원소에 해당 원소가 추가된 날짜를 기록하고 설정된 기간이 지난 원소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 및/또는 각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제공한 단말기에 제공할 다음에 연결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시간을 분류 기준으로 하여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가 전송되는 시간 항목(요일, 시간대, 휴무 여부)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찾고, 찾아진 테이블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을 제1 접속점으로 하는 데이터 원소들을 찾고, 이들 데이터 원소들을 동일한 제2 접속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 제2 접속점에 대해서 데이터 원소의 개수(연결 회수) 및/또는 연결 품질 정보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을 구하고, 이로부터 연결 회수가 많거나 연결 품질이 좋은 소정 개수의 제2 접속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에 상기 제1 접속점과 제2 접속점의 항목만이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 원소의 개수를 기준으로 제2 접속점이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예를 들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전송한 또는 접속점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낸 무선 단말기 정보를 분류 기준으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는데, 해당 단말기 정보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으로 소정 개수의 제2 접속점을 선택할 수 있고, 이때 해당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를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전송한 또는 접속점 추천 요청 메시지를 보낸 요일이나 시간으로 더 분류하여 이를 기준으로 최적의 제2 접속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접속점을 선택할 때,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접속점 추천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해당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제2 접속점으로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가까운 제2 접속점을 다음 접속점 후보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요청 메시지 없이 접속점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제공하거나 요청 메시지에 위치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해당 단말기가 전송한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전환 위치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해당 단말기의 현재 접속점(현재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이전 접속점에 대한 접속점 전환 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동 방향과 다음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질 위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추정된 위치에 가까운 제2 접속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 및/또는 각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에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기록하지 않고, 도 7을 참고로 설명한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따로 관리되는 각 접속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단말기의 현재 위치나 상기 추정되는 위치를 비교하여 제2 접속점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가 이후에 연결할 접속점 후보 군을 추출할 때, 해당 접속점에 대한 연결 회수나 연결 품질 정보의 평가 값뿐만 아니라, 해당 접속점에 현재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의 개수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는데, 현재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가 많을수록 연결이 어렵거나 연결 품질이나 전송 속도가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이와 같은 과정으로 얻은 소정 개수의 다음 접속점 후보(예를 들어 AP1, AP2, AP3)를 연결 품질이 좋거나 접속점 전환 위치가 가까운 순서대로 나열하거나(도 10(a)와 같이), 또는 각 접속점 후보에 연결 품질 정보(Q1, Q2, Q3)를 추가하여(도 10(b)와 같이)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부(210)를 통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제공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되는 연결 품질 정보는,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연결 소요 시간, 접속 성공률 등의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에 해당하는 유형의 품질 평가 값과 연결된 후의 품질에 해당하는 실제 대역폭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접속점 전환 정보로부터 소정의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접속점 후보를 소정 개수 얻지 못할 경우에는, 도 10(c)와 같이, 예를 들어 3개의 접속점 후보를 얻지 못하고 2개의 접속점 후보만을 얻는 경우에는 접속점 후보로 이동 통신망을 추가할 수도 있는데(예를 들어 AP1, AP2, 3G), 이동 통신망이 접속점 후보인 경우 해당 후보 접속점의 연결 품질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접속점 후보들(예를 들어 AP1, AP2, AP3)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접속점의 위치 정보로부터 해당 접속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도 10(d)와 같이 단말기에 보낼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각 후보 접속점에 대해서 해당 접속점의 연결 품질 정보에 더해서 또는 대신하여 해당 접속점의 위치 정보(L1, L2, L3)를 기록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요일/시간대, 단말기, 연결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기본(default) 방법으로 단말기에 보낼 접속점 후보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요청한 방법으로 접속점 후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접속점 연결 정보에 또는 접속점 추천 요청 메시지에,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될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지정할 수 있고,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의 유형에는 기본 모드, 연결 빈도 모드, 사용자 이력 모드, 날짜/요일 모드, 연결 품질 모드, 서비스사 지정 모드, 보안 비설정 모드 등이 있을 수 있고, 연결 품질 모드에는 접속점 후보의 선별에 사용될 연결 품질의 유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은 