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243B1 -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243B1
KR101388243B1 KR1020120079141A KR20120079141A KR101388243B1 KR 101388243 B1 KR101388243 B1 KR 101388243B1 KR 1020120079141 A KR1020120079141 A KR 1020120079141A KR 20120079141 A KR20120079141 A KR 20120079141A KR 101388243 B1 KR101388243 B1 KR 10138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erial layer
blend material
glass fiber
weight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828A (ko
Inventor
장정식
Original Assignee
(주)아시아젠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시아젠트라 filed Critical (주)아시아젠트라
Priority to KR102012007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2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배합원료층과, 상기 제1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유리섬유층과, 상기 제1유리섬유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배합원료층과, 상기 제2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철근층과, 상기 철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3배합원료층과, 상기 제3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유리섬유층 및 제4배합원료층으로 이루어진다. 제1배합원료층, 상기 제2배합원료층 및 상기 제3배합원료층은 합성수지 18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촙 0.05 내지 0.15 중량부, 백운석과 모래를 필터링하고 제 1∼제 N컬러의 도료를 공급하여 착색처리하고, 상기 제 1∼제N 컬러로 착색된 백운석과 모래를 상호 혼합하여 수지접착제에 의해 코팅하여 제조한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 70 내지 75 중량부 및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져서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질수 있도록 하여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색상과 무늬를 가져서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철근과 유리섬유층이 개재되어 별도의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휘어짐과 비틀림 및 크랙 등을 방지하여 제조시간이 짧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중량이 가벼워 그레이팅 작업시에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최근 금속재료의 가격상승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grating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본 발명은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성분을 이루는 백운석과 모래를 컬러 도료로 착색처리하여 중량이 가볍고,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성형과정에서 휘어짐이나, 비틀림 및 크랙 등이 발생하지 않고, 도난의 위험성이 없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은 아스팔트 도로에 설치하여 배수를 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근래 문화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하수의 배출량이 많아지고 있으며, 재래시장과 상가주변 식당가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와 공업화로 인한 오, 폐수의 배출량이 증가되면서 발생하는 악취와 농도가 점점 심해져 도로변 배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로변에서 흐르는 배수를 지하배수로로 보내는 홀받침을 배수용 그레이팅(grating)이라 하며 도 1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그레이팅은 일체형으로 주물에 의하여 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구조용강에 의한 스틸제품의 그레이팅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스틸 그레이팅은 배수능력이 우수하고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저렴한 가격 및 청소가 쉽다는 장점이 있어 상당부분 교체가 되었다.
종래와 같이 금속제로 제조되는 그레이팅은 대개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모양이 사각형 격자로서 단순하여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않고 도시 미관을 해칠 뿐아니라 자동차의 무게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어지고, 소재자체의 단가가 고가이므로 생산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금속제로 제조됨에 따라 도난 방지를 위하여 별도로 도난방지 장치를 해야하는 문제점과 금속판을 자르고 각 금속판을 용접 등에 의해 접착하여 격자상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용접점이 많아서 제조가 힘들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금속제로 제조되는 그레이팅은 휘어짐과 비틀림 및 크랙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없어서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않고 도시 미관을 해칠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운석과 모래를 컬러 도료로 착색처리하여 다양한 무늬와 색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주변환경에 어울리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은 제1배합원료층과, 상기 제1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유리섬유층, 상기 제1유리섬유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배합원료층, 상기 제2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철근층, 상기 철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3배합원료층, 상기 제3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유리섬유층 및 제4배합원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배합원료층, 상기 제2배합원료층, 상기 제3배합원료층 및 제4배합원료층은 합성수지 18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촙 0.05 내지 0.15 중량부,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 70 내지 75 중량부 및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은 백운석과 모래를 필터링하고 제 1∼제 N컬러의 도료를 공급하여 착색처리하고, 상기 제 1∼제N 컬러로 착색된 백운석과 모래를 상호 혼합하여 수지접착제에 의해 코팅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에 의하면 휘어짐과 비틀어짐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주성분을 구성하는 백운석과 모래를 컬러 도료로 착색처리하여 화강암 및 옥색 등과 같은 다양한 색상과 무늬가 가능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도시미관을 개선 및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중량이 가벼워 그레이팅 작업시에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최근 금속재료의 가격상승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변에서 흐르는 배수를 지하배수로로 보내는 배수용 그레이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용 그레이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철근의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은 제1배합원료층(10)과; 상기 제1배합원료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유리섬유층(20)과; 상기 제1유리섬유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배합원료층(30)과; 상기 제2배합원료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철근층(40)과; 상기 철근층(4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3배합원료층(50)과; 상기 제3배합원료층(5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유리섬유층(60)과; 상기 제2유리섬유층(60)을 덮는 제4배합원료층(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합원료층(10)은 합성수지, 유리섬유 촙,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 및 경화제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18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촙 0.05 내지 0.15 중량부,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 70 내지 75 중량부 및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데,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 내부가 1/3 정도 충전되도록 배합원료를 투입하여 형성된다.
