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635B1 -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635B1
KR101396635B1 KR1020137001900A KR20137001900A KR101396635B1 KR 101396635 B1 KR101396635 B1 KR 101396635B1 KR 1020137001900 A KR1020137001900 A KR 1020137001900A KR 20137001900 A KR20137001900 A KR 20137001900A KR 101396635 B1 KR101396635 B1 KR 10139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ad conductor
polyallylamine
lea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414A (ko
Inventor
유타카 후쿠다
히로시 하야미
히로야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am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 H01G2/103Sealings, e.g. for lead-in wir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와,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를 갖고,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부품으로서,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금속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에 의해, 초기 상태 및 전해액과의 접촉 상태에서의 접착성, 밀봉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들에 이용하는 리드선, 봉입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ELECTRICAL COMPONENT, NONAQUEOUS-ELECTROLYTE CELL, AND LEAD WIRE AND SEALABLE CONTAINER BOTH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소형 전자 기기의 전원 등으로서 사용되는 전기 부품 및 비수 전해질 전지, 및 이들을 구성하는 부재인 리드선 및 봉입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이들의 기기에 사용되는 전지, 콘덴서 등의 전기 부품에 관해서도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것 때문에, 예컨대, 자루체를 봉입 용기로서 이용하여, 그 내부에 비수 전해질(전해액), 양극 및 음극을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비수 전해질 전지가 채용되고 있다. 비수 전해질로서는, LiPF6, LiBF4 등의 불소를 함유하는 리튬염을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등에 용해한 전해액이 사용되고 있다.
봉입 용기에는, 전해액이나 가스의 투과, 외부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는 성질이 요구된다. 이것 때문에,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층을 수지로 피복한 라미네이트 필름이 봉입 용기의 재료로서 사용되고, 2장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단부를 열융착하여 봉입 용기를 형성한다.
봉입 용기의 일단은 개구부로 하고, 이 내부에는, 비수 전해질, 양극판, 음극판, 세퍼레이터 등을 봉입한다. 또한 양극판 및 음극판에 그 일단이 접속된 리드 도체를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최후에 개구부를 히트 시일(열융착)하는 것으로 봉입 용기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함께,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를 접착하여 개구부를 봉지한다. 이 최후에 열융착되는 부분을 시일부라고 부른다.
이때,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는 열융착층을 통해서 접착(열융착)된다. 열융착층은, 미리 리드 도체의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두거나, 또는 봉입 용기의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두는 것으로 봉입 용기의 금속층과 리드 도체의 사이에 개재시킨다. 히트 시일시에 열융착층의 유동성이 높으면,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열융착시에 지나치게 유동하면, 금속층과 리드 도체가 단락되어 버린다. 이것 때문에, 시일부에는, 금속층과 리드 도체의 단락을 발생시킴이 없이, 접착성, 시일성(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비수 전해질 전지에 이용하는 전지용 봉입 자루 및 리드선이 개시되어 있다. 리드 도체의 도체 바로 위에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층을 설치하여 열융착층으로 함으로써, 시일부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56212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99527호 공보
시일부에 있어서는,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의 접착성, 밀봉성이 필요되지만, 봉지 직후의 접착성이 충분하여도, 시간이 경과하면 서서히 접착력이 저하되어, 금속층 또는 리드 도체의 계면에서 박리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시일 부분으로부터 수분이 투과하여, 봉입 용기의 내부에 봉입된 전해질과 물의 반응으로 불화수소산이 발생하여 리드 도체(금속)가 부식되는 것에서 기인한다. 특히 자동차 용도에 사용되는 전기 부품에서는, 장기에 걸쳐 사용할 수 있을 필요가 있어, 열융착 부분의 내전해액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과제로 되고 있다. 특히 음극의 리드 도체로서 이용하는 니켈이나 니켈-도금층과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생기기 쉬워, 내전해액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내전해액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에서는, 표면이 니켈인 리드 도체의 표면 및 측면에 아미노화 페놀 중합체, 3가 크로뮴 화합물 및 인 화합물의 복합 피막층을 형성한 전지 탭이 개시되어 있다. 복합 피막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전해질과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불화수소산에 의한 니켈층의 부식을 방지하여, 니켈층의 용출을 막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중금속인 크로뮴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초기 상태 및 전해액과의 접촉 상태에서의 접착성, 밀봉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들에 이용하는 리드선, 봉입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와,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를 갖고, 상기 봉입 용기와 상기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부품으로서, 상기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이다(본원 제 1 발명).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는 열융착층을 통해서 열융착되지만, 또한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가짐으로써 내전해액성이 향상된다.
