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486B1 -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486B1
KR101395486B1 KR1020127028096A KR20127028096A KR101395486B1 KR 101395486 B1 KR101395486 B1 KR 101395486B1 KR 1020127028096 A KR1020127028096 A KR 1020127028096A KR 20127028096 A KR20127028096 A KR 20127028096A KR 101395486 B1 KR101395486 B1 KR 10139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adhesive film
tab line
electrod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374A (ko
Inventor
히데아키 오쿠미야
야스히로 스가
아키후미 히구치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12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or composi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01L31/0547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comprising light concentrating means of the reflecting type, e.g. parabolic mirrors, concentrator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요철부가 형성된 탭선과 태양전지 셀의 전극의 도통성을 확보한다. 양면에 전극 (11) (13) 이 형성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 (2) 과, 일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21a) 및 골짜기부 (21b) 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 (21) 를 가지며, 복수의 태양전지 셀 (2) 을 직렬로 접속하는 탭선 (3) 과, 태양전지 셀 (2) 의 전극 (11) (13) 과 탭선 (3) 의 사이에 개재되어 태양전지 셀 (2) 과 탭선 (3) 을 접속하는 접착 필름 (15) 을 구비하고, 태양전지 셀 (2) 은, 요철부 (21) 가 형성된 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에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성분이 유입되는 유입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의 전극이 탭선에 의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 있어서 2010년 9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0-219384 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결정 실리콘계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복수의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이 인터 커넥터로서 땜납 코트된 리본상 구리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탭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탭선은, 그 일단측을 하나의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에 접속하고, 타단측을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에 접속함으로써, 각 태양전지 셀을 직렬로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 셀과 탭선의 접속은, 태양전지 셀의 수광면에 은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버스 바 전극 및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접속부에 형성된 Ag 전극과 탭선이 땜납 처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한, 태양전지 셀 이면의 접속부 이외의 영역은 Al 전극이나 Ag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납땜에서는 약 260 ℃ 로 고온에 의한 접속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의 휘어짐이나, 탭선과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의 접속부에 발생하는 내부 응력, 나아가 플럭스의 잔류물 등에 의해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의 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이 우려된다.
그래서, 종래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의 접속에,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의 열 압착 처리에 의한 접속이 가능한 도전성 접착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2). 이러한 도전성 접착 필름으로는, 평균 입경이 수 ㎛ 오더의 구상 또는 인편상의 도전성 입자를 열 경화형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분산시켜 필름화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은,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과 탭선의 사이에 개재된 후, 탭선 상으로부터 열 가압됨으로써, 바인더 수지가 유동성을 나타내어 전극, 탭선 사이로부터 유출됨과 함께, 도전성 입자가 전극과 탭선 사이의 도통을 도모하고, 이 상태로 바인더 수지가 열 경화된다. 이로써, 탭선에 의해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직렬 접속된 스트링스가 형성된다.
도전성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탭선과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이 접속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유리,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을 갖는 표면 보호재와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배면 보호재의 사이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등의 투광성을 갖는 봉지재에 의해 봉지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35634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35654호
그런데, 최근 탭선과 표면 전극 및 이면 전극의 접속을 도모하는 탭선으로서 일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탭선 (100)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으로 형성되고, 표면 (101a) 에 요철부 (102) 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 (102)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선 (100)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102a) 와 골짜기부 (102b) 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탭선 (100) 은, 이면 (101b) 측을 도전성 접착 필름 (104) 을 개재하여 태양전지 셀 (103) 의 표면 전극 (103a) 과 접속된다. 