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20B1 -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20B1
KR101391620B1 KR1020120089866A KR20120089866A KR101391620B1 KR 101391620 B1 KR101391620 B1 KR 101391620B1 KR 1020120089866 A KR1020120089866 A KR 1020120089866A KR 20120089866 A KR20120089866 A KR 20120089866A KR 101391620 B1 KR101391620 B1 KR 10139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umbrella
shoulder strap
fixing plate
umbrella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108A (ko
Inventor
여진환
Original Assignee
여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진환 filed Critical 여진환
Priority to KR1020120089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벨트부(1)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와, 중앙상부에 설치된 하부조정바(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벨트부(2)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고정판(11) 중앙부와,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부(1)에 연결된 어깨끈(4)으로 구성된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Umbrella body for mounting a portable holder}
본 발명은 휴대용 우산 꽂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리띠에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몸통 부착용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또는 여름철 폭염의 태양 광선을 피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우산이나 양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우산 또는 양산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양손 중에 어느 한쪽 손을 이용하여 우산을 잡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우산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일 예로 낚시, 등산 또는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한쪽 손으로 우산을 잡고 나머지 한쪽 손만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거나 동작을 취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행동이나
동작이 부자연스럽고 작업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불가피하게 양쪽 손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우산이나 양산을 놓은 상태에서 양손을 사용하여야만 되어 비를 피할 수 없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이 있어 이러한 점을 개선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삭제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747410000(20000915)호에는 가슴띠와 양쪽 어깨띠로 이루어진 윗부분물, 아랫부분물 즉 우산비서허리띠, 우산비서 위아래 양부분물간 및 윗부분물의 가슴띠 앞쪽과 어깨띠 앞쪽간의 연결 접착 고정용 물(物) 6개, 우산 윗부분 고정용 물, 우산 아랫부분 고정용 물이 바로 10개의 부분구성물로 된 우산비서가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00331(20100112)호에는 우산의 손잡이가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띠에 결합되는 우산꽂이부와; 상기 우산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우산대를 고정하여 사용자의 몸에 밀착시키는 어깨띠부가 포함되며, 상기 우산꽂이부는 상기 우산의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깊이와 너비를 갖는 구멍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허리띠에 부착되는 평 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어깨띠부와 결속되는 잠금 암고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허리띠 부착용 우산 꽂이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제100274741호 2.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00331(20100112)호
종래의 기술들은 우산이나 양산을 모자 형태로 구성하여 머리에 쓰는 형태의 작업용 우산이나, 등에 지게 모양으로 지고 사용하는 작업용 우산 등이 소개된 바 있다.그러나 상기 모자 형태의 작업용 우산은 무게의 중심이 머리 윗부분에 형성되어 착용감이 불안정하고 착용 시 머리에 부담을 주는 불편이 있으며, 우산의 크기가 작게 한정되어 착용 시 머리 부분만을 빗물이나 태양 볕으로부터 보호하게 되어 나머지 부위는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에 지게 모양으로 지고 착용할 수 있게 한 작업용 우산의 경우,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등 뒤에 착용되기 때문에. 그 착용에 많은 불편과 어려움이 뒤따르는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상부벨트부(1)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와, 중앙상부에 설치된 하부조정바(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벨트부(2)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고정판(11) 중앙부와,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부(1)에 연결된 어깨끈(4)으로 구성된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우산의 우산대 부분이 삽입되어 사용자의 몸통 고정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몸에 밀착고정시킴으로써 우산을 손으로 들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되도록 하여 전천후 양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어 농촌이나 작업시 우중에도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사용상태도
