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17B1 - 다목적 쿨링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쿨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17B1
KR102217817B1 KR1020200099274A KR20200099274A KR102217817B1 KR 102217817 B1 KR102217817 B1 KR 102217817B1 KR 1020200099274 A KR1020200099274 A KR 1020200099274A KR 20200099274 A KR20200099274 A KR 20200099274A KR 102217817 B1 KR102217817 B1 KR 10221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moving body
hous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강훈
정원일
장윤환
정범수
Original Assignee
(주)샤론테크
장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론테크, 장윤환 filed Critical (주)샤론테크
Priority to KR102020009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35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 A01M7/0039Pressure spray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Spray barrow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2Optical sensing devices us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예 농가, 과수농가, 축사 등의 현장에서 왕복으로 자율주행 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수납되고, 기능성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본체에 탑재되고 상기 저장부 내의 기능성물질을 외부로 분무하는 축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쿨링장치{cooling apparatus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목적 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예 농가, 과수농가, 축사 등에서 왕복으로 자율주행 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고, 자율주행 주행과정 시에는 각종 장애물을 자동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장애물을 회피 시 회피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감지한 장애물 정보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 특징값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위치를 정확히 측위할 수 있으며, 화재 감지 시 방제액을 소화액으로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예 농가, 과수농가, 축사 등에서 방제액, 비료 등의 살포 방식은 약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작업 인력을 절감하려는 이유로 무인방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비닐하우스를 통한 채소 및 화훼 농업 시설 및 축사에는 현재 다양한 방식의 무인방제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하우스 및 축사 내부에 농약, 방제액, 기타 질병 예방 약품 등으로 구성되는 액상의 약재나 비료를 분사하여 원예작물, 가축, 가금류에 병충해 및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무인 방제 시스템은 비닐하우스의 내부에서 천정에 매달려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하나 또 는 복수의 열의 레일 각각에 방제기가 고정되거나 메인 롤러에 의해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제기에는 호스를 통해 약액 공급기와 연결된 분사관이 장착되고, 상기 분사관의 일단에는 노즐이 설치되어 있어, 약액 공급기의 펌핑 압력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호스, 분사관 및 노즐을 통해 작물로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비닐하우스, 축사는 그 특성상 면적이 매우 넓게 제작됨으로, 전술한 무인 방제 시스템은 설치 비용이 매우 많이 발생되어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레일도 비닐하우스, 축사의 길이의 대응되게 적용되야 하는데, 레일은 일반적으로 강성 및 내구성이 입증된 금속을 사용한다.
그러나, 금속의 레일은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한 별도의 서포트를 추가로 적용해야 함으로, 설치비용이 보다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나, 축사에 마련된 통로를 따라 자율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이나 가축에게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고, 자율주행 시 전방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소화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3753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예 농가, 과수농가, 축사 등의 현장에서 왕복으로 자율주행 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자율주행 주행과정 시에는 라이더 센서 및 Li-Fi를 이용하여 각종 장애물을 자동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장애물을 회피 시 회피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감지한 장애물 정보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 특징값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위치를 정확히 측위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시 방제액을 소화액으로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현장을 촬영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쿨링장치를 원격으로 조절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아니하고도 방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현장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어드레스 값을 포함하는 센서를 이동경로에 다수 배치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어드레스 값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수납되고, 물과 방제액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기능성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본체에 탑재되고 상기 저장부 내의 기능성물질을 외부로 분무하는 축류부, 상기 이동본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시 상기 기능성물질이 분무되도록 상기 축류부를 작동시키며, 열화상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형성되는 화재감지부,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고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며, 비산먼지의 발생량과 감소량 및 상기 기능성물질의 살포범위를 측정하는 라이더 센서, 상기 라이더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관리자 단말기에 송신하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가시광 무선통신부(Li-Fi)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통신부, 상기 축류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이동본체에 탑재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축류부와 이동수단에 각각 공급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며 촬영영상을 저장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촬영부, 상기 이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 상기 이동수단의 전,후 이동 및 좌,우 방향 전환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신부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어드레스 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다수개의 센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와 통신하고,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어드레스 값을 기반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이동본체의 설치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이동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판의 상측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인출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원예 농가, 과수농가, 축사 등의 현장에서 왕복으로 자율주행 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율주행 주행과정 시에는 라이더 센서 및 Li-Fi를 이용하여 각종 장애물을 자동으로 회피할 수 있으며, 장애물을 회피 시 회피정보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감지한 장애물 정보로부터 특징값을 검출하고 이 특징값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위치를 정확히 측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시 방제액을 소화액으로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현장을 촬영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쿨링장치를 원격으로 조절함으로써,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가지 아니하고도 방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장에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어드레스 값을 포함하는 센서를 이동경로에 다수 배치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어드레스 값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하면서 방제액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이동본체, 저장부 및 BMS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 적용된 센서 및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의 사용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이동본체, 저장부 및 BMS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 적용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원예 농가의 비닐하우스, 축사 등과 같은 장소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작물이나 가축에 기능성 물질을 분무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이동본체(10), 저장부(20), 축류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본체(10)의 내부공간은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구획벽(13)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하나의 공간에는 저장부(20)가 수납되고, 다른 하나의 공간에는 후술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60)가 수납된다.
