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125B1 -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125B1
KR101387125B1 KR1020120107804A KR20120107804A KR101387125B1 KR 101387125 B1 KR101387125 B1 KR 101387125B1 KR 1020120107804 A KR1020120107804 A KR 1020120107804A KR 20120107804 A KR20120107804 A KR 20120107804A KR 101387125 B1 KR101387125 B1 KR 10138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hells
paraffin
hydrochloric acid
nac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591A (ko
Inventor
황의식
Original Assignee
황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식 filed Critical 황의식
Priority to KR1020120107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1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1/00Fertilisers produced by wet-treating or leaching raw materials either with acids in such amounts and concentrations as to yield solutions followed by neutralisation, or with alkaline lyes
    • C05B11/04Fertilisers produced by wet-treating or leaching raw materials either with acids in such amounts and concentrations as to yield solutions followed by neutralisation, or with alkaline lyes using mineral acid
    • C05B11/12Fertilisers produced by wet-treating or leaching raw materials either with acids in such amounts and concentrations as to yield solutions followed by neutralisation, or with alkaline lyes using mineral acid using aqueous hydrochlo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주층 분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주층 분리방법은 조개류 껍데기의 내부표면을 파라핀으로 피복처리 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황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서 꺼내어 일정시간 공기 중에 노출시킨 후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 내부표면에 피복처리된 파라핀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핸드피스 광택용 연마제를 이용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파라핀이 제거된 껍데기를 천연오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METHOD FOR SEPERATING A MOTHER-OF-PEARL LAYER INSIDE SHELLS}
본 발명은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하는 외피 박리를 통하여 진주층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복 등과 같은 조개류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연체부와 이를 보호하고 있는 패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패각의 주성분은 95%의 탄산칼슘(CaCO3)과 콘키올린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특별한 광택을 갖는 진주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한 광택을 갖는 진주층이 있음에도 패각 외피의 둔탁한 표면으로 인해서, 패각은 자개나 단추와 같은 가공품에 일부 사용되어 왔을 뿐, 대부분 산업 쓰레기로 버려지면서, 환경 폐기물로 방치되어 왔다.
따라서 진주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주층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층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전복크기의 기준인 각장 9cm 내외의 폐각의 경우 껍질의 두께는 약 1mm 내외이고, 여기서 진주층을 덮고 있는 흑갈색의 외피는 0.02~3mm정도이다. 이러한, 흑갈색 외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박피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진주층의 손상을 최소화하여야만 껍질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사포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종래의 패각 박피 방법의 경우 얕은 부분의 껍질이 천공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주층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균등하게 박피할 수 있는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개류 껍데기의 내부표면을 파라핀으로 피복처리 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황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서 꺼내어 일정시간 공기 중에 노출시킨 후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 내부표면에 피복처리된 파라핀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핸드피스 