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807A -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07A
KR20080067807A KR1020070005181A KR20070005181A KR20080067807A KR 20080067807 A KR20080067807 A KR 20080067807A KR 1020070005181 A KR1020070005181 A KR 1020070005181A KR 20070005181 A KR20070005181 A KR 20070005181A KR 20080067807 A KR20080067807 A KR 2008006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titch cam
lever
knitting machine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상
Original Assignee
(주)수산텍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텍스타일 filed Critical (주)수산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07000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07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2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치캠의 높이를 전자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티치캠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원가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캠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캠블록(20), 캠블록(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31)의 탄력을 받는 스티치캠(30), 캠블록(20)에 힌지(41)로 조립되어 스티치캠(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4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10)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50) 및 영점센서(60);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에 축설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 상기 나사봉(7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어 레버(40)의 후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절봉(80); 상기 조절봉(80)의 일측에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영점센서(60)와 마주하는 센서감지편(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1020070005181
양말편직기,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정역모터, 영점센서

Description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stitch cam up and dow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of knitt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캠플레이트 20 : 캠블록
30 : 스티치캠 31 : 스프링
40 : 레버 41 : 힌지
50 : 정역모터 51 : 축
60 : 영점센서 70 : 나사봉
80 : 조절봉 81 : 레버홈
82 : 나사공 90 : 센서감지편
91 : 장공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에 설치되어 스티치캠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티치캠의 높이를 전자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티치캠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원가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은 니팅 시 실매듭을 결정하여 마무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티치캠은 루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캠블록에 상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양말편직기로 양말을 편직함에 있어서, 스티치캠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양말은 촘촘하게 편성되고, 스티치캠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양말은 느슨하게 편성된다. 또한, 스티치캠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촘촘하게 편성되기 때문에 양말의 폭은 좁아지게 되고, 스티치캠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느슨하게 편성되기 때문에 양말의 폭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양말편직기에는 상기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스티침캠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스티치캠 상하 조절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드럼을 이용한 기계식으로 스티치캠의 높이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 드럼타입의 기계식 스티치캠 상하 조절장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구조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 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스티치캠 상하 조절장치는 구조적으로 양말의 폭을 늘리거나 줄일 때 스티치캠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즉 종래에는 스티치캠의 높이가 한가지 높이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양말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드럼을 교체해서 높이를 달리해야 하는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스티치캠의 높이를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편리하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양말의 폭을 늘리거나 줄일 때 스티치캠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개선하여 원가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캠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캠블록, 캠블록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의 탄력을 받는 스티치캠, 캠블록에 힌지로 조립되어 스티치캠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에 정역모터 및 영점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정역모터의 축에 나사봉을 축설하여 정역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나사봉에 조절봉을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한 후 이 조절봉에 레버의 후단을 연결하고, 상기 조절봉의 일측에 영점센서와 마주하는 센서감지편을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캠블록(20), 캠블록(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31)의 탄력을 받는 스티치캠(30), 캠블록(20)에 힌지(41)로 조립되어 스티치캠(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4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10)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50) 및 영점센서(60);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에 축설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 상기 나사봉(7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어 레버(40)의 후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절봉(80); 상기 조절봉(80)의 일측에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영점센서(60)와 마주하는 센서감지편(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캠플레이트(10)는 양말편직기에 설치되어 캠블록(20)과 정역모터(50) 및 영점센서(60)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캠플레이트(10)에는 정역모터(50)의 축(51)이 끼워지는 축공(11)이 구비되고, 또한 캠플레이트(10)에는 영점센서(60)가 끼워지는 센서공(12)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캠블록(20)은 스티치캠(3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캠블록(20)은 캠플레이트(10)의 상부에 볼트체결로 고정되고, 캠블록(20)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스티치캠(30)이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스티치캠(3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캠블록(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31)의 탄력을 받는 것으로, 이러한 스티치캠(30)에는 캠블록(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키조립되는 슬라이더(32)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티치캠(30)에는 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항상 상부로 이동하려는 탄력이 부여되고, 상기 슬라이더(32)에는 레버(40)의 선단이 접촉된다.