이때, 배합원료를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 내부에 투입하기 전에 금형 내부에 왁스칠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배합원료 성분이 금형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합성수지는 18 내지 20 중량부가 첨가되며, 18.5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는 불포화 이염기산 및 글리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생성되고, 수지의 점도가 낮아 함침이 잘되며, 증점공정에서는 적절하게 점도가 상승하며 증점이 완료된후에는 시간에 따른 점도변화가 없는 수지인 불포화폴리에스터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촙은 0.05 내지 0.15 중량부가 첨가되며, 0.1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촙은 경량이면서도 금속과 같은 강성을 갖는 그레이팅을 제조할 수 있도록 배합원료에 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여, 작업성과 운반이 용이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섬유 촙은 유리섬유사를 잘게 절단하여 형성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를 20 내지 25밀리미터의 단위로 잘게 절단하여 형성되며, 750 TEX를 사용하며, 20밀리미터 단위로 절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은 백운석과 모래를 필터링하고 제 1∼제 N컬러의 도료를 공급하여 착색처리하고, 상기 제 1∼제N 컬러로 착색된 백운석과 모래를 상호 혼합하여 수지접착제에 의해 코팅하여 제조하고, 상기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은 70 내지 75 중량부가 첨가되며, 상기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은 71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운석은 석회석과 규석이 3:7 내지 4:6의 중량비율로 배합된 것이 바람직한데, 석회석은 배합원료의 응집성을 향상시키고, 규석은 배합원료의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백운석과 모래는 0.7 내지 6 밀리미터의 입경을 갖도록 미분쇄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경의 차이가 나는 백운석 분말과 모래를 사용함으로 인해 배합원료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0.05 내지 0.15 중량부가 첨가되며, 상기 합성수지의 경화를 향상시켜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그레이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제 성분은 상기 합성수지 성분인 불포화 폴리에스터를 경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터셔리-부틸퍼록시벤조에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들로 이루어진 배합원료는 교반기에서 50 내지 200rpm의 교반속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유리섬유층(20)은 상기 제1배합원료층(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유리섬유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데, 배합원료를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 내부에 1/3정도 충전하여 형성된 배합원료층(10)의 상부면에 유리섬유를 직조하여 이루어진 유리섬유를 개재하고 다져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는 750 내지 4400 TEX의 유리섬유사를 직조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유리섬유층(20)의 형성을 통해 상기 제1배합원료층(20) 및 상기 제2배합원료층(30)의 배합원료들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기계적 강성이 보강된 그레이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배합원료층(30)은 상기 제1유리섬유층(2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유리섬유층(20)의 상부면에 배합원료를 충전하여 형성되는데,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 내부가 2/3 정도 충전되도록 배합원료를 투입하는 형성된다.
이러한 제2배합원료층(30)은 성분과 역할이 상기 제1배합원료층(10)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철근층(40)은 상기 제2배합원료층(3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배합원료층(30)의 상부면에 철근을 개재하고 다지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철근층(40)은 배합원료의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형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철근층(40)은 직경이 10 내지 15 밀리미터인 철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철근의 직경이 10 밀리미터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며, 15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그레이팅의 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철근층(40)은 그레이팅에 적용될 경우에는 격자구조의 철근(도 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철근층(40)은 철근과 철근이 접하는 부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속하여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배합원료층(50)은 상기 철근층(4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층의 상부면에 배합원료를 충전하되, 금형 내에 배합원료가 꽉 차도록 충전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3배합원료층(50)은 성분과 역할이 상기 제1배합원료층(10)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유리섬유층(60)은 상기 제3배합원료층(5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배합원료층(50)의 상부면에 유리섬유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유리섬유를 개재하고 다져서 형성되는데, 상기 제1유리섬유층(20)과 성분 및 역할이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유리섬유층(60)이 형성되면, 그위에 다시 상기 제4배합원료층(70)을 형성하며, 상기 제2유리섬유층(60)의 상부면에 배합원료를 충전하되, 금형 내에 배합원료가 꽉 차도록 충전하여 형성하고, 이러한 제4배합원료층(70)은 성분과 역할이 상기 제1배합원료층(10)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배합원료층(70)이 형성되면,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 내에 충전된 배합원료, 유리섬유 및 철근을 압축하여 그레이팅 모양으로 성형하는데, 그레이팅 제조용 금형을 유압프레스로 15 내지 25분 동안 압축하여 그레이팅 형태의 성형물을 성형한다.
상기 성형물은 그레이팅의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1차적인 경화가 진행되며, 1차적인 경화가 진행된 성형물은 상온에서 45 내지 50 시간 동안 서서히 경화되어 휘어짐이나 비틀림이 없는 그레이팅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1배합원료층(10), 제1유리섬유층(20), 제2배합원료층(30), 철근층(40), 제3배합원료층(50), 제2유리섬유층(60) 및 제4배합원료층(70)으로 이루어지는 그레이팅은 휘어짐, 비틀림 및 크랙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제조시간이 짧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가벼워 그레이팅 작업시에 작업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도난의 위험성이 없다.
