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47B1 - 전동퍼프 - Google Patents

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347B1
KR101149347B1 KR1020110132088A KR20110132088A KR101149347B1 KR 101149347 B1 KR101149347 B1 KR 101149347B1 KR 1020110132088 A KR1020110132088 A KR 1020110132088A KR 20110132088 A KR20110132088 A KR 20110132088A KR 101149347 B1 KR101149347 B1 KR 10114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motor
vibrating
horizontal
p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현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61H2201/0169Noise re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퍼프가 부착되고 전후방향으로 수평되게 진동하며 외장케이스 내외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장치와 연계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에는 편심축이 돌출된 편심추가 결합되고, 상기 진동장치에는 상기 편심추가 수용되는 타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이 상기 홈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진동장치를 전후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진동장치가 직선왕복운동하며 진동하는 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퍼프{Electric Puff}
본 발명은 진동장치의 진동시 난방향으로 떨리는 것을 방지하여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어 소음이 제거되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내구성과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는 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에 손이나 브러시, 펜슬, 퍼프 등의 각종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바르게 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화장품을 피부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바르기 위해 주로 화장용 퍼프(puff)를 사용한다. 이러한 퍼프는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화장품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의 원판형이나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진다.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용 파우더를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두드리면 화장용 파우더가 퍼프에서 이탈되어 화장부위에 정착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퍼프를 전동모터에 연결시켜 전동모터에 의해 퍼프를 진동시켜 자동으로 피부에 두드리도록 함으로써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 전동퍼프가 제시되어 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399929호에는 퍼프패드가 감싸져 있는 진동부재의 진동판에 떨림을 발생시켜 퍼프패드에 묻혀진 화장품을 두드리면서 화장할 수 있는 전동퍼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진동부와 고정부가 계속 접촉하면서 진동하는 구조이므로 제품 수명이 감소하고 신뢰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가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지 않고 난방향으로 떨리며 진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퍼프가 정확히 터치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진동장치가 난방향으로 떨리지 않고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하며 진동할 수 있도록 한 전동퍼프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에 퍼프가 부착되고 전후방향으로 수평되게 진동하며 외장케이스 내외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진동장치와 상기 진동장치와 연계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에는 편심축이 돌출된 편심추가 결합되고, 상기 진동장치에는 상기 편심추가 수용되는 타원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이 상기 홈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진동장치를 전후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진동장치가 직선왕복운동하며 진동하는 전동퍼프를 제안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퍼프패드가 부착된 진동장치가 전후방향으로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하며 진동함으로써, 퍼프패드에 취해지는 화장품이 피부에 잘 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진동시 난방향으로 떨리는 것이 방지되어 떨림으로 인한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증대되고 소음이 제거되며 전력소모가 적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후방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1측면도와 제1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2측면도와 제2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퍼프의 후방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1측면도와 제1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제2측면도와 제2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퍼프(10)는 외장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장치(200)와 상기 진동장치(200)와 연계되어 상기 진동장치(200)를 진동시키는 모터(400) 그리고 상기 모터(40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0)와 상기 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모듈(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진동장치(200), 모터(400) 등과 같이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장치들을 보호하되, 외관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유선형태를 이루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최적의 파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되,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부분과 동일한 면적으로 가지는 커버(30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300)는 상기 진동장치(200)가 관통되는 관통구(302)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장치(200)가 전후방향으로 진동할 때 상기 진동장치(200)의 일단이 상기 관통구(302)를 관통하며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외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장치(200)는 화장품이 묻혀지고 화장할 때 피부에 직접 닿는 퍼프(A)가 결합되고 상기 외장케이스(100)의 내외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며 진동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장치(200)는 일단에 상기 퍼프(A)가 결합되며 상기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수평부(210)와 상기 수평부(210)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 돌출되며 상기 모터(400)와 연계되어 상기 수평부(210)의 직선왕복운동을 도모하는 수직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터(400)와 상기 수직부(220)의 유기적인 작용으로 인해 상기 모터(400)의 회전운동이 상기 진동장치(2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00)에는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져 돌출되는 편심축(412)이 형성된 편심추(410)가 상기 모터(40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장치(200)의 수직부(220) 하단에는 상기 편심축(412)이 수용되는 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220)에 형성되는 홈(222)은 길쭉한 타원형상으로 가지되, 가장 큰 길이를 가지는 지름이 상기 수평부(210)와 직교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편심축(412)이 상기 상기 홈(222)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면 짧은 지름을 가지는 부분의 양측과 접하면서 상기 수평부(210)를 직선운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편심축(4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할 경우 3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도 5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홈(222)의 우측부분과 접하면서 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진동장치(2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9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홈(222)의 좌측부분과 접하며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진동장치(2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4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편심축(412)이 상기 홈(222)의 좌/우측부분에 번갈아 반복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상기 진동장치(200)가 전후방향으로 반복되게 이동하며 진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상기 진동장치(200)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중 난방향으로 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바, 이하 실시예를 통해 상기 외장케이스(100)와 상기 진동장치(200)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한편, 도 2 내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장치(200)의 수평부(210)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수평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케이스(100) 내측에는 상기 수평홈(212)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홈(212)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돌기(1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돌기(102)는 상기 수평홈(21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홈(212)과 수평돌기(102)는 서로 맞물리며 결합되는바, 상기 수평돌기(102)가 상기 수평홈(212)을 양측에서 압박하여 상기 진동장치(200)가 전후방향으로 진동할 때 좌우측으로 떨리는 것을 보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편심축(412)이 상기 홈(222)에서 회전하며 상기 진동장치(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장치(200)가 양측으로 미세하게 떨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수평돌기(102)가 상기 수평홈(212)을 양측에서 압박하여 떨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진동장치(200)가 떨리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일관된 방향성으로 가지며 진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평돌기(102)는 상기 수평홈(212)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장치(200)가 원활하게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장치(200)의 수평부(210)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수평홈(212)이 형성되되, 상기 수평홈(212)는 상기 수평부(210) 일측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장케이스(100)는 수직으로 반분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의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수평홈(212)의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의 수평돌기(102)가 형성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수평부(210)의 타측을 압박하는 압박돌기(10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박돌기(104)는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외장케이스(100) 선단과 후단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210)의 타측면 앞쪽과 뒤쪽을 압박하며 압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돌기(102)가 상기 수평홈(212)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압박돌기(104)가 상기 수평부(210)의 타측을 압박하여 상기 진동장치(200)의 떨림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진동장치(200)가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장치(200)가 전후방향으로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하며 진동함으로써, 퍼프에 취해지는 화장품이 피부에 잘 묻을 수 있음은 물론 진동시 난방향으로 떨리는 것이 방지되어 떨림으로 인한 잔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떨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외 구분없이 어디서라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진동장치(200)가 안정된 상태로 진동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현저하게 적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모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400)의 작동과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500)가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모듈(500)은 배터리(600)가 연결되는 공통접점(522) 그리고 전류를 출력하는 공급접점(524)이 형성된 PCB(520)와 상기 공통접점(522)과 상기 공급접점(524)을 연결하는 접점다리(530) 및 상기 외장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접점다리(530)를 이동시키는 버튼(5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통접점(522)은 상기 PCB(520)의 하부 일지점에 형성되며 배터리(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급접점(524)은 상기 PCB(520)의 상부 일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400)가 구동할 수 있는 전류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점다리(530)는 상기 공통접점(522)과 상기 공급접점(524)을 연결하여 상기 공통접점(522)의 전원을 상기 공급접점(524)에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접점다리(530)는 전도성 재질을 가지며 종단면이 호형을 가지는 판 스프링으로 상단이 상기 공급접점(524)에 접하고 하단이 상기 공통접점(522)에 접하며 상기 공통접점(522)과 상기 공급접점(524)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접점(524)은 한 쌍이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공급접점(524)에는 저항(526)이 연결되어 한 쌍의 공급접점(524)이 서로 상이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다리(530)는 각각 상이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한 쌍의 공급접점(524)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버튼(510)을 통해 상기 접점다리(530)를 이동시켜 상기 모터(400)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모터(400)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외장케이스 102: 수평돌기
200: 진동장치 210: 수평부
212: 수평홈 220: 수직부
222: 홈 300: 커버
302: 관통구 400: 모터
410: 편심추 412: 편심축
500: 스위치모듈 600: 배터리

