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89B1 -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 Google Patents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89B1
KR101395189B1 KR1020130024551A KR20130024551A KR101395189B1 KR 101395189 B1 KR101395189 B1 KR 101395189B1 KR 1020130024551 A KR1020130024551 A KR 1020130024551A KR 20130024551 A KR20130024551 A KR 20130024551A KR 101395189 B1 KR101395189 B1 KR 10139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angular
shaft
fixed
hing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24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hang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도어의 하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힌지축으로 형성하고 사각 힌지축에 연결되는 수직관을 사각관 형상의 사각 수직관으로 형성함에 따라, 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사각 힌지축과 사각 수직관을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에 관한 것으로, 하부 힌지부는, 사각틀체의 하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힌지축을 가지는 하부 고정수평판과, 벽체 고정판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하부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사각 힌지축의 하부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사각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하부 힌지부의 사각 연결축에 상부가 삽입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수직관과, 상기 사각 수직관의 하부에 삽입되는 사각 회전축과, 저온 창고 벽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사각 회전축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Ventilation door for low temperature container}
본 발명은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기도어의 하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힌지축으로 형성하고 사각 힌지축에 연결되는 수직관을 사각관 형상의 사각 수직관으로 형성함에 따라, 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사각 힌지축과 사각 수직관을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 창고는 대형의 물류 창고로서 육류, 어류, 채소, 과일 등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물품들이 저장되는 창고이다. 그리고 저온 창고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냉장창고로 사용하거나 냉장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저온 창고는 내기를 신선한 외기와 순환시키기 위하여 벽체의 상부에는 환기도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도어는 일정시간 동안 간격을 두고 개방하여 저온 창고의 내부로 신선한 외기를 투입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개방시켜 저온 창고의 내부로 신선한 외기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 알려진 일 실시예의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의 환기도어가 저온 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종래의 환기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종래의 환기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형성되는 환기홀(20)의 외면 둘레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사각 환기홀(101)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판(100)과, 상기 사각 환기홀(101)을 덮는 도어(200)와, 상기 도어(200) 상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00)을 고정하는 상부 힌지부(300)와, 상기 도어(200) 하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00)을 고정하는 하부 힌지부(400)와, 상기 하부 힌지부(4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0)를 개패하는 개폐 조작부(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홀(20)은 지면에서 약 5m이상의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200)는 둘레에 구비되는 사각틀체(201)와 사각틀체(201)의 내부를 막는 커버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힌지부(300)는 상기 사각틀체(201) 상부의 측부에 고정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원형 힌지축(302)을 가지는 상부 고정브래킷(301)과, 상기 벽체 고정판(100) 상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원형 힌지축(302)을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상부 베어링 브래킷(30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힌지부(400)는 상기 사각틀체(201)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하부 원형 힌지축(402)을 가지는 하부 고정브래킷(401)과, 상기 벽체 고정판(100)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원형 힌지축(404)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하부 베어링 브래킷(403)과, 상기 하부 원형 힌지축(402)의 하부로 연장되게 돌출되고 수평 방향으로 핀홀(H)이 형성되는 원형 연결축(404)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 조작부(500)는 저온 창고의 벽체(10) 하부에서 작업자가 높은 위치의 상기 도어(20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개폐 조작부(500)는, 상기 하부 힌지부(400)의 원형 연결축(404)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원형 연결축(404)의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 연결축(404)의 핀홀(H)과 상부에 위치되는 핀홀(H)을 관통하는 고정핀(P)에 의해 상부가 상기 원형 연결축(404)에 고정되는 길이가 긴 원형 수직관(501)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핀(P)으로 원형 연결축(404)과 원형 수직관(501)을 연결하는 이유는 원형 연결축(404)에서 원형 수직관(501)이 헛돌지 않고 연동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 수직관(501)의 하부에는 핀홀(H)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 조작부(500)는 상기 원형 수직관(501)의 하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핀홀(H)과 상응되는 위치에 핀홀(H)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501)의 하부에 위치되는 핀홀(H)과 하부에 위치되는 핀홀(H)을 관통하는 고정핀(P)에 의해 상부가 상기 원형 수직관(501)에 고정되는 원형 회전축(50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 조작부(500)는 상기 저온 창고의 벽체(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원형 회전축(502)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503)과, 상기 원형 회전축(502)의 측부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상기 원형 회전축(502)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대(50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고정핀(P)으로 원형 수직관(501)과 원형 회전축(502)를 연결하는 이유는 상기 원형 수직관(501)에서 상기 원형 회전축(502)이 헛돌지 않고 연동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환기도어는 상기 회전 손잡이대(504)의 회전을 통해 도어(200)를 개폐함으로써, 저장 창고의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환기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종래의 환기도어의 개폐 조작부를 구성하는 약 5m이상으로 긴 원형 수직관의 상부를 상기 하부 힌지부의 원형 연결축에 연결 고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의 도어까지 올라가 고정핀을 일일이 해머 등으로 박아 고정하여야 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에 따른 어려움으로 자칫 낙마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잦았고 작업시간 또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부 고정브래킷의 원형 힌지축의 중심과 하부 고정브래킷의 원형 힌지축의 중심이 일치 하지 않거나, 상기 상부 고정브래킷의 원형 힌지축과 상부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부 고정브래킷의 하부 원형 힌지축과 하부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 고정브래킷이나 하부 고정브래킷을 사각틀체에서 분해하고 사각틀에 나사 결합홀을 다시 천공한 다음 상부 고정브래킷이나 하부 고정브래킷을 재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39218호 “저온창고”(2012.12.