이로써, 태양전지 셀 (103) 은 수광면과 동 방향으로 요철부 (102) 가 향해지기 때문에, 입사광이 요철부 (102) 에 의해 산란되고, 그 산란광이 보호 유리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면에 재입사됨으로써 수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태양전지 셀 (103)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측에 탭선 (100) 의 표면 (101a) 이 접속되기 때문에, 탭선 (100) 의 열 가압 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 필름 (104) 의 바인더 수지의 유출이 요철부 (102) 에 의해 저해되어, 도전성 입자에 의한 탭선 (100) 과 이면 전극의 도통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즉, 도전성 접착 필름 (104) 은, 가열에 의해 바인더 수지가 유동성을 나타냈을 때에도, 산부 (102a) 및 골짜기부 (102b) 가 탭선 (100)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 방향이 골짜기부 (102b) 를 따른 방향에 한정되게 되어, 가압에 의해서도 탭선 (100) 의 산부 (102a) 와 이면 전극의 접속부의 사이로부터의 유출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 (103) 은, 탭선 (100) 과 이면 전극의 접속부의 사이에 다량의 바인더 수지가 잔존하여, 산부 (102a) 와 이면 전극의 접촉이나 도전성 입자끼리의 접촉이 저해됨으로써 도통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요철부가 형성된 탭선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셀을 접속한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도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전지 모듈은, 양면에 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일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로 접속하는 탭선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전극과 상기 탭선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탭선을 접속하는 접착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에 상기 접착 필름의 바인더 성분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배열하는 배열 공정과,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일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갖는 탭선의 상기 일면을 상기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측에 가접속함과 함께,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상기 탭선의 상기 일면과 반대측의 평탄면을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측에 가접속하는 가압착 공정과, 상기 탭선 상으로부터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착 필름을 열 경화시켜 상기 탭선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각 전극을 접속하는 본압착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본압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필름의 바인더 성분을, 상기 탭선의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유입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 필름의 바인더 성분이 요철부를 따라 유동하여 접속부에 형성된 유입부 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탭선과의 접속부로부터 잉여 바인더 성분을 배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은 접속부와 탭선의 산부의 접촉이 바인더 성분에 의해 저해되지 않아 도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태양전지 셀의 스트링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에 탭선을 본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전성 접착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전성 접착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탭선의 가압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탭선의 본압착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B 는 비교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면 수광 타입의 태양전지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버스 바 전극 (11) 에 유출부를 형성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탭선의 압압면에 탄성체를 형성한 가열 압압 헤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 은, 표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탭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탭선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표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탭선을 사용한 태양전지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표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된 요철부를 갖는 탭선을 접속하는 태양전지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태양전지 모듈]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 (1)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태양전지 셀 (2) 이 인터 커넥터가 되는 탭선 (3) 에 의해 직렬로 접속된 스트링스 (4) 를 가지며, 이 스트링스 (4) 를 복수 배열한 매트릭스 (5) 를 구비한다. 그리고, 태양전지 모듈 (1) 은, 이 매트릭스 (5) 가 봉지 접착제의 시트 (6) 로 협지되어, 수광면측에 형성된 표면 커버 (7) 및 이면측에 형성된 백 시트 (8) 와 함께 일괄적으로 라미네이트되고, 마지막에 주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프레임 (9) 이 장착됨으로써 형성된다.
봉지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등의 투광성 봉지재가 사용된다. 또, 표면 커버 (7) 로는, 예를 들어 유리나 투광성 플라스틱 등의 투광성 재료가 사용된다. 또, 백 시트 (8) 로는, 유리나 알루미늄박을 수지 필름으로 협지한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태양전지 모듈의 각 태양전지 셀 (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 (10) 를 갖는다. 광전 변환 소자 (10) 는, 단결정형 실리콘 광전 변환 소자, 다결정형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하는 결정 실리콘계 태양전지 모듈이나, 아모르퍼스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셀과 미결정 실리콘이나 아모르퍼스 실리콘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지는 셀을 적층시킨 광전 변환 소자를 사용한 박막 실리콘계 태양전지 등 각종 광전 변환 소자 (10) 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광전 변환 소자 (10) 는, 수광면측에 표면 전극이 되는 버스 바 전극 (11) 과, 버스 바 전극 (11) 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집전극인 핑거 전극 (1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광전 변환 소자 (10) 는, 수광면과 반대의 이면측에 알루미늄이나 은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전극 (13)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 셀 (2) 은, 탭선 (3) 에 의해 표면의 버스 바 전극 (11) 과,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 (2) 의 이면 전극 (13)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써 직렬로 접속된 스트링스 (4) 를 구성한다. 탭선 (3) 과 버스 바 전극 (11)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은 도전성 접착 필름 (15) 에 의해 실시한다.
버스 바 전극 (11) 은, Ag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가열함으로써 형성된다. 태양전지 셀 (2) 의 수광면에 형성되는 버스 바 전극 (11) 은, 입사광을 차단하는 면적을 작게 하여 섀도우 로스를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1 ㎜ 폭으로 라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 바 전극 (11) 의 수는, 태양전지 셀 (2) 의 사이즈나 저항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버스 바 전극 (11) 은, 후술하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가부착된 후, 탭선 (3) 의 평탄화되어 있는 이면 (20b) 과 접착된다.
