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299B1 - 진동퍼프장치 - Google Patents

진동퍼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299B1
KR101392299B1 KR1020120061111A KR20120061111A KR101392299B1 KR 101392299 B1 KR101392299 B1 KR 101392299B1 KR 1020120061111 A KR1020120061111 A KR 1020120061111A KR 20120061111 A KR20120061111 A KR 20120061111A KR 101392299 B1 KR101392299 B1 KR 10139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puff
moving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466A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세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라전자 filed Critical (주)세라전자
Priority to KR102012006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29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퍼프는 일측에 관통홀이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외측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퍼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퍼프장치 {Vibration puff}
본 발명은 전동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퍼프부재를 전동으로 직선왕복운동시켜 화장부위를 가볍고 균일하게 두드려 줌으로서 신속하고도 간편한 동작으로 화장품을 고르게 도포시킬 수 있는 전동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탄력 있는 피부를 갖고자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화장용 파우더 등의 화장품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화장품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져야 하고 사용자의 감성적 사용감이 충족될 수 있도록 터치 되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어 지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화장용 퍼프는 일 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두드리면서 화장품이 펴 발라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화장용 퍼프는 인위적인 힘으로 두드리면서 화장을 하는 것이어서 화장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을 자주 하지 않거나 화장이 서투른 사람들은 두드리는 힘이 일정하지 못하여 화장이 들뜨는 경우가 있으며, 손으로 두드리는 속도에 한계가 있어 신속하게 화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퍼프를 자동으로 두드리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등록특허 제1116739호와 같은 진동퍼프가 안출되었으나, 이러한 진동퍼프는 퍼프내에 수용되는 진동자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작아 원활한 화장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전동퍼프는 퍼프와 구동모터가 단일 작용축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퍼프측으로부터 가해지는 반발력이 구동모터에 그대로 전달되어 구동모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퍼프부재측으로부터 구동모터측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완충 및 분산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퍼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안내홈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재간의 접촉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관통홀이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외측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퍼프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퍼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에는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제1결합공에 결합하도록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배치된 위치에 편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제2결합공에 결합하는 연결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하우징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후단부에 상기 링크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은 안착홈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안내홈 내에 수용되고, 이동부재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면이 안내홈의 내측면에 면접촉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공과 연결축은 가이드부재의 안내홈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프부재측으로부터 구동모터측으로 작용하는 반발력이 이동부재의 연결축과 링크부재의 제2결합공의 결합부위에서 완충되고, 반발력에 의해 링크부재가 기울어지면서 이동부재가 가이드부재에 밀착되어 반발력이 분산지지되므로 구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 퍼프가 제공된다.
또한, 이동부재가 가이드부재의 안내홈 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재간의 접촉마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퍼프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정면에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7-7'선 단면에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 퍼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전동 퍼프는 하우징(110), 구동모터(120), 회전부재(130), 이동부재(140), 링크부재(150), 가이드부재(170), 퍼프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111)과 연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에는 수용공간(111)에는 구동모터(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와, 구동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의 인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상측면에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편심축(13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홀(112)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140)는 후단부에 상기 링크부재(150)의 두께에 대응하는 안착홈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40)의 안착홈부(141) 중앙에는 연결축(142)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50)는 양단부에 제1결합공(151)과 제2결합공(152)이 각각 형성된다. 일단부의 제1결합공(151)은 상기 이동부재(140)의 연결축(1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의 제2결합공(152)은 상기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부재(130)의 회전력을 이동부재(140)로 전달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이동부재(140)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71)이 형성되어 하우징(110)측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홈(171)은 이동부재(140)가 전방이동과 후방이동에서도 이동부재(14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공(152)과 연결축(142)은 결합상태에서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퍼프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홀(112) 외측에서 상기 이동부재(14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상측으로는 퍼프부재(160)을 보호하는 커버(C)가 결합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전동 퍼프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 전동 퍼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의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주요구성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전동 퍼프의 정면에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7-7'선 단면에서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가이드부재(170)는 하우징(110)의 관통홀(112) 내측에 안내홈(171)과 관통홀(112)이 연통되도록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170)의 관통홀(112)에는 이동부재(140)가 삽입된다.
상기 이동부재(140)의 전단부에는 하우징(110) 외측에 배치되는 퍼프부재(1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재(140)의 후단부 안착홈부(141)에 마련된 연결축(142)에는 링크부재(150)의 제2결합공(152)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구동모터(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공간(111)에 고정설치되고,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부재(130)가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140)에 결합된 링크부재(150)의 제1결합공(151)이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과 이동부재(140)의 연결축(142)이 링크부재(150)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부재(130)의 회전운동이 이동부재(1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하부에는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에는 조절스위치(S)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20)의 구동이 제어된다.
도 8은 회전부재(1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이동부재(140)가 전,후진하는 작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부재(140)는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에 수용되어 전후진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며, 이동부재(140)의 후단부는 링크부재(150)를 매개로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과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회전부재(130)가 회전하면, 도 8의 (a) 내지 (d)와 같이 편심축(131)의 위치가 회전부재(130)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하고,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과 링크부재(150)로 연결된 이동부재(140)가 가이드부재(170)의 수용홈 내에서 전후진하게 되므로, 이동부재(140)의 전단부에 설치된 퍼프부재(160)가 앞뒤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8의 (a)와 같이 구동모터(120)의 회전과정에서 편심축(131)이 회전부재(13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링크부재(150)를 매개로 회전부재(130)의 회전축과 연결된 이동부재(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8의 (b)와 같이 구동모터(120)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회전부재(130)의 편심축(131)이 회전부재(13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도 회전된 위치로 이동하면서 링크부재(150)를 잡아당겨 이동부재(140)가 후진되도록 하고, 도 8의 (c)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편심축(131)이 도면상에서 회전부재(130)의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면서 링크부재(150)와 연결된 이동부재(140)가 최대한 후진한 상태가 된다.
한편, 회전부재(130)가 180도 이상 회전하면 편심축(131)이 다시 왼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며, 도 8의 (d)와 같이 회전부재(130)가 270도로 회전하면 편심축(131)이 링크부재(150)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에 삽입된 이동부재(1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회전부재(130)가 360도로 회전하면 도 8의 (a)의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12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130)에 마련된 편심축(131)이 회전하면서 링크부재(150)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내면서 링크부재(150)와 연결된 이동부재(140)가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에서 직선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퍼프부재(160)측에서 구동모터(120)측으로 반발력이 작용하는 경우, 반발력이 구동모터(120)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이동부재(140)의 연결축(142)과 링크부재(150)의 제2결합공(152)의 결합부위에서 연결축(142)과 제2결합공(152)의 조립공차에 의해 1차 완충되고, 반발력에 의해 링크부재(15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이동부재(140)가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벽면에 밀착되어 반발력을 분산지지하게 되므로 구동모터(120)측으로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도시한 도 6은 퍼프부재(160)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9는 퍼프부재(160)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 및 도 9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140)의 후단부 안착홈부(141)에 마련된 연결축(142)에 링크부재(150)의 제2결합공(152)이 삽입되며, 상기 안착홈부(141)는 링크부재(15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140)의 외측면 전체가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측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40)가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부재(140)의 연결축(142)과 링크부재(150)의 제2결합공(152)이 결합된 부위가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 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부재(140)와 링크부재(150)의 결합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동부재(140)의 전단부에는 퍼프부재(160)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퍼프부재(160)가 오염된 경우 퍼프부재(160)를 잡아당겨 이동부재(140)로부터 분리한 다음, 새로운 퍼프부재(160)를 이동부재(140)의 전단부에 쉽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부재(140)의 외측면이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과 면접촉되면서 이동하는 것이므로 사용 과정에서 부재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줄어들고, 가이드부재(170)의 안내홈(171)이 상기 이동부재(1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이동부재(140)의 직선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하우징(110)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하우징, 111:수용공간, 112:관통홀,
120:구동모터, 130:회전부재, 131:편심축,
140:이동부재, 141:안착홈부, 142:연결축,
150:링크부재, 151:제1결합공, 152:제2결합공,
160:퍼프부재, 170:가이드부재, 171:안내홈,
B:배터리, S:조절스위치, C:커버