폴리알릴아민은 1종 이상의 알릴아민이 중합된 폴리머이다. 알릴아민과 이산화황의 공중합체와 같이, 분자 골격에 이산화황을 갖는 폴리알릴아민을 이용하면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본원 제 2 발명).
또한, 폴리알릴아민은 다이알릴아민을 중합 성분으로서 가지면 부식 방지 기능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본원 제 3 발명). 다이알릴아민을 중합 성분으로서 가지면, 2급 이상의 아민기가 폴리머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부식 방지 기능이 높아진다. 이 경우 다이알릴아민만을 중합한 다이알릴아민 중합체를 이용하여도 좋고, 다이알릴아민과 다른 공중합 성분을 중합한 다이알릴아민 공중합체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 및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에 봉입된 비수 전해질 및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에 봉입되고 상기 리드 도체의 단부에 접속되는 전극을 갖고, 상기 봉입 용기와 상기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비수 전해질 전지로서, 상기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질 전지를 제공한다(본원 제 4 발명). 이러한 구성의 비수 전해질 전지는, 시일부의 접착성, 밀봉성이 높고, 또한 내전해액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접착성,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부품 또는 비수 전해질 전지에 사용되는 리드선으로서, 리드 도체와, 상기 리드 도체의 적어도 상기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열융착층을 갖고, 상기 열융착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리드선을 제공한다(본원 제 5 발명).
리드 도체의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이란, 리드 도체와 봉입 용기(금속층)가 접착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응하는 리드 도체의 편면 또는 양면을 열융착층으로 피복함과 더불어, 상기 열융착층과 리드 도체의 사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하면,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은, 리드 도체와 접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드선을 이용함으로써, 시일부의 접착성, 밀봉성이 높고, 또한 사용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접착성,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 부품 및 비수 전해질 전지가 얻어진다. 리드 도체가 니켈 또는 니켈을 표면에 도금한 금속이면, 특히 내전해액성 향상 효과가 높아진다(본원 제 6 발명).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부품 또는 비수 전해질 전지에 사용되는 봉입 용기로서,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적어도 상기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열융착층을 갖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봉입 용기를 제공한다(본원 제 7 발명).
금속층의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이란, 리드 도체와 봉입 용기(금속층)가 접착되는 부분이다. 봉입 용기는, 일반적으로 금속층과 금속층의 전체면을 피복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형성된다.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수지층의 표면에 열융착층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다. 또는, 상기 수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열융착층으로 하고,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의 봉입 용기를 이용함으로써, 시일부의 접착성, 밀봉성이 높고, 또한 사용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접착성,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 부품 및 비수 전해질 전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상태 및 전해액과의 접촉 상태에서의 접착성, 밀봉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들에 이용하는 리드선, 봉입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수 전해질 전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수 전해질 전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열융착층의 표면만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리드 도체 전체를 피복하도록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봉입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봉입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봉입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부품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한 것과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다. 도 1은 리튬이온 전지 등의 비수 전해질 전지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부에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 비수 전해질 전지(1)는, 대략 직사각형의 봉입 용기(2)와, 봉입 용기(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3)를 갖고 있다.