핑거 전극 (12) 은, 버스 바 전극 (1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버스 바 전극 (11) 과 교차하도록 태양전지 셀 (2) 의 수광면의 거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핑거 전극 (12) 은, 예를 들어 약 100 ㎛ 정도의 폭을 갖는 라인이 소정 간격, 예를 들어 2 ㎜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입부]
이면 전극 (13)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은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이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나 스퍼터 등에 의해 태양전지 셀 (2) 의 이면에 형성된다. 이면 전극 (13) 은,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가부착된 후, 탭선 (3) 의 요철부 (21) 가 형성된 표면 (20a) 이 접속되는 접속부 (14) 를 갖는다. 접속부 (14) 는, 후술하는 탭선 (3) 의 본압착 공정시에 있어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가 유입되는 유입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부 (16) 는, 이면 전극 (13) 의 형성시에 마스크 처리나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형성되고,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16a) 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접속부 (14) 는, Al 이나 Ag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탭선 (3) 과의 도통을 도모하는 도통부 (17) 와, 본압착 공정시에 있어서 잉여 바인더 수지가 유입되는 유입부 (16)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탭선 (3) 의 순서로 적층된 후, 탭선 (3) 상으로부터 열 가압됨으로써, 도 4 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가 요철부 (21) 를 따라 유동하여 개구부 (16a) 내에 유입되어, 도통부 (17) 로부터 잉여 바인더 수지를 배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 셀 (2) 은 접속부 (14) 의 도통부 (17) 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끼리, 혹은 도전성 입자와 탭선 (3) 이나 접속부 (14) 의 접촉이 바인더 수지에 의해 저해되지 않아 도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개구부 (16a) 는,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태양전지 셀 (2) 은, 도통부 (17) 에 있어서 탭선 (3) 을 개재하여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 (2) 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탭선 (3) 과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 태양전지 셀 (2) 은, 개구부 (16a) 에 있어서 잉여 바인더 수지를 유입시킴과 함께, 탭선 (3) 과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개구부 (16a) 는 원형, 각형 등 그 형상을 상관하지 않는다.
[탭선]
탭선 (3) 은, 종래의 태양전지 모듈에서 사용되고 있는 탭선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50 ∼ 300 ㎛ 두께의 리본상 구리박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금 도금, 은 도금, 주석 도금, 땜납 도금 등이 실시되고 있다.
또, 탭선 (3) 은, 상기 서술한 탭선 (100) 과 마찬가지로, 표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요철부가 폭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탭선 (3)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으로 형성되고, 표면 (20a) 에 요철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 (21)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선 (3) 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산부 (21a) 와 골짜기부 (21b) 가 탭선 (3) 의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부 (21) 는, 예를 들어 상기 도금 처리된 리본상 구리박을 프레스 성형하거나 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탭선 (3) 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탄화된 이면 (20b) 측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태양전지 셀 (2) 의 버스 바 전극 (11) 과 접속된다. 이로써, 태양전지 셀 (2) 은, 수광면과 동 방향으로 요철부 (21) 가 향해지기 때문에, 입사광이 요철부 (21) 에 의해 산란되고, 그 산란광이 보호 유리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면에 재입사됨으로써 수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탭선 (3) 은, 요철부 (21) 가 형성된 표면 (20a) 측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태양전지 셀 (2) 의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와 접속된다.
[접착 필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입자 (23) 가 고밀도로 함유된 열경화성 바인더 수지층이다. 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압입성의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의 최저 용융 점도가 100 ∼ 100000 Pa·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최저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가압착부터 본경화의 과정에서 수지가 유동하게 되어 접속 불량이나 셀 수광면으로의 비어져나옴이 발생하기 쉬워 수광률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최저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도 필름 첩착 (貼着) 시에 불량을 발생시키기 쉬워 접속 신뢰성에 악영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최저 용융 점도에 대해서는, 샘플을 소정량 회전식 점도계에 장전하여 소정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 (23) 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니켈, 금, 구리 등의 금속 입자, 수지 입자에 금 도금 등을 실시한 것, 수지 입자에 금 도금을 실시한 입자의 최외층에 절연 피복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 (23) 로서 편평한 플레이크상 금속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서로 중첩되는 도전성 입자 (23) 의 수를 증가시켜 양호한 도통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상온 부근에서의 점도가 10 ∼ 10000 ㎪·s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00 ㎪·s 이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점도가 10 ∼ 10000 ㎪·s 의 범위임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테이프상의 릴 감기로 한 경우에 있어서, 이른바 비어져나옴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소정의 택 (Tack) 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층의 조성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막형성 수지와 액상 에폭시 수지와 잠재성 경화제와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한다.
