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497B1 -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 Google Patents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97B1
KR101393497B1 KR1020120024586A KR20120024586A KR101393497B1 KR 101393497 B1 KR101393497 B1 KR 101393497B1 KR 1020120024586 A KR1020120024586 A KR 1020120024586A KR 20120024586 A KR20120024586 A KR 20120024586A KR 101393497 B1 KR101393497 B1 KR 10139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steel
front support
pai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166A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이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남 filed Critical 이창남
Priority to KR102012002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보의 보강법들 중 내력의 보완에 그치지 않고 이미 일어난 변형까지 원상으로 복원하는 방법은 강선보강 방법이며 그 핵심기술은 강선을 긴장하여 기존구조물에 정착하는 강선정착블록에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여타 강선정착장치들보다 제작이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성능은 제작단가가 2배 이상 높은 여타 제품들에 상응하는 새로운 고안의 강선정착장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두꺼운 강판에 수작업으로 긴 구멍을 뚫는 대신 자동화된 강판 가공 장비로 정밀하게 절단 및 천공한 복수의 강판들을 상호 이격 또는 조합 배치하여 고력볼트로 접합하고 이들 사이에 생성되는 좁은 공간에 강선을 삽입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상기 방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부속자재의 가공 작업의 정밀성이 요구되나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자동화된 장비들을 활용할 수 있어 일일이 강판 양 단면에 걸쳐 수작업으로 수십 ㎝의 긴 구멍을 뚫어야 하는 기존 정착블록보다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품질이 균일하며 원자재 수급이 원활하고 블록의 크기, 구멍의 크기와 위치, 재질 등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계단형 강선정착블록{Step-shaped Wire Fixing Block}
본 발명은 고강도 강선의 긴장력을 이용하여 건물의 구조부재를 보강하는 데 사용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강하고자 하는 기존 구조물의 양단에 강선정착블록을 부착하고, 이들 사이에 고강도강선을 삽입하고, 상기 정착블록 외단에서 유압잭으로 강선을 물고 긴장한 뒤 강선콘으로 강선정착블록에 정착하면 기존구조부재에 휨응력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내력 보강 및 변형 복원 효과를 얻는다.
보강용 강선과 보강하려는 기존 구조물과의 간격을 좁힐수록 보강 효과가 커지므로 강선정착블록은 가능한 한 보에 밀착되는 납작한 형태가 이상적이다. 또한 기존 구조물의 구조부재와 마감재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시공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자재의 중량이 공사원가에 직결되므로 강선정착블록의 크기는 작을수록 유리하며 기타 부속자재의 종류와 수량, 가공비, 볼트 수량 또는 용접량도 최소화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보강에 활용하는 7연선 강선은 12.7㎜와 15.2㎜가 있다. 두 종류의 강선 중 장기허용인장력이 더 높은 15.2㎜ 강선을 사용하는 것이 내력 확보에는 유리하나 강선이 굵을수록 공사 현장에서 취급하기가 번거롭다 보니 감고 풀기가 비교적 수월한 12.7㎜ 강선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15.2㎜ 강선용 강선콘의 직경이 45㎜이므로 강선콘의 밑변 전체에 밀착되어야 하는 강선정착블록의 총 두께는 최소 45㎜ 이상이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용하던 강선정착블록 중 대표적인 것은 일체다공콘(도 1)과 조합다공콘(도 2)이었으나, 이들은 값비싼 45㎜ 두께의 고강도강판의 양측 단면 내부에 걸쳐 긴 강선통과용 구멍을 뚫어야 한다. 상기 2 종류의 다공콘은 모두 고강도강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강선콘을 생략하기 위하여 강선구멍의 외단부에 직접 쐐기를 끼워 강선을 정착할 수 있도록 원추대형으로 가공한 것이다.
그러나 출원인이 10여년간 실무에서 생산과 시공을 경험한 바로는 45㎜ 고강도강판의 품질과 수급여건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실감하였다. 널리 사용되는 규격이 아니다 보니 공급이 불규칙하여 수년에 한 번씩은 어김없이 겪게 되는 철강 파동 시기에는 사실상 구매가 거의 불가능하였고 수입품은 규격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컨대 일체다공콘(도 1) 생산 과정에서 강재 품질을 전수검사한 결과 불량률이 무려 80%였다.