봉입 용기(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층(5)과, 금속층(5)을 피복하는 수지층(6), 수지층(7)으로 이루어지는 3층의 라미네이트 필름(8)으로 이루어진다. 금속층(5)은 알루미늄 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봉입 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는 수지층(6)으로서는, 6,6-나일론, 6-나일론 등의 폴리아마이드 수지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봉입 용기(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지층(7)에는, 비수 전해질에 용해하지 않고, 또 가열하여 용융하는 절연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 변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가 예시된다. 봉입 용기(2)는, 2장의 라미네이트 필름(8)을 포개어, 리드 도체가 관통하는 근처 이외의 세 변을 히트 시일하여 제작한다. 봉입 용기의 외주부에서는, 2개의 금속층(5)은 수지층(7)을 통해서 접착된다.
시일부(9)에 있어서, 리드 도체(3)는 열융착층(4)을 통해서 봉입 용기(라미네이트 필름(8))과 접착(열융착)된다. 열융착층(4)의 안쪽에서 리드 도체(3)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을 설치한다.
비수 전해질 전지의 내부에는, 또한, 리드 도체의 단부에 접속된 양극 집전체(10) 및 음극 집전체(11), 비수 전해질(13) 및 세퍼레이터(12)가 봉입된다.
열융착층(4)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히트 시일시의 열에 의해서 용융하여 봉입 용기와 리드 도체를 접착 가능한 임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산 변성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융착층에는, 이들의 수지 외에,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수지 재료 및 첨가제를 오픈 롤, 가압 니더, 1축 혼합기, 2축 혼합기 등의 이미 알려진 혼합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압출 성형 등에 의해서 필름 형상의 열융착층을 제작한다. 열융착층의 두께는 리드 도체의 두께에 의존하지만, 30㎛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열융착층은 가속 전자선이나 γ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가교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함으로써 내열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시의 온도가 높아진 경우의 접착력의 저하나, 리드 도체와 금속층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열융착층 전체를 가교하여도 좋고, 열융착층을 다층 구조로 하여 비가교층과 가교한 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은, 예컨대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을 용제에 용해한 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형성한다. 용제에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은 10nm 이상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릴아민은 1종 이상의 알릴아민이 중합된 폴리머이다. 알릴아민의 단독중합체, 다이알릴아민의 단독중합체, 알릴아민과 다이알릴아민의 공중합체, 알릴아민 또는 다이알릴아민과 이산화황, 말레산의 공중합체 등이 폴리알릴아민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민 부분이 초산염, 염산염과 같이 중화되어 있는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열융착층(4) 및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은, 미리 리드 도체(3)의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피복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조의 것을 리드선으로 정의한다. 도 3A 및 도 3B는 리드선의 개략 단면도이다. 리드선의 양면을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과 열융착층(4)이 피복하고 있다.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은, 도 3A와 같이 열융착층의 표면만에 설치하여도 좋고, 도 3B와 같이 리드 도체 전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3A의 구성의 리드선은, 열융착층(4)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의 용액을 도포하여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을 형성한 후,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리드 도체와 접하도록 리드 도체에 접합함으로써 작성 가능하다. 또한 도 3A의 구성의 리드선은, 폴리알릴아민의 용액을 리드 도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을 형성한 후, 열융착층과 접합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리드선은 탭 리드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리드 도체(3)로서는, 알루미늄, 니켈, 구리, 니켈-도금 구리 등의 금속이 사용된다.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는, 양극에는 알루미늄, 음극에는 니켈 또는 니켈-도금 구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열융착층(4) 및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은, 미리 봉입 용기 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적어도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열융착층(4)으로 피복하고, 또한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다. 이러한 봉입 용기로서는, 수지층(7)의 내부에 열융착층(4) 및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14)을 설치한 형태(도 4)나, 절연 수지층(7)의 전부를 열융착층(4)으로 치환하고,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 형태(도 5), 및 절연 수지층(7)의 일부(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열융착층(4)으로 치환하고, 또한 열융착층(4)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 형태(도 6) 등이 예시된다. 또 리드 도체와 봉입 용기를 시일(열융착)할 때에,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한 접착 부재를 리드 도체와 봉입 용기의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튬이온 전지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전기 부품 및 비수 전해질 전지는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음극용의 리드 도체로서 두께 0.1mm, 폭 20mm, 길이 40mm의 니켈-도금 구리를 준비했다. 표 1에 나타내는 종류의 폴리알릴아민 용액에 리드 도체를 침지한 후, 100℃에서 건조하여, 리드 도체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했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가공하여 두께 100㎛의 열융착을 제작하여, 상기 리드 도체의 양면에 피복한 후, 180℃에서 5초 프레스하여 접착하여, 리드선을 제작했다.
