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73B1 -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 Google Patents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73B1
KR101389973B1 KR1020110072163A KR20110072163A KR101389973B1 KR 101389973 B1 KR101389973 B1 KR 101389973B1 KR 1020110072163 A KR1020110072163 A KR 1020110072163A KR 20110072163 A KR20110072163 A KR 20110072163A KR 101389973 B1 KR101389973 B1 KR 10138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capillary tube
capillary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188A (ko
Inventor
김대옥
Original Assignee
김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옥 filed Critical 김대옥
Priority to KR102011007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2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capillary tube and another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9Improving heat trans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모세관과 모세관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증발기를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있어서, 모세관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 내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는 모세관을 통과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와 증발기 출구의 저온의 냉매가 상호 열교환됨으로써 증발기 입구의 냉매가 보다 낮은 엔탈피를 갖게되고, 따라서 증발기에서 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함으로 냉동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Heat exchange structure for capillary tube of refrigeration cycle}
본 발명은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세관과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매순환식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폐회로를 순환한다. 즉 저압 기상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다음 고압 기상으로 응축기로 전달되어, 여기서 열을 방출함으로써 액상으로 응축된다. 응축된 냉매는 팽창기를 거치면서 감압 팽창되어 증발기로 공급되고, 냉매는 증발기에서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 후 압축기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냉동사이클은 응축기에서 냉매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냉매가 팽창기를 거쳐 증발기로 유입됨으로써 즐발기에서 증발되는 냉매가 증발기 주위로부터 충분한 열량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냉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발기에서 냉매의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매의 건도가 낮은 상태로 압축기에 유입됨으로써 압축기에서 냉매를 습압축하게 되어 압축기에 캐비테이션 등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제2001-0060533호에 개시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응축기로부터 증발기를 향해 유동하는 냉매를 감압 팽창하는 팽창기와, 팽창기를 나온 냉매와 증발기를 나온 냉매를 상호 열교환하는 내부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열교환기는 밀폐용기 형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 내에는 응축기로부터의 냉매가 통과하는 열전도성 코일도관이 수용되어 있고, 케이싱에는 증발기로부터의 냉매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동사이클은 사이클을 구성하는 필수구성요소인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및 팽창기 이외에 케이싱과 코일도관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열교환기를 더 설치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컴팩트화를 구현하기 어려워 실용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세관과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켜 냉동사이클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키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증발기를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 내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은 외주면에 상기 모세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의 내주면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제1호형부분과, 상기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제1호형부분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모세관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호형부분을 갖되, 상기 제2호형부분은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호형부분의 양단보다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은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 다수의 돌출비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비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세관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은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방열핀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핀은 외주면에 상기 모세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모세관은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과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에 접하는 접촉면이 상기 출구측 냉매관 외주면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는 모세관을 통과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고온의 냉매와 증발기 출구의 저온의 냉매가 상호 열교환됨으로써 증발기 입구의 냉매가 보다 낮은 엔탈피를 갖게되고, 따라서 증발기에서 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함으로 냉동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세관 열교환 구조가 적용되는 냉동사이클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 열교환 구조가 적용되는 냉동사이클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30)와, 상기 응축기(3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모세관(40)과, 상기 모세관(4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증발기(5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40)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 내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모세관(40) 및 출구측 냉매관(151)은 상호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철,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매관(151)은 외주면에 다수의 돌출비드(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비드(152)는 출구측 냉매관(151)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출구측 냉매관(15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형성된다. 