막형성 수지는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고분자량 수지에 상당하고, 필름 형성성의 관점에서 10000 ∼ 80000 정도의 평균 분자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형성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등의 다양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막형성 상태, 접속 신뢰성 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액상 에폭시 수지로는, 상온에서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시판되는 에폭시 수지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에폭시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스틸벤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페놀아르알킬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아크릴 수지 등 다른 유기 수지와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잠재성 경화제로는, 가열 경화형, UV 경화형 등의 각종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잠재성 경화제는, 통상적으로는 반응하지 않고, 어떤 트리거에 의해 활성화되어, 반응을 개시한다. 트리거에는 열, 광, 가압 등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상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미다졸류, 아민류, 술포늄염, 오늄염 등으로 이루어지는 잠재성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에폭시계, 아미노계, 메르캅토·술파이드계, 우레이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그 밖의 첨가 조성물로서 무기 필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를 함유함으로써, 압착시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입자 포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실리카, 탤크, 산화티탄,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 필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은,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제품 형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박리 기재 (24) 상에 바인더 수지층이 적층되고, 테이프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테이프상의 도전성 접착 필름은, 릴 (25) 에 박리 기재 (24) 가 외주측이 되도록 권회 적층된다. 박리 기재 (24) 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OPP (Oriented Polypropylene), PMP (Poly-4-methlpentene-1),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바인더 수지층 상에 투명한 커버 필름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때, 바인더 수지층 상에 첩부 (貼付) 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상기 서술한 탭선 (3) 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미리 탭선 (3) 과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적층 일체화시켜 둠으로써,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는 박리 기재 (24) 를 박리하고,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층을 버스 바 전극 (11) 이나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상에 첩착함으로써 탭선 (3) 과 각 전극 (11, 13) 의 접속이 도모된다.
또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책 (短冊) 형상이어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감겨진 릴 제품으로서 제공되는 경우,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점도를 10 ∼ 10000 ㎪·s 의 범위로 함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변형을 방지하여 소정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단책 형상으로 2 장 이상 적층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변형을 방지하여 소정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도전성 입자 (23) 와 막형성 수지와 액상 에폭시 수지와 잠재성 경화제와 실란 커플링제를 용제에 용해시킨다. 용제로는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용해시켜 얻어진 수지 생성용 용액을 박리 시트 상에 도포하고,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얻는다.
[제조 공정]
이어서, 태양전지 모듈 (1) 의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양전지 모듈 (1) 은, 버스 바 전극 (11)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가부착하는 가부착 공정, 태양전지 셀 (2) 을 배열하는 배열 공정, 탭선 (3) 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상에 저온 저압으로 열 가압함으로써 버스 바 전극 (11) 상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상에 배치하는 가압착 공정, 및 탭선 (3) 상으로부터 열 가압함으로써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열 경화시켜, 탭선 (3) 과 버스 바 전극 (11)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를 접속하는 본압착 공정을 구비한다.
우선, 각 태양전지 셀 (2) 의 버스 바 전극 (11)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상에 미경화의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가부착한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가부착 공정은, 예를 들어 릴상으로 권회되어 있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태양전지 셀 (2) 의 표리면측의 소정 위치로 반송하여, 가부착 헤드에 의해 압압함으로써 실시한다.
가부착 헤드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에 유동성이 생기지만 본경화는 생기지 않는 정도의 온도 (예를 들어 40 ∼ 60 ℃) 에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 ∼ 5 초) 가열함으로써 태양전지 셀 (2) 에 가부착된다.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가부착된 태양전지 셀 (2) 은 직렬 접속되는 순으로 배열된다.
이어서, 상하 1 쌍의 가압착 헤드 (26) 와 대치되는 소정의 위치에 배열된 각 태양전지 셀 (2) 에 대하여 탭선 (3) 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상에 가압착한다. 이 때, 도 2,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하는 하나의 태양전지 셀 (2a) 의 표면에 형성된 버스 바 전극 (11) 상에, 미경화의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탭선 (3) 의 일단 (3a) 을 가압착하고, 후에 계속되는 다른 태양전지 셀 (2b) 의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미경화의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당해 탭선 (3) 의 타단 (3b) 을 가압착한다. 마찬가지로, 당해 다른 태양전지 셀 (2b) 의 표면에 형성된 버스 바 전극 (11) 상과, 이 태양전지 셀 (2b) 의 후에 계속되는 태양전지 셀 (2c) 의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미경화의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탭선 (3) 의 일단 (3a) 및 타단 (3b) 을 가압착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 (2) 끼리를 탭선 (3) 으로 직렬로 연결해 간다.
