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028B1 -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028B1
KR102635028B1 KR1020220162645A KR20220162645A KR102635028B1 KR 102635028 B1 KR102635028 B1 KR 102635028B1 KR 1020220162645 A KR1020220162645 A KR 1020220162645A KR 20220162645 A KR20220162645 A KR 20220162645A KR 102635028 B1 KR102635028 B1 KR 10263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fixture
umbrella
hol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군
Original Assignee
이상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군 filed Critical 이상군
Priority to KR102022016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6Umbrella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3/00Other umbrellas
    • A45B2023/0006Portable, self supported sunshades or weather pro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양산이나 우산의 내부살이 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가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핀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양산-우산이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에서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Parasol-umbrella mounting device with level maintenance function}
본 발명은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양산이나 우산의 내부살이 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가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핀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양산-우산이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에서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거치됨에 따라,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이나 비를 가리고자 할 때 양산이나 우산을 사용하게 되는데, 양산-우산은 손으로 들고 다녀야 함에 따라, 손을 사용하는 동작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행동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한편,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제초작업, 농작물 재배를 위한 각종 작업의 경우 장시간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에게 내리쬐는 태양광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밀짚모자나 착양모자 등을 쓰게 된다. 그러나 상기 모자의 경우, 차양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작업중 발생하는 땀으로 인해 모자를 벗고 작업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차량 효과를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여지가 많았다.
그리고 태양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양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양산을 손으로 들고 있어야 하므로, 작업 자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46914호 "휴대용 햇빛 가리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6505호 "휴대용 햇빛 가리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양산이나 우산의 내부살이 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가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양산-우산이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에서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거치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살 거치구의 파(wave)형 상단라인에 양산-우산의 각 내부살(1300)이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양산-우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양산-우산대의 하단부위가 자석이나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양산-우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어깨에 메개 되는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회전제한용 스톱퍼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설정각도 범위에서만 양산-우산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몸 움직임에 따라 양산-우산이 회전하면서도 작업자의 몸이 위치한 영역 밖으로 양산-우산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여 차양 기능이나 비 차단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 등부위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어깨에 메게 되는 고정프레임(100); 상단 부위에 내부살(1300)이 거치되고, 양산-우산대(1100)가 상하 관통되어 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200);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에 결합되고, 상기 양산-우산대(11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양산-우산대 고정구(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위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가 핀결합되는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와 양산-우산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된 양산-우산(1000)의 중량에 의해 상기 양산-우산(1000)은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를 지속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어깨에 결착되는 어깨밴드(110); 어깨밴드(110)의 전면부위 설정지점에 전방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를 통과하여 수직 배치되는 상기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키는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는, 상하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산-우산대(1100)가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면(210)이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210)을 통과하여 상기 양산-우산대(1100)가 상기 내부공간에 상하 배치될 수 있고, 파형 상단라인(230)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요입홈(220)에 각 내부살(1300)이 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양산-우산대 고정구(300)는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의 하단부위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클립(310)을 구비하여 상기 양산-우산대(11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수직 배치되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배치 고정대(410);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경사배치 고정대(420); 상기 경사배치 고정대(420)의 끝단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가 고정핀(440)에 의해 결합되는 거치구 핀결합구(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좌우회전할 수 있게 되되,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좌우측 부위에 연결배치되는 한쌍의 회전제한용 스톱퍼(450);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제한용 스톱퍼(450)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걸리면서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 내부살 거치구(200), 양산-우산(1000)의 회전이 설정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상하 이격되게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140)과 하부 고정편(150)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하부 고정편(150)의 관통홀을 통과한 끝단부위에 형성되는 수나사가공부(460): 상기 수나사가공부(46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150)과 접촉하게 되는 결합너트(480); 상기 수나사가공부(46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프링 고정편(490);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끝단부위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150)과 스프링 고정편(49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스프링(470)이 외력으로 눌러져 상기 결합너트(480)가 상기 하부 고정편(150)으로부터 미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동작하고, 상기 스프링(470)이 원위치 복귀하면서 상기 결합너트(480)가 상기 하부 고정편(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결합너트(480)와 하부 고정편(150) 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양산-우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며, 작업자의 몸 움직임에 따라 양산-우산이 회전하면서도 작업자의 몸이 위치한 영역 밖으로 양산-우산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여 차양 기능이나 비 차단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의 양산-우산대 하단부위 고정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에 의한 양산-우산 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의 내부살거치구 고정대 고정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0), 내부살 거치구(200), 양산-우산대 고정구(300),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100)은 사용자 등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어깨에 메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0)은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어깨에 결착되는 어깨밴드(110), 사용자의 허리에 결착되는 허리밴드(120),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는 도 2에서와 같이 어깨밴드(110)의 전면부위 설정지점에 전방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살 거치구(200)를 통과하여 수직 배치되는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1에서와 같이 양측 한쌍의 어깨밴드(110)에 각각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가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측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에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는 자석체(131)를 구비하여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고정클립을 구비하여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도 있다.
