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280B1 -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 Google Patents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280B1
KR101387280B1 KR1020120146300A KR20120146300A KR101387280B1 KR 101387280 B1 KR101387280 B1 KR 101387280B1 KR 1020120146300 A KR1020120146300 A KR 1020120146300A KR 20120146300 A KR20120146300 A KR 20120146300A KR 101387280 B1 KR101387280 B1 KR 10138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ed mattress
bed
ventilation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조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환 filed Critical 조경환
Priority to KR102012014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47C27/006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는, 침대 매트리스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면서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시트 몸체부; 및 시트 몸체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시트 몸체부 내에서 상호간 이격 배치되어 통풍공간을 형성하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매트리스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Cooling sheet for mattress}
본 발명은,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에 관한 것이다.
통풍시트는 바닥에 깔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침대 매트리스에 덮어 사용하는 일종의 깔개로서 통풍성을 좋게 하여 시원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42556호 및 등록번호 제20-0361878호 등에 통풍시트(혹은 매트)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인 통풍시트는 직물지 내에 솜, 스펀지 등을 삽입하여 매트리스 속을 형성시킨 형태에서부터 플라스틱을 이용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일부는 제품으로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무더운 여름철에 침대 매트리스 위에서 수면을 취하고자 할 때, 매트리스의 보온성으로 인해 땀이 유발되어 쾌적하고 안락하게 숙면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축축한 매트리스로 인하여 불면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땀으로 인한 매트리스와 진드기, 곰팡이 등의 세균으로 인한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통풍시트를 침대 매트리스 위에 덮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종래의 통풍시트의 경우,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통풍성이 다소 부족하여 실질적인 통풍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문제점 있다.
대안으로서, 대안으로서 냉각 젤(gel)의 화학 작용으로 인해 직접적인 냉각효과를 제공하려 하는 소위, 쿨 젤(gel) 매트라 하는 것이 시중에 출시된 바 있으며, 일부 사용 중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쿨 젤 매트의 경우, 냉매로 인한 사용 기한의 제약이 있으며, 특히 고무 표면으로 인해 다소 불편한 느낌을 줄 수 있어 실질적으로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는 통풍 시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42556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3618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침대 매트리스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시트 몸체부; 및 상기 시트 몸체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시트 몸체부 내에서 상호간 이격 배치되어 통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매트리스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시트 몸체부는,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둘레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되되 상기 상판부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들은 상기 상판부와 상기 스커트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스커트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상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가 나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식 지지대 결합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가 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압입식 지지대 결합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는 중앙 영역에서 양 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절구 형상의 파이프(pipe)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들 내에 각각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 내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시트 몸체부의 상면에서 벨크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에어 매쉬(air mas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몸체부에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 충전되는 포켓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가 침대 매트리스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에서 매트리스 지지대 영역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가 침대 매트리스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분해도, 그리고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는 도 1 및 도 2처럼 침대 매트리스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침대 매트리스가 싱글(single), 퀸(queen), 킹(king) 사이즈로 구분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 역시, 싱글(single), 퀸(queen), 킹(king) 사이즈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다.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는 시트 몸체부(110), 매트리스 지지대(120), 그리고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시트 몸체부(110)는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에서 외관을 형성한다.
시트 몸체부(110)는 침대 매트리스보다 약간 크게 제작될 수 있다. 그래야만, 도 1처럼 침대 매트리스에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트 몸체부(110)는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부(111)와, 상판부(111)의 둘레변에 형성되되 상판부(111)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되는 스커트부(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12)는 상판부(111)의 둘레변 4곳 모두에 형성된다. 따라서 시트 몸체부(110)는 일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box)형 구조물을 이룬다.
상판부(111)와 스커트부(112)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일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제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하지만, 상판부(111)는 신체에 직접 닿는 부분이고 스커트부(112)는 침대 매트리스에 끼워지는 부분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상판부(111)는 일정한 쿠션감이 있는 예컨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고 스커트부(112)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 몸체부(110)를 형성하는 상판부(111)와 스커트부(112)의 표면 모두에는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다. 도 7처럼 통공(H)들을 통한 공기 순환이 형성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향상된다.
