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319B1 -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319B1
KR101396319B1 KR1020130122096A KR20130122096A KR101396319B1 KR 101396319 B1 KR101396319 B1 KR 101396319B1 KR 1020130122096 A KR1020130122096 A KR 1020130122096A KR 20130122096 A KR20130122096 A KR 20130122096A KR 101396319 B1 KR101396319 B1 KR 10139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motor
tension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수림엘리베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림엘리베이터(주) filed Critical 수림엘리베이터(주)
Priority to KR102013012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18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carrying surface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에서 오랜 사용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는 체인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강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동모터의 샤프트단에 체결된 스프로켓과 스텝체인용 스프로켓에 걸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모터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체결판에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의 외곽으로 지지플레이트에 스크류체결되는 조절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 하부체결판 상단의 모터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미세한 연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를 일정한 수평방향의 거리를 이동시킨 후 조립볼트를 강하게 죄어 그 위치를 고정하고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tention control unit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회동시키기위한 구동부에서 오랜 사용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는 체인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강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동모터의 샤프트단에 체결된 스프로켓과 스텝체인용 스프로켓에 걸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모터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체결판에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의 외곽으로 지지플레이트에 스크류체결되는 조절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 하부체결판 상단의 모터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미세한 연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를 일정한 수평방향의 거리를 이동시킨 후 조립볼트를 강하게 죄어 그 위치를 고정하고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는 장력조절장치는, 그 설치되는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엘스컬레이터의 구동은 구동롤러의 구동력을 받은 동축상의 제1스프로켓이 감속기를 통해서 회전하고, 이 제1스프로켓과 체인 연결되는 스텝체인용 제2스프로켓이 회전하면서 스텝을 연동시키고 있다. 이때 제1스프로켓과 제2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이 오랜사용으로 인하여 느슨해지면, 작동에 문제가 발생된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체인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고, 이 장력이 틀어진 경우에는 적당한 장력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력조절장치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럼 이러한 종래의 장력조절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를 도시된 도 1과 2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종래의 장력조절장치(20)는 도 1과 2에 보인 바와 같이 장력조정자(10)와 수평방향으로 연결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연결로드(21), 이 제1연결로드(21)와 떨어져 수평한 고정프레임(22)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연결로드(23), 제1 및 제2연결로드(21,23)를 각각 양단에 연결하여 피봇운동하게 지지된 링크부재(24), 고정프레임(22)상의 제2연결로드(23) 주위에 설치된 스프링(25)과 그 스프링받이(26), 이 스프링받이(26)가 밀리지 않게 하면서 스프링(25)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게 연결로드(23)에 형성된 나사부(23a)에 체결된 조정너트(27), 그리고 장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제2연결로드(23) 단부에 설치된 감지자(28)와 이 감지자(28)의 이동에 따라 장력의 강약을 알리는 신호를 검출하는 감지스위치(29)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은 상기 스프링(25)의 탄력은 통상과 같이 조정너트(27)를 풀고 조이는데 따라서 강약조절되어 제2연결로드(23)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작용한다. 제2연결로드(23)에 작용하는 스프링(25)의 탄력은 링크부재(24)와 제1연결로드(21)를 통해 장력조정자(10)를 당기게 되며 이에 의해 그 탄력에 상당하는 힘으로 체인의 장력을 유지한다. 즉, 조정너트를 풀고 조이는 방식으로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력조절장치는 장력을 조절하기에 용이한 면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약하다. 항상 잔진동으로 인하여 볼트나 너트의 고정이 풀어지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부는 강한 고임이 필요한데, 조정너트를 풀고 조이는 형태의 작동방법은 잔진동으로 인하여 얼마든지 풀어지거나 조일 수 있는 문제점을 낳는다.