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도어의 하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힌지축으로 형성하고 사각 힌지축에 연결되는 약 5m이상으로 긴 수직관을 사각관 형상의 사각 수직관으로 형성함에 따라, 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사각 힌지축과 사각 수직관을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회전축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사각 회전축의 상부를 상기 사각 수직관에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좀 더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도어의 상부 힌지부의 베어링을 구면 베어링으로 구성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시 상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사각 힌지축의 각도 변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도어 상부의 측부가 유동되더라도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고정수평판이나 하부 고정수평판을 사각틀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손잡이대의 고리 삽입홀이 열쇠고리의 시작부분까지 관통되게 함으로써, 열쇠를 좀 더 용이하게 고리에 걸어 열쇠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는, 저온 창고의 벽체 상부에 형성되는 환기홀의 외면 둘레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사각 환기홀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판과, 상기 사각 환기홀을 덮는 도어와, 상기 도어 상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을 고정하는 상부 힌지부와, 상기 도어 하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을 고정하는 하부 힌지부와, 상기 하부 힌지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 조작부를 포함하는 환기도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부는, 사각틀체의 하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힌지축을 가지는 하부 고정수평판과, 상기 벽체 고정판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하부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사각 힌지축의 하부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사각 연결축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하부 힌지부의 사각 연결축에 상부가 삽입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수직관과, 상기 사각 수직관의 하부에 삽입되는 사각 회전축과, 상기 저온 창고 벽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과, 상기 사각 회전축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의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은, 사각틀체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평홀과, 상기 수평홀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와, 상기 하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과, 상기 나사축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의 상기 상부 힌지부는, 사각틀체의 상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을 통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힌지축을 가지는 상부 고정수평판과, 상기 벽체 고정판의 상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상부 베어링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베어링 브래킷은, 상기 벽체 고정판에 볼트로 고정되며 수직홀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홀에 설치되며 내륜의 중앙홀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이 관통 고정되는 구면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의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은, 사각틀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평홀과, 상기 수평홀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와, 상기 상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과, 상기 나사축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의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벽체의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에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브래킷이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회전 손잡이대의 회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과, 상기 수평부재의 전면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 삽입홀이 관통 삽입되는 열쇠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대는 상기 사각 회전축과 회전 손잡이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사각 회전축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대의 중간에는 회전 손잡이의 회전단부가 상기 수평부재의 전면에 밀착되게 경사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환기도어의 하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힌지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힌지축으로 형성하고 사각 힌지축에 연결되는 수직관을 사각관 형상의 사각 수직관으로 형성함에 따라, 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사각 힌지축과 사각 수직관을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공성을 향상시킨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사각축 형상의 사각 회전축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사각 회전축의 상부를 상기 사각 수직관에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공성을 좀 더 향상시킨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도어의 상부 힌지부의 베어링을 구면 베어링으로 구성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시 상부 힌지부를 구성하는 사각 힌지축의 각도 변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도어 상부의 측부가 유동되더라도 원활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개폐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고정수평판이나 하부 고정수평판을 사각틀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고정수평판의 상부 힌지축의 중심과 하부 고정수평판의 사각 힌지축의 중심이 일치 하지 않거나, 상기 상부 고정수평판의 상부 힌지축과 상부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하부 고정수평판의 사각 힌지축과 하부 베어링 브래킷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상부 고정수평판이나 하부 고정수평판을 도어의 사각틀체로부터 분리 하지 않고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좀 더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손잡이대의 고리 삽입홀이 열쇠고리의 시작부분까지 관통되게 함으로써, 열쇠를 좀 더 용이하게 고리에 걸어 잠글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가 저온 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환기도어가 저온 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종래의 환기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환기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가 저온 창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힌지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는,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형성되는 환기홀(20)의 외면 둘레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사각 환기홀(11)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판(1)과, 상기 사각 환기홀(11)을 덮는 도어(2)와, 상기 도어(2) 상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을 고정하는 상부 힌지부(3)와, 상기 도어(2) 하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을 고정하는 하부 힌지부(4)와, 상기 