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받아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실제 대역폭보다는 연결 과정에서의 좋은 품질, 즉 접속점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거나 연결 성공률이 높은 것을 원하기 때문에,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전송하거나 접속점 추천 정보를 요청할 때 연결 품질 모드를 선택하고 연결 품질 유형에 연결 소요 시간이나 접속 성공률을 지정하여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을 우선으로 접속점 후보를 선택할 것을 서버에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접속점 연결 정보에 또는 접속점 추천 요청 메시지에 지정된 방법에 따라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연결 품질 모드에 따라 품질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할 때, 접속점 연결 정보 또는 접속점 추천 정보 요청을 전송한 단말기가 지정한 연결 품질 유형에 따라 결정한 접속점 후보의 순서로 접속점들을 기록하되, 해당 접속점 후보에 대한 품질 정보에는 상기 단말기가 지정한 연결 품질 유형이 아닌 다른 유형의 품질 평가 값을 기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연결 소요 시간이 짧은 접속점 후보의 추천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연결 소요 시간이 짧은 접속점 후보를 선택하여 순서대로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하되, 각 접속점 후보에 대한 품질 정보에는 해당 접속점 후보에 대한 실제 대역폭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록하고 갱신하는 것은 단말기에 현재 접속점 이후 다음에 연결할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데, 단말기의 현재 접속점만을 기초로 다음 접속점의 후보를 제안하면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3개의 연속되는 접속점 순서쌍을 기초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고, 상기 접속점 순서쌍에서 두 번째 접속점과 세 번째 접속점 사이의 접속점 연결에서의 품질 정보를 기초로 새로 연결할 다음 접속점을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각 단말기에 대해서 이전 접속점(APpd)과 현재 접속점(APcd)을 해당 단말기의 접속점 순서 정보로 관리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점 순서 정보를 갱신하는데,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로 갱신하기 전의 접속점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연결 정보에 포함된 현재 접속점(APc)의 이전 접속점(APp=APcd)과 전전 접속점(APpp=APpd)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접속점과 전전 접속점의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Lp=Lcd, Lpp=Lpd)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단말기가 전송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전전 접속점, 이전 접속점, 현재 접속점, 이전 접속점에서 현재 접속점으로 전환 때의 연결 품질 정보,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전송하여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원소로 추가한다. 접속점 전환 정보의 기본 데이터에는, 전전 접속점에 해당하는 제1 접속점, 이전 접속점에 해당하는 제2 접속점, 현재 접속점에 해당하는 제3 접속점, 제3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연결 품질 정보의 유형, 연결 품질 정보의 평가 값, 요일, 시간대, 서비스사, 보안 설정 여부, 단말기 식별자 등의 항목이 포함, 즉 도 8의 기본 데이터에 전전 접속점인 제1 접속점(도 8에서 제1 접속점이 제2 접속점에 해당하고, 도 8에서 제2 접속점이 제3 접속점에 해당함)가 더 추가될 수 있는데, 그 중 상기 제1 접속점, 제2 접속점, 제3 접속점 항목만은 반드시 포함되어 한다. 또한,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 관리되는 해당 단말기의 접속점 순서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예를 들어 서비스사를 분류 기준으로 하여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221)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제공한 단말기가 지정한(예를 들어, 해당 단말기가 속하는 이동전화 서비스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사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찾고, 찾아진 테이블에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이전 접속점(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접속점 순서 정보를 기초로 확인될 수 있음)과 현재 접속점을 제1 접속점과 제2 접속점으로 하는 데이터 원소들을 찾고, 찾아진 데이터 원소들을 동일한 제3 접속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 제3 접속점에 대해서 데이터 원소의 개수(연결 회수) 및/또는 연결 품질 정보의 평균 값 또는 중간 값을 구하고, 이로부터 연결 회수가 많거나 연결 품질이 좋은 소정 개수의 제3 접속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정보 처리부(220)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나 접속점 추천 정보 요청 메시지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면, 3개의 연속되는 접속점에 대한 정보와 해당 접속점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추가로 이용하여, 좀더 정확한 접속점 후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접속점 연결 정보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또는 별도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접속점 추천 정보가 상기 Wi-Fi 모듈(110) 또는 상기 셀룰러 모듈(120)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이를 앞서 설명한 접속점 이력 정보와 분리하여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접속점 이력 정보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현재 접속점을 기준으로 아래 계층에 이전 접속점과 수신된 추천 접속점을 순서쌍으로 하여 접속점 후보 정보를 새로 생성하거나 갱신하여 관리하거나 또는 상기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상기 메모리(170)에 임시로 저장하여 이용한 후 삭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는, 현재 접속점 이후에 연결할 다음 접속점에 대한 식별 정보(SSID 및/또는 MAC 주소)만이 포함될 수도 있고, 각 접속점에 대해서 접속점 식별 정보와 연결 품질 정보 및/또는 해당 접속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Wi-Fi 모듈(110)을 통해서 소정의 주기로(예를 들어 5초, 10초, 30초 등) 연결되어 있는 현재 접속점에서 수신한 패킷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운영 시스템(161)에서 실행되어 상기 Wi-Fi 모듈(110)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경우 실제 데이터의 속도 또는 송/수신 대역폭을 측정하여 상기 접속점과의 연결 상태나 연결 품질을 모니터링 하고, 이를 기초로 접속점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고 신호 강도나 최고 대역폭의 