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724B1 -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724B1
KR101386724B1 KR1020130092646A KR20130092646A KR101386724B1 KR 101386724 B1 KR101386724 B1 KR 101386724B1 KR 1020130092646 A KR1020130092646 A KR 1020130092646A KR 20130092646 A KR20130092646 A KR 20130092646A KR 101386724 B1 KR101386724 B1 KR 10138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bath composition
heat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택
우섬길
우종필
Original Assignee
우현택
우종필
우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택, 우종필, 우섬길 filed Critical 우현택
Priority to KR102013009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총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계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정제수에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원료에 혼합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의 입욕제 조성물은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및 세척, 체내 노폐물 배출, 면역력 증강 및 혈액순환 개선 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ATH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체내 노폐물 배출 및 세척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체내 노폐물 배출 및 세척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불규칙적인 생활패턴, 각종 스트레스, 환경오염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해주는 필수적인 미네랄과 필수 아미노산의 결핍, 피부 건조, 피부 각질 형성 등의 피부손상에 쉽게 노출되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항상성 유지 및 피부의 보호 및 개선용 입욕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반신욕 및 아로마목욕 등의 목욕요법이 알려지면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목욕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목욕요법은 특별한 부작용 없이 작게는 미용효과, 질병의 예방 및 개선에 이르기까지 주목할만한 효과를 제공한다.
입욕제는 대부분 광물성과 식물성 원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약초를 이용하여 한의학적 치료효과를 제공하는 입욕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약초를 이용한 입욕제의 경우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약초를 직접 구하고, 이를 욕조 물에 우려낸 후, 그 약초물에 목욕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일반 가정에서 보편화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입욕제들은 입욕 후에 광물성 및 식물성 원료가 욕조내에 잔존하게 되어 입욕제 잔존물을 별도로 제거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및 세척, 체내 노폐물 배출, 면역력 증강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욕제 원료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발효 및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입욕 후에 욕조 내에 잔존물이 남지않는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 총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계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총백 추출물 1 내지 1.2 중량부, 생강 추출물 0.8 내지 1 중량부, 계지 추출물 1.3 내지 1.5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0.7 내지 0.9 중량부 및 첨가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는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 함유된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약용식물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약용식물 추출물은 상기 약용식물 추출물은 무화과, 석창포 및 산들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제수에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원료에 혼합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단계와 상기 농축단계 사이에는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성분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성분 100 중량부에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0.1 내지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30 내지 4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단계는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농축단계는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를 이용하여 3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및 세척, 체내 노폐물 배출, 면역력 증강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입욕제 원료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발효 및 농축하는 과정을 통해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입욕 후에 욕조 내에 잔존물이 남지않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은 정제수, 총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계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및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정제수 100 중량부, 총백 추출물 1 내지 1.2 중량부, 생강 추출물 0.8 내지 1 중량부, 계지 추출물 1.3 내지 1.5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0.7 내지 0.9 중량부 및 첨가제 0.01 내지 0.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총백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2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총백은 대파의 흰 부분을 일컷는 것으로, 성질이 따뜻하여 체온을 향상시켜주며, 피로회복과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정제수와 총백을 3: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총백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열수추출과정에서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총백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90℃를 초과하게 되면 총백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의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상기 생강 추출물, 계지 추출물, 사장자 추출물 및 첨가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생강(Zingiber officinale)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0.8 내지 1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생강은 음식의 감칠맛을 살리는 향신료뿐만 아니라 한방 처방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약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생강 내 함유된 방향성 물질인 정유성분으로 보르네올(borneol), 시네올(cineole), 시트랄(citral), 페놀(phenol), 알카로이드(alkaloid) 등을 포함하여 비린내 등 좋지 못한 냄새나 맛을 제거하고 중추성 욕지기를 멈추고, 매운 성분인 진저롤(gingerol)과 쇼가올(shogaol)은 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정제수와 생강을 3: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하여 생강 추출물로 제조된다.