다수의 돌출비드(152)는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비드(152)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세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5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53)은 용이하게 모세관(40)이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세관(4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모세관(40)이 삽입시, 모세관(40)의 일측면이 출구측 냉매관(151)에 접하기 위해 내측 바닥면에 출구측 냉매관(151)의 외주면이 노출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비드(152) 및 모세관(40)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거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모세관(40)을 돌출비드(15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모세관(40)이 출구측 냉매관(15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각 돌출비드(152)에 형성된 삽입홈(153)들이 출구측 냉매관(15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삽입홈(153)들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세관(40)이 출구측 냉매관(151)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게 출구측 냉매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출구측 냉매관(151)은 돌출비드(152)에 의해 외기에 대한 열접촉면적이 확장되어 고온의 외기에 대한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므로 증발기(50)에서 기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기화되지 못한 액상의 냉매가 완전히 기화될 수 있고,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압축기(20)에 캐비테이션 등의 부정적인 기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압축기(2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30)를 통하여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다. 상기 액상의 냉매는 모세관(40)을 통과하면서 단열 팽창하여 온도가 저하된다. 이때, 모세관(40)은 출구측 냉매관(151)의 돌출비드(152)에 형성된 삽입홈(152)에 삽입되어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에 접하도록 설치되므로 모세관(40) 내에 유동하는 냉매는 증발기(50) 출구측 냉매관(151) 내에 유동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모세관(40)을 통과하여 증발기(50)로 유입되는 냉매가 과냉각됨으로써 증발기(50) 입구에서 냉매가 보다 낮은 엔탈피를 갖게 되고, 따라서 증발기(50)에서 더욱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어서 냉동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증발기(50)를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변한 저온 냉매는 출구측 냉매관(151)을 통하여 압축기(20)로 복귀한다. 이때,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 내에 유동하는 냉매는 모세관(40) 내에 유동하는 고온의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증발기(50)에서 기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기화되지 못한 액상의 냉매가 완전히 기화될 수 있고,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압축기(20)에 캐비테이션 등의 부정적인 기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은 외주면에 모세관(4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삽입홈(5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주면이 제1호형부분(53) 및 제1호형부분(53)의 양단에 연장형성된 제2호형부분(54)으로 구성된다.
제1호형부분(53)은 증발기(50)의 출구측에 연통되어 증발기(5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냉매 기체가 유동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호형부분(53)의 양단의 이격거리는 제2호형부분(54)으로 모세관(4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세관(40)의 외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호형부분(54)은 상기 삽입홈(52)이 형성될 수 있도록 모세관(40)을 감싸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출구측 냉매관(51) 내에 유동하는 냉매와의 열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제1호형부분(53)의 양단부하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호형부분(54)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2)에 모세관(40)을 삽입시켜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과 모세관(40)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모세관(40)과 제2호형부분(54)이 상호 접하도록 설치되므로 모세관(40) 내에 유동하는 냉매 및 출구측 냉매관(51) 내에 유동하는 냉매가 상호 열교환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모세관(40)과 제2호형부분(54)의 외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용접 또는 접착시켜 모세관(40)을 제2호형부분(54)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출구측 냉매관(51)은 삽입홈(52)에 모세관(40)이 삽입되어 열접촉하므로 모세관(40) 내에 유동하는 냉매는 증발기(50) 출구측 냉매관(151) 내에 유동하는 저온 기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모세관(40)을 통과하여 증발기(50)로 유입되는 냉매가 과냉각됨으로써 증발기(50) 입구에서 냉매가 보다 낮은 엔탈피를 갖게 되고, 따라서 증발기(50)에서 더욱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어서 냉동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251)은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방열핀(252)이 설치된다. 방열핀(25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방열핀(252)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는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251)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된다.