Claims (4)

  1. 일단에 퍼프(A)가 부착되고 외장케이스(100) 내외측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진동장치(200);와 상기 진동장치(200)와 연계되는 모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400)에는 편심축(412)이 돌출된 편심추(410)가 결합되고, 상기 진동장치(200)에는 상기 편심추(410)가 수용되는 타원형 홈(222)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412)이 상기 홈(222)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진동장치(200)를 전후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진동장치(200)가 직선왕복운동하며 진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퍼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수평홈(212)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돌기(102)가 형성되되,
    상기 수평돌기(102)는 상기 수평홈(212)에 맞물리며 결합되며 상기 진동장치(200)의 양측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진동장치(200)가 난방향으로 떨리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며 진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퍼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100) 일측에는 상기 수평홈(212)에 결합되는 수평돌기(10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진동장치(200)를 압박하는 압박돌기(104)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홈(212)이 상기 진동장치(2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압박돌기(104)가 상기 진동장치(200)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진동장치(200)가 난방향으로 떨리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며 진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퍼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케이스(100)에는 상기 모터(40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400)의 작동여부와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모듈(500)가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퍼프.
KR1020110132088A 2011-12-09 2011-12-09 전동퍼프 KR10114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088A KR101149347B1 (ko) 2011-12-09 2011-12-09 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088A KR101149347B1 (ko) 2011-12-09 2011-12-09 전동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347B1 true KR101149347B1 (ko) 2012-05-30