이에 고강도강판의 수급과 가공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체다공콘(도 1)의 대안으로 마련하였던 것이 도 2의 조합다공콘인데 이는 정착블록이 강선콘 역할을 겸하도록 하기 위해 고강도강이 필수적인 부분만 고강도강판으로 제작하고 보와 밀착하여 마찰 및 전단내력을 주목적으로 하는 깔판 부분은 일반 강판으로 분리 제작한 것이다.
그러나 조합다공콘은 일체다공콘에 비하여 강재사용량이 절감되기는 하나 여전히 주요 부분에 수급이 어렵고 품질이 불규칙한 45㎜ 고강도강판이 요구된다.
또한, 일체다공콘과 조합다공콘은 모두 고강도강판에 길고 곧은 강선 삽입 구멍을 뚫는 수동식 고난도 공작기계 작업이 제품의 수율을 떨어뜨리고 제작원가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자재의 원활한 수급과 제품 품질 제고를 위하여 일반 강재만으로 제작 가능한 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초정밀 컴퓨터 강판 재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은 물론 가격경쟁력 확보에도 유리한 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다.
본 발명은 H형강 하부플랜지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H형강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의 양단을 긴장하여 H형강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H형강의 하부플랜지 단부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H형강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 상기 전방지지대의 H형강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의 H형강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이 관통되는 강선홀이 형성된 지압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에는 각각 복수의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의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볼트홀과 대응되는 외치에 볼트홀이 형성되어 고력볼트에 의해 전방지지대 및 후방지지대가 H형강 하부플랜지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는 H형강 하부플랜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저면 및 양 측면에 바탕강판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보의 바탕강판 하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철근콘크리트보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의 양단을 긴장하여 철근콘크리트보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강판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보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 상기 전방지지대의 철근콘크리트보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의 철근콘크리트보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이 관통되는 강선홀이 형성된 지압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대와 후방지지대는 바탕강판 하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강선정착블록에서 용적 기준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압판에 45㎜ 이상의 고강도강판 대신 일반강판을 사용하여 자재 원가를 절감하고 자재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강판에 기다란 강선 삽입 구멍을 뚫는 기존 정착블록과 달리, 자동화된 장비들을 활용하여 일반 강판을 정밀 재단 및 천공할 수 있어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품질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을 모듈화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보강하려는 부재에 최적화된 정착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정밀 재단 및 천공된 부품들을 조합하여 고력볼트로 기존 구조물에 정착함으로써 기존의 일체다공콘 및 조합다공콘을 대체하는 계단식 강선정착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체다공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조합다공콘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볼트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을 사용하여 H형강을 보강하는 제1실시예.
도 4는 볼트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사용하여 H형강을 보강하는 제2실시예.
도 5는 용접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사용하여 H형강과 철근콘크리트보를 4가닥의 15.2㎜ 강선으로 보강하는 제3실시예.
도 6은 제1, 2, 3실시예에서 강선의 수량에 따라 배열된 강선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10a: 계단식 강선정착블록
11: 깔판 12: 덮개판
13: 스페이서 14: 볼트홀
20: H형강 20a: 철근콘크리트보
21: 하부플랜지 22: 웨브
30: 지압판 31: 강선홀
40: 강선콘 41: 쐐기
50: 고력볼트 51: 볼트머리
52: 너트 53: 와셔
60: 강선 70: 슬래브
80: 전방지지대 90: 후방지지대
100: 바탕강판
제1실시예에서는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을 사용하여 H형강(20)을 4가닥의 강선(60)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도 3으로 설명하고, 제2실시예에서는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사용하여 H형강(20)을 2가닥의 강선(60)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도 4로 설명하고, 제3실시예에서는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사용하여 H형강(20)과 철근콘크리트보(20a)를 4가닥의 강선(60)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도 5로 설명한다.