도2 본 발명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전체도
도3 본 발명의 상부벨트부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하부벨트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고정끈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우산꽂이 상세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벨트부(1)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와, 중앙상부에 설치된 하부조정바(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벨트부(2)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고정판(11) 중앙부와,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부(1)에 연결된 어깨끈(4)으로 구성된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부벨트부(1)는 가슴에 위치시키고, 하부벨트부(2)는 허리에 위치시켜 상, 하부벨트(5,6)을 가슴과 허리부분에 벨크로이드(찍찍이)식으로 결착하고, 상하부벨트보호대(10,20)의 전면에 설치된 상하부벨트고정판에 우산꽂이부(7)가 각각 설치되어, 우산을 편 후, 우산지지대를 우산꽂이부에 삽입시켜, 몸통에 고정시켜 두 손을 자유롭게 하여 농촌이나 작업장에서 비가와도 작업할 수 있도록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벨트고정판(21)의 하부조정바(32)에 상부고정바(31)을 내장시키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하부조정바통공(33)에 설치된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상부벨트고정판(11)의 상부 중앙일측부에 어깨끈(4)이 고정된 어깨끈고정부(14)와, 상부벨트고정판(11)의 하부의 일 측에 설치된 어깨끈고정고리(15)에 고정시키도록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우산꽂이부(7)는 상, 하부벨트고정판(11,2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우산꽂이고정판(70)에 직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우산꽂이고정몸체(71)와 우산꽂이이동몸체(72)로 구성되어 우산꽂이이동몸체(72)를 이동시켜 우산지지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사용상태도, 도2 본 발명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전체도, 도3 본 발명의 상부벨트부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하부벨트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고정끈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우산꽂이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상부벨트부(1), 하부벨트부(2), 어깨끈(4), 상부벨트(5), 하부벨트(6), 우산꽃이부(7), 상부벨트보호대(10), 상부벨트고정판(11), 상부벨트연결부(12), 상부벨트연결고리(13), 어깨끈고정부(14), 어깨끈고정고리(15), 하부벨트보호대(20), 하부벨트고정판(21), 하부벨트연결부(22), 하부벨트연결고리(23), 상부조정바(31), 하부조정바(32), 하부조정바통공(33),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 어깨끈몸체(40), 어깨끈보호대(41), 어깨끈상부고정부(42), 어깨끈하부고정부(43), 상부벨트몸체(50), 상부벨트결착부(51), 벨크로이드결착부(52), 하부벨트몸체(60), 하부벨트결착부(61), 상부벨트간격조절부(62), 우산꽃이고정판(70), 우산꽂이고정몸체(71), 우산꽂이 이동몸체(72), 우산꽂이이동몸체관통공(미도시) 우산꽂이간격조절볼트(73), 우산꽂이간격조절스프링(74), 우산꽂이간격조절너트(75)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삭제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는 상부벨트부(1)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와, 중앙상부에 설치된 하부조정바(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벨트부(2)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고정판(11) 중앙부와,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부(1)에 연결된 어깨끈(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벨트부(1)는 상부벨트보호대(10)와, 상기 상부벨트보호대(10)의 전면에 설치된 상부벨트고정판(11)과,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좌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부(12)와, 우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고리(13)에 연결되는 상부벨트(5)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중앙부에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조정바(31)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상부 중앙일측부에 어깨끈(4)이 고정된 어깨끈고정부(14)와, 상부벨트고정판(11)의 하부의 일측에 설치된 어깨끈고정고리(15)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벨트(5)는 통상의 벨트 형상으로, 상부벨트몸체(50)와, 상기 상부벨트몸체(50)의 일측이 고정 연결된 상부벨트연결부(12)와, 다른 일측 끝단부는 벨크로이드(일명 찍찍이)가 설치되어 상부벨트고정판(11)의 우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고리(13)에 결착되어 벨크로이드식으로 결착되는 벨크로이드결착부 (52)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하부벨트부(2)는 하부벨트보호대(20)와, 상기 하부벨트보호대(20)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벨트고정판(21)과, 상기 하부벨트고정판(21)의 좌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부(22)와, 우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고리(23)에 연결되는 하부벨트(6)와,