(실시예 6, 7)
음극용의 리드 도체로서 두께 0.1mm, 폭 20mm, 길이 40mm의 니켈-도금 구리를 준비했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가공하여 두께 100㎛의 열융착을 제작하여, 수득된 열융착층의 표면에 표 1에 나타내는 종류의 폴리알릴아민 용액을 도포한 후, 100℃에서 건조하여,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한 절연 필름을 수득했다.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도체와 접하도록 하여 리드 도체의 양면에 절연 필름을 피복한 후, 180℃에서 5초 프레스하여 접착하여, 리드선을 제작했다.
(비교예 1)
음극용의 리드 도체로서 두께 0.1mm, 폭 20mm, 길이 40mm의 니켈-도금 구리를 준비했다.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가공하여 두께 100㎛의 열융착을 제작하여, 상기 리드 도체의 양면에 피복한 후, 180℃에서 5초 프레스하여 접착하여, 리드선을 제작했다.
에틸렌카보네이트(EC), 다이에틸카보네이트(DEC), 탄산다이메틸(DMC)을 1:1:1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고, 전해질로서 육불화인산리튬(LiPF6)을 1.0mol/l이 되도록 용해한 전해액을 준비했다. 이 전해액에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의 리드선을 침지하고, 전해액의 수분율이 100 내지 200ppm이 되도록 조정하여 65℃의 항온조 내에 2주간 및 4주간 방치했다. 그 후, 열융착층과 리드 도체의 박리가 없는지 어떤지를 육안으로 관찰함과 더불어, 180°박리 시험으로 접착력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재료 파괴」란, 접착력이 매우 높아, 박리한 열융착층이 파괴되었기 때문에 접착력을 측정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표 1]
Figure 112013006908898-pct00001
(각주)
(*1) 부분 요소화 알릴아민 중합체(닛토보세키(日東紡)(주)제 PAA-N5000)
물/메탄올 용액(농도 1.5%)
(*2) 다이알릴아민 중합체(닛토보세키(주)제 PAS-21)
물/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테르 용액(농도 2.5%)
(*3) 다이알릴아민초산염 이산화황 공중합체(닛토보세키(주)제 PAS-92A)
물/프로필렌글라이콜모노메틸에테르 용액(농도 10%)
(*4) 알릴아민 중합체(닛토보세키(주)제, PAA-03)
물/메탄올 용액(농도 2%)
(*5) 다이알릴다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공중합체(닛토보세키(주)제, PAS-H-5L)
물/메탄올 용액(농도 3%)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한 실시예 1 ~ 7은, 전해액에 4주간 침지한 후에도 박리가 없어, 내전해액 침지성이 양호했다. 이것에 비하여, 폴리알릴아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전해액에 침지하고 나서 약 1주일에 박리가 생겼다.