이 때,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선 (3)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일단 (3a) 측에 있어서 평탄하게 형성된 이면 (20b) 이 버스 바 전극 (11) 상에 가압착되고, 타단 (3b) 측에 있어서 요철부 (21) 가 형성된 표면 (20a) 이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상에 가압착된다.
또, 이러한 가압착 공정은 가압착 헤드 (26) 에 의해 실시한다. 가압착 헤드 (26) 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경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어, 탭선 (3) 을 압압한다. 따라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바인더 수지가 유동성을 나타내고, 접착력을 나타냄으로써, 버스 바 전극 (11) 상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탭선 (3) 을 가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선 (3) 이 가고정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 (2) 을 가열 압압 헤드 (28) 의 바로 아래로 반송, 지지한 후, 가열 압압 헤드 (28) 에 의해 탭선 (3) 을 태양전지 셀 (2) 의 각 전극 (11, 13) 에 본압착하여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경화시킨다.
이 때, 복수의 태양전지 셀 (2) 은, 선행하는 태양전지 셀 (2a) 이 상방 및 하방에 형성된 1 쌍의 가열 압압 헤드 (28) 가 동기하여 승강됨으로써 탭선 (3) 이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된다. 가열 압압 헤드 (28) 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이 경화되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다. 따라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바인더 수지가 열 경화되어, 탭선 (3) 과 버스 바 전극 (11) 또는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를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선 (3) 의 표면 (20a) 과 태양전지 셀 (2) 의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의 접속에 있어서, 태양전지 셀 (2) 은 유동성을 나타내는 바인더 수지가 탭선 (3)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골짜기부 (21b) 를 흘러,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형성된 개구부 (16a) 내에 유입된다. 따라서, 태양전지 셀 (2) 은 접속부 (14) 의 도통부 (17) 에 있어서의 잉여 바인더 수지를 배제시킬 수 있어, 도통부 (17) 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끼리, 및 도전성 입자와 탭선 (3) 의 산부 (21a) 나 도통부 (17) 가 바인더 수지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접촉한다. 이로써, 태양전지 셀 (2) 은 접속부 (14) 에 있어서 탭선 (3) 과의 도통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 (16a) 는 탭선 (3) 및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폭 이상의 직경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로써, 개구부 (16a) 는 확실하게 잉여 바인더 수지를 유입시켜, 도통부 (17) 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음과 함께, 탭선 (3) 및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첩착 위치 어긋남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 개구부 (16a) 는 이면 전극 (13) 의 도통부 (17) 와의 면적비가 2 : 1 ∼ 1 : 2 정도로 된다 (개구부 (16a) : 도통부 (17) = 2 : 1 ∼ 1 : 2). 개구부 (16a) 의 면적이 상기 면적비의 범위를 초과하면, 도통부 (17) 에 모아지는 전자의 이동 로스가 커져 버린다. 또, 개구부 (16a) 가 도통부 (17) 의 면적의 절반에 못 미치면 잉여 바인더 수지를 완전히 유입시킬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가열 압압 헤드 (28) 에 의해 선행하는 태양전지 셀 (2a) 에 탭선 (3) 이 본압착되면, 1 쌍의 가열 압압 헤드 (28) 가 탭선 (3) 으로부터 이간되고, 후에 계속되는 태양전지 셀 (2b) 이 1 쌍의 가열 압압 헤드 (28) 의 바로 아래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태양전지 셀 (2) 은, 한 장씩 가열 압압 헤드 (28) 의 바로 아래로 반송되어, 순차적으로 탭선 (3) 이 버스 바 전극 (11) 및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에 접착됨과 함께,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 (2) 과 직렬로 접속되어 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성 접착 필름 (15) 에 의해 접속부 (14) 와 탭선 (3) 의 접속을 실시하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 (2) 의 이면 전극 (13) 으로서 Al 또는 Ag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이면 전극 (13) 