내부살 거치구(200)는 상단 부위에 내부살(1300)이 거치되고, 양산-우산대(1100)가 상하 관통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살 거치구(200)는 상하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3에서와 같이 양산-우산대(1100)가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살 거치구(200)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면(210)이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개방면(210)을 통과하여 양산-우산대(1100)가 내부공간에 상하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살 거치구(200)는 파형 상단라인(230)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요입홈(220)에 각 내부살(1300)이 거치되도록 한다. 파형 상단라인(230)은 사인파형, 삼각파형, 사각파형, 불규칙 파형 등의 다양한 파(wav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산-우산대 고정구(300)는 내부살 거치구(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양산-우산대(11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양산-우산대 고정구(300)는 내부살 거치구(200)의 하단부위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클립(310)을 구비하여 양산-우산대(11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위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살 거치구(200)가 핀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수직배치 고정대(410), 경사배치 고정대(420), 거치구 핀결합구(430), 한쌍의 회전제한용 스톱퍼(4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수직 배치되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00)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좌우회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상하 이격되게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140)과 하부 고정편(150)에 의해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상부 고정편(140)은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결합된 상부고정편 결합용 돌출단(160)에 고정되어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경사배치 고정대(420)는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어 양산-우산(1000)이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한다.
거치구 핀결합구(430)는 경사배치 고정대(420)의 끝단부위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살 거치구(200)가 고정핀(440)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구 핀결합구(430)는 반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살 거치구(2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 좌우 측방에서 내부살 거치구(200)를 고정핀(440)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한쌍의 회전제한용 스톱퍼(45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좌우측 부위에 연결배치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회전제한용 스톱퍼(450)가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걸리면서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 내부살 거치구(200), 양산-우산(1000)의 회전이 설정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고정편(150)의 관통홀을 통과한 끝단부위에 형성되는 수나사가공부(460), 수나사가공부(46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150)과 접촉하게 되는 결합너트(480), 수나사가공부(46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프링 고정편(490),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끝단부위로부터 삽입되어 하부 고정편(150)과 스프링 고정편(49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70)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스프링(470)이 외력으로 눌러져 결합너트(480)가 하부 고정편(150)으로부터 미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동작하게 되고, 스프링(470)이 원위치 복귀하면서 결합너트(480)가 하부 고정편(150)에 접촉되면서 결합너트(480)와 하부 고정편(150) 간 마찰력에 의해 수직배치 고정대(4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내부살 거치구(200)와 양산-우산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된 양산-우산(1000)의 중량에 의해 양산-우산(1000)은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를 지속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양산이나 우산의 내부살이 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가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핀결합되도록 하므로, 양산-우산이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에서 지속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거치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쬐는 태양광이나 사용자 머리방향으로 내리는 비를 지속적으로 차단시키면서 사용자는 자신의 두 손을 이용하여 각종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내부살 거치구의 파(wave)형 상단라인에 양산-우산의 각 내부살(1300)이 거치되도록 하고, 양산-우산대의 하단부위가 자석이나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므로, 양산-우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어깨에 메개 되는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내부살거치구 고정대에 회전제한용 스톱퍼가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설정각도 범위에서만 양산-우산이 회전되도록 하므로, 작업자의 몸 움직임에 따라 양산-우산이 회전하면서도 작업자의 몸이 위치한 영역 밖으로 양산-우산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여 차양 기능이나 비 차단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고정프레임
110 : 어깨밴드
120 : 허리밴드
130 :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
131 : 자석체
140 : 상부 고정편
150 : 하부 고정편
160 : 상부고정편 결합용 돌출단
200 : 내부살 거치구
210 : 개방면
220 : 요입홈
230 : 파형 상단라인
300 : 양산-우산대 고정구
310 : 고정클립
400 : 내부살거치구 고정대
410 : 수직배치 고정대
420 : 경사배치 고정대
430 : 거치구 핀결합구
440 : 고정핀
450 : 회전제한용 스톱퍼
460 : 수나사가공부
470 : 스프링
480 : 결합너트
490 : 스프링 고정편
1000 : 양산-우산
1100 : 양산-우산대
1200 : 핸들
1300 : 내부살

Claims (8)

  1. 사용자 등부위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어깨에 메게 되는 고정프레임(100);