2/3가 되면 접속점 전환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주기적으로, 상기 GPS 모듈(130)을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전 접속점에서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전환할 때 이용했던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현재 접속점의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두 위치 사이 거리가 소정 길이 이상이 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접속점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현재 접속점의 위치보다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의 제공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한 접속점 추천 정보(또는 그 전에 이미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170)에 관리하는 접속점 후보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후보의 위치에 더 가깝게 되는 경우 그 때를 접속점 전환 시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접속점 전환 시점이 결정되면, 접속점 추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현재 접속점의 위치를 추가할 수도 있음)를 상기 셀룰러 모듈(120) 또는 Wi-Fi 모듈(110)을 통해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접속점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이미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전송 요청과 관련된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접속점과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후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보로 연결하는 접속점 전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Wi-Fi 모듈(110)을 제어하여, 비콘 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는 주위 접속점들에 대한 SSID(및/또는 MAC 주소)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의 SSID(및/또는 MAC 주소)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접속점들 중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록된 순서가 빠른 접속점을 선택하거나 또는 품질 정보가 높거나 또는 현재 단말기의 위치와 가까운 접속점을 선택하여 연결을 시도할 수 있고, 연결을 시도한 접속점과 실패한 경우 순차적으로 다음 접속점 후보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Wi-Fi 모듈(110)을 제어하여, 특정 SSID를 설정하지 않은 탐색 메시지를 채널 별로 송신하여 탐색 요청을 하고, 탐색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SSID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의 SSID(및/또는 MAC 주소)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접속점이 있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접속점들 중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기록 순서, 품질 정보, 위치 정보 등을 고려하여 접속점을 선택하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접속점에 대한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Wi-Fi 모듈(110)을 통해 다른 접속점과의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이 실패한 이후에, 상기 셀룰러 모듈(120)을 제어하여 이동 통신망(20)을 통해서 연결을 시도하여 IP를 할당 받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이동 통신망을 가리키는 정보가 없더라도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모든 접속점과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에 이동 통신망(20)을 통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동 통신망(20)을 통해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출력 모듈(140)과 입력 모듈(150)을 통해 적절한 사용자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Wi-Fi 망(10)을 통한 연결이 실패한 것을 알리고, 이동 통신망(20)을 통해 연결을 시도할 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접속점 이력 정보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보다도 우선적으로 고려하거나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보완하여, 연결을 시도할 접속점을 선택할 수 있는데, 상기 접속점 이력 정보에서 이전 접속점과 현재 접속점에 대응되는 다음 접속점들의 식별 정보와 연결 품질 정보 등을 확인하고, 주위 접속점에서 받은 비콘 메시지나 탐색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점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일치하는 접속점 중에서 해당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일어난 연결 회수가 많거나 연결 품질 정보가 좋은 순서 대로 접속점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데, 요일, 시간대 등의 소정의 분류 항목을 결정하고 결정된 분류 항목의 범위 내에서 연결 회수나 연결 품질 정보를 기초로 접속점을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접속점 추천 정보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개인의 접속점 이력 정보를 우선 고려할 것인지 아니면 서버로부터 받은 접속점 추천 정보를 우선 고려할 것인지 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품질 정보를 기초로 연결을 시도할 접속점 후보의 순서를 결정할 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고려하여 연결 시도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속점 연결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거나 접속점 추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면서 접속점 전환 빈도가 높거나 접속점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거나 연결 성공률이 높은 접속점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지정하여 이에 따른 접속점 추천 정보를 수신하였지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고해상도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전송 받아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 내의 품질 정보에 포함되는 연결된 후의 품질에 해당하는 실제 대역폭 정보를 기초로, 연결을 시도할 접속점 후보의 순서를 바꾸거나, 또는 메모리(170)에 관리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즉 이전 접속점, 현재 접속점 및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접속점 후보의 순서쌍들에 대한 품질 정보에서 실제 대역폭을 확인하고 실제 대역폭이 높은 접속점 후보의 순서를 정하고 정해진 순서대로 접속점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반대의 경우, 예를 