실시예 3 및 실시예 7에서는, 다이알릴아민초산염과 이산화황의 공중합체를 처리액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전해액에 2주간 침지후, 4주간 침지후에도 도체와의 접착력이 매우 높아, 접착력 및 내전해액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알릴아민 중합체를 처리액으로 이용한 실시예 4와 비교하면, 그 밖의 처리액을 이용한 실시예 1 ~ 3, 5 ~ 7은, 2주간후 접착력, 4주간후 접착력이 모두 높아, 접착력 및 내전해액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와,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를 갖고, 봉입 용기와 상기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부품의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금속층과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에 의해, 초기 상태 및 전해액과의 접촉 상태에서의 접착성, 밀봉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들에 이용하는 리드선, 봉입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비수 전해질 전지
2: 봉입 용기
3: 리드 도체
4: 열융착층
5: 금속층
6: 수지층
7: 수지층
8: 라미네이트 필름
9: 시일부
10: 양극 집전체
11: 음극 집전체
12: 세퍼레이터
13: 비수 전해질
14: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

Claims (7)

  1.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와,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를 갖고, 상기 봉입 용기와 상기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부품으로서,
    상기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릴아민이 분자 골격에 이산화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릴아민이 다이알릴아민을 중합 성분으로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
  4. 금속층을 갖는 봉입 용기,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리드 도체, 및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에 봉입된 비수 전해질 및 상기 봉입 용기의 내부에 봉입되고 상기 리드 도체의 단부에 접속되는 전극을 갖고, 상기 봉입 용기와 상기 리드 도체가 시일부에서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는 비수 전해질 전지로서,
    상기 시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이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 전해질 전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부품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비수 전해질 전지에 사용되는 리드선으로서,
    리드 도체와, 상기 리드 도체의 적어도 상기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열융착층을 갖고, 상기 열융착층과 상기 리드 도체의 사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리드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도체는 니켈 또는 니켈을 표면에 도금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리드선.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부품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비수 전해질 전지에 사용되는 봉입 용기로서,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적어도 상기 시일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열융착층을 갖고, 상기 리드 도체와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층의 표면에 폴리알릴아민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입 용기.
KR1020137001900A 2010-07-27 2011-07-20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KR101396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7770 2010-07-27
JP2010167770A JP5540967B2 (ja) 2010-07-27 2010-07-27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PCT/JP2011/066402 WO2012014737A1 (ja) 2010-07-27 2011-07-20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414A KR20130033414A (ko) 2013-04-03
KR101396635B1 true KR101396635B1 (ko) 2014-05-16

Family

ID=4552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900A KR101396635B1 (ko) 2010-07-27 2011-07-20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9138B2 (ko)
EP (1) EP2600435B1 (ko)
JP (1) JP5540967B2 (ko)
KR (1) KR101396635B1 (ko)
CN (1) CN102986056B (ko)
TW (1) TWI548134B (ko)
WO (1) WO2012014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2179B2 (en) * 2010-08-30 2015-02-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2015103291A (ja) * 2013-11-21 2015-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ラミネート型電池
JP6273461B2 (ja) * 2014-02-19 2018-0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9634301B2 (en) 2015-01-05 2017-04-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secondary seal
USD773390S1 (en) 2015-02-27 2016-12-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O2017201180A1 (en) * 2016-05-20 2017-11-23 Avx Corporation Multi-cell ultracapacitor
CN109155206A (zh) 2016-05-20 2019-01-04 阿维科斯公司 超级电容器用的非水电解质
CN108292733B (zh) * 2016-10-17 2021-01-1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用于非水电解质电池的引线、以及包含该引线的非水电解质电池
JP6747237B2 (ja) * 2016-10-24 2020-08-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池用包装材料および電池
JP6759970B2 (ja) * 2016-10-24 2020-09-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ード部材
JP7217404B2 (ja) * 2017-07-12 2023-0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