또한 회동모터와 완벽하게 고정되어 회동모터의 고정위치를 변형시킬 수는 없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회동모터가 고정되고 체인만을 이동시키는 방식은 완벽하게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 이 건 발명과 같은 장력조절장치가 탄생하였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회동시키기위한 구동부에서 오랜 사용을 통해서 발생될 수 있는 체인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강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동모터의 샤프트단에 체결된 스프로켓과 스텝체인용 스프로켓에 걸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모터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하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체결판에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의 외곽으로 지지플레이트에 스크류체결되는 조절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 하부체결판 상단의 모터프레임이 수평방향으로 미세한 연동을 가능하도록 하여, 모터를 일정한 수평방향의 거리를 이동시킨 후 조립볼트를 강하게 죄어 그 위치를 고정하고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는, 구동부(K) 회동모터(M)축에 고정되는 스프라켓(1)과 스텝체인용 스프라켓(2)을 연결하는 체인(3); 체인(3)이 걸어진 회동모터(M)의 장착영역이 되도록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4개의 모서리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공(11)이 형성된 하부체결판(10); 상기 장공(11)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스크류공(2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스크류공(21)에 스크류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서 모터프레임(35)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모터(M)의 미세한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스크류(33); 상기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안착되는 회동모터(M)를 가진 모터프레임(35)의 플렌지공(36)에 끼워져 하단의 장공(11)을 관통하고 체결되는 조립볼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는 조립볼트(37)를 통해서 장공(11)과 플렌지공(36)을 가압하여 체결하고, 조절스크류(33)는 그 끝단의 모터프레임(35) 지지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연동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인(3)의 외측이나 내측에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롤(40); 상기 가압롤(40)이 체결되도록 가압롤(40)의 상하로 배치되고, 샤프트(41)를 통해서 가압롤(40)과 일체되는 힌지판(42); 상기 샤프트(41)와 가압롤(4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끼워지는 볼베어링(43); 지지대(44)에 체결되어 가압롤(40)을 체결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체결프레임(45)과 그 체결프레임(45)에 형성되어 체결프레임(45)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공(46); 상기 체결프레임(45)에 후방에서 체결프레임(45)을 관통하고 전방의 상하힌지판(47)에 체결되는 지지바(48)와, 지지바(48)의 외주면에 끼워져 그 탄성력으로 힌지판(42)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51);으로 이루어진 장력조절구(50)를 통해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구동용 모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일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돌출편(6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62)에 체인이 절단되어 걸려질 경우 상기 체인(3)의 무게 하중에 의해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이 고정된 지지바(48)가 하강하여 모터 제어스위치(S)를 작동시켜 구동부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가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팽창에 따른 체인의 길이 변화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안한 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동모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체결의 견고함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하는 장력조절장치를 가진 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보조적인 수단으로 체인을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구를 가진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하나 또는 2개의 장력조절구를 장착하여 체인의 장력을 조절함은 물론, 체인이 절단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고 회동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에스컬레이터 장력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발명의 장력조절장치만 확대하여 도시한 실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터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모터 스프라켓과 스텝체인용 스프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가 조립되고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체결판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모터프레임이 하부체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장력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구가 체인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구에 체인절단감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장력조절구에 체인절단감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장력조절구에 체인절단감지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 예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용 모터의 체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 3 내지 13에서처럼, 본 발명은 구동부(K) 회동모터(M)축에 고정되는 스프라켓(1)과 스텝체인용 스프라켓(2)을 연결하는 체인(3)이 있고, 체인(3)이 걸어진 회동모터(M)의 장착영역이 되도록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4개의 모서리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공(11)이 형성된 하부체결판(10)이 있으며, 상기 장공(11)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스크류공(2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스크류공(21)에 스크류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서 모터프레임(35)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모터(M)의 미세한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스크류(33)가 있고, 상기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안착되는 회동모터(M)를 가진 모터프레임(35)의 플렌지공(36)에 끼워져 하단의 장공(11)을 관통하고 체결되는 조립볼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는 조립볼트(37)를 통해서 장공(11)과 플렌지공(36)을 가압하여 체결하고, 조절스크류(33)는 그 끝단의 모터프레임(35) 지지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연동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을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을 회동시키기 위해서 회동모터(M)를 회동시키고 그 회동모터(M)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회동모터(M) 샤프트의 회전력은 감속기(7)를 거치게 한다. 바로 이 감속기(7)의 샤프트 단에는 스프로켓(1)이 장착되어, 대응되는 스텝체인용 스프로켓(2)과 체인(3)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스텝체인용 스프로켓(2)의 구동력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다수의 스텝은 회전을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일정 거리 전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작용을 위해서 본 발명의 구동부(K)는 필요로 하며, 잦은 작동으로 인하여 체인(3)은 열변화와 함께 길이가 변화되어 장력에 문제가 발생된다.