들어 실제 대역폭이 큰 접속점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지정하여 접속점 추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였지만 접속점을 전환할 때 사용자가 메일 확인이나 채팅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 내의 품질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점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 정보를 기초로 연결을 시도할 접속점 후보의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지면, 이전 접속점 식별 정보, 새로 연결된 접속점 식별 정보, 연결 과정에서의 품질 정보, 연결된 후 측정한 실제 전송률(또는 대역폭) 정보,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단말기 식별 정보, 새로 연결된 접속점의 서비스사, 보안 설정 여부,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정보 등의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메모리(170)에 관리되는 접속점 이력 정보를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접속점 전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셀룰러 모듈(120)을 포함하지 않고 Wi-Fi 모듈(110)만을 포함하는 MP3 플레이어, PMP, 전자 사전, 전자 책, PMP, 내비게이션 등의 무선 통신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와 Wi-Fi 망(10)을 통해서 접속점 연결 정보와 접속점 추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지면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고, 정보 제공 서버(200)가 이를 기초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하고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접속점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점 연결을 전환하는 제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제1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정보 제공 서버(200)가 분리되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제2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로컬 서버를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상기 정보 제공 서버(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접속점 전환에 따라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 접속점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점을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모듈 및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접속점 전환 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기초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모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모듈은 앞서 설명한 정보 제공 서버(200)에 대응되는 로컬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내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접속점 연결 정보와 접속점 추천 정보를 주고 받고, 상기 데이터베이스(221)가 상기 메모리(170) 내에 구현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 접속점 전환 정보, 각종 데이터 테이블 등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는 점 등이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는 다르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같거나 유사하므로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외부 서버 없이도 접속점 전환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특정 경로를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Wi-Fi 망 20: 셀룰러 망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Wi-Fi 모듈
111: Wi-Fi 모뎀 112: Wi-Fi 코덱
120: 셀룰러 모듈 121: 셀룰러 모뎀
122: 셀룰러 코덱 130: GPS 모듈
140: 출력 모듈 141: 디스플레이 구동부
142: 디스플레이 패널 150: 입력 모듈
151: 터치 센서 152: 키 패드
160: 제어부 161: 운영 시스템
170: 메모리 200: 정보 제공 서버
210: 네트워크 부 220: 접속점 정보 처리부
221: 데이터베이스

Claims (53)

  1.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간에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접속 중인 제1 접속점에서 타 접속점으로의 전환을 위해,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하여 접속점 식별정보와 품질 정보가 각기 기재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얻는 1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재된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를 택하거나 품질 정보가 높은 순서를 택하고, 그 택한 순서에 따라 접속점에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2단계; 및
    상기의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된 제2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되면, 상기 제2 접속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기재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한 순서가 정해진 품질 유형과는 다른 유형의 품질에 대한 것인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는, 상기 접속점 식별정보의 각각에 대하여 위치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택한 순서에 따라 접속을 시도하는 시점을 상기 제1 접속점과의 연결 품질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확인되는 위치를 상기 제1 접속점의 위치 및 상기 접속점 식별정보의 각각에 대해 기재된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그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접속점 식별정보의 접속점으로의 접속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이전 접속점에서 상기 제1 접속점으로의 접속 전환시에 그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와 상기 제1 접속점의 식별 정보를 기재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제공함에 따라 그 응답으로 수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외부 서버에 제공되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상기 제1 접속점의 식별 정보가 더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9. 