KR102227239B1 (ko) * 2017-12-07 2021-03-11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질 전지용 리드선 및 그것을 구비하는 비수 전해질 전지
JP7392643B2 (ja) * 2018-04-06 2023-12-06 日産化学株式会社 塗布膜形成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220247016A1 (en) * 2019-05-21 2022-08-04 Sharp Kabushiki Kaisha Metal-air cell
JP7306279B2 (ja) * 2020-01-24 2023-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電力変換装置
US11267620B1 (en) 2021-07-15 2022-03-08 Ningbo Halson Import & Export Co., Ltd. Press type sealable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3888A (ja) * 1989-03-07 1990-09-17 Toshiba Corp 流量調整装置
JP2001266813A (ja) 2000-03-17 2001-09-28 Tdk Corp 電気化学素子
KR20090018981A (ko) * 2006-06-27 2009-02-24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전지용 복합 양극재료 및 이것을 이용한 전지
JP2010102935A (ja) 2008-10-23 2010-05-06 Toppan Printing Co Ltd リチウム電池用外装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2129B2 (ja) 1996-04-19 2004-09-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用封入袋及びリード線
JPH09288998A (ja) * 1996-04-23 1997-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
SG85658A1 (en) * 1998-07-02 2002-01-15 Nat Starch Chem Invest Package encapsulants prepared from allylated amide compounds
JP2002019021A (ja) * 2000-06-30 2002-01-22 Nippon Denkai Kk ポリアリルアミン被覆層を有する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用銅張積層板
JP2002226793A (ja) * 2001-01-31 2002-08-14 Nitto Denko Corp 電子部品連設用接着テープ
JP5108228B2 (ja) * 2006-01-10 2012-12-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絶縁被覆層つきリード導体及び封入容器
JP5211622B2 (ja) * 2007-01-31 2013-06-12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電池用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02823B1 (en) * 2007-09-26 2013-05-22 Toppan Printing Co., Ltd. Packing material for lithium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92914B2 (ja) 2007-09-28 2013-09-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タブ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10033888A (ja) * 2008-07-29 2010-02-12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用リード線および非水電解質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3888A (ja) * 1989-03-07 1990-09-17 Toshiba Corp 流量調整装置
JP2001266813A (ja) 2000-03-17 2001-09-28 Tdk Corp 電気化学素子
KR20090018981A (ko) * 2006-06-27 2009-02-24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전지용 복합 양극재료 및 이것을 이용한 전지
JP2010102935A (ja) 2008-10-23 2010-05-06 Toppan Printing Co Ltd リチウム電池用外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435A1 (en) 2013-06-05
CN102986056A (zh) 2013-03-20
JP2012028237A (ja) 2012-02-09
TW201222933A (en) 2012-06-01
KR20130033414A (ko) 2013-04-03
WO2012014737A1 (ja) 2012-02-02
EP2600435B1 (en) 2015-08-19
JP5540967B2 (ja) 2014-07-02
CN102986056B (zh) 2016-08-10
TWI548134B (zh) 2016-09-01
US20130108915A1 (en) 2013-05-02
US8859138B2 (en) 2014-10-14
EP2600435A4 (en)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635B1 (ko)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KR101280798B1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9893B1 (ko) 실링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7749652B2 (en) Lead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including same
US10263237B2 (en) Cylindrical battery, and collector member used theref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27541B1 (ko) 전기 부품, 비수 전해질 전지 및 그것에 이용하는 리드선 및 봉입 용기
WO199704053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JP5402547B2 (ja) リード部材、リード部材付蓄電デバイス及びリード部材の製造方法
TWI389373B (zh) 引線構件及其製法、與非水電解質蓄電裝置
WO1997040540A1 (en) Non-aqueous electrolyte cell
JP5375013B2 (ja)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CN108292733B (zh) 用于非水电解质电池的引线、以及包含该引线的非水电解质电池
TW557595B (en) A power storage device
JP2009123401A (ja)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JP2016129105A (ja) タブリード
JP6593078B2 (ja) リード部材及び蓄電デバイス
JP5672196B2 (ja)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KR20160129595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전지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CN111630677A (zh)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JP2009110779A (ja)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JP6019593B2 (ja) 非水電解質電池用リード線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JP5884703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6457996A (zh) 二次电池
CN115136395A (zh) 端子用树脂膜以及使用了该端子用树脂膜的蓄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