이동본체(10)는 비닐하우스나 축사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수단(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이동수단(11)은 이동본체(10)의 전방과 후방 하측에 각각 2개 한 쌍으로 배치되는 바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수단(11)과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이동수단(11)은 이동본체(10)에 각각 축(11a,11b)을 통해 고정되어 비닐하우스나 축사 내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이동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본체(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된 회전축(424a)의 양측에는 스프로켓이 각각 장착되고, 전방과 후방에 위치된 스프로켓들은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방에 위치된 이동수단(11)은 이동본체(10)가 주행 중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이동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본체(10)는 주행 중 좌회전 또는 우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11)의 틸팅방식은 자동차의 조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체인은 스프로켓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며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방에 위치된 이동수단(11)은 모터축이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에 위치된 이동수단(11)을 연결하는 축(11a)의 중앙부분 외주연에는 웜 기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구동원의 축에는 웜 기어에 치합되는 웜 휠(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모터축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11a)이 모터축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수단(11)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률적으로 굴러가게 되며, 결국 이동본체(1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이동수단(11)은 비닐하우스나 축사의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패턴으로 배치되며, 전술한 이동수단(11)의 구름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비닐하우스나 축사의 바닥면이 평탄하지 아니한 경우 비닐하우스나 축사의 바닥면에 레일을 더 설치하여 이동본체(1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이동수단(11)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사용자가 파지한 다음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손잡이(12)가 포함된다.
축류부(30)는 이동본체(10)의 상면에 탑재된다. 축류부(30)는 축류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류팬은 모터(미도시) 및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프로팰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팰러가 회전 시 발생되는 기압차에 의해 저장부(20) 내의 기능성 물질이 작물이나 가축에게 살포된다.
이때, 축류부(30)의 전방에는 기능성물질(F)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배출구에는 기능성물질(F)을 미스트 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3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축류부(30)는 이동본체(10)에 승강 및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본체(10)의 상면에는 축류부(3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미도시), 유압실린더를 제자리 회전 시키는 모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축류부(30)가 상승되어 저장부(20)에서 이격될 경우에는 축류부(30)가 작동되더라도 기능성물질(F)이 분무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축류부(30)와 저장부(20)는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은 축류부(30)의 상승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연결관은 축류부(30)의 회전에 대응하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본체(10)의 상면에는 태양광 발전부(50)가 더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부(50)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술한 BMS(60)에 공급한다.
BMS(60)는 축류부(30)의 모터 및 이동수단(11)의 모터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BMS(60)는 태양광 발전부(50)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저장 및 축류부(30)의 모터 및 이동수단(11)의 모터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이동본체(10)가 비닐하우스나 축사를 주행하면서 기능성물질(F)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기능성물질(F)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기능성물질(F)은 방제액, 물, 물과 방제액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 소화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가 원예 농가에 적용되는 경우 방제액은 작물의 생장 및 성장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각종 해충들을 퇴치할 수 있는 타입의 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가 축사에 적용되는 경우 세균, 병균, 전염균 등을 퇴치할 수 있는 타입의 물질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본체(10)에는 화재감지부(70)가 더 설치된다.