제 1항, 제 4항, 제 7항 및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속점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MAC 주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을 통해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의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제2 접속점으로 접속점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전화 번호, MAC 주소, 및 USIM 칩에 기재된 사용자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재된 상기 접속점 식별 정보가 나열된 순서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요청할 때 지정한 품질 유형에서의 크기를 기준으로 정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정보는,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연결 소요 시간, 접속 성공률 중 하나이거나 그 중 둘 이상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얻은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에 접속 전환된 후 측정되는 실제 전송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는 상기 제1 접속점을 통해 또는, 상기 제1 접속점과 상기 제2 접속점이 속하는 상기 무선 통신망과는 상이한 별도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제2 접속점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7. 무선 단말기에서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간에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을 위해 현재 접속 중인 제 1접속점에서 타 접속점으로의 전환을 위해,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점 식별정보가 기재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얻는 1단계;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에 따라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무선 단말기의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2단계; 및
    상기 접속 시도에 따라 제2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되면, 상기 제2 접속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기재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 제공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3단계는, 전(前) 접속점 항목과 현(現) 접속점 항목의 쌍으로 각 정보 원소가 구성되는 구조의, 상기 무선 단말기내에 저장된 접속점 이력 정보에, 상기 제1 접속점은 상기 전 접속점 항목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접속점은 상기 현 접속점 항목으로 하여 하나의 정보 원소를 등재하거나, 또는 전전(前前) 접속점 항목, 전 접속점 항목 그리고 현 접속점 항목의 조합으로 각 정보 원소가 구성되는 구조의 접속점 이력정보에, 상기 제1 접속점 이전에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접속되었던 접속점을 상기 전전 접속점 항목으로, 상기 제1 접속점은 상기 전 접속점 항목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접속점은 상기 현 접속점으로 하여 하나의 정보 원소를 등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수신된 접속점 추천 정보내의 상기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와 상기 무선 단말기내에 저장된 상기 접속점 이력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접속점에 대한 접속 시도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에 따른 접속 시도에서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1 접속점과 상기 제2 접속점이 속하는 상기 무선 통신망과는 상이한 별도의 이동 통신망에 대한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 시도에 앞서, 상기 이동 통신망에 대한 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는 상기 접속점 식별정보 외에, 상기 제1 접속점과 상기 제2 접속점이 속하는 상기 무선 통신망과는 상이한 별도의 이동 통신망을 지시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22. 무선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연결하기 위한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을 위해 현재 접속 중인 제1 접속점에서 타 접속점으로의 전환을 위해,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하여 접속점 식별정보와 품질 정보가 각기 기재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현재의 동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재된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를 택하거나 품질 정보가 높은 순서를 택하고, 그 택한 순서에 따라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접속점 식별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중 하나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의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2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접속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기재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한 순서가 정해진 품질 유형과는 다른 유형의 품질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점과 상기 제2 접속점 속하는 상기 무선 통신망과는 상이한 별도의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가 상기 이동 통신망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의 접속 시도에서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24. 무선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네트워크부;
    무선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속점간을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접속점 전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임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보고된, 새로 연결된 현재 접속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하거나 갱신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접속점 정보 제공요청이 있으면,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접속정보 제공요청을 한 특정 무선 단말기가 접속점의 전환 시에 접속을 시도할 하나 이상의 접속점 후보를 포함하는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부로 하여금 상기 특정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하기 위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전(前) 접속점 항목과 현(現) 접속점 항목의 쌍으로 각 정보 원소가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접속점 연결 정보에 대해, 그 연결 정보에 식별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상기 현재 접속점은 상기 현 접속점 항목으로, 