하부 힌지부(4)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를 개폐하는 개폐 조작부(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10)의 환기홀(20)은 지면에서 약 5m 이상의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벽체 고정판(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홀(20)의 외면 둘레에 다수의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상부 힌지부(3)와 하부 힌지부(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환기홀(20)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환기홀(20)의 둘레를 커버하는 사각틀체(21)와 사각틀체(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벽체(10)의 환기홀(20)을 차단하는 커버판(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힌지부(3)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 상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 상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여 도어(2)가 상부 힌지부(3)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힌지부(3)는 상기 사각틀체(21)의 상부에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힌지축(311)을 가지는 상부 고정수평판(31)과, 상기 벽체 고정판(1)의 상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힌지축(311)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상부 베어링 브래킷(3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사각틀체(21)의 상부에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틀체(21)의 상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을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은 상기 사각틀체(2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321a)(421a)이 형성되는 수평홀(321)(421)과, 상기 수평홀(321)(421)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323)(423)와, 상기 상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322)(422)과, 상기 나사축에 체결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의 풀음과 조임을 통해 상부 고정수평판(31)의 좌우 위치와 전후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 고정수평판(31)의 상부 힌지축(311)과 상부 베어링 브래킷(33)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상부 고정수평판(31)을 도어(2)의 사각틀체(21)로부터 분리 하지 않고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베어링 브래킷(33)은 상기 벽체 고정판(1)에 볼트로 고정되며 수직홀이 형성되는 브래킷(331)과, 상기 수직홀에 설치되며 내륜의 중앙홀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311)이 관통 고정되는 구면 베어링(3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면 베어링(332)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힌지부(3)의 베어링을 구면 베어링(332)으로 구성함에 따라, 도어(2)의 개방시 상부 힌지부(3)를 구성하는 사각 힌지축(411)의 각도 변경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어(2)의 개방시 도어(2) 상부의 측부가 유동되더라도 원활하게 도어(2)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어(2) 개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힌지부(4)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 하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 하부의 측부를 상호 연결하여 도어(2)가 하부 힌지부(4)를 중심으로 회전 개방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 힌지부(4)는 상기 사각틀체(21)의 하부에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힌지축(411)을 가지는 하부 고정수평판(41)과, 상기 벽체 고정판(1)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힌지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하부 베어링 브래킷(43)과, 상기 사각 힌지축(411)의 하부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사각 연결축(44)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사각틀체(21)의 하부에서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 고정판은 사각틀체(21)의 하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을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은 상기 사각틀체(21)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321a)(421a)이 형성되는 수평홀(321)(421)과, 상기 수평홀(321)(421)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323)(423)와, 상기 하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322)(422)과, 상기 나사축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의 풀음과 조임을 통해 상부 고정수평판(31)의 좌우 위치와 전후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 고정수평판(41)의 상부 힌지축(311)과 하부 베어링 브래킷(43)의 조립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나, 또는 상부 고정수평판(31)의 상부 힌지축(311)의 중심과 하부 고정수평판(41)의 사각 힌지축(411)의 중심이 일치 하지 않더라도, 상기 상부 고정수평판(31)을 도어(2)의 사각틀체(21)로부터 분리 하지 않고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베어링 브래킷(43)은 상기 벽체 고정판(1)에 볼트로 고정되며 수직홀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홀에 설치되며 내륜의 중앙홀에는 상기 사각 힌지축(411)이 관통 고정되는 레이디얼 베어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개폐 조작부(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힌지부(4)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결됨으로써, 저온 창고의 벽체(10) 하부에서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 위치된 상기 도어(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개폐 조작부(5)는, 상기 하부 힌지부(4)의 사각 연결축(44)에 상부가 삽입되게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약 5m이상으로 긴 사각 수직관(51)과, 상기 사각 수직관(51)의 하부에 삽입되는 사각 회전축(52)과, 상기 저온 창고의 벽체(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회전축(52)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53)과, 상기 사각 회전축(52)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대(54)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면에서 작업자가 상기 사각 힌지축(411)과 사각 수직관(51)을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 회전축(52)의 상부를 상기 사각 수직관(51)에 끼움 삽입만을 통해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 조작부(5)는 상기 벽체(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에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브래킷이 고정되는 수평부재(55)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수평부재(55)는 저온 창고의 벽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53)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부재(55)는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의 브래킷을 벽체(10)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의 브래킷의 베어링 중심을 상기 하부 베어링 브래킷(43)의 베어링 중심과 일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의 회전단부에는 고리 삽입홀(54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55)의 전면의 측부에는 상기 고리 삽입홀(541)이 관통 삽입되는 열쇠고리(551)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의 중간에는 회전 손잡이의 회전 단부가 상기 수평부재(55)의 전면에 밀착되게 경사 절곡부(542)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손잡이의 중간에 형성되는 경사 절곡부(542)를 통해,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의 고리 삽입홀(541)이 열쇠고리(551)의 시작부분까지 관통되게 함으로써 열쇠를 좀 더 용이하게 고리에 걸어 잠글 수 있도록 하는 장정도 있다.