으로서 이면 Al 집전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땜납 접속용 Ag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의 제조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 기술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 (14) 의 도통부 (17) 와 탭선 (3) 의 접속을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이용하여 실시했지만, 바인더 수지에 도전성 입자를 배합하지 않는 절연성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탭선 (3) 의 요철부 (21) 의 산부 (21a) 와 접속부 (14) 의 도통부 (17) 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도통이 도모된다. 이 때도 접속부 (14) 에 유입부 (16) 를 형성함으로써, 탭선 (3) 의 본압착 공정에 있어서 절연성 접착 필름의 잉여 바인더 수지가 유입되기 때문에, 바인더 수지에 의해 산부 (21a) 와 도통부 (17) 의 접속이 저해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이어서, 도통부 (17) 및 개구부 (16a) 가 형성된 접속부 (14) 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상품명 : SP100 시리즈, 소니 케미컬 &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주식회사 제조) 을 개재하여 탭선 (3) 의 요철부 (21) 가 형성된 표면 (20a) 을 접속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에서는, 유리 기판의 접속부에 Ag 페이스트 배선에 의해 도통부 (17) 를 형성함과 함께, 직경 2 ㎜ 의 개구부를 2 ㎜ 간격으로 복수 형성하였다. 이 접속부 상에 도전성 접착 필름 (15) 및 탭선 (3) 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탭선 (3) 을 열 가압하여, 접속하였다. 열 가압 조건은 180 ℃, 15 초, 1 ㎫ 로 하였다.
비교예 1 에서는, 유리 기판의 접속부에 Ag 페이스트 배선에 의해 도통부 (17) 만을 형성하고, 개구부는 형성하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이 접속부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도전성 접착 필름 (15) 및 탭선 (3) 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탭선 (3) 을 열 가압하여, 접속하였다. 열 가압 조건은 180 ℃, 15 초, 1 ㎫ 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각 접속 단면을 관찰한 결과,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에서는 10 군데 모든 산부 (21a) 에서 도통부 (17) 와의 접속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열 가압에 의해 유동성을 나타내는 바인더 수지 B 의 잉여분이 개구부에 유입됨으로써, 산부 (21a) 와 도통부 (17) 의 사이로부터 잉여 바인더 수지 B 가 배제된 것에 의한다.
한편,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에서는 10 군데의 산부 (21a) 중 3 군데밖에 도통부 (17) 와의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 외는 산부 (21a) 와 도통부 (17) 가 이간되어 있었다. 또, 비교예 1 에서는, 접속하고 있는 지점에 있어서도 산부 (21a) 의 정상부가 도통부 (17) 에 닿아 있는 정도였다. 이것은, 가열에 의해 바인더 수지 B 가 유동성을 나타냈을 때에도, 골짜기부 (21b) 가 탭선 (3) 의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 방향이 한정되게 되어, 가압에 의해서도 탭선 (3) 의 산부 (21a) 와 도통부 (17) 의 사이로부터의 배제가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비교예 1 에서는 탭선 (3) 과 도통부 (17) 의 사이에 잉여 바인더 수지 B 가 잔존하여, 접속이 저해되는 것에 의한다.
이어서, 도통부 (17) 및 개구부 (16a) 가 형성된 접속부 (14) 에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을 개재하여 탭선 (3) 의 요철부 (21) 가 형성된 표면 (20a) 을 접속시킨 셀의 출력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시예 2 에서는, 이면 전극으로서 Al 전극이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여 Al 전극에 탭선 (3) 과의 접속부를 형성함과 함께, 이 접속부에 도통부와 함께 직경 4 ㎜ 의 개구부를 4 ㎜ 간격으로 복수 형성하였다. 또한, 이 태양전지 셀은 수광면측의 버스 바 전극이 존재하지 않고, 핑거 전극과 탭선의 접속을 실시하였다. 이 접속부 상에 실시예 1 과 동일한 도전성 접착 필름 (15) 및 탭선 (3) 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탭선 (3) 을 열 가압하여, 접속하였다. 열 가압 조건은 180 ℃, 15 초, 1 ㎫ 로 하였다.
실시예 3 에서는, 실시예 2 의 도전성 접착 필름 (15) 대신에, 도전성 입자를 제거한 절연성 접착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건으로 접속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10 군데 모든 산부 (21a) 에서 도통부 (17) 와의 접속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에서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접속하였다.