그리고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현재 접속점 직전에 접속하고 있던 이전 접속점은 상기 전 접속점 항목으로 하여 하나의 정보 원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에 등재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의 보고가 있는 경우를 상기 접속정보 제공요청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각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해당 무선 단말기가 현재 접속된 특정 접속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에서 상기 특정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기초로 각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상기 접속점에 대한 정보는 해당 접속점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된,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접속점의 위치를 구하고, 상기 접속점에 대한 정보에 해당 접속점의 위치를 기록하거나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1.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 제공요청에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로부터 상기 접속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지정된 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순서를 알 수 있는 방식으로 또는 그 순서를 알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소정 개수의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접속점 식별정보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지정된 방법과 다른 방법에 따라, 상기 소정 개수의 접속점 후보에 대한 접속시도 순서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품질 정보를 상기 각 접속점 후보에 대해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더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4.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로부터 보고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는, 상기 현재 접속점 직전에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가 접속하고 있던 상기 이전 접속점의 식별 정보를 더 기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는, 상기 현재 접속점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의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이전 접속점에서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품질 정보는, 상기 현재 접속점에 접속되는 과정에 측정되는 신호 강도, 전송 속도, 연결 소요 시간, 접속 성공률 중 하나 또는 그 중 둘 이상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얻은 값, 및 상기 현재 접속점에 접속된 후 측정되는 실제 전송률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7. 삭제
  3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각 정보 원소가 전전(前前) 접속점 항목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에 상기 하나의 정보 원소를 등재함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가 상기 이전 접속점 직전에 접속하고 있던 접속점을 상기 전전 접속점 항목으로 하여 기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9. 제 24항 또는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는 그 정보 원소가,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으로의 접속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의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의 정보, 상기 현재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접속점 연결 정보를 수신한 요일/시간대, 또는 상기 임의의 무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정보 항목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를 기초로 소정 분류 기준에 따른 하나 이상의 분류 항목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또는 갱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테이블의 테이블 원소는,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의 정보 원소가 갖고 있는 상기 전 접속점 항목과 상기 현 접속점 항목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분류 기준은 상기 요일/시간대, 서비스사의 정보, 접속점의 보안 설정 여부, 무선 단말기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보고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상기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은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접속점 전환 정보에 근거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소정 조건에 맞는 분류 항목에 대한 데이터 테이블을 찾고, 상기 찾아진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무선 단말기기가 현재 접속하고 있는 접속점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전 접속점 항목에 기재하고 있는 테이블 원소들을 찾고, 상기 찾아진 테이블 원소들 중에서 상기 현 접속점 항목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식별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또는 상대적으로 특정 품질 정보가 더 좋은 소정 개수의 접속점을 선택하여 이를 상기 접속점 후보로서 포함하는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3. 삭제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접속점을 해당 식별 정보가 기재된 수가 많거나 또는 상기 특정 품질 정보가 좋은 순서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기재하거나, 상기 특정 품질 정보를 해당 식별 정보에 연계하여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함께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5. 삭제
  4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속점 후보가 소정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현 접속점과 상기 이전 접속점이 속하는 무선 통신망과는 상이한 별도의 이동 통신망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접속점 후보로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하여 기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접속점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지정된 품질 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그 기재 순서가 정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에서의 접속점 전환 방법.