상기 회전 손잡이대(54)는 상기 사각 회전축(52)과 회전 손잡이를 관통하는 볼트(56)와 볼트(56)에 체결되는 너트(57)에 의해 사각 회전축(52)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조립을 통해 회전 손잡이대(54)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53)은 상기 벽체 고정판(1)에 볼트로 고정되며 수직홀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홀에 설치되며 내륜의 중앙홀에는 상기 사각 연결축(44)이 관통 고정되는 레이디얼 베어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기도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위치되는 도어(2)를 개방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 조작부(5)를 구성하는 회전 손잡이대(54)를 90도 이상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와 연결되는 상기 사각 회전축(52)과 상기 사각 수직관(51) 및 하부 힌지부(4)의 사각 힌지축(411)이 90도 이상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위치되는 도어(2)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상기와 같이 개방된 도어(2)를 다시 닫을 할 경우에는, 상기 개폐 조작부(5)를 구성하는 회전 손잡이대(54)를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와 연결되는 상기 사각 회전축(52)과 상기 사각 수직관(51) 및 하부 힌지부(4)의 사각 힌지축(411)이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90도 이상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위치되는 도어(2)를 닫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회전 손잡이대(54)의 회전만을 통해 도어(2)를 안정적으로 개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위치에 도어(2)까지 작업자가 올라가지 않고도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사각 수직관(51)을 지면에서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환기도어의 시공을 간단히 하면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공성을 향상시킨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벽체 고정판
11 : 사각 환기홀
2 : 도어
21 : 사각틀체
22 : 커버판
3 : 상부 힌지부
31 : 상부 고정수평판
311 : 상부 힌지축
32 : 위치변경 고정수단
321 : 수평홀, 321a : 볼트머리 관통홀,
322 : 장홀, 323 : 볼트, 324 : 너트
33 : 상부 베어링 브래킷
331 : 브래킷, 332 : 구면 베어링
4 : 하부 힌지부
41 : 하부 고정수평판
411 : 사각 힌지축
42 : 위치변경 고정수단
421 : 수평홀, 421a : 볼트머리 관통홀,
422 : 장홀, 423 : 볼트, 424 : 너트
43 : 하부 베어링 브래킷
44 : 사각 연결축
5 : 개폐 조작부
51 : 사각 수직관
52 : 사각 회전축
53 :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
54 : 회전 손잡이대
541 : 고리 삽입홀, 542 : 경사 절곡부
55 : 수평부재
551 : 열쇠고리
56 : 볼트
57 : 너트
10 : 벽체
20 : 환기홀

Claims (5)

  1. 저온 창고의 벽체(10) 상부에 형성되는 환기홀(20)의 외면 둘레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사각 환기홀(11)이 형성되는 벽체 고정판(1)과, 상기 사각 환기홀(11)을 덮는 도어(2)와, 상기 도어(2) 상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을 고정하는 상부 힌지부(3)와, 상기 도어(2) 하부의 측부와 상기 벽체 고정판(1)을 고정하는 하부 힌지부(4)와, 상기 하부 힌지부(4)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를 개폐하는 개폐 조작부(5)를 포함하는 환기도어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힌지부(4)는, 사각틀체(21)의 하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을 통해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힌지축(411)을 가지는 하부 고정수평판(41)과, 상기 벽체 고정판(1) 하부의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힌지축(411)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하부 베어링 브래킷(43)과, 상기 사각 힌지축(411)의 하부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사각 연결축(44)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 조작부(5)는, 상기 하부 힌지부(4)의 사각 연결축(44)에 상부가 삽입 연결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사각 수직관(51)과, 상기 사각 수직관(51)의 하부에 삽입되는 사각 회전축(52)과, 상기 저온 창고 벽체(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사각 회전축(52)이 하부로 돌출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축 고정용 베어링 브래킷(53)과, 상기 사각 회전축(52)에서 측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회전 손잡이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은, 사각틀체(21)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321a)(421a)이 형성되는 수평홀(321)(421)과, 상기 수평홀(321)(421)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하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323)(423)와, 상기 하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322)(422)과, 상기 나사축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부(3)는, 