느슨해진 체인(3)은 고장의 원인이 되고, 부 정확한 작동이 되어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상해를 입을 원인이 되는 것이다. 바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 해결하고, 또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이 우선적(첫 번째)으로 사고한 것은, 회동모터(M)를 일정한 거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장력에 문제가 발생되면 그 위치를 원활하게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체인(3)이 느슨해지면 그 느슨해진 거리만큼 회동모터(M)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로는 항상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체인(3)을 일정한 힘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된 기술적인 사항은 전자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회동모터(M)는 별도로 마련되는 하부체결판(10)의 상단에 장착된다. 하부체결판(10)은 구동부(K)가 장착되는 공간이 일정한 영역을 구획할 수 있도록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된다. 하부체결판(10)은 그 내측에 다수의 장공(11)이 형성되는데, 대체적으로 4개의 장공(11)을 형성한다. 바로 이 장공(11)이 회동모터(M)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이 된다.
회동모터(M)의 형태와 그 회동모터(M)를 지지하는 모터프레임(35)의 형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장공(11)은 일측으로 길게 늘어서는 형태로 장착된다. 회동모터(M)의 외곽으로는 모터프레임(35)이 일체화되어 이 모터프레임(35)이 하부체결판(10)에 장착되면 회동모터(M)의 위치는 고정된다. 도시된 도 6, 7에서처럼 모터프레임(35)에 형성되는 플렌지공(36)과 하부체결판(10)에 형성되는 장공(11)을 관통하는 조립볼트(37)에 너트를 죄면 회동모터(M)의 위치가 고정된다. 단지 조립볼트(37)가 느슨하게 조여진 상태라면 장공(11)의 길이만큼 회동모터(M)는 수평방향으로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은 실질적으로 체인(3)의 장력이 변화되는 결과를 가져오기에 조립볼트(37)를 강하게 조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조임에 의해서도 열변화를 통한 체인(3)의 길이변화가 발생되면, 다시 체인(3)의 장력은 조절되야 한다.
바로 이러할 때 본 발명의 지지플레이트(20)의 조절스크류(33)는 용이하게 사용된다. 즉, 지지플레이트(20)는 도시된 도 6에서처럼, 하부체결판(10)의 상단에 장형 또는 단형으로 체결된다. 장공(11)의 전방과 측방 또는 후방과 측방에 장착되어 내측에 스크류공(21)이 형성되어 조절스크류(33)가 끼워진다. 즉, 일단 조립볼트(37)를 일정량 풀은 상태에서 조절스크류(33)를 죄게 된다.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조절스크류(33)는 회전을 하면서 전진과 후진을 한다. 전진을 하게 되면 조절스크류(33)의 끝단이 모터프레임(35)의 측방을 가압하여 조절스크류(33)의 전진 거리만큼 모터프레임(35)을 이동시킨다. 이 건 발명의 경우 하부체결판(10)의 상단에 모두 8개의 조절스크류(33)를 장착하였다. 전진과 후진은 물론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절스크류(33)를 8개의 방향으로 조여 회동모터(M)의 정확한 위치를 잡는다. 이러한 형태로 체인(3)의 장력은 조절된다. 체인(3)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느슨하게 된 경우에, 이 느슨한 거리만큼 조절스크류(33)를 죄고 풀어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장력이 조절되고 나서는 일정량 풀어준 조절볼트(37)를 완벽하게 조여 회동모터(M)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렇게 장력이 조절되고 나서, 다시 오랜 기간 에스컬레이터를 사용하게 되면 체인(3)은 더 늘어나게 되고 다시 장력을 조절해야만 하는 시기가 다가온다. 이때에도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볼트(37)와 조절스크류(33)를 조절하여 장력을 조절한다. 사실 에스컬레이터의 구동부(K)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기에 큰 공간이 없다. 이렇게 작은 공간에서 볼트와 너트를 풀고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회동모터(M)를 이동시키는 일은 손쉬운 일이 아니다. 