또한, 생강 추출물을 입욕제 조성물에 적용하면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생강의 함량이 0.8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탄력의 증진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생강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강한 냄새로 인해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부자극이 심해질 수 있다.
상기 계지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1.3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상기 계지는 육계나무의 햇가지로서, 한방에서는 두통, 근육경련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임상에서는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정제수와 계지를 3: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하여 계지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계지 추출물이 입욕제 조성물에 적용되면,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아토피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사상자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0.7 내지 0.9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상기 사상자는 저지대의 산야나 계곡 등지에서 흔히 서생하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이년초로서, 항바이러스, 살균작용, 음부소양증, 종통, 낭습종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으며, 정제수와 사상자를 3: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하여 사상자 추출물로 제조된다.
상기 사상자 추출물이 입욕제 조성물에 적용되면,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아토피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는 0.01 내지 0.05 중량부가 함유되며, 구기자 및 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성분을 정제수와 1:3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하여 구기자 추출물 또는 밤 추출물 또는 그 혼합물로 제조된다.
상기 구기자 추출물은 피부를 투명하고 맑게 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누적된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밤 추출물은 비타민B1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윤기있게 하며,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는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 함유된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약용식물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데, 상기 약용식물 추출물은 상기 약용식물 추출물은 무화과, 석창포 및 산들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정제수와 1:3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화과는 피부에 열을 내려줘 피부트러블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상기 석창포는 피부 가려움증, 습진 및 피부병을 치료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산들깨는 피부자극을 완화시키고, 항염 활성을 나타내어 피부트러블이나 아토피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약용식물 추출물이 더 함유된 입욕제 조성물은 피부트러블이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더욱 향상되는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약용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고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정제수에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원료에 혼합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가열단계(S103) 및 상기 가열단계(S103)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단계(S1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정제수에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이때, 상기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1 내지 3 밀리미터를 갖도록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의 입자크기가 1 밀리미터 미만을 갖도록 하려면 분쇄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입자크기가 3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가열단계(S103)에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열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원료에 혼합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로,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가열단계(S103)을 거치면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에서 혼합된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추출된다.
이때, 상기 가열단계(S103)에서 가열온도가 80℃ 미만이면 상기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가열온도가 90℃를 초과하게 되면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및 첨가제에서 추출된 유효성분의 효능은 상기 입욕제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농축단계(S105)는 상기 가열단계(S103)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로, 상기 가열단계(S103)를 거친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과된 여액을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를 이용하여 3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농축과정을 거치면 추출물에 함유된 각 성분의 함량은 정제수 100 중량부 대비 총백 추출물 1 내지 1.2 중량부, 생강 추출물 0.8 내지 1 중량부, 계지 추출물 1.3 내지 1.5 중량부, 사상자 추출물 0.7 내지 0.9 중량부 및 첨가제 0.01 내지 0.05 중량부가 된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103)와 상기 농축단계(S105) 사이에는 상기 가열단계(S103)를 통해 추출된 성분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S104)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열단계(S103)를 통해 추출된 성분을 발효시키게 되면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이 더욱 증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발효단계(S104)는 상기 가열단계(S103)를 거쳐 추출된 성분 100 중량부에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0.1 내지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30 내지 4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효단계(S104)을 거치면, 혐기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는 