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72B1 -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72B1
KR101389972B1 KR1020120027633A KR20120027633A KR101389972B1 KR 101389972 B1 KR101389972 B1 KR 101389972B1 KR 1020120027633 A KR1020120027633 A KR 1020120027633A KR 20120027633 A KR20120027633 A KR 20120027633A KR 101389972 B1 KR101389972 B1 KR 101389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tank
rail
pumping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037A (ko
Inventor
최재윤
Original Assignee
최재윤
엘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윤, 엘앤에스(주) filed Critical 최재윤
Priority to KR102012002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레일을 따라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니트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와; 제1저장탱크로부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된 분사노즐로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약액을 펌핑하는 제1펌핑부와; 구동부와 제1펌핑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와; 레일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유니트가 레일의 일 측 단부로 이동하여 구동부 및 제1펌핑부가 휴면상태일 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전원공급부를 외부전원에 전기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제1펌핑부와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에 의하면 약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의 이동이 용이하며 약액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저장탱크 내에 약액이 일정수위 이하로 하강할 때 자동을 약액을 보충해줌으로써 무인으로 축사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살포작업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구동부 및 제1펌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이송유니트로 연장되는 전원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설비가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살포장치{The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우스 또는 축사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 내부로 물, 제초 또는 소독용 약액을 살포하는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이나 화초 등의 재배하는 하우스 또는 소, 돼지, 닭 등을 사육하는 축사 등에서는 전염병과 각종 질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소독 및 방제용 약액을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살포하여 병충해를 방지하고 가축의 전염병과 질병의 감염과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살포되는 약액은 작업자가 살포장치를 통하여 휴대하면서 살포함으로써, 약액과 살포장치의 중량이 무거워 작업자가 휴대하여 살포하는 작업이 어렵고, 인체에 해로운 약액의 성분이 작업자에 직접 접촉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우병과 조류독감 등과 같은 신종 전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약액을 살포하여야 하는 횟수와 약액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가 약액을 바꾸면서 수회 이상 살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약액을 자동으로 살포하도록 농작물이 재배되는 온실이나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의 내측으로 자동으로 살포하는 노즐을 구비하여 약액을 살포하고 있으나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저하되면 살포장치 내부에 저장된 약액이 동결되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약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의 이동이 용이하며 약액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 온도가 하강할 때 약액이 동결되지 않게 함으로써 약액의 배출이 원활한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와, 상기 제1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된 분사노즐로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약액을 펌핑하는 제1펌핑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펌핑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구조물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니트가 상기 레일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1펌핑부가 휴면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상기 전원공급부를 외부전원에 전기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제1펌핑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충전단자와 제2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충전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와, 상기 구조물의 내벽에 고정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가 부착고정된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성분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스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가스농도값들이 설정된 기준 농도값 이상일 때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약액을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1펌핑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결빙을 방지하는 발열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구조물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일 때 상기 발열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보충할 수 있게 상기 이송유니트가 상기 레일의 일 측 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펌핑부가 휴면상태일 때,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액공급유니트는 상기 약액이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제2저장탱크 내부의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제1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제2펌핑부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제2수위 이하로 하강할 때 상기 약액공급유니트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이송유니트를 상기 레일의 일 측 단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의 의하면 약액이 저장된 저장탱크의 이동이 용이하며 약액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저장탱크 내에 약액이 일정수위 이하로 하강할 때 자동으로 약액을 보충해줌으로써 무인으로 하우스 또는 축사의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살포작업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구동부 및 제1펌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이송유니트로 연장되는 전원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설비가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부를 통해 겨울철 온도가 하강할 때 약액이 동결되지 않게 함으로써 계절이 관계없이 사철 하우스 또는 축사 관리가 가능하고, 가스측정부를 통해 하우스 또는 축사 바닥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농도값을 토대로 내부의 오염 정도를 판단하며 자동으로 약액을 살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다른 살포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살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살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살포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부분발췌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의 제1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레일(10)과, 레일(10)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21)와 레일(10)을 따라 케이스(21)를 이송되게 하는 구동부(23)를 포함하는 이송유니트(20)와,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고 약액이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30)와, 제1저장탱크(30) 내부의 약액을 외부로 펌핑하는 제1펌핑부(34)와, 구동부(23)와 제1펌핑부(34)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전원에 연결되어 충전되는 배터리(41)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23)와 제1펌핑부(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또는 채소, 과일 등을 재배하는 하우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축사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레일(10)은 축사 내벽(5)에 지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평판(11) 하부수평판(12) 그리고 상하부수평판(11,12)의 중앙을 연결하는 수직판(13)을 포함하는 'I' 또는 'H'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10)은 축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의 레일(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형태의 형강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와이어로프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부(23)는 상기 와이어로프에 결합되어 와이어로프를 구속한 상태로 마찰접촉되는 복수의 롤러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유니트(20)는 레일(10)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을 레일(10)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구동부(23)를 포함한다.