상기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바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고정바(31)을 내장시키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하부조정바통공(33)과 상기 하부조정바통공(33)에 설치되는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가 구비된 하부조정바(3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벨트(6)는 통상의 벨트 형상으로, 하부벨트몸체(60)와, 상기 하부벨트몸체(60)의 일측이 고정 연결된 하부벨트연결부(22)와, 다른 일측 끝단부는 벨크로이드(일명 찍찍이)가 설치되어 하부벨트고정판(21)의 우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고리(23)에 결착되어 벨크로이드식으로 결착되는 벨크로이드결착부 (62)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어깨끈(4)은 어깨끈몸체(40)와, 상기 어깨끈몸체(40)의 중간부에 설치된 어깨끈보호대(41)와, 상기 어깨끈몸체(40) 의 일 측에 설치되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설치된 어깨끈상부고정부(42), 상기 어깨끈몸체(40)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 어깨끈하부고정부(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우산꽂이부(7)는 상, 하부벨트고정판(11,2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우산꽂이고정판(70)과, 상기 우산꽂이고정판(70)에 직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중간일측에 우산꽂이이동몸체관통공(미도시) 이 구비된 우산꽂이이동몸체(72)와, 상기 우산꽂이이동몸체(7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우산꽂이간격조절스프링(74)이 외부에 구비된 우산꽂이간격조절볼트(73)에 의해 연결 설치된 우산꽂이고정몸체(71)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5)를 가슴에 위치시켜,
상부벨트고정판(11) 우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고리(13)에 결착시키고,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6)를 허리에 위치시켜,
하부벨트고정판(21) 우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고리(23)에 결착시킨 다음,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가 내장된 하부벨트부(2)의 하부조정바(32)에서 상부조정바(31)를 상하로 조절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하부조정바통공(33)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로 고정시켜 상,하부벨트부(1,2)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부벨트고정판(11)의 어깨끈고정부(14)에 연결된 어깨끈(4)을 어깨를 감싼 후에 어깨끈고정부(14)가 어깨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부벨트고정판(11)의 하부의 일측에 설치된 어깨끈고정고리(15)에 어깨끈하부고정부(43)를 결착시켜 고정한 다음,
우산을 펴서 우산지지대를 상부벨트부(1)의 우산꽂이부(7)를 관통시켜 하부벨트부(2)의 우산꽂이부(7)에 삽입시키되,
우산꽂이고정몸체(71)와 우산꽂이 이동몸체(72)사이에 우산의 지지대를 삽입시킨 후, 우산꽂이이동몸체(72)의 중간일측에 우산꽂이이동몸체관통공(미도시) 에 설치된 우산꽂이간격조절볼트(73)를 조절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사용 후에는 상기 역순으로 해체하여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상부벨트부(1), 하부벨트부(2), 어깨끈(4), 상부벨트(5), 하부벨트(6), 우산꽃이부(7), 상부벨트보호대(10), 상부벨트고정판(11), 상부벨트연결부(12), 상부벨트연결고리(13), 어깨끈고정부(14), 어깨끈고정고리(15), 하부벨트보호대(20), 하부벨트고정판(21), 하부벨트연결부(22), 하부벨트연결고리(23), 상부조정바(31), 하부조정바(32), 하부조정바통공(33),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 어깨끈몸체(40), 어깨끈보호대(41), 어깨끈상부고정부(42), 어깨끈하부고정부(43), 상부벨트몸체(50), 상부벨트결착부(51), 벨크로이드결착부(52,62), 하부벨트몸체(60), 하부벨트결착부(61), 우산꽃이고정판(70), 우산꽂이고정몸체(71), 우산꽂이 이동몸체(72), 우산꽂이이동몸체관통공(미도시) , 우산꽂이간격조절볼트(73), 우산꽂이간격조절스프링(74), 우산꽂이간격조절너트(75),

Claims (1)

  1.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에 있어서,