화재감지부(70)는 열화상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부(70)는 비닐하우스나 축사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광범위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이동본체(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화재감지부(70)가 화재를 감지할 경우, 해당 화재감지부(7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50)에 화재발생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이동수단(11) 및 전술한 모터(미도시)를 작동시켜 이동본체(10)가 화재발생지점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분무노즐(31)이 화재발생지점을 향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축류부(30)를 작동시켜 저장부(20) 내의 기능성물질(F)이 분무되도록 함으로써, 화재가 진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본체(10)에는 라이더 센서(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라이더 센서(80)는 레이저 송신부(140), 수신부(130),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더 센서(8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OF 방식의 라이더 센서(80)는, 레이저 펄스 신호를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는 반사 펄스 신호를 수신한다. 라이더 센서(80)는 레이저 펄스 신호가 방출되고 반사 펄스 신호가 수신된 시간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페이즈 쉬프트 방식의 라이더 센서(80)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기초로 시간 및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에 따른 거리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라이더 센서(80)는, 송신된 레이저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정지해 있는 물체(예를 들면, 가로수, 가로등, 신호등, 교통표지판 등)인 경우, 라이더 센서(80)는 오브젝트에 의한 TOF(Time of Flight)를 기초로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더 센서(80)는 전방에 위치한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계산하며 주변환경을 3차원 입체 테이터로 감지하여 이동수단(11)의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서 객체는 장애물을 의미하며, 장애물은 비닐하우스나 축사 내의 작업자가 이동하는 통로에 놓여져 이동본체(10)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 시설물, 작업자 또는 다른 이동물체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라이더 센서(80)는 장애물 정보를 감지하여 이동본체(10)가 장애물을 피해 비닐하우스나 축사를 왕복해서 이동하도록 이동수단(11)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동본체(10)가 이동수단(11)을 통해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어부(150)가 축류부(30), 모터, 실린더 등을 작동시켜 기능성물질(F)이 통로, 작물, 가축에 분무되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팬은 라이더 센서(80)를 통해 이동본체(10)가 이동한 범위 즉, 기능성물질(F)의 살포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부(90)를 통해 라이더 센서(80)에 의해 이동본체(10)가 이동한 범위를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이동본체(10)가 이동한 범위 즉, 기능성물질(F)의 살포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라이더 센서(80)는 통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비산먼지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라이더 센서(80)에 의해 전송된 비산먼지의 양이 자체에 기 설정되어 있는 비산먼지의 양보다 많을 경우에만 축류부(30)를 작동시켜 기능성물질(F)이 비산먼지 측으로 분무되도록 한다.
이때, 통신부(90)는 블루투스, 무선통신부(90)(Wi-Fi), 가시광 무선통신부(90)(Li-Fi)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는 이동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촬영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20)는 저장기능을 갖는 카메라로써, 이동본체(10)가 비닐하우스나 축사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객체, 작물, 가축 등을 촬영하여 저장하며, 촬영영상을 안테나(A)와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 비닐하우스나 축사를 관리하는 관리자 PC, 지자체 및 정부의 PC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12)에는 이동수단(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130)가 설치되고, 수신부(130)는 송신부(14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수단(11) 및 조향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송신부(140)는 리모콘과 같은 원리로 수신부(13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부(140)는 이동수단(11)을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버튼(미도시), 이동수단(11)을 후진시키기 위한 후진버튼, 이동수단(11)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버튼(미도시), 축류부(30) 제어버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비닐하우스나 축사에 직접 가지 않고도 촬영부(120)와 송신부(140)를 통해 이동장치를 이동시켜 가면서 기능성물질(F)을 작물이나 가축에 분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팬에 적용된 센서(10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팬에 적용된 센서(10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의 사용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센서(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어드레스(좌표값)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비닐하우스나 축사의 통로 바닥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센서(100)가 축사(160)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축사(160)는 중앙 길이방향을 따라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의 양측에는 우리(17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센서(100)는 통로의 바닥면에 매립되거나 또는, 통로의 바닥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센서(100)와 통신하고, 이동수단(11)이 어드레스 값을 기반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센서(10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110)이 적용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하고, 해당정보는 중앙서버 및 제어장치에 저장하여 관리자가 원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본체(10)가 해당 경로를 자율적으로 왕복운행 하면서 기능성물질(F)을 분무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통로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 센서(100)는 장애물이 없는 장소에 배치됨으로, 자율주행하는 이동본체(10)가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팬에 적용된 수납부(4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4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4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장치에 적용된 수납부(40)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납부(40)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쿨링팬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나, 저장부(20) 내의 기능성물질(F)이 소진될 경우 새롭게 충진하기 위한 보충용 기능성물질(F) 등 다양한 종류의 수납물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수납부(40)는 하우징(41), 수납함, 승강구동부(43), 지지부(44), 중량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은 이동본체(10)의 외측면에 볼팅 고정되는 플랜지(P)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1)의 상면은 덮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수납함은 실제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41)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421), 바닥판(421)의 후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후판(422), 바닥판(4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423), 측판(423)의 사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바닥판(42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42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함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폐판(424) 중 바닥판(421)의 상면에 접촉되는 저면은 양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어 곡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개폐판(424)의 양측면 하부에는 회전축(424a)이 형성되며, 측판(423)의 하측에는 회전축(424a)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개폐판(424)은 회전축(424a)을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측판(423)의 사이 공간을 개폐한다.