케이스(21)는 제1저장탱크(30)와 제1펌핑부(34)를 장착할 수 있게 장착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에는 구동부(23)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2)이 설치된다.
구동부(23)는 연결브라켓(22)이 결합되는 중계브라켓(24)과, 중계브라켓(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10)부의 하부수평판(12)에 구름접촉되어 상기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롤러(25)와, 이송롤러(25)를 회전시킬 수 있게 중계브라켓(24)의 일단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6)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브라켓(24)은 수직판(13)에 의해 양분된 하부수평판(12)에 각각 구름접촉되는 이송롤러(25)를 각각 지지하도록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하부수평판(12)과 상기 레일(10)부에 구름접촉되는 이송롤러(25)의 접촉면에는 각각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모터(26)는 중계브라켓(24)의 일측에 고정된 모터지지부(27)에 지지되며 이송롤러(25)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이송롤러(25)에 회전축이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케이스(21)의 이동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26)와 이송롤러(25) 사이에 증속기 또는 감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저장탱크(30)는 장착공간에 고정되고 일 측에는 약액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상방으로 연장된 유인관(3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내부의 약액을 배출하도록 케이스(21) 외부로 연장된 분사관(32)이 연결된다. 분사관(32)의 단부에는 약액을 연무형태로 분사할 수 있게 복수의 노즐(33)들이 설치된다.
전원공급부는 장착공간에 설치되어 살포 작업시에는 제1펌핑부(34) 및 구동모터(26)에 전원을 공급하다가 살포 작업 이외의 동안에는 레일(10)부의 일 측으로 이동하여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41)와, 상기 배터리(41)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21)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충전단자(42,43)와, 상기 배터리(41)를 외부전원에 접속시키는 접속부(44)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1 및 제2충전단자(42,43)는 소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배터리(41)부의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케이스(21)의 외부로 연장된 전선에 의해 상기 배터리(41)와 연결되며 케이스(21)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접속부(44)는 레일(10)부의 일 측에 마련된 판 상의 패널부재(45)와, 상기 패널부재(45)에 각각 고정된 제1접속단자(46)와 제2접속단자(47)를 포함한다. 패널부재(45)는 축사 내벽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1 및 제2접속단자(46,47)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연장된 전선(6)에 연결되어 패널부재(45)에 고정되되 케이스(21)에 마련된 제1충전단자(42) 및 제2충전단자(43)와 대향하는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의 제1 및 제2접속단자(46,47)는 제1충전단자(42)와 제2충전단자(43)에 각각 접촉될 수 있게 패널부재(45)에 고정된 판부와, 판부에 고정된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접속단자(46,47)는 케이스(21)를 축사 내벽(5) 측으로 인접시켜 보관할 때, 제1충전단자(42) 및 제2충전단자(43)와 접촉될 수 있게 제1충전단자(42) 및 제2충전단자(43)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된다.
접속부(44)는 각각 제1 및 제2접속단자(46,47)의 스프링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 제1충전단자(42)와 제2충전단자(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유지부재(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접촉유지부재(50)는 케이스(21)를 레일(10)부의 단부측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때 케이스(21)와 패널부재(45)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는 케이스(21)와 패널부재(45)의 일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유지부재(50)는 각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충전단자(42,43)에 접촉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충전단자(42,43)로부터 이탈된 상태의 스프링 절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어유니트(60)는 노즐(33)로 약액을 이송시키는 제1펌핑부(34)와 레일(10)부를 따라 케이스(21)를 이송시키는 구동모터(26)의 작동을 제어하며, 축사 내부의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축사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는 가스성분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부(61)를 더 구비한다. 가스측정부(61)는 케이스(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축사의 바닥에 쌓인 볏짚 또는 가축의 분뇨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메탄, 암모니아 등의 가스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가스측정부(61)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가스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하며, 측정된 가스농도 값들을 토대로 약액의 살포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유니트(60)는 상기의 가스측정부(61)에서 측정된 가스농도 값들이 설정된 기준 농도값 이상일 때 상기 구동부(23)를 통해 레일(10)부를 따라 케이스(21)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1펌핑부(34)를 작동시킴으로써 축사 내부로 약액을 분사하며, 측정된 가스농도 값들이 설정된 기준 농도값 이하일 때는 제1펌핑부(34) 및 구동부(23)를 휴면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제1저장탱크(30)로 약액을 보충하는 약액공급유니트(70)를 더 구비한다. 상기의 약액공급유니트(70)는 약액이 대량으로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71)와, 제2저장탱크(71)로부터 제1저장탱크(30)로 약액이 이송되는 공급관(72)상에 설치되어 제2저장탱크(71) 내부에 저장된 약액을 흡입하여 제1저장탱크(30)로 이송시키는 제2펌핑부(73)를 포함한다.