이들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2 에 대하여, 초기 출력 특성으로서{탭선 (3) 의 접속 직후의 FF 값 (태양전지의 최대 출력을 [개방 전압 × 단락 (短絡) 전류] 로 나눈 값)/탭선 (3) 의 접속 전의 FF 값}× 100 (%) 의 값을 구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2 에서는 97.1 %, 실시예 3 에서는 97.0 % 를 나타낸 데에 반하여, 비교예 2 에서는 96.2 % 가 되어,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속이 안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FF 값의 측정 방법은 JIS C8913 (결정계 태양전지 셀 출력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2 의 각 시료를 강화 유리, EVA, 백 시트로 라미네이트하여, 완성된 태양전지 모듈을 온도 사이클 시험에 이용하였다. 온도 사이클 시험은 -40 ℃ 30 분 ⇔ 100 ℃ 30 분을 1000 사이클 실시하였다. 그리고, (시험 전의 FF 값/시험 후의 FF 값) × 100 (%) 의 값을 구하였다. 이 결과, 실시예 2 에서는 98.5 %, 실시예 3 에서는 97.8 % 를 나타낸 데에 반하여, 비교예 2 에서는 96 % 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한 높은 접속 신뢰성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FF 값의 측정 방법은 JIS C8913 (결정계 태양전지 셀 출력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다른 구성]
또한, 태양전지 셀 (2) 은 개구부 (16a) 를 개재하여 광전 변환 소자 (10) 을 구성하는 Si 를 외방으로 노출시켜도 된다. 이로써, 태양전지 셀 (2) 은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가 이면 전극 (13) 의 개구부 (16a) 를 개재하여 광전 변환 소자 (10) 의 표면의 Si 와 접촉한다. 실리콘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셀의 표면과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의 바인더 수지는 강고하게 접착되는 점에서, 도전성 접착 필름 (15) 은, 탭선 (3) 과 이면 전극 (13) 의 접속에 있어서 도통부 (17) (Al 부분) 에서 도통을 도모함과 함께, 개구부 (16a) 를 개재하여 노출되어 있는 Si 부분에서 탭선 (3) 과 이면 전극 (13) 의 접속부 (14) 의 접속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양면 수광 타입의 태양전지 셀 (2) 에서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면에 요철부 (21) 가 형성된 탭선 (30) 을 사용함과 함께, 양 수광면에 형성된 버스 바 전극 (11) 에도 잉여 바인더 수지가 유입되는 유입부 (16) 를 형성해도 된다. 유입부 (16) 는, 버스 바 전극 (11) 을 인쇄 형성할 때에 일괄적으로 형성된다. 또,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부 (16) 는 개구부 (16a) 로서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 (16a) 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버스 바 전극 (11) 의 폭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된다. 또, 유입부 (16) 는,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 바 전극 (11) 의 일부를 절결하는 절결부 (16b) 로서 형성해도 된다.
버스 바 전극 (11) 에 형성된 개구부 (16a) 나 절결부 (16b) 도, 버스 바 전극 (11) 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또, 개구부 (16a) 나 절결부 (16b) 는, 탭선 (3) 의 본압착 공정에 있어서는 요철부 (21) 의 골짜기부 (21b) 를 따라 바인더 수지가 유입되어, 도통부 (17) 로부터 잉여 바인더 수지를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탭선 (3) 의 본압착 공정에 있어서 탭선 (3) 을 열 가압하는 가열 압압 헤드 (28)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면 (28a) 에 탄성체 (31) 를 형성해도 된다. 가열 압압 헤드 (28) 는, 열전도율이 높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 (31) 를 형성함으로써, 탭선 (3) 의 요철부 (21) 를 흡수하여, 탭선 표면의 요철부를 확보한 채로 압압면 (26a) 과 탭선 (3) 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과 함께, 보다 밀착하게 되어, 탭선 (3) 에 고르게 열이나 압력을 확실하게 전할 수 있다.