삭제
삭제
도 6은 제1, 2, 3실시예에서 강선(60)의 수량에 따라 배열된 강선(6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각 도면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볼트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을 이용한 것으로, 강선(60)이 4가닥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은 H형강(20) 하부플랜지(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H형강(20)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60)의 양단을 긴장하여 H형강(2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저면에 구비되는 깔판(11); 상기 깔판(11)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H형강(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복수 열의 스페이서(13);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3) 저면에 결합되어 스페이서(13)의 사이 공간 및 복수 열의 스페이서(13) 저면을 덮는 덮개판(12); 및 상기 깔판(11), 스페이서(13) 및 덮개판(12)의 H형강(20)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60)이 관통되는 강선홀(31)이 형성된 지압판(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깔판(11), 스페이서(13) 및 덮개판(12)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홀(14)이 형성되어 고력볼트(5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깔판(11)은 상기 스페이서(13)보다 길이가 길어 H형강(20) 길이 방향 중심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과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홀(14)이 형성되어 고력볼트(5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깔판(11) 및 덮개판(12)은 스페이서(13)의 최외각 스페이서(13)의 측단부보다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는 다음과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
1. 도 3에서는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의 선정된 위치에 각각 필요한 수량과 굵기의 볼트구멍(12-M20 또는 M22)을 뚫는다. 하부플랜지(21)에 뚫는 볼트구멍의 위치는 깔판(11), 스페이서(13), 덮개판(12)에 뚫어놓은 볼트구멍에 일치하도록 하되, 4가닥의 15.2㎜ 강선(60)과 직경 45㎜의 원뿔대 형상의 강선콘(40)을 상호 간섭 없이 하부플랜지(21) 하면에 좌우대칭으로 나란히 배치하였을 때 좌로부터 첫 번째와 두 번째 강선 사이와 세 번째와 네 번째 강선 사이를 채우는 2개의 스페이서(13)의 세로 방향 중앙선상에 일치하여야 한다. 스페이서(13)의 배치는 강선(60)의 위치와 간격을 결정하며 이는 지압판(30)의 강선홀(31) 위치를 결정한다. 제1실시예는 상기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12개의 볼트구멍을 55㎜의 최소 간격을 두어 2열로 각 6개씩 뚫은 예이며, 실제 적용시 뚫을 볼트구멍 및 볼트의 수는 구조계산 결과 보강하려는 내력의 정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2. 상기 하부플랜지(21) 하면에 깔판(11)을 볼트구멍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깔판(11)은 스페이서(13)보다 길이가 길어 H형강(20)의 길이 방향 중심쪽으로 돌출되는데, 스페이서(13)보다 H형강(20)의 길이 방향 중심쪽으로 돌출된 깔판(11) 부분에 위치한 볼트구멍에 고력볼트(50)를 삽입하여 깔판(11)을 하부플랜지(21)에 조립한다.
3.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깔판(11) 하부에 스페이서(13) 및 덮개판(12)을 볼트구멍이 일치하도록 차례대로 위치시킨 다음, 고력볼트(50)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조립한다.
이로써 깔판(11)만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스페이서(13) 및 덮개판(12)이 추가된 부분의 높이가 다른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이 형성된다.
4. 상기 1, 2, 3의 과정을 H형강(20)의 반대쪽 하부플랜지(21)에 동일하게 반복한다.
5.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에서 스페이서(13) 좌우에 생성된 공간(틈)에 4개의 강선(60)을 통과시킨다.
6. 지압판(30)의 강선홀(31)에 상기 5에서 통과시킨 강선(60)들을 끼워 맞춤으로써, 깔판(11), 스페이서(13), 덮개판(12)의 H형강(20) 단부측 일단에 지압판(30)을 밀착시켜 덮는다.
7. 지압판(30)의 강선홀(31)에 통과시킨 강선(60) 끝에 강선콘(40)을 끼우고 한쪽 끝은 망치로 때려 쐐기(41)를 고정하고 나머지 한쪽 끝은 유압잭으로 강선(60)을 긴장하여 지압판(30)에 강선콘(40)을 정착한다.
도 3에서 상기 H형강(20)의 상부플랜지 상면에는 전단연결재를 부착하여 슬래브(70)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었다.
도 4는 볼트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이용한 것으로, 강선(60)이 2가닥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은 H형강(20) 하부플랜지(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H형강(20)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60)의 양단을 긴장하여 H형강(2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H형강(20)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80); 상기 전방지지대(80)의 H형강(20)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80)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90);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80)의 H형강(20)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60)이 관통되는 강선홀(31)이 형성된 지압판(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에는 각각 복수의 볼트홀(14)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에는 상기 볼트홀(14)과 대응되는 외치에 볼트홀(14)이 형성되어 고력볼트(50)에 의해 전방지지대(80) 및 후방지지대(90)가 H형강(20) 하부플랜지(2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다음과 순서로 시공될 수 있다.
1.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의 선정된 위치에 각각 필요한 수량과 굵기의 볼트구멍(8-M20 또는 M22)을 뚫는다. 하부플랜지(21)에 뚫는 볼트구멍의 위치는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를 필요한 위치에 배치하였을 때,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에 미리 뚫어놓은 볼트구멍과 일치하여야 한다. 제2실시예는 4개의 볼트구멍을 뚫은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을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밀착 배치하는 것을 가정하여 좌우 각 4개씩 총 8개의 볼트구멍을 뚫은 예이다.