환원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예컨대,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산화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의 저분자화를 통해 항산화 물질을 만들어 내는데, 사람의 체질에 따라서는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성분에 대해 알러지가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성분을 혐기성 미생물로 발효시키면 고유의 독성이나, 잔류농약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되어 알러지 반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혐기성 미생물로 발효되면 새로운 신물질(아미노산, 항산화 물질 등)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신물질은 면역력증강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발효단계(S104)에서 발효온도가 40℃ 미만이면, 발효과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발효단계(S104)에서 발효온도가 50℃를 초과하게 되면, 발효과정에서 부패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거치면 아토피개선, 피부보습 및 세척, 체내 노폐물 배출, 면역력 증강 및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입욕 후에 욕조 내에 잔존물이 남지않는 입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가열단계
S104 ; 발효단계
S105 ; 농축단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정제수 100 중량부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1 내지 3 밀리미터를 갖도록 분쇄된 총백, 생강, 계지, 사상자, 첨가제 및 약용식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원료에 혼합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가열단계; 및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하는 농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첨가제는 구기자 및 밤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용식물은 무화과, 석창포 및 산들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단계와 상기 농축단계 사이에는 상기 가열단계를 통해 추출된 성분 100 중량부에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0.1 내지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30 내지 40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는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농축단계는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를 이용하여 3 내지 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92646A 2013-08-05 2013-08-05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46A KR101386724B1 (ko) 2013-08-05 2013-08-05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46A KR101386724B1 (ko) 2013-08-05 2013-08-05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724B1 true KR101386724B1 (ko) 2014-04-24

Family

ID=5065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46A KR101386724B1 (ko) 2013-08-05 2013-08-05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498A (ko) 2019-12-12 2021-06-22 김나연 천연 입욕제의 제조 방법 및 천연 입욕제
KR102452715B1 (ko) 2021-08-13 2022-10-11 주식회사 아니모 티백형 입욕제 및 그의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98A (ko) * 2002-03-22 2003-09-26 임은규 목욕용 생약제 조성물
KR20060033069A (ko) * 2004-10-14 2006-04-19 김태균 습열에 의한 아토피 치료를 위한 입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입욕제백
KR100644086B1 (ko) * 2005-01-19 2006-11-10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270917B1 (ko) * 2010-04-20 2013-06-05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998A (ko) * 2002-03-22 2003-09-26 임은규 목욕용 생약제 조성물
KR20060033069A (ko) * 2004-10-14 2006-04-19 김태균 습열에 의한 아토피 치료를 위한 입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입욕제백
KR100644086B1 (ko) * 2005-01-19 2006-11-10 전진바이오팜 주식회사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270917B1 (ko) * 2010-04-20 2013-06-05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498A (ko) 2019-12-12 2021-06-22 김나연 천연 입욕제의 제조 방법 및 천연 입욕제
KR102359844B1 (ko) * 2019-12-12 2022-02-09 김나연 천연 입욕제의 제조 방법 및 천연 입욕제
KR102452715B1 (ko) 2021-08-13 2022-10-11 주식회사 아니모 티백형 입욕제 및 그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86472B (zh) 一种抗敏舒缓组合物和抗敏舒缓乳液及其制备方法
CN104940050A (zh)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KR2013006951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20130123626A (ko) 탈모와 피부노화 방지 기능을 갖는 해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화장품
CN110179694A (zh) 一种疤痕修复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1450227A (zh) 一种用于舒缓肩颈酸痛的植物精油
CN104906005A (zh) 一种湿巾的生产方法
KR101196397B1 (ko)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피톤치트 생성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86724B1 (ko)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891504A (zh) 一种以生姜药渣为基材的四季护肤防疫生姜膏及制备方法
KR20110082752A (ko) 한방 피부 보습 및 세정 조성물
KR100597997B1 (ko)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511474A (zh) 具有祛除皮肤痤疮功能的外用中药组合物及其护肤制剂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1437336B1 (ko) 침엽수잎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천연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20513A (ko) 탈모예방 및 발모효과가 우수한 헤어토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0315B1 (ko)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075251B (zh) 中药组合物、其制剂及制备方法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55582B (zh) 一种用于皮肤轻度烧烫伤的配方精油
CN110013462B (zh) 一种用于美白护肤的艾草泥膏及其制备方法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0030B1 (ko) 에센스 오일 화장료 제조방법
CN108498616A (zh) 一种治疗手术增生疤痕、烧烫伤疤痕、疤痕疙瘩的药膏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