승강구동부(43)는 하우징(41)에 수납된 수납함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우징(41)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부(43)의 사이에 수납함이 배치된다.
승강구동부(43)는 바닥판(421)에 결합되는 승강체(431)를 갖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벽면에는 승강구동부(43)의 승강체(4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버튼(미도시) 및 하강버튼(미도시)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41)에서 덮개를 제거한 다음, 상승버튼을 눌러 승강체(431)를 상승시키면 수납함이 상승되어 하우징(4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강버튼을 눌러 승강체(431)를 하강시키면 수납함이 하강되어 하우징(41)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인입된다.
이로 인해, 수납함에 수납된 수납물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상승버튼을 눌러 수납함을 하우징(41)의 상측으로 인출시키면 된다.
수납함이 상승되면 하우징(41)의 내벽면에 기울어진 상태로 기대고 있던 개폐판(424)(424)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전도되며, 이때, 개폐판(424)은 일부분이 하우징(41)의 상면에 안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 측판(423)의 사이 공간이 개방된다.
수납함은 승강구동부(43)에 의해 일정 높이로 상승되어 인출되는 바, 측판(423)의 사이 공간이 작업자의 눈높이에 대응되도록 벽면에 수납부(40)를 설치하면, 작업자가 허리나 머리를 굽히거나 뒷꿈치를 들지 아니하고도 정면에서 수납물을 용이하게 꺼내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44)는 바닥판(421)의 양측에 고정되어 개폐판(424)의 하측면을 지지하는데, 개폐판(424)과 접촉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납함이 하우징(41)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개폐판(424)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41)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중량부(45)는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개폐판(424)의 상부 외측면 즉, 하우징(41)의 내벽면을 향하는 면에 결합되어, 수납함이 하우징(41)에서 인출 시, 개폐판(424)의 하 방향 회동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다목적 쿨링장치 10 : 이동본체
11 : 이동수단 11a,11b : 축
12 : 손잡이 13 : 구획벽
20 : 저장부 30 : 축류부
31 : 분무노즐 40 : 수납부
41 : 하우징 421 : 바닥판
422 : 후판 423 : 측판
424 : 개폐판 424a : 회전축
43 : 승강구동부 431 : 승강체
44 : 지지부 45 : 중량부
50 : 태양광 발전부 60 : BMS
70 : 화재감지부 80 : 라이더 센서
90 : 통신부 100 : 센서
110 :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120 : 촬영부
130 : 수신부 140 : 송신부
150 : 제어부 160 : 축사
170 : 우리

Claims (8)

  1.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에 수납되고, 물과 방제액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기능성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본체에 탑재되고 상기 저장부 내의 기능성물질을 외부로 분무하는 축류부,
    상기 이동본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시 상기 기능성물질이 분무되도록 상기 축류부를 작동시키며, 열화상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로 형성되는 화재감지부,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고 객체를 감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며, 비산먼지의 발생량과 감소량 및 상기 기능성물질의 살포범위를 측정하는 라이더 센서,
    상기 라이더 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관리자 단말기에 송신하며, 블루투스, 무선통신부, 가시광 무선통신부(Li-Fi)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통신부,
    상기 축류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이동본체에 탑재되며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축류부와 이동수단에 각각 공급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며 촬영영상을 저장 및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촬영부,
    상기 이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신부,
    상기 이동수단의 전,후 이동 및 좌,우 방향 전환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수신부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어드레스 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다수개의 센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와 통신하고, 상기 이동수단이 상기 어드레스 값을 기반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상기 이동본체의 설치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이동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측에 배치되는 후판,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사이를 개폐하도록 하측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벽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수납함을 승강시켜 