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62B1 -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 Google Patents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162B1
KR101393162B1 KR1020120155213A KR20120155213A KR101393162B1 KR 101393162 B1 KR101393162 B1 KR 101393162B1 KR 1020120155213 A KR1020120155213 A KR 1020120155213A KR 20120155213 A KR20120155213 A KR 20120155213A KR 101393162 B1 KR101393162 B1 KR 10139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acket
prevent
gear box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목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2015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레일 내에 기어박스를 장착 고정함에 있어, 레일 전방에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전방 브라켓과, 레일 후방에 배치된 채 고정되어 전후방 이탈이 방지되는 후방 브라켓과,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선단부가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전방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고정 구조체를 제공하되,
전방 브라켓은 레일 선단부에서 좌우 상하 방향으로 탈거됨을 방지하도록 선단 중앙에 형성된 엠보와, 일측부에서 수직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후방 브라켓은 레일 후방에서 전후방으로 탈거됨을 방지하도록 로케이션 핀을 더 포함하며,
한편, 레일은 선단부에 전방 브라켓의 탈거 방지를 위해 선단부 중에 형성된 제1 걸림홈과, 선단부 일측에서부터 수직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제2 걸림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레일로부터 브라켓의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탈거가 방지되어 자동차가 납품될 때까지의 기어박스 탈리를 방지하고, 브라켓과 레일간의 체결에 있어, 리벳팅, 스테킹, 압입과 같은 별도의 소모성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소모성 비용이 절감되고,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The Fixing Structure Body For Mounting Gear Box In Rail}
본 발명은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박스를 레일에 장착함에 있어 마련되는 전방브라켓과 후방 브라켓을 레일에 걸림되는 구조에 의해 브라켓 탈리를 방지함으로써 레일에서의 기어박스 탈거가 방지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어박스는 레일에 장착되기 위해서 브라켓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브라켓(100)은 기어박스를 고정하기 위하여 레일에 리벳팅, 스테킹, 압입 방식을 이용하여 브라켓(100)과 레일(200)의 고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기어박스를 레일에 장착 고정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방식의 리벳팅, 스테킹(staking), 압입 등의 방식을 추가적으로 채택하여 적용해야 함으로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아울러, 기어박스를 레일에 장착 고정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방식의 리벳팅, 스테킹, 압입 등의 방식을 공정 과정에서 누락될 경우, 기어박스 위치가 변함으로 납품 후 차체 조립시 변형 및 틀어짐이 발생하여 기어박스의 기능에 치명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는, 기어박스를 레일에 장착 고정함에 있어 요구되는 브라켓이 레일과 체결시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브라켓 탈리를 방지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브라켓과 레일의 체결시에 요구되는 소모성 부품들을 절손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는,
레일 내에 기어박스를 장착 고정함에 있어, 레일 전방에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전방 브라켓;
레일 후방에 배치된 채 고정되어 전후방 이탈이 방지되는 후방 브라켓;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선단부가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전방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
을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브라켓은,
선단 중앙에서 저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엠보;
선단 일측에서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 브라켓은,
레일에 형성된 홀에 끼움 삽입되어 전후 이탈을 방지하는 로케이션 핀을 더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전방브라켓의 엠보가 걸림되어 좌우 탈리됨을 방지하도록 선단 중앙에 형성된 제1 걸림홈;
전방브라켓의 돌기부가 걸림되어 상하 탈리됨을 방지하도록 선단 일측부에서부터 수직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제2 걸림홈;
을 더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는, 기어박스를 레일에 장착 고정함에 있어 전방 브라켓과 후방 브라켓을 마련하여 레일에 결착함으로써 브라켓의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탈거가 방지되어 자동차가 납품될 때까지의 기어박스 탈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브라켓과 레일의 체결에 있어, 리벳팅, 스테킹, 압입과 같은 별도의 소모성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설령, 리벳팅, 스테킹, 압입과 같은 별도의 소모성 부품을 사용해야 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어박스 고정을 위한 일례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박스 고정을 보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일에 체결된 브라켓을 한눈에 보이기 위한 체결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레일 선단부를 확대하여 보이기 위한 상세도.
도 5는 도 3에서의 레일 후방을 확대하여 보이기 위한 상세도.
도 6은 기어박스 삽입 진행 방향 및 전방 브라켓이 레일 선단부에 체결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가 레일(30)에 장착 고정됨에 있어 브라켓과 레일(30)의 체결로 기어박스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이 레일(30)과 체결됨에 있어 전방 브라켓(10)은 레일(30) 선단부에 체결되고, 후방 브라켓(20)은 레일(30) 후방에 체결됨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A를 확대해보면, 여기서 전방 브라켓(10)은, 선단 중앙에서 저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엠보(11)와, 일측에서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B를 확대해보면, 후방 브라켓(20)은, 로케이션 핀(2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30)은, 선단부 중앙에 제1 걸림홈(31)을 형성하고, 선단부 일측에서 수직부에 이르기까지 제2 걸림홈(32)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방 브라켓(10)이 레일(30) 선단부에 체결된 상태를 살펴보면, 엠보(11)는 제1 걸림홈(31)에 걸려 좌우 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돌기부(12)는 제2 걸림홈(32)에 걸려 상하 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또한, 후방 브라켓(20)이 레일 후방에 체결된 상태를 살펴보면, 로케이션 핀(21)이 레일(30)에 형성된 홀에 끼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기어박스가 삽입 진행되는 전방 브라켓(10)은 레일(30) 선단부에 걸림된 상태로 체결되어 좌우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후방 브라켓(20)의 로케이션 핀(21)이 레일(30) 후방에 형성된 홀에 끼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브라켓은 전후 좌우 상하 모두의 방향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자동차가 납품될 때까지 기어박스 탈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레일(30) 선단부에 기어박스가 삽입 진행되는 방향으로 전방 브라켓(10)이 체결됨에 있어, 전방 브라켓(10)의 엠보(11)는 레일(30)의 제1 걸림홈(31)에 걸림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고, 동시에 전방 브라켓(10)의 돌기부(12)는 레일(30)의 제2 걸림홈(32)에 걸림되어 상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때 상기 엠보(11)는 제1 걸림홈(31)에 삽입되어 좌우 유격이 없어져 좌우 방향으로 탈리됨을 방지한다.
상기 돌기부(12)는 제2 걸림홈(32)에 삽입되어 상하 유격이 없어져 상하 방향으로 탈리됨을 방지한다.
한편, 레일(30) 후방에 배치된 후방 브라켓(20)은 로케이션 핀(21)이 레일(30)에 형성된 홀로 끼움 삽입되므로 전후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레일(30)에 체결된 전방 브라켓(10)의 좌우 상하 방향 이탈 방지와, 후방 브라켓(20)의 전후 방향 이탈 방지에 의해 기어박스는 장착된 레일(30)에서부터 탈거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에 브라켓과 레일(30)간의 체결 방식인 리벳팅 또는 스테킹 또는 압입과 같은 별도의 소모성 체결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사라져, 소모성으로 낭비되는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별도의 소모성 체결부품을 체결해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방 브라켓
11 : 엠보 12 : 돌기부
20 : 후방 브라켓 21 : 로케이션 핀
30 : 레일
31 : 제1 걸림홈 32 : 제2 걸림홈
100 : 브라켓 200 : 레일