상기의 약액공급유니트(70)는 전원공급부를 외부전원에 전기접속시켜 충전하는 상태 즉, 이송유니트(20)를 레일(10)부의 일 측 단부로 이동시켜 보관할 때 제2저장탱크(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저장탱크(30)로 연장된 공급관(72)을 통해 제1저장탱크(30) 내부로 약액을 보충한다.
상기의 제1저장탱크(30)에는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부는 제1저장탱크(3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에 대응하는 수위(이하 제1수위라함)로 상승할 때를 감지하는 만수위감지센서(81)와, 제1저장탱크(30)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에 대응하는 수위(이하 제2수위라함)로 하강할 때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82)를 포함한다.
제어유니트(60)는 만수위감지센서(81)로부터 제1저장탱크(30)에 약액이 제1수위이상으로 투입된 것이 감지되면 제2펌핑부(73)의 작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약액의 과잉공급을 방지하고, 약액을 살포하는 도중 저수위감지센서(82)로부터 제1저장탱크(30)의 수위가 제2수위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제1펌핑부(34)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이송유니트(20)를 약액공급부의 공급관(72) 측으로 즉, 레일(10)부의 일 측 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동부(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수위감지부 및 제어유니트(60)를 통해 제1저장탱크(30)로 약액이 과잉공급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1저장탱크(30)로 약액을 보충할 수 있게 이송유니트(20)를 약액공급유니트(70)로 이송시킴으로써 살포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제어유니트(60)는 온도측정부 및 발열부를 더 구비한다.
온도측정부는 이송유니트(20)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며, 발열부는 겨울철 내부의 약액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탱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의 발열부는 면상 발열시트가 적용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열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제어유니트(60)는 온도측정부로부터 전송된 온도값이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하이면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부를 통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저장탱크(30)에 저장된 약액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니트(2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부(100)를 더 구비한다.
방향전환부(100)는 이송유니트(20)가 레일(10)을 따라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송유니트(20)가 축사 내벽에 충돌하지 않고 되돌아와 왕복운동을 하면서 살포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축사 내벽 측으로 이송유니트(20)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접속부(44)가 설치되는 타 측의 축사 내벽(5`)에 설치된다.
방향전환부(100)는 축사 내벽(5`)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설치되어 이송유니트(20)가 일정거리 이하의 거리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100)는 이송유니트(20) 측으로 빛을 발사하는 발광센서(101)와, 발광센서(101)로부터 출사된 광이 이송유니트(20)에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것을 감지하는 수광센서(10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부(100)의 감지효율을 높일 수 있게 발광센서(101)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이송유니트(20)의 입사지점에 반사거울(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제어유니트(60)는 발광센서(101)로부터 광이 출사된 시점부터 수광센서(102)로 입사되는 시간을 측정하며, 측정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을 때, 구동부(23)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유니트(20)의 진행방향을 바꾼다. 상기 감지부(100)는 축사 내부 양 내벽(5, 5`)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유니트(60)는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감지부(100)로부터 각각 출사된 빛이 되돌아 오는 시간을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값들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기준시간보다 짧을 때에는 구동부(23)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이송유니트(20)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예외적으로, 제1저장탱크(30)의 수위가 제2수위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약액공급유니트(70) 측으로 이송유니트(20)를 이송할 때 제어유니트(60)는 구동부(23)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이송유니트를 이송시키는 레일 및 구동부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200)는 1 내지 도 3에 도시되 바와 다르게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레일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설치패널(111)과, 설치패널(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110)의 상면에 구름접촉되는 복수의 구동롤러(113)와, 상기 구동롤러(113)의 일 측에 형성된 스프로킷(114)과, 구동롤러(113)의 하부에서 설치패널(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받침롤러(116)와, 상기 구동롤러(113) 및 지지바(115)에 의해 설치패널(1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패널(112)과, 설치패널(11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회전력을 스프로킷(114)에 전달하는 체인부재(117)와, 상기 구동모터(1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체인부재(11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22)는 일 측 회전축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기어박스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살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5` : 축사 내벽 10 : 레일
20 : 이송유니트 21 : 케이스
23 : 구동부 26 : 구동모터
30 : 제1저장탱크 34 : 제1펌핑부
41 : 배터리 42 : 제1충전단자
43 : 제2충전단자 44 : 접속부
46 : 제1접속단자 47 : 제2접속단자
50 : 접촉유지부재 60 : 제어유니트
70 : 약액공급유니트 81 : 만수위감지센서
82 : 저수위감지센서

Claims (6)

  1.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케이스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니트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되는 제1저장탱크와;
    상기 제1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케이스 외부로 연장된 분사노즐로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약액을 펌핑하는 제1펌핑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펌핑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구조물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유니트가 상기 레일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1펌핑부가 휴면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상기 전원공급부를 외부전원에 전기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제1펌핑부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제1충전단자와 제2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충전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와 제2접속단자와, 상기 구조물의 내벽에 고정되고 일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접속단자가 부착고정된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성분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스측정부로부터 측정된 가스농도값들이 설정된 기준 농도값 이상일 때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약액을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1펌핑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약액의 결빙을 방지하는 발열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구조물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측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설정된 기준온도 이하일 때 상기 발열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보충할 수 있게 상기 이송유니트가 상기 레일의 일 측 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1펌핑부가 휴면상태일 때,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유니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액공급유니트는
    상기 약액이 저장되는 제2저장탱크와, 상기 제2저장탱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로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제2저장탱크 내부의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제2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제1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제2펌핑부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저장탱크 내부의 수위가 설정된 제2수위 이하로 하강할 때 상기 약액공급유니트로부터 약액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이송유니트를 상기 레일의 일 측 단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장치.