광택용 연마제를 이용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파라핀이 제거된 껍데기를 천연오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패각의 내부표면을 파라핀으로 피복처리한 후에, 1차적으로 패각을 일정시간 동안 황산수용액에 침지하여 패각표면 갈색의 경단백으로 구성된 유기물층을 제거하고, 다음으로 묽은 염산수용액에 침지하여 진주층을 둘러싼 외부층을 제거하고, 다시 핸드피스 절삭 공구용 랩스톤 등으로 패각의 외부표면을 연마하는 과정을 일정 횟수 반복함으로써 영롱한 광택이 나는 진주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파라핀을 끓는 물이나 증기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진주층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진주층이 확보된 패각을 천연오일에 일정시간 침지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광택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복 껍데기와 같은 패각의 주요 성분을 살펴보면 탄산칼슘이 대부분으로 이는 염산, 황산, 초산 등 각종 산성에 분해되어 녹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황산을 사용하여 패각의 경단백질 성분을 제거하고, 염산을 사용하여 진주층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염산으로 인한 패각 내부표면의 진주층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표면에 파라핀 피복처리를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개류는 모든 해수, 담수, 기수지역의 패류(전복, 진주조개, 대칭이조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은 파라핀 처리단계(S110), 황산침지단계(S115), 염산침지단계(S120), 표면연마단계(S130), 표면정리단계(S140) 및 파라핀 제거단계(S150) 및 오일침지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과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박피 제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개류 껍데기의 외부 표면을 거친 사포를 이용하여 다듬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조개류 껍데기의 내부표면을 파라핀으로 피복처리 한다(S110). 이를 통해 염산처리과정에서 전복이나 조개와 같은 조개류의 껍데기 내면의 진주층이 염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껍데기 내면의 진주층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표면에 파라핀 피복처리된 조개류 껍데기를 황산수용액에 일정시간 담가놓는다(S115). 이때, 80% ~ 95%의 황산 수용액에 약 20 ~ 30 분 정도 담가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패각 외피 갈색의 경단백질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내부표면에 파라핀 피복처리된 조개류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 일정시간 담가놓는다(S120). 이때, 15% ~ 30%(바람직하게는 25 ~ 30%)의 염산 수용액에 약 3 ~ 5 분 정도 담가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개류 껍데기를 염산 수용액에서 꺼낸 후, 공기 중에 약 5분 정도 노출시키면 화학반응에 의해 껍데기 외부 표면의 껍질이 어느 정도(약 50%) 제거된다.
다음으로, 나머지 부분의 박피를 위하여 껍데기 외부표면을 연마하게 되는데, 이때 핸드피스 절삭 공구용 랩스톤이나 스톤휠로 다듬을 수 있다(S130).
상술한 염산침지단계(S120) 및 표면연마단계(S130)에 따른 작업을 3 ~4회 반복함으로써 껍데기 외부표면은 내부표면과 같은 진주층을 갖게 된다. 반복회수는 조개류에 따라서, 또는 염산의 산도에 따라서 가감할 수 있다. 다만, 염산 등의 산성 용액의 농도가 너무 진하면 껍질이 천공될 수 있고, 농도가 너무 연하면 여러 번 반복작업을 해야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박리하고자 하는 조개류 껍데기의 상태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하면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개류 껍데기에 대한 외부표피 박리작업이 완료되어 진주층이 분리되면 껍데기외 외부표면을 정리하는 작업을 한다(S140). 이때, 핸드피스 광택용 연마제를 이용하여 정리함으로써 표면의 광택을 향상시킴으로써, 영롱한 자연의 천연 조개류 진주 패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껍데기 내부표면에 처리한 파라핀을 스팀기나 끓는물을 이용하여 녹여서 제거할 수 있는데, 이리한 과정을 통해, 진주층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S150).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천연진주층이 확보된 패각을 일정시간 오일(예를 들면, 동백유나 올리브유)에 침지를 함으로써(S160), 패각 진주층에 오일이 침투되어 보다 영롱하고 선명한 광택을 유지 보전할 수 있게 되어 진주층이 갖는 고유특성과 지속적인 광택을 보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조개류 껍데기의 거친 부분을 다듬어 크기별로 선별. 제품의 활용 용도별로 구분하여 각종 장신구나 기념 상패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주층 분리방법을 적용하기 전의 미가공 전복의 껍데기를 보여준다. 진주층이 분리되기 전의 전복 껍데기(a)는 패각 외피가 둔탁한 표면을 이루고 있고 흑갈색 및 녹갈색의 보호막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b)의 전복의 껍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산처리에 따라 경단백질이 제거된 것으로, 가공전 전복의 껍데기(a)에 비하여 선명하다.