참고로, 상기 스티치캠(30)은 양말편직기에 설치되어 니팅 시 실매듭을 결정하여 마무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티치캠(30)은 루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캠블록(20)에 상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티치캠(3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양말은 촘촘하게 편성되고, 상기 스티치캠(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양말은 느슨하게 편성된다. 또한, 상기 스티치캠(3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촘촘하게 편성되기 때문에 양말의 폭은 좁아지게 되고, 상기 스티치캠(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느슨하게 편성되기 때문에 양말의 폭은 넓어지게 된다.
상기 레버(40)는 캠블록(20)에 힌지(41)로 조립되어 스티치캠(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레버(40)의 선단에는 스티치캠(30)의 슬라이더(32)에 접촉하는 절곡부(40a)가 구비되고, 레버(40)의 후단은 조절봉(8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봉(80)으로 레버(40)의 후단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 절곡부(40a)가 힌지(41)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면서 스티치캠(30)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조절봉(8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해 스티치캠(30)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정역모터(50)는 캠플레이트(10)의 하부에 볼트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정역모터(50)는 양말편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스탭핑모터로 이루어지고, 정역모터(50)의 축(51)은 캠플레이트(10)의 축공(11)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은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된다.
상기 영점센서(60)는 캠플레이트(10)의 센서공(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영점센서(60)는 스티치캠(30)의 기준점(최상점)을 조정할 때 사용된다. 이때, 상기 영점센서(6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양말편직기의 컴퓨터와 정역모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영점센서(60)는 센서감지편(90)이 3㎜까지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여 정역모터(50)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상기 나사봉(70)은 정역모터(50)의 축(51)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체결로 고정되어 일체로 구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봉(70)은 정역으로 구동하면서 조절봉(8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나사봉(70)은 캠플레이트(10)의 축공(11)으로 끼워진다.
상기 조절봉(80)은 나사봉(7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어 레버(40)의 후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봉(80)의 내경에는 나사봉(70)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8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에 의해 조절봉(80)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에 의해 조절봉(80)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봉(80)의 상부에는 레버(40)의 후단이 끼워지는 레버홈(8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홈(81)의 중앙 하부에는 레버(40)를 받쳐주는 핀(P)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봉(70)의 구동 시 조절봉(80)은 레버(4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이때 조절봉(80)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센서감지편(90)은 조절봉(80)의 일측에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감지편(90)은 영점센서(60)와 마주하도록 영점센서(6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센서감지편(90)은 스티치캠(30)의 기준점(최상점)을 조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센서감지편(90)이 영점센서(60)에 3㎜까지 근접하면 영점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정역모터(50)를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조절봉(80)의 일측에는 나사공(82)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감지편(90)의 일측에는 나사공(82)에 나사(S)체결로 고정되는 장공(9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감지편(90)에 장공(91)이 형성되므로, 영점조정 시 사용자가 센서감지편(9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스티치캠(30)의 기준점(최상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말편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따라 정역모터(50)의 축(51)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나사봉(70)이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에 나사결합된 조절봉(80)은 도 5a에서와 같이 상부로 이 동하게 된다. 이때, 정역모터(50)의 구동시간은 양말편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조절봉(80)이 상부로 이동하면 조절봉(80)의 레버홈(81)에 끼워진 레버(40)의 후단이 힌지(4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상부로 올라가고, 이와 연동하여 반대로 레버(40)의 절곡부(40a)는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치캠(30)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티치캠(30)에 장착된 스프링(31)은 스티치캠(30)과 같이 하부로 이동하는 슬라이더(32)에 의해 압축된다.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정역모터(50)의 축(51)은 양말편직기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 후 자동으로 정지하고, 이에 의해 스티치캠(30)의 하부 이동도 완료되어 스티치캠(30)은 이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역모터(50)는 양말편직기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 후 자동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스티치캠(30)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양말편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따라 정역모터(50)의 축(51)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나사봉(70)이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에 나사결합된 조절봉(80)은 도 5b에서와 같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정역모터(50)의 구동시간은 양말편직기 컴퓨터의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도 5b에서와 같이 조절봉(80)이 하부로 이동하면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의 해 스티치캠(30)의 상부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하여 레버(40)의 절곡부(40a)는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올라가기 때문에, 이에 의해 조절봉(80)의 레버홈(81)에 끼워진 레버(40)의 후단은 힌지(41)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핀(P)에 접촉된 상태에서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정역모터(50)의 축(51)은 양말편직기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 후 자동으로 정지하고, 이에 의해 스티치캠(30)의 