    상부벨트부(1)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중앙하부에 설치된 상부조정바(31)와, 중앙상부에 설치된 하부조정바(32)에 의해 연결된 하부벨트부(2)와, 상기 상부벨트부(1)의 상부벨트고정판(11) 중앙부와, 하부벨트부(2)의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부(1)에 연결된 어깨끈(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벨트부(1)는 상부벨트보호대(10)와, 상기 상부벨트보호대(10)의 전면에 설치된 상부벨트고정판(11)과,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좌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부(12)와, 우측에 설치된 상부벨트연결고리(13)에 연결되는 상부벨트(5)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중앙부에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조정바(31)와, 상기 상부벨트고정판(11)의 상부 중앙일측부에 어깨끈(4)이 고정된 어깨끈고정부(14)와, 상부벨트고정판(11)의 하부의 일측에 설치된 어깨끈고정고리(15)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벨트부(2)는 하부벨트보호대(20)와, 상기 하부벨트보호대(20)의 전면에 설치된 하부벨트고정판(21)과, 상기 하부벨트고정판(21)의 좌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부(22)와, 우측에 설치된 하부벨트연결고리(23)에 연결되는 하부벨트(6)와, 상기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부에 설치된 우산꽂이부(7)와, 상기 하부벨트고정판(21)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고정바(31)을 내장시키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하부조정바통공(33)과 상기 하부조정바통공(33)에 설치되는 하부조정바조절나사(34)가 구비된 하부조정바(32)로 구성되며,

    상기 어깨끈(4)은 어깨끈몸체(40)와, 상기 어깨끈몸체(40)의 중간부에 설치된 어깨끈보호대(41)와, 상기 어깨끈몸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두 갈래로 나누어져 설치된 어깨끈상부고정부(42), 상기 어깨끈몸체(40) 의 다른 일측에 설치된 어깨끈하부고정부(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꽂이부(7)는 상, 하부벨트고정판(11,2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우산꽂이고정판(70)과, 상기 우산꽂이고정판(70)에 직각으로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중간일측에 우산꽂이이동몸체관통공(미도시) 이 구비된 우산꽂이이동몸체(72)와, 상기 우산꽂이이동몸체(7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우산꽂이간격조절스프링(74)이 외부에 구비된 우산꽂이간격조절볼트(73)에 의해 연결 설치된 우산꽂이고정몸체(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KR1020120089866A 2012-08-17 2012-08-17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KR10139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66A KR101391620B1 (ko) 2012-08-17 2012-08-17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66A KR101391620B1 (ko) 2012-08-17 2012-08-17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08A KR20140023108A (ko) 2014-02-26
KR101391620B1 true KR101391620B1 (ko) 2014-05-07

Family

ID=5026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66A KR101391620B1 (ko) 2012-08-17 2012-08-17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79B1 (ko) 2014-07-09 2014-09-17 여진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93A (ja) 2002-06-20 2004-01-22 Toei Kogei:Kk 傘ホルダー
JP2005073980A (ja) 2003-09-01 2005-03-24 Keijiro Ito 身体への傘支持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93A (ja) 2002-06-20 2004-01-22 Toei Kogei:Kk 傘ホルダー
JP2005073980A (ja) 2003-09-01 2005-03-24 Keijiro Ito 身体への傘支持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279B1 (ko) 2014-07-09 2014-09-17 여진환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108A (ko)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259A (en) Cap flap
US6591542B1 (en) Body support harness for a fishing rod
WO2014160355A4 (en) Child carrier
US6076539A (en) Backpacker's adjustable shield
KR101391620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JP2010517666A (ja) 幼児用キャリーハーネス
JP2009165787A (ja) 日傘ショルダー器具
US10912356B1 (en) Hands free umbrella apparatus
KR101440279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US6829792B2 (en) Sun visor for hammocks
CN203105909U (zh) 背负式晴雨伞架
JP2015058330A (ja) 表面が滑らかなヘルメットの上からでも装着できる吸盤つき傘帽子
KR200432814Y1 (ko) 우산 결속용 멜빵
KR200478895Y1 (ko) 다목적 암밴드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20090004298A (ko) 휴대용 차양구
KR20090004131U (ko) 다용도헤어밴드집게
KR101455257B1 (ko) 모자 결합형 수건
KR200307747Y1 (ko) 착용식 우산고정대
KR102635028B1 (ko)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JP3176742U (ja) エコ帽子
KR102155953B1 (ko) 신체 밀착성을 증대시킨 작업용 거치대 및 이를 구비한 의복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200443094Y1 (ko) 안면 보호구
KR102565112B1 (ko) 방호장치를 겸한 개인용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