2. 상기 하부플랜지(21) 하면에 뚫은 8개의 볼트구멍 중 4개의 구멍을 이용하여 후방지지대(90)를 4개의 고력볼트(50)로 조립한다.
3. 상기 하부플랜지(21) 하면에 뚫은 8개의 볼트구멍 중 4개의 구멍을 이용하여 전방지지대(80)를 4개의 고력볼트(50)로 조립한다. 이로써 후방지지대(90)와 후방지지대(90)보다 두께가 두꺼운 전방지지대(80)가 H형강(2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밀착하여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이 형성된다.
4. 상기 1, 2, 3의 과정을 H형강(20)의 반대쪽 하부플랜지(21)에 동일하게 반복한다.
5.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에서 좌우에 나란히 위치한 전방지지대(80) 및 후방지지대(90) 사이의 공간(틈)에 4개의 강선(60)을 통과시킨다.
6. 지압판(30)의 강선홀(31)에 상기 5에서 통과시킨 강선(60)들을 끼워 맞춤으로써, 2개의 전방지지대(80)의 H형강(20) 단부측 일단에 지압판(30)을 밀착시켜 덮는다.
7. 지압판(30)의 강선홀(31)에 통과시킨 강선(60) 끝에 강선콘(40)을 끼우고 한쪽 끝은 망치로 때려 쐐기(41)를 고정하고 나머지 한쪽 끝은 유압잭으로 강선(60)을 긴장하여 지압판(30)에 강선콘(40)을 정착한다.
도 4에서 상기 H형강(20)의 상부플랜지 상면에는 전단연결재를 부착하여 슬래브(70)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었다.
도 5는 용접정착형 계단식 강선정착블록(10a)을 이용한 것으로, 강선(60)이 4가닥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단식 강선정착블록은 저면 및 양 측면에 바탕강판(100)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보(20a)의 바탕강판(100) 하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철근콘크리트보(20a)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60)의 양단을 긴장하여 철근콘크리트보(20a)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강판(100)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보(20a)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80); 상기 전방지지대(80)의 철근콘크리트보(20a)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80)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90);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80)의 철근콘크리트보(20a)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60)이 관통되는 강선홀(31)이 형성된 지압판(3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는 바탕강판(100) 하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가 도 4와 다른 점은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를 부착하는 철근콘크리트보(20a)의 바탕강판(100)이 H형강(20)과 달라 구멍을 뚫어 고력볼트(50)로 조립할 수 없으므로,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를 바탕강판(100)에 직접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바탕강판(100)은 철근콘크리트보의 표면에 부착한 보강용 강판이다. 상기 바탕강판(100)은 보강하고자 하는 보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일 때 보 표면에 통상적인 강판보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바탕강판(100)을 부착한 후, 바탕강판(100) 하면에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를 용접하는 것이다.
도 6은 제1, 2, 3실시예에서 강선(60)의 수량에 따라 배열된 강선(60)을 도시한다.
통상적인 H형강(20)이나 철근콘크리트 보에 강선(60) 보강을 할 경우에는 보 하나에 강선(60) 6가닥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대형 플레이트거더에는 15.2㎜ 강선(60) 6가닥으로도 보강되는 내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에 도 6에서는 대형 플레이트거더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강선(60)이 8가닥, 9가닥인 8선형, 9선형까지 예를 들어 표시하였다.