KR1020120027633A 2012-03-19 2012-03-19 살포장치 KR101389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633A KR101389972B1 (ko) 2012-03-19 2012-03-19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633A KR101389972B1 (ko) 2012-03-19 2012-03-19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37A KR20130106037A (ko) 2013-09-27
KR101389972B1 true KR101389972B1 (ko) 2014-05-02

Family

ID=4945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633A KR101389972B1 (ko) 2012-03-19 2012-03-19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41B1 (ko) * 2019-11-08 2020-07-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고은 레일 이동형 작물 생육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46B1 (ko) * 2018-03-28 2019-10-21 (유)엠아이알 액체 보충 장치와 연계된 액체 분무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770815B (zh) * 2018-04-27 2023-12-08 潍坊天一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喷药设备
CN108849829B (zh) * 2018-08-21 2021-05-14 江苏松阳园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树木虫害的树木保护设备
KR101966027B1 (ko) * 2018-12-12 2019-04-04 김영조 원격지로부터 액제의 충전, 공급 및 반환이 가능한 농약분무용 휴대장치
KR102285544B1 (ko) * 2020-07-29 2021-08-04 (주)아이에이치피엠 충전식 자동운반 분무대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704Y1 (ko) 2004-11-26 2005-03-10 이효심 온실용 무인 방제 시스템
KR100786373B1 (ko)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101120490B1 (ko) 2011-08-19 2012-02-29 조장복 무인 자동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704Y1 (ko) 2004-11-26 2005-03-10 이효심 온실용 무인 방제 시스템
KR100786373B1 (ko) 2006-12-21 2007-12-14 주식회사 이레 약제분사장치
KR101120490B1 (ko) 2011-08-19 2012-02-29 조장복 무인 자동 방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941B1 (ko) * 2019-11-08 2020-07-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고은 레일 이동형 작물 생육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37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72B1 (ko) 살포장치
KR102168795B1 (ko) 가축전염병 예방을 위한 무인주행 소독 로봇시스템
KR101027507B1 (ko) 무인 방제 시스템
KR101661707B1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KR101120490B1 (ko) 무인 자동 방제장치
KR101368090B1 (ko) 농약 살포용 대차 운용방법
EP3638010A1 (en) Systems for providing an assembly line grow pod
KR101478389B1 (ko) 방제 및 온도와 습도 조절용 이동 살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8032A (ko) 비닐하우스의 자동급수장치
KR20120041910A (ko) 무인 방제기
AU2020344995A1 (en) Autonomous farm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1985927B2 (en) Production unit for growing or propagating organisms
KR20180130386A (ko) 하우스 시설용 농약 살포장치
KR20120103332A (ko)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농약 살포기
WO2014039076A9 (en) Robotic room sanitizer
KR101368008B1 (ko) 농약 살포용 대차
KR200264576Y1 (ko) 비닐하우스용 농약 살포장치
DK177425B1 (en) Method, feed cart and system for feeding of fur animals
KR101675803B1 (ko) 이동식 고압충전 분무기
KR20200028949A (ko) 식물을 수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17817B1 (ko) 다목적 쿨링장치
KR200453333Y1 (ko) 무인 방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20110117784A (ko) 비닐 하우스내의 무인 이동장치
KR102557057B1 (ko) 재배 시스템
KR20160048438A (ko) 자동 분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