물론, 도면처럼 통공(H)들이 상판부(111)와 스커트부(112)의 표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어도 신체가 닿는 상판부(111)에는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보면 통공(H)들이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통공(H)은 원형을 비롯하여 타원형 혹은 장공의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매트리스 지지대(120)는 시트 몸체부(110) 내에, 즉 시트 몸체부(110)의 상판부(1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로서,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된다. 매트리스 지지대(120)가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침대 매트리스로부터의 쿠션이 신체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대(120)는 신체와 침대 매트리스 사이에 통풍공간(S)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통풍작용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매트리스 지지대(120)는 시트 몸체부(110)의 상판부(111)의 배면에서 상호간 이격되게 다수 개 배치되어 시트 몸체부(110)의 내부 공간이 통풍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처럼 통풍공간(S)과 통공(H)을 통한 공기의 순환 혹은 흐름에 따라 통풍작용이 진행되어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매트리스 지지대(120)들은 중앙 영역에서 양 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절구 형상의 파이프(pipe) 구조물로 마련되며, 시트 몸체부(110)의 스커트부(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대(120)들이 스커트부(1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도 1처럼 스커트부(112)가 침대 매트리스의 측부로 덮어지면서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가 침대 매트리스에 잘 결합될 수 있으며, 임의로 빠지지 않는다.
한편, 매트리스 지지대(120)들이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트리스 지지대(120)들은 어느 정도는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매트리스 지지대(120)가 상판부(1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상판부(111)의 배면에는 매트리스 지지대(120)가 나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식 지지대 결합돌기부(113)가 마련된다.
나사식 지지대 결합돌기부(113)들은 매트리스 지지대(120)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탄성부재(130)는 파이프 구조물인 매트리스 지지대(120) 내에 각각 마련되어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에 쿠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130)가 매트리스 지지대(120) 내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는 도 1처럼 간단히 침대 매트리스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시 도 7처럼 통풍공간(S)과 통공(H)을 통한 공기의 순환 혹은 흐름에 따라 통풍작용이 진행되어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100)는 침대 매트리스에 덮어씌우는 간편한 시트형 제품이기 때문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선풍기나 에어컨을 함께 사용한다면 통풍효과가 배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200)의 경우에도 상판부(211)와 스커트부(212)를 구비하는 시트 몸체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스커트부(212)가 상판부(211)의 둘레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더라도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에서 매트리스 지지대 영역의 확대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매트리스 지지대(320)가 개시되고 있는데, 이때의 매트리스 지지대(3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압입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판부(311)의 배면에는 매트리스 지지대(320)가 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압입식 지지대 결합돌기부(313)가 마련된다.
이처럼 매트리스 지지대(320)가 압입 방식, 다시 말해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매트리스 지지대(320)가 잘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압입식 지지대 결합돌기부(313)들 역시 매트리스 지지대(320)의 개수만큼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더라도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400)의 경우, 시트 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에어 매쉬(air mash, 41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에어 매쉬(400)는 천이나 약간의 쿠션이 있으며, 다수의 통기공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시트 몸체부(110)의 상면에서 벨크로(41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공성 에어 매쉬(400)는 시트 몸체부(110)의 상면에 덮어씌워짐으로써 통풍성은 유지하면서도 인체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의 단면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의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500)의 경우에도 상판부(511)와 스커트부(512)를 구비하는 시트 몸체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시트 몸체부(510)의 상판부(511)에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 충전되는 포켓부(512)가 형성된다.
포켓부(512)는 시트 몸체부(510)의 상판부(511)에 상변화물질(PCM)이 충전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상변화물질(PCM)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충전라인이 형성된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잠열에 의한 열흡수 또는 열방출 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잠열저장물질, 상전이물질, 혹은 상변화물질(PCM)이라 부른다.