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이 하우징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판이 기울어진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면에 지지되도록 개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개폐판의 상측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인출 시 상기 개폐판이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개폐판에 하중을 부여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쿨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99274A 2020-08-07 2020-08-07 다목적 쿨링장치 KR10221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74A KR102217817B1 (ko) 2020-08-07 2020-08-07 다목적 쿨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74A KR102217817B1 (ko) 2020-08-07 2020-08-07 다목적 쿨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817B1 true KR102217817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274A KR102217817B1 (ko) 2020-08-07 2020-08-07 다목적 쿨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6987A (zh) * 2021-12-16 2022-04-15 杭州申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机器人的散热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71A (ko) * 2005-04-22 2006-10-27 (주)한성티앤아이 다목적 방제기
KR101538478B1 (ko) * 2014-11-28 2015-07-22 (주)티에스티 소화용 지능형 로봇
KR101637531B1 (ko) 2015-12-29 2016-07-07 이경재 무인방제장치
KR20170127745A (ko) * 2016-05-12 2017-11-22 이병찬 무인 이동 분사장치
KR20180066439A (ko) * 2016-12-09 2018-06-19 (주)솔로몬시스템 농업용 방제로봇
KR20190092778A (ko) * 2018-01-31 2019-08-08 양원용 태양광을 이용한 기능성 전동식 농약분무기
WO2020043853A1 (en) * 2018-08-31 2020-03-05 Faunaphotonics Aps Apparatus for spraying insecticides
KR20200091524A (ko) * 2019-01-22 2020-07-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371A (ko) * 2005-04-22 2006-10-27 (주)한성티앤아이 다목적 방제기
KR101538478B1 (ko) * 2014-11-28 2015-07-22 (주)티에스티 소화용 지능형 로봇
KR101637531B1 (ko) 2015-12-29 2016-07-07 이경재 무인방제장치
KR20170127745A (ko) * 2016-05-12 2017-11-22 이병찬 무인 이동 분사장치
KR20180066439A (ko) * 2016-12-09 2018-06-19 (주)솔로몬시스템 농업용 방제로봇
KR20190092778A (ko) * 2018-01-31 2019-08-08 양원용 태양광을 이용한 기능성 전동식 농약분무기
WO2020043853A1 (en) * 2018-08-31 2020-03-05 Faunaphotonics Aps Apparatus for spraying insecticides
KR20200091524A (ko) * 2019-01-22 2020-07-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작물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6987A (zh) * 2021-12-16 2022-04-15 杭州申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机器人的散热装置
CN114346987B (zh) * 2021-12-16 2023-08-04 杭州申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机器人的散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13B1 (ko) 농업용 방제로봇
CN105532623B (zh) 一种智能自走式风送静电式对靶喷雾机
KR20180011933A (ko) 무인 자동화 분무장치
CN207665864U (zh) 无人植保机器人
US20130199145A1 (en) Lawn mower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062873A (zh) 用于经由无人交通工具防卫农作物免受农作物破坏性有害生物的系统和方法
CN109996729A (zh) 用于基于农作物破坏检测经由无人交通工具标识包含农作物的区域中的有害生物的系统和方法
CN104430272A (zh) 一种基于图像处理的自走式智能喷雾机
CN112604012A (zh) 一种全自动消毒机器人
US20220279699A1 (en) Movable apparatus with automatic/autonomous operation slidable along pre-established paths among rows of vineyards, for the anti-bacterial and fungicide treatment of the same vineyards
KR102217817B1 (ko) 다목적 쿨링장치
JP2020502646A (ja) 屋外電力供給用の移動式電源
CN107422726A (zh) 一种应用于温室的自主导航智能变量喷雾系统及其控制方法
CN214074367U (zh) 一种全自动消毒机器人
CN113263507A (zh) 自主巡逻智能消杀机器人
JP3985203B2 (ja) 自走型探査及び作業ロボット
CN113750278A (zh) 基于Arduino的自主爬楼消毒机器人
KR20130106037A (ko) 살포장치
KR102590320B1 (ko) 온실 방제 로봇
CN207541501U (zh) 一种日光温室自动导航多功能智能作业车
KR101625403B1 (ko) 시설하우스용 병해충 예측진단기능 및 분무기능이 구비된 무인제어시스템
KR20170134044A (ko) 농작물 방제용 로봇 및 이를 구비한 방제용 로봇 제어 시스템
CN213911557U (zh) 一种喷洒消毒机器人
CN107806054A (zh) 功能车辆工作范围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003152A (zh) 借助无人驾驶飞行器执行空中喷洒作业的移动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