Claims (4)

  1. 레일 내에 기어박스를 장착 고정함에 있어, 레일 전방에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걸림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전방 브라켓;
    레일 후방에 배치된 채 고정되어 전후방 이탈이 방지되는 후방 브라켓; 및
    상기 전방 브라켓에 선단부가 결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전방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브라켓은,
    선단 중앙에서 저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엠보; 및
    선단 일측에서 측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브라켓은,
    상기 레일에 형성된 홀에 끼움 삽입되어 전후 이탈을 방지하는 로케이션 핀을 더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전방브라켓의 엠보가 걸림되어 좌우 탈리됨을 방지하도록 선단 중앙에 형성된 제1 걸림홈; 및
    상기 전방브라켓의 돌기부가 걸림되어 상하 탈리됨을 방지하도록 선단 일측부에서부터 수직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제2 걸림홈;
    을 더 포함하는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KR1020120155213A 2012-12-27 2012-12-27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KR10139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3A KR101393162B1 (ko) 2012-12-27 2012-12-27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3A KR101393162B1 (ko) 2012-12-27 2012-12-27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162B1 true KR101393162B1 (ko) 2014-05-08

Family

ID=5089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13A KR101393162B1 (ko) 2012-12-27 2012-12-27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235A (zh) * 2018-08-14 2018-11-16 广州嘉伦橡塑有限公司 一种隔间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361A (ja) * 2009-10-05 2011-04-2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361A (ja) * 2009-10-05 2011-04-21 Delta Kogyo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235A (zh) * 2018-08-14 2018-11-16 广州嘉伦橡塑有限公司 一种隔间帘
CN108814235B (zh) * 2018-08-14 2024-03-12 广州嘉伦橡塑有限公司 一种隔间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657B1 (ko) 커넥터
KR20020093563A (ko) 차량용 외장 부재의 부착구조
CN103918137A (zh) 连接器元件
JP2008105474A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JP2010076607A (ja) 車両内装部品の組み付け構造
JP6274155B2 (ja) ヒューズプラーの保持構造
KR101393162B1 (ko) 레일 내의 기어박스 장착을 위한 고정 구조체
WO2014065179A1 (ja) サンバイザホルダ
JP2005317363A (ja) コネクタ
US8434810B2 (en) Surrounding structure of storage compartment of instrument panel
JP618365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加飾部品の取り付け構造
JP6014820B2 (ja) 車両のアンダーカバー組付構造
JP3202075U (ja) 台車
EP1914855A1 (en) A vehicle-mountable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JP2009195085A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5412997B2 (ja) 電気接続箱
JP6120177B2 (ja) 解除治具
JP2006290016A (ja) スイッチ取付構造
JP2011094754A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JP2010111139A (ja) 荷掛けフックの取付構造
JP2008296662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レッグカバー取付構造
JP2010149939A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固定装置
KR200409204Y1 (ko) 정션 박스의 브래킷 결합구조
JP2016047680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8300697A (ja) ブラケットへの電気部品ケース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