Family

ID=4627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088A KR101149347B1 (ko) 2011-12-09 2011-12-09 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3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18B1 (ko) 2012-07-24 2013-07-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진동 미용기기용 복합 진동장치
KR101285117B1 (ko) 2012-07-24 2013-07-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진동 미용기기용 다단 진동장치
KR200468896Y1 (ko) 2012-08-10 2013-09-06 (주)아모레퍼시픽 듀얼 진동퍼프장치
KR101392299B1 (ko) 2012-06-07 2014-05-07 (주)세라전자 진동퍼프장치
FR3019986A1 (fr) * 2014-04-17 2015-10-23 Oreal Dispositif de massage et/ou d'application de produit, et procede associe
CN105615247A (zh) * 2016-01-28 2016-06-01 邢皓宇 一种粉扑器
WO2017128208A1 (zh) * 2016-01-28 2017-08-03 邢皓宇 一种粉扑器
KR20170120293A (ko) * 2016-04-21 2017-10-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 스탬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730A (ko) * 2008-11-28 2010-06-07 김선희 화장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전동 퍼프
KR20110071042A (ko) * 2009-12-20 2011-06-28 이동원 진동 파운데이션
KR20110078516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퍼프
KR20110009927U (ko) * 2010-04-14 2011-10-20 이해창 전동 퍼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730A (ko) * 2008-11-28 2010-06-07 김선희 화장품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전동 퍼프
KR20110071042A (ko) * 2009-12-20 2011-06-28 이동원 진동 파운데이션
KR20110078516A (ko) * 2009-12-31 2011-07-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퍼프
KR20110009927U (ko) * 2010-04-14 2011-10-20 이해창 전동 퍼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299B1 (ko) 2012-06-07 2014-05-07 (주)세라전자 진동퍼프장치
KR101285118B1 (ko) 2012-07-24 2013-07-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진동 미용기기용 복합 진동장치
KR101285117B1 (ko) 2012-07-24 2013-07-17 엔프라니 주식회사 진동 미용기기용 다단 진동장치
KR200468896Y1 (ko) 2012-08-10 2013-09-06 (주)아모레퍼시픽 듀얼 진동퍼프장치
FR3019986A1 (fr) * 2014-04-17 2015-10-23 Oreal Dispositif de massage et/ou d'application de produit, et procede associe
CN105615247A (zh) * 2016-01-28 2016-06-01 邢皓宇 一种粉扑器
WO2017128208A1 (zh) * 2016-01-28 2017-08-03 邢皓宇 一种粉扑器
KR20170120293A (ko) * 2016-04-21 2017-10-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 스탬핑장치
KR102600600B1 (ko) * 2016-04-21 2023-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용성 필름 스탬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347B1 (ko) 전동퍼프
KR101737114B1 (ko) 전동퍼프
KR200470946Y1 (ko) 피부 관리 기기
KR20150048685A (ko)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US20150133833A1 (en) Vibrator
KR20090128807A (ko) 이미용 소형 마사지기
CA3025137C (en) Devices for sexual stimulation
JPH0642661Y2 (ja) 電動歯ブラシ
KR102111041B1 (ko) 탈착 가능 진동 모듈 및 이를 위한 안마기
KR102656616B1 (ko) 미용기
KR20140120135A (ko) 전동 퍼프
KR20130015424A (ko) 전동 퍼프
JP2011092524A (ja) 電動式マスカラアプリケータ
KR20190056939A (ko) 흑채 저장용기
KR102223163B1 (ko) 피부 관리 장치
KR20180047458A (ko) 경락 및 진동 겸용 마사지 기구
CN210408971U (zh) 按摩设备
KR20130137340A (ko) 진동 퍼프
KR101164192B1 (ko) 트윈샤프트 구동형 진동퍼프
JPH04367661A (ja) 美容器具
CN220309381U (zh) 一种设有用于滞留精油的凹槽的手持按摩仪
CN210227975U (zh) 洁面仪
CN212996202U (zh) 一种具有多功能的防水清洁装置
CN217022009U (zh) 一种新型双振子振动橡皮
JP3228390U (ja) 電子機器制御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