이 건 발명의 경우 조립볼트(37)는 물론 조절스크류(33)를 완벽하게 풀지 않고 이리저리 조이고 푸는 작동을 통해서 용이하게 회동모터(M)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이 회동모터(M)의 체인(3)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보조적인 별도의 수단을 갖는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회동모터(M)를 이동시켜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후술될 실시예는 체인(3)을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체인(3)에는, 별도의 장력조절구(50)를 장착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체인(3)의 외측이나 내측에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롤(40)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롤(40)이 체결되도록 가압롤(40)의 상하로 배치되고, 샤프트(41)를 통해서 가압롤(40)과 일체되는 힌지판(4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1)와 가압롤(4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끼워지는 볼베어링(43)을 형성하고, 지지대(44)에 체결되어 가압롤(40)을 체결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체결프레임(45)과 그 체결프레임(45)에 형성되어 체결프레임(45)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공(46)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프레임(45)에 후방에서 체결프레임(45)을 관통하고 전방의 상하힌지판(47)에 체결되는 지지바(48)와, 지지바(48)의 외주면에 끼워져 그 탄성력으로 힌지판(42)을 하부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51) 및 상기 지지바(48)의 후방에 장착되어 체인(3)이 절단되면 탄성스프링(51)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밀려나는 지지바(48)를 감지하는 모터 제어스위치(S)으로 이루어진 장력조절구(50)를 통해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장력조절구(50)의 경우, 늘어진 체인(3)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거나 내측에서 외측으로 체인(3)을 늘려 장력을 조절한다. 그 작동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체인(3)을 가압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단순하게 가압롤(40)을 이용하여 체인(3)을 눌러준다.
한편,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일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체인절단감지브라켓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돌출편(6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62)에 체인이 절단되어 걸려질 경우 상기 체인(3)의 무게 하중에 의해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이 고정된 지지바(48)가 하강하여 모터 제어스위치(S)를 작동시켜 구동부(K)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지시침(72)을 설치하고, 상기 힌지판(42)의 상부 일측에는 눈금이 표시된 표시판(70)을 설치하여 상기 체인의 장력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체결프레임(45)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동부(K)가 설치되는 공간측에 보다 정확하게는 체인(3)이 걸린 공간에 형성되는 지지대(44)에 "ㄱ"자 체결프레임(45)을 볼트나 스크류를 통해서 장착한다. 체결프레임(45)에는 체결장공(46)이 형성되어 있기에 체결장공(46)의 길이만큼 체결프레임(45)의 체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체결프레임(45)이 적당한 위치에 체결되면, 체결프레임(45)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힌지판(42)에 결합된 가압롤(40)이 체인(3)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롤(40)의 경우 샤프트(41)가 관통하여 힌지판(42)에 가압롤(40)이 체결되는 방식을 취하는데, 내측에 별도의 볼베어링(43)이 장착되어 있어서,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다. 즉, 체인(3)이 회동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서 연동을 하게 되면, 상기 가압롤(40)에 면접하면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롤(40)이 회전하여 양자의 마찰을 줄이고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항상 체인(3)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고 있기에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정확한 구동부(K)의 작동을 달성한다.
이외에 이 건 발명의 장력조절구(50)는 상기 가압롤(40)이 일정한 탄성력으로 체인(3)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판(42)은 체결프레임(45)에 일체로 체결된 상태가 아니다. 체결프레임(45)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관통하는 다수의 지지바(48)를 통해서 힌지판(42)과 체결프레임(45)은 체결되며, 상기 힌지판(42)과 체결프레임(45)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8)의 외주면에 탄성스프링(51)을 끼워 결합시켜 상기 탄성스프링(51)의 탄성력이 항상 힌지판(42)을 밀어 상기 힌지판(42)에 설치된 가압롤(40)이 체인(3)을 가압하는 힘을 유지하도록 한다.