도 2의 (c)의 전복의 껍데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주층 분리방법을 적용하여 확보된 진주층을 보유하고 있어서, 가공전 전복의 껍데기(a) 및 황산처리된 껍데기(b)에 비하여 선명한 광택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1) 조개류 껍데기의 내부표면을 파라핀으로 피복처리 하는 단계;
    (1.5) 상기 껍데기를 황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2)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
    (3) 상기 껍데기를 염산수용액에서 꺼내어 일정시간 공기 중에 노출한 후,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4) 상기 (2)단계 및 (3)단계를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 및
    (5) 상기 껍데기 내부표면에 피복처리된 파라핀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6) 상기 파라핀이 제거된 껍데기를 천연오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 상기 (4) 단계 및 (5) 단계 사이에 상기 껍데기의 외부표면을 핸드피스 광택용 연마제를 이용하여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산 수용액은 15% ~ 30% 농도의 염산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파라핀의 제거는 증기 스팀기나 끓는 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황산수용액은 80 ~ 95% 농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개류 껍데기 진주층 분리방법.
KR1020120107804A 2012-09-26 2012-09-26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KR101387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4A KR101387125B1 (ko) 2012-09-26 2012-09-26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04A KR101387125B1 (ko) 2012-09-26 2012-09-26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91A KR20140040591A (ko) 2014-04-03
KR101387125B1 true KR101387125B1 (ko) 2014-04-23

Family

ID=5065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04A KR101387125B1 (ko) 2012-09-26 2012-09-26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884B1 (ko) 2018-05-02 2020-07-06 안상우 염산과 초산을 이용한 고광택을 갖는 패각 진주층 분리방법
CN110014781A (zh) * 2019-03-01 2019-07-16 陈茂强 一种数控化贝螺镶嵌装饰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430A (ja) 2001-05-23 2002-11-27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アコヤ貝真珠層粉末を得る方法
KR100816979B1 (ko) 2007-04-13 2008-03-26 이백근 조개껍데기와 숯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26254A (ja) 2009-07-27 2011-02-10 Nihon Shell Tech Kk 貝殻焼成カルシウム粉末、貝殻焼成カルシウム水溶液、および貝殻焼成カルシウム水溶液の噴霧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430A (ja) 2001-05-23 2002-11-27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アコヤ貝真珠層粉末を得る方法
KR100816979B1 (ko) 2007-04-13 2008-03-26 이백근 조개껍데기와 숯을 이용한 건축용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26254A (ja) 2009-07-27 2011-02-10 Nihon Shell Tech Kk 貝殻焼成カルシウム粉末、貝殻焼成カルシウム水溶液、および貝殻焼成カルシウム水溶液の噴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591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125B1 (ko) 조개류 껍데기의 진주층 분리방법
TW201041818A (en) Surface grinding processing and producing method of glass product
US5888918A (en) Method for enhancing the color of minerals useful as gemstones
CN106903484A (zh) 一种金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889827B (zh) 一种抛光银制品的方法
CN107984305B (zh) 高亮手机后盖的后处理加工工艺
CN103932465B (zh) 桃核手链的加工工艺
KR20110118213A (ko) 고온 열처리 과정이 없는 재생골프공 제조방법
CN104894578B (zh) 一种原色银的制作方法
CN105696004A (zh) 一种去除黄铜氧化膜的方法
KR102130884B1 (ko) 염산과 초산을 이용한 고광택을 갖는 패각 진주층 분리방법
KR101086633B1 (ko) 전복조개 껍질의 진주층 분리 방법
KR101587993B1 (ko) 키조개 패각 쥬얼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키조개 패각 쥬얼리
KR101353489B1 (ko) 키조개 껍질의 진주층 분리방법
JP7216861B1 (ja) 貝殻の表面処理剤及び貝殻の表面処理方法
CN107264160B (zh) 首饰表面图案反向着色工艺
CN108582390A (zh) 一种家具做旧方法
KR101248160B1 (ko) 천연 가죽의 흠집 제거 방법
CN110801410A (zh) 一种含植物精油的洗甲水
KR100901687B1 (ko) 파스용 자석 및 그 제조방법
JP4625452B2 (ja) クラゲ加工品
KR102005565B1 (ko) 연마광택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6116B1 (ko) 손톱 손상없이 제거 가능한 신규한 베이스 젤
CN105092349A (zh) 一种新型一系铝合金(纯铝系)待腐蚀试样的制备方法
CN103422107A (zh) 一种生锈链条的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