  53. 무선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을 위해 현재 접속 중인 제1 접속점에서 타 접속점으로의 전환을 위해, 접속시도할 접속점들에 대한 접속점 식별정보가 각기 기재된 접속점 추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서의 상기 각 접속점 식별정보의 순서에 따라 접속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망에의 연결이 상기 제1 접속점에서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접속점 식별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접속점 중 하나로 전환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접속점 추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제2 접속점으로 접속 전환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접속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품질 정보를 기재한 접속점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접속점으로의 접속 전환이 있게 되면, 전(前) 접속점 항목과 현(現) 접속점 항목의 쌍으로 각 정보 원소가 구성되는 구조의, 상기 무선 단말기내에 저장된 접속점 이력 정보에, 상기 제1 접속점은 상기 전 접속점 항목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접속점은 상기 현 접속점 항목으로 하여 하나의 정보 원소를 등재하거나, 또는 전전(前前) 접속점 항목, 전 접속점 항목 그리고 현 접속점 항목의 조합으로 각 정보 원소가 구성되는 구조의 접속점 이력정보에, 상기 제1 접속점 이전에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접속되었던 접속점을 상기 전전 접속점 항목으로, 상기 제1 접속점은 상기 전 접속점 항목으로, 그리고 상기 제2 접속점은 상기 현 접속점으로 하여 하나의 정보 원소를 등재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KR1020110088967A 2011-09-02 2011-09-02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136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67A KR101362697B1 (ko) 2011-09-02 2011-09-02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67A KR101362697B1 (ko) 2011-09-02 2011-09-02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76A KR20130025576A (ko) 2013-03-12
KR101362697B1 true KR101362697B1 (ko) 2014-02-13

Family

ID=4817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967A KR101362697B1 (ko) 2011-09-02 2011-09-02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03B1 (ko) * 2013-08-05 2015-06-23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단말기의 이동성과 통신망 이용특성에 근거하여 무선 통신망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KR102127575B1 (ko) * 2018-12-10 2020-06-29 에이미파이(주) 복수의 개인 통신 단말기들을 이용하여 전철 운행경로를 따른 무선 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49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허용된 펨토 셀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049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허용된 펨토 셀을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576A (ko) 201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575B2 (ja) 好適な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サービスプロバイダを示す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931370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access point in wireless network system
JP3775278B2 (ja) 網サービ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網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並びにその方法及び端末
US8315626B2 (en) Smart wireless station for identifying a preferred access point
KR102060373B1 (ko)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방법 및 장치
JP5337879B2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ポイントの事前評価
JP4799263B2 (ja) 無線通信端末
KR101719365B1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1760631B1 (ko) Wlan 선택의 관리
KR20110126359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KR1012915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인 무선망 액세스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08885A (ko) Ue의 정책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0972021B1 (ko) 무선통신시스템
KR101737372B1 (ko) 관리 서버를 활용한 와이파이 접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021368B2 (ja) 位置別アクセスポイントの品質情報を介して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ための無線端末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接続方法
CN103828441A (zh) 识别辅助的无线网络连接
US8908614B2 (en)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1547500A (zh) 无线基站和通信控制方法
JP2014529374A (ja) 無線通信装置の装置識別情報を用いる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前記コンテンツ表示方法を行うユーザ端末及び前記コンテンツ提供方法を行う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JP2005204319A (ja) 小規模ネットワーク間の接続確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36269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접속점 전환 방법 및 접속점 전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US20090109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network information using mobile terminal
KR101243752B1 (ko) 무선망 접속점들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장치
KR101260261B1 (ko) 무선망 접속을 위한 참조정보를 구성하여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장치
CN104937911A (zh) 无线通信装置、通信系统、无线通信装置控制方法以及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