    상단 부위에 내부살(1300)이 거치되고, 양산-우산대(1100)가 상하 관통되어 배치되는 내부살 거치구(200);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에 결합되고, 상기 양산-우산대(11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양산-우산대 고정구(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위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가 핀결합되는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와 양산-우산대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된 양산-우산(1000)의 중량에 의해 상기 양산-우산(1000)은 자동으로 수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머리 상단부위를 지속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어깨에 결착되는 어깨밴드(110); 어깨밴드(110)의 전면부위 설정지점에 전방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를 통과하여 수직 배치되는 상기 양산-우산대(1100)의 하단부위를 고정시키는 양산-우산대 하단고정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는,
    상하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산-우산대(1100)가 상기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개방면(210)이 측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면(210)을 통과하여 상기 양산-우산대(1100)가 상기 내부공간에 상하 배치될 수 있고, 파형 상단라인(230)을 가지면서 형성되는 요입홈(220)에 각 내부살(1300)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산-우산대 고정구(300)는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의 하단부위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고정클립(310)을 구비하여 상기 양산-우산대(110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수직 배치되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좌우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배치 고정대(410);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경사배치 고정대(420);
    상기 경사배치 고정대(420)의 끝단부위에 고정되고, 상기 내부살 거치구(200)가 고정핀(440)에 의해 결합되는 거치구 핀결합구(4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좌우회전할 수 있게 되되,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는,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좌우측 부위에 연결배치되는 한쌍의 회전제한용 스톱퍼(450);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제한용 스톱퍼(450)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걸리면서 상기 내부살거치구 고정대(400), 내부살 거치구(200), 양산-우산(1000)의 회전이 설정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면에 상하 이격되게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140)과 하부 고정편(150)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하부 고정편(150)의 관통홀을 통과한 끝단부위에 형성되는 수나사가공부(460): 상기 수나사가공부(46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150)과 접촉하게 되는 결합너트(480); 상기 수나사가공부(460)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스프링 고정편(490);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의 끝단부위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하부 고정편(150)과 스프링 고정편(49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는 상기 스프링(470)이 외력으로 눌러져 상기 결합너트(480)가 상기 하부 고정편(150)으로부터 미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동작하고, 상기 스프링(470)이 원위치 복귀하면서 상기 결합너트(480)가 상기 하부 고정편(150)에 접촉되면서 상기 결합너트(480)와 하부 고정편(150) 간 마찰력에 의해 상기 수직배치 고정대(410)가 움직임없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KR1020220162645A 2022-11-29 2022-11-29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KR10263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45A KR102635028B1 (ko) 2022-11-29 2022-11-29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45A KR102635028B1 (ko) 2022-11-29 2022-11-29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028B1 true KR102635028B1 (ko) 2024-02-07

Family

ID=8987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645A KR102635028B1 (ko) 2022-11-29 2022-11-29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0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914Y1 (ko) 1997-05-30 1999-06-15 김종목 휴대용 햇빛 가리개
KR200206505Y1 (ko) 1998-11-19 2001-02-01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US10912356B1 (en) * 2019-12-19 2021-02-09 Preston Verret Hands free umbrella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914Y1 (ko) 1997-05-30 1999-06-15 김종목 휴대용 햇빛 가리개
KR200206505Y1 (ko) 1998-11-19 2001-02-01 설명 배낭의 우산겸용 양산장치
US10912356B1 (en) * 2019-12-19 2021-02-09 Preston Verret Hands free umbrella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539A (en) Backpacker's adjustable shield
KR101482915B1 (ko) 우산거치대
KR101599974B1 (ko) 다기능 안전모
KR102635028B1 (ko) 양산-우산 자동수평 거치장치
US2691164A (en) Clip-on eyeshield
US20150327620A1 (en) Hat retaining device/multi-purpose strap
JP2015058330A (ja) 表面が滑らかなヘルメットの上からでも装着できる吸盤つき傘帽子
US725069A (en) Body-attachment sunshade.
KR101506273B1 (ko) 모자 탈부착용 선글라스
KR20090004298A (ko) 휴대용 차양구
KR101391620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KR101440279B1 (ko) 휴대용 몸통부착용 우산거치대
KR100865902B1 (ko) 모자용 햇볕가리개
US2541760A (en) Magnifying device
KR20090004131U (ko) 다용도헤어밴드집게
KR910001499Y1 (ko) 파라솔 지게
TWM580350U (zh) Technology back umbrella
CN208708806U (zh) 一种能降温遮阳避雨晴雨天都可穿戴的轻便不贴身衣帽
KR200231919Y1 (ko) 다기능 모자
CN210248714U (zh) 一种便携式雨伞辅助装置
KR20100000331U (ko) 허리띠 부착용 우산 꽂이
KR20150052718A (ko) 야외작업자용 햇빛가리개
JPS639533Y2 (ko)
JP3235190U (ja) ビーチパラソルを背負える器具
RU197509U1 (ru) Козырек головного уб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