특히, 8선형, 9선형 강선(60)의 경우,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저면에 깔판(11), 스페이서(13), 덮개판(12) 및 지압판(30)이 위치되는 것에 더하여,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상면에 깔판(11), 스페이서(13), 덮개판(12) 및 지압판(30)이 위치시켜 강선(60)을 상하 복수 열로 배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계단형 강선정착블록은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상면에 구비되는 깔판(11); 상기 깔판(11)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H형강(20)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복수 열의 스페이서(13); 및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3) 상면에 결합되어 스페이서(13)의 사이 공간 및 복수 열의 스페이서(13) 상면을 덮는 덮개판(12); 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단식 강선정착블록의 소재는 SM490 등 용접구조용으로 널리 통용되는 규격의 강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고력볼트(50)는 F10T를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H형강(20) 하부플랜지(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H형강(20)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60)의 양단을 긴장하여 H형강(20)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 단부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H형강(20)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80);
    상기 전방지지대(80)의 H형강(20)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80)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90);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80)의 H형강(20)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60)이 관통되는 강선홀(31)이 형성된 지압판(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에는 각각 복수의 볼트홀(14)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20)의 하부플랜지(21)에는 상기 볼트홀(14)과 대응되는 외치에 볼트홀(14)이 형성되어 고력볼트(50)에 의해 전방지지대(80) 및 후방지지대(90)가 H형강(20) 하부플랜지(21)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는 H형강(20) 하부플랜지(21)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9. 저면 및 양 측면에 바탕강판(100)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보(20a)의 바탕강판(100) 하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철근콘크리트보(20a) 하부에 배치되는 강선(60)의 양단을 긴장하여 철근콘크리트보(20a)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강판(100)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보(20a)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사이에 강선(60)이 통과되는 한 쌍의 전방지지대(80);
    상기 전방지지대(80)의 철근콘크리트보(20a) 길이 방향 중심쪽 일단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80)보다 두께가 얇은 한 쌍의 후방지지대(90); 및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대(80)의 철근콘크리트보(20a) 단부측 일단에 밀착되는 것으로, 강선(60)이 관통되는 강선홀(31)이 형성된 지압판(3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대(80)와 후방지지대(90)는 바탕강판(100) 하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KR1020120024586A 2012-03-09 2012-03-09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KR10139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86A KR101393497B1 (ko) 2012-03-09 2012-03-09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86A KR101393497B1 (ko) 2012-03-09 2012-03-09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66A KR20130103166A (ko) 2013-09-23
KR101393497B1 true KR101393497B1 (ko) 2014-05-13

Family

ID=4945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86A KR101393497B1 (ko) 2012-03-09 2012-03-09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1001B (zh) * 2015-08-14 2017-10-31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钢构件加固结构
CN110331866A (zh) * 2019-07-04 2019-10-15 太原理工大学 一种装配式h型钢结构加固系统及其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490Y1 (ko) * 2001-04-12 2001-10-11 이창남 샌드위치형강선콘정착블럭
JP2002201612A (ja) * 2000-12-28 2002-07-19 Taisei Corp 架設鋼材定着用治具
KR200362425Y1 (ko) * 2004-07-05 2004-09-18 강신량 피에스 강선 정착장치
KR20060098455A (ko) * 2005-03-03 2006-09-19 백춘희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612A (ja) * 2000-12-28 2002-07-19 Taisei Corp 架設鋼材定着用治具
KR200238490Y1 (ko) * 2001-04-12 2001-10-11 이창남 샌드위치형강선콘정착블럭
KR200362425Y1 (ko) * 2004-07-05 2004-09-18 강신량 피에스 강선 정착장치
KR20060098455A (ko) * 2005-03-03 2006-09-19 백춘희 교량 빔 보강공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66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4039B2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CN213390531U (zh) 钢筋混凝土梁柱节点加固结构
KR101393497B1 (ko) 계단형 강선정착블록
JP3802039B2 (ja) 鉄筋の連結構造、及び鉄筋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3834637B2 (ja) 壁付き柱の恒久的、応急的な耐震補強方法
JP2006118162A (ja) 耐震補強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3004080A (es) Elemento de refuerzo para colada de fundicion que comprende porciones configuradas en fomas de anillos, y refuerzo con tales elementos de refuerzo.
KR101029613B1 (ko) 단스팬 보 및 이를 사용한 보 구조
CN101545283A (zh) 型钢混凝土柱与现浇钢筋混凝土梁节点及其施工方法
JP201010104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版
KR20120008667A (ko) 데크플레이트용 단부보강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EP2246499A2 (de) Bewehrungselemen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wehrungselements
KR101748709B1 (ko) 건축 구조물 보의 휨 보강 방법
JP6925870B2 (ja) Pc部材の製造装置
JP2007009591A (ja) フラットプレートのせん断補強構造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
CN216866099U (zh) 一种后置夹层增设装置及系统
JP6411225B2 (ja) Pc鋼線緊張端部の割裂防止用補強筋素材とこれを用いた補強筋
CN219175667U (zh) 一种型钢混凝土柱内箍筋新型连接装置
CN212295353U (zh) 一种型钢混凝土梁柱节点钢板网箍结构
KR101719105B1 (ko) 복합재질섬유관을 이용한 교대 연결 방법
KR101483707B1 (ko) 한 쌍의 채널형 절곡부재로 이루어진 거더 모듈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10046708A (ko) 래티스형 철선을 이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펀칭전단 보강구조
EP4098996A1 (en) Anchorage system of structural components for manufac-turing and testing of composite elements
JP5613465B2 (ja) 合成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