상부 이동도 완료되어 스티치캠(30)은 이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역모터(50)는 양말편직기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 후 자동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스티치캠(30)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스티치캠(30)의 높이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상승작동 시, 조절봉(80)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감지편(90)이 하강하면서 영점센서(60)에 3㎜까지 근접하여, 스티치캠(30)이 최상점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정역모터(50)는 자동으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역모터(50)와 나사봉(70) 및 조절봉(80)을 이용하여 스티치캠(30)의 높이를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편리하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50)가 양말편직기 컴퓨터에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한 후 자동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양말의 폭을 늘리거나 줄일 때 스티치캠(30)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식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기계식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스티치캠(30)의 영점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티치캠의 높이를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편리하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양말의 폭을 늘리거나 줄일 때 스티치캠의 높이를 임의로 자유롭게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원가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캠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캠블록(20), 캠블록(2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스프링(31)의 탄력을 받는 스티치캠(30), 캠블록(20)에 힌지(41)로 조립되어 스티치캠(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4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캠플레이트(10)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50) 및 영점센서(60); 상기 정역모터(50)의 축(51)에 축설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나사봉(70); 상기 나사봉(7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조립되어 레버(40)의 후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절봉(80); 상기 조절봉(80)의 일측에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영점센서(60)와 마주하는 센서감지편(90)을 포함하는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80)의 상부에는 레버(40)의 후단이 끼워지는 레버홈(81)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홈(81)의 중앙 하부에는 레버(40)를 받쳐주는 핀(P)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80)의 일측에는 나사공(82)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감지편(90)의 일측에는 나사공(82)에 나사(S)체결로 고정되는 장공(9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KR1020070005181A 2007-01-17 2007-01-17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KR20080067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81A KR20080067807A (ko) 2007-01-17 2007-01-17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81A KR20080067807A (ko) 2007-01-17 2007-01-17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07A true KR20080067807A (ko) 2008-07-22

Family

ID=3982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81A KR20080067807A (ko) 2007-01-17 2007-01-17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120A (zh) * 2012-11-20 2013-02-1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袜类圆型针织机的密度调节装置
CN102926121A (zh) * 2012-11-20 2013-02-1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感应报警机构的圆机密度调节装置
CN105803656A (zh) * 2016-04-01 2016-07-27 浙江中宝针织科技有限公司 针织棉袜机的直线驱动密度装置
CN110129972A (zh) * 2019-06-05 2019-08-16 陈雪梅 一种新型起底板升降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120A (zh) * 2012-11-20 2013-02-1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袜类圆型针织机的密度调节装置
CN102926121A (zh) * 2012-11-20 2013-02-13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感应报警机构的圆机密度调节装置
CN105803656A (zh) * 2016-04-01 2016-07-27 浙江中宝针织科技有限公司 针织棉袜机的直线驱动密度装置
CN110129972A (zh) * 2019-06-05 2019-08-16 陈雪梅 一种新型起底板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7391A (ja) ミシン
KR20080067807A (ko)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KR100586266B1 (ko) 톱니 높이 조절 기구
KR20070031291A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의 얀 피더
KR101867401B1 (ko) 편성포의 인하장치
KR200485068Y1 (ko) 재봉틀의 노루발 승강 장치
US5415016A (en) Knitted fabric presser unit of flat knitting machine
KR100908489B1 (ko) 편직기용 사도 구동장치
US4487145A (en) Presser foot drive linkage in a sewing machine
US705534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with device for actuating the knockover sinkers
CN108547043B (zh) 一种压脚装置
KR100750022B1 (ko) 미싱의 침봉 구동장치
KR20080067808A (ko) 양말편직기의 스티치캠 상하 자동조절장치
CN104099718B (zh) 具备可动沉降片的横机
JP4628063B2 (ja) 靴下類用の円形編機におけるシンカ選択装置
US6295845B1 (en) Threa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thread at a feed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ITMI20010241A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degli aghi macchin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i
CN109736003B (zh) 一种提花圆机的提花机构
JPH03185161A (ja) 手袋編等の横編機における度山制御装置
EP1524347B1 (en) Circular type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fabrics
US4388885A (en) Gap stitch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5682770A (en) Jacquard mechanism of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0200270792A1 (en) Flat knitting machine mangl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EP3702503B1 (en) Flat knitting machine stitch pressing device with position varying with gap size
KR102102336B1 (ko) 간극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횡편기 맹글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