결국 이 건 발명의 장력조절구(5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힌지판(42) 끝단의 가압롤(40)을 하부로 밀어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한다. 체인(3)이 회전하면서 큰 힘이 작용하면, 상기 가압롤(40)은 상부로 밀리면서 힘의 균형을 잡고 다시 복원하는 탄성력으로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한다. 나아가 상기 장력조절구(50)의 지지바(48) 끝단에 위치하는 모터 제어스위치(S)를 통해서 체인(3)이 절단되거나 끊어지는 현상을 제어한다. 만일 고 중량이나 큰 하중이 작용하여 체인(3)이 절단되게 되면,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고정된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돌출편(62)에 체인(3)이 눌러 무게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과 지지바(48)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모터 제어스위치(S)를 오프시켜 상기 구동부(K)의 회동모터(M)의 회전을 중지시켜 더 이상의 진행을 차단한다. 실질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 장착되는 구동부(K)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 것이다. 그들의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력조절구(50)를 이용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하다가 일정량 체인(3)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어도, 장력조절구(50)에 비치된 탄성스프링(51)의 탄성력이 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제어를 하다가 더 큰 문제가 발생되면, 장력조절구(50)를 떼어내고, 체결장공(46)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 2차적인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한다.
둘째, 이러한 장력조절에도 불구하고 체인(3)이 더 크게 늘어나게 되면, 회동모터(M)를 일정거리 이동시켜 늘어난 체인(3)의 길이만큼 회동모터(M)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택한다. 전술된 하부체결판(10)의 장공(11)과 조절스크류(33)를 이용하여 회동모터(M)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1; 스프라켓 2; 스프라켓
3; 체인 10; 하부체결판
11; 장공 20; 지지플레이트
21; 스크류공 35; 모터프레임
33; 조절스크류 35; 모터프레임
36; 플렌지공 40; 가압롤
41; 샤프트 42; 힌지판
43; 볼베어링 44; 지지대
45; 체결프레임 46; 체결장공
50; 장력조절구 51; 탄성스프링
60; 체인절단감지브라켓 62; 돌출편
70; 표시판 72; 지시침

Claims (4)

  1. 구동부(K) 회동모터(M)축에 고정되는 스프라켓(1)과 스텝체인용 스프라켓(2)을 연결하는 체인(3); 체인(3)이 걸어진 회동모터(M)의 장착영역이 되도록 4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4개의 모서리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공(11)이 형성된 하부체결판(10); 상기 장공(11)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스크류공(21)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스크류공(21)에 스크류 체결되어, 회전을 통해서 모터프레임(35)을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회동모터(M)의 미세한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스크류(33); 상기 하부체결판(10)의 상부로 안착되는 회동모터(M)를 가진 모터프레임(35)의 플렌지공(36)에 끼워져 하단의 장공(11)을 관통하고 체결되는 조립볼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모터는 조립볼트(37)를 통해서 장공(11)과 플렌지공(36)을 가압하여 체결하고, 조절스크류(33)는 그 끝단의 모터프레임(35) 지지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연동을 제어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체인(3)의 외측이나 내측에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롤(40); 상기 가압롤(40)이 체결되도록 가압롤(40)의 상하로 배치되고, 샤프트(41)를 통해서 가압롤(40)과 일체되는 힌지판(42); 상기 샤프트(41)와 가압롤(4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끼워지는 볼베어링(43); 지지대(44)에 체결되어 가압롤(40)을 체결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체결프레임(45)과 그 체결프레임(45)에 형성되어 체결프레임(45)의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공(46); 상기 힌지판(42)에 일단이 각각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프레임(4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48); 상기 지지바(48)의 외주면에 각각 끼워져 상기 체결프레임(45)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힌지판(42)을 하부로 밀어주는 