이러한 상변화물질(PCM)을 시트 몸체부(510)의 상판부(511)에 충전시킨 경우, 예컨대 상판부(511)를 약간 차갑게 냉각시킨 상태라면, 통기 작용 시 이러한 냉기로 인해 좀 더 시원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오래 유지할 수 있어 좀 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더라도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종전보다 통풍성과 쿠션성이 좋아 쾌적하고 안락한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H : 통공 S : 통풍공간
100 :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110 : 시트 몸체부
111 : 상판부 112 : 스커트부
113 : 나사식 지지대 결합돌기부 120 : 매트리스 지지대
130 : 탄성부재

Claims (11)

  1. 침대 매트리스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시트 몸체부; 및
    상기 시트 몸체부 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시트 몸체부 내에서 상호간 이격 배치되어 통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매트리스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 몸체부는,
    상기 침대 매트리스의 상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부; 및
    상기 상판부의 둘레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에 형성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들은 상기 상판부와 상기 스커트부 모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스커트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가 나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나사식 지지대 결합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배면에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가 압입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압입식 지지대 결합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는 중앙 영역에서 양 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절구 형상의 파이프(pipe)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들 내에 각각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대 내에 배치되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몸체부의 상면에서 벨크로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에어 매쉬(air mas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몸체부에는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 충전되는 포켓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KR1020120146300A 2012-12-14 2012-12-14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KR10138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00A KR101387280B1 (ko) 2012-12-14 2012-12-14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300A KR101387280B1 (ko) 2012-12-14 2012-12-14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280B1 true KR101387280B1 (ko) 2014-04-21

Family

ID=5065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300A KR101387280B1 (ko) 2012-12-14 2012-12-14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2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8037A1 (en) * 2016-12-21 2018-06-28 Sealy Technology, Llc Pocketed coil spring assembly
KR20180134692A (ko)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셈앤텍 침구용 송풍 매트
KR20190010172A (ko) 2017-07-21 2019-01-30 이관희 통풍 매트리스
KR20190072755A (ko) 2017-12-18 2019-06-26 김재연 욕창방지침대
KR20190131310A (ko) 2018-05-16 2019-11-26 최유미 통풍로가 형성된 매트리스용 쿠션블럭
KR20220147308A (ko) 2021-04-27 2022-11-03 (주)대성파인텍 홀 가드를 가지는 덕트와 이를 이용한 통풍 쿠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28Y1 (ko) * 2003-10-22 2004-01-31 송재용 분해 조립이 용이한 독립형 매트리스
KR200385651Y1 (ko) * 2005-03-09 2005-06-02 인기홍 침대 매트리스
KR20090079642A (ko) * 2008-01-18 2009-07-22 이성헌 매트리스용 독립 스프링 우레탄 발포체
KR20100008646U (ko) * 2009-02-23 2010-09-01 김영걸 3차원 에어메시층을 갖는 라텍스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28Y1 (ko) * 2003-10-22 2004-01-31 송재용 분해 조립이 용이한 독립형 매트리스
KR200385651Y1 (ko) * 2005-03-09 2005-06-02 인기홍 침대 매트리스
KR20090079642A (ko) * 2008-01-18 2009-07-22 이성헌 매트리스용 독립 스프링 우레탄 발포체
KR20100008646U (ko) * 2009-02-23 2010-09-01 김영걸 3차원 에어메시층을 갖는 라텍스 매트리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8037A1 (en) * 2016-12-21 2018-06-28 Sealy Technology, Llc Pocketed coil spring assembly
KR20180134692A (ko)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셈앤텍 침구용 송풍 매트
KR20190010172A (ko) 2017-07-21 2019-01-30 이관희 통풍 매트리스
KR20190072755A (ko) 2017-12-18 2019-06-26 김재연 욕창방지침대
KR20190131310A (ko) 2018-05-16 2019-11-26 최유미 통풍로가 형성된 매트리스용 쿠션블럭
KR20220147308A (ko) 2021-04-27 2022-11-03 (주)대성파인텍 홀 가드를 가지는 덕트와 이를 이용한 통풍 쿠션 장치
KR102524033B1 (ko) * 2021-04-27 2023-04-21 (주)대성파인텍 홀 가드를 가지는 덕트와 이를 이용한 통풍 쿠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280B1 (ko) 침대 매트리스용 통풍시트
US9265369B1 (en) Pillow
US20180064253A1 (en) Spine support insert for adjustable cushion device
JP3194691U (ja) シーツ
JP2016506797A (ja) マットレス構造、及びマットレス構造の技術的特徴を利用してユーザがその使用に適しているか否かについての理解及び決定を促す方法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1221070B1 (ko)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KR20130005445U (ko) 기능성 방석
KR200392947Y1 (ko) 베개
KR20140040874A (ko) 접이식 건강베개
TWM510682U (zh) 可易於收卷並兼具透氣效果的墊體
JP3171680U (ja)
JP3179351U (ja) 枕用シート
CN209547582U (zh) 一种恒温床垫
JP3101719U (ja) マットレス
JP2000175795A (ja)
JP3189528U (ja) フレキシブル通気性載置装置
JP3237035U (ja) 枕及び枕カバー
JP3142141U (ja) 寝具用マット
CN209546563U (zh) 宠物凉垫结构
CN220332536U (zh) 一种竹炭坐垫
CN208355137U (zh) 一种新型水冷暖枕头垫
AU2017101638A4 (en) A Therapeutic Pillow
JP3246591U (ja) 寝具用マット
JP3237034U (ja) 保冷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