Claims (6)

  1. 일측에 관통홀이 마련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 외측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퍼프부재;를 포함하는 전동 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부에는 제1결합공과 제2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제1결합공에 결합하도록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배치된 위치에 편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제2결합공에 결합하는 연결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퍼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하우징측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퍼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후단부에 상기 링크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축은 안착홈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퍼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안내홈 내에 수용되고, 이동부재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면이 안내홈의 내측면에 면접촉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퍼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공과 연결축은 가이드부재의 안내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퍼프.
KR1020120061111A 2012-06-07 2012-06-07 진동퍼프장치 KR101392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11A KR101392299B1 (ko) 2012-06-07 2012-06-07 진동퍼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111A KR101392299B1 (ko) 2012-06-07 2012-06-07 진동퍼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66A KR20130137466A (ko) 2013-12-17
KR101392299B1 true KR101392299B1 (ko) 2014-05-07

Family

ID=4998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11A KR101392299B1 (ko) 2012-06-07 2012-06-07 진동퍼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26B1 (ko) * 2014-04-16 2014-06-03 김종관 클렌징 및 파운데이션용 전동퍼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99A2 (ko) 2010-08-27 2012-03-01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전동퍼프
KR101149347B1 (ko) 2011-12-09 2012-05-30 엔프라니 주식회사 전동퍼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699A2 (ko) 2010-08-27 2012-03-01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전동퍼프
KR101149347B1 (ko) 2011-12-09 2012-05-30 엔프라니 주식회사 전동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66A (ko)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2843B (zh) 按摩装置
WO2012049782A1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149347B1 (ko) 전동퍼프
CN108430426B (zh) 按摩装置
JP6440117B2 (ja) 電気かみそりおよびそのヘッド
EP1859724A4 (en) FLEXIBLE ELECTRICAL ENDOSCOPE DEVICE AND ENDOSCOPHALT DEVICE
KR101392299B1 (ko) 진동퍼프장치
US10123934B2 (en) Clitoral stimulator
WO2003017909A3 (en) Leg massage and exercise device
CN108356857B (zh) 电动剃毛装置
KR20160087527A (ko) 클렌징장치
KR20140120135A (ko) 전동 퍼프
CN110074956A (zh) 小腿按摩组件及包括该组件的腿部按摩装置
WO2021111697A1 (ja) 電気式毛切断装置
KR101345658B1 (ko) 두드림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도포용 화장기구
CN109922772B (zh) 按摩机构及椅子型按摩机
WO2015198763A1 (ja) マッサージ機
JP5592785B2 (ja) 電気装置及びシェービング装置
US5123405A (en) Handle for high frequency sonic massager
KR20130015424A (ko) 전동 퍼프
KR20130074520A (ko) 이동구조물의 휠 베이스
TW201740907A (zh) 按摩裝置
CN207613692U (zh) 一种洁面仪
KR20140025211A (ko) 진동식 화장용 터치장치
KR200488605Y1 (ko) 진동 마사지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