탄성스프링(51);으로 이루어진 장력조절구(50)를 통해서 체인(3)을 가압하여 체인(3)의 장력을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구동용 모터의 체인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일단을 고정시키되, 상기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돌출편(6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62)에 체인이 절단되어 걸려질 경우 상기 체인(3)의 무게 하중에 의해 체인절단감지브라켓(60)이 고정된 지지바(48)가 하강하여 모터 제어스위치(S)를 작동시켜 구동부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8) 중 어느 하나의 지지바(48) 상단에 지시침(72)을 설치하고, 상기 힌지판(42)의 상부 일측에는 눈금이 표시된 표시판(70)을 설치하여 상기 체인(3)의 장력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체결프레임(45)의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20130122096A 2013-10-14 2013-10-14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KR10139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96A KR101396319B1 (ko) 2013-10-14 2013-10-14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096A KR101396319B1 (ko) 2013-10-14 2013-10-14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319B1 true KR101396319B1 (ko) 2014-05-16

Family

ID=5089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096A KR101396319B1 (ko) 2013-10-14 2013-10-14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8039A (zh) * 2019-02-28 2019-04-26 通力电梯有限公司 主轴的支撑结构和包括该结构的自动扶梯或人行步道
CN109678039B (zh) * 2019-02-28 2024-06-07 通力电梯有限公司 主轴的支撑结构和自动扶梯或人行步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889U (ko) * 1992-09-21 1994-04-15 Lg산전 주식회사 주차설비용 턴테이블의 구동체인 텐션장치
KR19980057940U (ko) * 1997-02-14 1998-10-26 김영환 Lcd 프로젝터의 lcd 편심 조정장치
KR19980064693U (ko) * 1997-04-30 1998-11-25 양재신 걸어감기 전동장치의 벨트 장력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889U (ko) * 1992-09-21 1994-04-15 Lg산전 주식회사 주차설비용 턴테이블의 구동체인 텐션장치
KR19980057940U (ko) * 1997-02-14 1998-10-26 김영환 Lcd 프로젝터의 lcd 편심 조정장치
KR19980064693U (ko) * 1997-04-30 1998-11-25 양재신 걸어감기 전동장치의 벨트 장력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8039A (zh) * 2019-02-28 2019-04-26 通力电梯有限公司 主轴的支撑结构和包括该结构的自动扶梯或人行步道
CN109678039B (zh) * 2019-02-28 2024-06-07 通力电梯有限公司 主轴的支撑结构和自动扶梯或人行步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565B1 (ko) 건축 마감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16978B1 (ko) 강화유리문의 위치 조절장치
KR20120005583A (ko) 센터 플랜지 조립용 지그
KR101620822B1 (ko) 툴 매거진의 장력 자동 조절 장치
KR101396319B1 (ko) 에스컬레이터용 구동 체인 장력조절장치
CN110656587A (zh) 一种桥梁修建用钢结构材料连接系统
CN108217087B (zh) 一种用于埋刮板输送机的尾部张紧装置
EP2243913B1 (en) Support particularly for doors, sliding door wings and the like
KR101458549B1 (ko) 여닫이문의 오토 힌지축 지지장치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100977468B1 (ko) 자기부상 시스템용 갭 센서 위치조절장치
CN114571207B (zh) 一种辅助组装调整治具
KR101011267B1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130074203A (ko)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 각도조절장치
WO2021223749A1 (zh) 安装底脚以及具有其的冰箱
KR20080067807A (ko)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WO2020187216A1 (zh) 一种镜头固定与调节装置及投影设备
CN208556597U (zh) 惰轮压装设备
CN112713403A (zh) 一种基站天线调节移相器行程传动装置和天线
CN105894961A (zh) 一种交通指示牌的安全紧固装置
KR20160149389A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KR20130081563A (ko) 영상표시모듈의 각도조절장치
CN114481462B (zh) 一种缝纫机的后拖轮装置
CN221034778U (zh) 一种具备拆分功能的现场测绘装置
CN103552380B (zh) 双喷头墨栈对位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