이때, 방열핀(252)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세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5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53)은 용이하게 모세관(4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세관(4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모세관(40)이 삽입시, 모세관(40)의 일측면이 출구측 냉매관(251)에 접하기 위해 내측 바닥면에 출구측 냉매관(251)의 외주면이 노출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핀(252) 및 모세관(40)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거나 접착제로 접착시켜 모세관(40)을 방열핀(25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모세관(40)이 출구측 냉매관(251)이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각 방열핀(252)에 형성된 삽입홈(253)들이 출구측 냉매관(25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삽입홈(253)들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모세관(40)이 출구측 냉매관(251)의 외주면에 복수회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게 출구측 냉매관(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출구측 냉매관(251)은 방열핀(252)에 의해 외기에 대한 열접촉면적이 확장되어 고온의 오기에 대한 열전달효율이 향상되므로 증발기(50)에서 기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기화되지 못한 액상의 냉매가 완전히 기화될 수 있고,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압축기(20)에 캐비테이션 등의 부정적인 기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세관(140)은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과 접촉면(141)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에 접하는 접촉면(141)이 출구측 냉매관(51) 외주면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모세관(140)의 접촉면(141)과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 외주면을 상호 용접하여 모세관(140)을 출구측 냉매관(51)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모세관(140)은 출구측 냉매관(51)의 외주면에 대한 열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매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은 외주면에 모세관(40)이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구속부재(151,15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구속부재(151,152)는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51)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출구측 냉매관(5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제1 및 제2구속부재(151,152)는 모세관(40)이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마련될 수 있도록 모세관(40)의 외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호 이격되게 출구측 냉매관(51)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구속부재(151,152)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은 모세관(40)의 외주면과의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모세관(40)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압축기
30: 응축기
40: 모세관
50: 증발기
51: 출구측 냉매관
52: 삽입홈
53: 제1호형부분
54: 제2호형부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30)와, 상기 응축기(3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모세관(40)과, 상기 모세관(4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증발기(50)를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40)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 내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151)은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연장된 다수의 돌출비드(152)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비드(152)의 외주면에는 상기 모세관(4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5.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에 연결되어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30)와, 상기 응축기(3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모세관(40)과, 상기 모세관(40)에 연결되어 냉매가 팽창되는 증발기(50)를 구비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40)은 내부에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251) 내에 유동하는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기 위해 일부분이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관(25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50)의 출구측 냉매관(251)은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게 방열핀(252)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핀(252)은 외주면에 상기 모세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6. 삭제
KR1020110072163A 2011-07-20 2011-07-20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KR10138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163A KR101389973B1 (ko) 2011-07-20 2011-07-20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163A KR101389973B1 (ko) 2011-07-20 2011-07-20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188A KR20130011188A (ko) 2013-01-30
KR101389973B1 true KR101389973B1 (ko) 2014-04-30

Family

ID=4784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163A KR101389973B1 (ko) 2011-07-20 2011-07-20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063B1 (ko) * 2021-04-16 2023-05-08 태성전기(주) 그루브가 구비된 냉장고용 석션파이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664A (ja) * 1999-03-29 2000-10-13 Shinei Sangyo Kk 冷凍サイクル用熱交換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48979A (ja) * 2000-03-03 2001-09-14 Koa Seisakusho:Kk 熱交換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冷凍回路の熱交換構造
JP2002243286A (ja) * 2001-02-20 2002-08-28 Hitachi Ltd 冷凍サイクルおよび冷蔵庫
JP2003050065A (ja) * 2001-08-03 2003-02-21 Nishiyama Seisakusho:Kk 冷凍サイクル用パイプ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664A (ja) * 1999-03-29 2000-10-13 Shinei Sangyo Kk 冷凍サイクル用熱交換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48979A (ja) * 2000-03-03 2001-09-14 Koa Seisakusho:Kk 熱交換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冷凍回路の熱交換構造
JP2002243286A (ja) * 2001-02-20 2002-08-28 Hitachi Ltd 冷凍サイクルおよび冷蔵庫
JP2003050065A (ja) * 2001-08-03 2003-02-21 Nishiyama Seisakusho:Kk 冷凍サイクル用パイ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188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14847A1 (en) Double pipe and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JP5938021B2 (ja) 熱交換用二重管
KR20130064936A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20120135623A (ko) 냉동공조용 콘덴서
KR101389973B1 (ko)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KR100717774B1 (ko) 냉동사이클의 모세관 열교환 구조
JP4609316B2 (ja) 冷蔵庫
KR20150001030A (ko) 응축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2007078275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用の熱交換器
CN212108745U (zh) 空调室外机
KR101461057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단일 순환루프 쿨링 및 히팅장치
JP2015034663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備えた熱サイクル装置
JP300745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1396998A (zh) 空调室外机
JP2008089252A (ja) 冷却装置
KR101542120B1 (ko) 칠러형 공기조화기
KR101260407B1 (ko) 이중관식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이중관식 열교환기
KR100619151B1 (ko)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응축기
WO2021218141A1 (zh) 空调室外机
JP2014095482A (ja) 二重管式熱交換器
JP2014035169A (ja) 中間熱交換器
CN213300308U (zh) 空调器室外机
KR20130057548A (ko) 응축기
KR200169554Y1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