1 태양전지 모듈
2 태양전지 셀
3 탭선
4 스트링스
5 매트릭스
10 광전 변환 소자
11 버스 바 전극
12 핑거 전극
13 이면 전극
14 접속부
15 도전성 접착 필름
16 유입부
16a 개구부
16b 절결부
17 도통부
20a 표면
20b 이면
21 요철부
21a 산부
21b 골짜기부
23 도전성 입자
26 가압착 헤드
28 가열 압압 헤드
30 탭선
31 탄성체

Claims (12)

  1. 양면에 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일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로 접속하는 탭선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전극과 상기 탭선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탭선을 접속하는 접착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에 상기 접착 필름의 바인더 성분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과 반대측의 평탄면이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과 접속되고, 상기 일면이 상기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선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과 반대측의 면에도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이면 전극이 Al 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결정 실리콘계 태양전지 셀이며, 상기 유입부로부터 Si 가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태양전지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이면 전극의 상기 탭선과의 접속부에 형성된 개구부인, 태양전지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이면 전극의 상기 탭선과의 접속부에 형성된 절결부인, 태양전지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탭선과 도통하는 도통부가 상기 유입부보다 큰 면적을 갖는, 태양전지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는, 태양전지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필름은 도전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절연성 접착 필름인, 태양전지 모듈.
  11.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배열하는 배열 공정과,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일면에 길이 방향에 걸쳐 연속하는 산부 및 골짜기부가 폭 방향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요철부를 갖는 탭선의 상기 일면을 상기 태양전지 셀의 이면 전극측에 가접속함과 함께,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상기 탭선의 상기 일면과 반대측의 평탄면을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전극측에 가접속하는 가압착 공정과,
    상기 탭선 상으로부터 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착 필름을 열 경화시켜 상기 탭선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각 전극을 접속하는 본압착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본압착 공정에서는, 상기 접착 필름의 바인더 성분을 상기 탭선의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일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유입시키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압착 공정에서는, 상기 탭선의 압압면에 탄성체가 형성된 헤드에 의해 상기 탭선을 열 가압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27028096A 2010-09-29 2011-09-26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395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9384A JP5356347B2 (ja) 2010-09-29 2010-09-29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JP-P-2010-219384 2010-09-29
PCT/JP2011/071922 WO2012043494A1 (ja) 2010-09-29 2011-09-26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74A KR20130021374A (ko) 2013-03-05
KR101395486B1 true KR101395486B1 (ko) 2014-05-15

Family

ID=4589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096A KR101395486B1 (ko) 2010-09-29 2011-09-26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24311A1 (ko)
JP (1) JP5356347B2 (ko)
KR (1) KR101395486B1 (ko)
CN (1) CN102884637A (ko)
WO (1) WO2012043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7539A4 (en) * 2011-11-30 2015-06-10 Sanyo Electric Co PHOTOVOLTAIC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790132B (zh) * 2012-08-14 2015-05-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图案化焊带的装置、应用其的串焊方法
WO2014033829A1 (ja) * 2012-08-28 2014-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85434B1 (ja) * 2013-02-28 2014-05-07 海彬 郭 太陽電池セル
WO2014155415A1 (ja) * 2013-03-26 2014-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076446A (ja) * 2013-10-07 2015-04-20 日立化成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
JP2015233095A (ja) * 2014-06-10 2015-12-24 日立化成株式会社 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ユニットの製造方法
TWI619262B (zh) * 2016-01-04 2018-03-21 有成精密股份有限公司 高功率太陽能電池模組
WO2017179523A1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用配線材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721A (ko) * 2007-08-02 2009-02-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1474A (ko) * 2007-12-27 2009-07-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36315A (ko) * 2007-07-13 2010-04-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6349A (ja) 2003-05-28 2004-12-16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646558B2 (ja) * 2004-06-29 2011-03-09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7214533A (ja) * 2006-01-16 2007-08-23 Hitachi Chem Co Ltd 導電性接着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8135654A (ja) * 2006-11-29 2008-06-1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294048B2 (ja) * 2006-11-29 2009-07-08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9041506A1 (ja) * 2007-09-26 2009-04-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導電体接続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接続構造、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315A (ko) * 2007-07-13 2010-04-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20090013721A (ko) * 2007-08-02 2009-02-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1474A (ko) * 2007-12-27 2009-07-0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74602A (ja) 2012-04-12
CN102884637A (zh) 2013-01-16
JP5356347B2 (ja) 2013-12-04
KR20130021374A (ko) 2013-03-05
EP2624311A1 (en) 2013-08-07
WO2012043494A1 (ja)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486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465924B1 (ko)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 모듈
KR101431404B1 (ko)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탭선이 권장된 릴 권장체
KR101435312B1 (ko) 태양 전지 모듈,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JP587760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タブ線の接続方法
JP567694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441264B1 (ko)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태양전지 셀 및 탭선의 접속 방법
KR20130138290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태양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JP579877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タブ線
JP589258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201304161A (zh) 太陽電池模組、太陽電池模組之製造方法
JP201616764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