10 ; 제1배합원료층 20 ; 제1유리섬유층
30 ; 제2배합원료층 40 ; 철근층
50 ; 제3배합원료층 60 ; 제2유리섬유층
70 ; 제4배합원료층

Claims (4)

  1. 제1배합원료층;
    상기 제1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1유리섬유층;
    상기 제1유리섬유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배합원료층;
    상기 제2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철근층;
    상기 철근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3배합원료층;
    상기 제3배합원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유리섬유층;및
    상기 제2유리섬유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4배합원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합원료층, 상기 제2배합원료층, 상기 제3배합원료층 및 제4배합원료층은 합성수지 18 내지 20 중량부, 유리섬유 촙 0.05 내지 0.15 중량부,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 70 내지 75 중량부 및 경화제 0.05 내지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백운석 모래 혼합물은 백운석과 모래를 필터링하고 제 1∼제 N컬러의 도료를 공급하여 착색처리하고, 상기 제 1∼제N 컬러로 착색된 백운석과 모래를 상호 혼합하여 수지접착제에 의해 코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불포화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KR1020120079141A 2012-07-20 2012-07-20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KR10138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41A KR101388243B1 (ko) 2012-07-20 2012-07-20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141A KR101388243B1 (ko) 2012-07-20 2012-07-20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28A KR20140011828A (ko) 2014-01-29
KR101388243B1 true KR101388243B1 (ko) 2014-05-27

Family

ID=5014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41A KR101388243B1 (ko) 2012-07-20 2012-07-20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209A (zh) * 2016-05-09 2016-07-27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隧道中心排水管检查井窗棂式盖板结构
CN105804208A (zh) * 2016-05-09 2016-07-27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隧道中心排水管检查井密封式盖板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2A (ko) * 2004-06-17 2005-12-22 오송미 화이바 글라스 액을 희석한 몰탈을 매설한 금속 덮개판
KR100642496B1 (ko) 2006-08-01 2006-11-10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맨홀의 제조방법 및 맨홀
KR100949655B1 (ko) 2009-07-13 2010-03-26 장정식 맨홀용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840B1 (ko) 2011-04-08 2012-03-28 (주)아시아젠트라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가로수덮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542A (ko) * 2004-06-17 2005-12-22 오송미 화이바 글라스 액을 희석한 몰탈을 매설한 금속 덮개판
KR100642496B1 (ko) 2006-08-01 2006-11-10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맨홀의 제조방법 및 맨홀
KR100949655B1 (ko) 2009-07-13 2010-03-26 장정식 맨홀용 뚜껑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840B1 (ko) 2011-04-08 2012-03-28 (주)아시아젠트라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가로수덮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828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7164B1 (de) Kunststein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WO2008117077A3 (en) Vegetable oil based construction materials
CN1887782A (zh) 轻质仿石材料及制作方法
CN102731020A (zh) 一种用于浮雕制品的人造石及其制备方法
KR101388244B1 (ko) 맨홀 뚜껑 및 맨홀 받침틀로 이루어진 맨홀
EP2652081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elementen mit photolumineszierenden und/oder nachtleuchtenden partikeln, formelement und verbundplatte aus einer mehrzahl von formelementen
KR101388243B1 (ko) 다양한 무늬 및 색상이 가능한 그레이팅
CN201314052Y (zh) 景观型仿真石面层砼检查井盖
DE1544816C3 (de) Elastischer Kunstbetonlaminat großer Druck- und Biegefestigkeit
KR101348874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바닥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2089C (zh) 高耐磨实心面材的制造方法
WO2009071038A1 (de) Polymerbeton mit zermahltem gesteinen jedweder art sowie mit schadstoffen und/oder organischen bestandteilen versetzter sand
EP2758353B1 (de) Polymerbetongemisch, polymerbeton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523457A1 (de) Lösemittelfreies verfahren zur hydrophoben farbbeschichtung von glasgranulat, das hieraus resultierende produkt und seine verwendung
KR100980772B1 (ko) 폐자재를 활용한 경계블록의 제조방법
KR100802316B1 (ko) 기능성 시트지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시트패널
CZ2013734A3 (cs) Replika barevně a/nebo tvarově strukturované dlažby
CN101497512A (zh) 聚合物改性人造大理石制备方法
DE19504782C2 (de) Verfahren und Formkörper für die Herstellung von künstlichen Felsformationen
KR100945591B1 (ko) 도로의 칼라 포장용 무기질 액상 안료 및 이를 이용한 칼라 도로 포장 공법
KR200364322Y1 (ko) 경계석 칼라 고무 보강 커버
DE4416570A1 (de) Elastische Form- und/oder Dichtungsmasse und damit hergestellte elastische Nutzschichten
EP2687649B1 (de) Plattenförmiges Bauelemen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ttenförmigen Bauelements
JP3176149U (ja) 色粉を添加したコンクリートを用いた床面にパネル版模様を特徴とする床構造
CN105986637A (zh) 复合增强混凝土外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