사각틀체(21)의 상부에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을 통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 힌지축(311)을 가지는 상부 고정수평판(31)과, 상기 벽체 고정판(1)의 상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힌지축(311)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하는 상부 베어링 브래킷(3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베어링 브래킷(33)은, 상기 벽체 고정판(1)에 볼트로 고정되며 수직홀이 형성되는 브래킷과, 상기 수직홀에 설치되며 내륜의 중앙홀에는 상기 상부 힌지축(311)이 관통 고정되는 구면 베어링(3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경 고정수단(32)(42)은, 사각틀체(2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볼트머리 관통공(321a)(421a)이 형성되는 수평홀(321)(421)과, 상기 수평홀(321)(421)의 내부에 머리가 삽입되어 나사축이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볼트(323)(423)와, 상기 상부 고정 수평판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다수의 장홀(322)(422)과, 상기 나사축에 고정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5)는,
    상기 벽체(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에 상기 축 고정용 베어링브래킷이 고정되는 수평부재(55)와,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의 회전단부에 형성되는 고리 삽입홀(541)과,
    상기 수평부재(55)의 전면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리 삽입홀(541)이 관통 삽입되는 열쇠고리(55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대(54)는 상기 사각 회전축(52)과 회전 손잡이를 관통하는 볼트(56)와 볼트(56)에 체결되는 너트(57)에 의해 사각 회전축(52)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대(54)의 중간에는 회전 손잡이의 회전단부가 상기 수평부재(55)의 전면에 밀착되게 경사 절곡부(5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KR1020130024551A 2013-03-07 2013-03-07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KR10139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1A KR101395189B1 (ko) 2013-03-07 2013-03-07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1A KR101395189B1 (ko) 2013-03-07 2013-03-07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189B1 true KR101395189B1 (ko) 2014-05-15

Family

ID=5089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551A KR101395189B1 (ko) 2013-03-07 2013-03-07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23B1 (ko) * 2020-02-20 2020-07-28 어경원 저온저장고의 환기도어 개폐장치
WO2021091067A1 (ko) * 2019-11-08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01A (ko) * 1999-03-02 1999-08-05 김문식 선회식 도어의 회동힌지장치
KR100916128B1 (ko) 2009-06-05 2009-09-07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20120134355A (ko) * 2011-06-02 2012-12-12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01A (ko) * 1999-03-02 1999-08-05 김문식 선회식 도어의 회동힌지장치
KR100916128B1 (ko) 2009-06-05 2009-09-07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20120134355A (ko) * 2011-06-02 2012-12-12 (주) 지에스이엔지 농산물 보관 창고용 환기 창문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67A1 (ko) * 2019-11-08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39023B1 (ko) * 2020-02-20 2020-07-28 어경원 저온저장고의 환기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189B1 (ko) 저온 창고용 환기도어
JP5061085B2 (ja) 旋回作業機のボンネットシール構造
US4208839A (en) Lid opener for storage container
JP2013072218A (ja) サッシ
CN103410393A (zh) 铝合金门窗下铰链装置
KR101578183B1 (ko) 컨테이너용 도어의 내측 잠금장치
US11434677B2 (en) Freezer with releasable door hinges
KR100970845B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JP6449037B2 (ja) 建具
KR20130002672U (ko) 선박용 방화도어
KR101607640B1 (ko) 해치가 구비된 조립식 물탱크
JP4833158B2 (ja) 建具
JP5325936B2 (ja) 通風筒開口カバーのヒンジ構造
JP2552777Y2 (ja) 地下構造物用蓋
JP4141423B2 (ja) 片持ちカーポートのサポート支柱上端連結装置
KR200450500Y1 (ko) 육상용 냉동/냉장 설비
JP4147138B2 (ja) 貯蔵庫
CN212840365U (zh) 一种室外运动场地监控装置
JP3393816B2 (ja) ボンネットストッパ
KR20050046857A (ko) 조립식 하우스
KR930000885Y1 (ko) 비닐 하우스용 환기구
JP6312587B2 (ja) サッシ
JP3088191U (ja) 折畳み形テント
JP6780916B2 (ja) 建具
JP3704327B2 (ja) 回動開閉の障害回避自在のキャスターを有する開き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