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917B1 -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917B1
KR101270917B1 KR1020100036318A KR20100036318A KR101270917B1 KR 101270917 B1 KR101270917 B1 KR 101270917B1 KR 1020100036318 A KR1020100036318 A KR 1020100036318A KR 20100036318 A KR20100036318 A KR 20100036318A KR 101270917 B1 KR101270917 B1 KR 10127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activity
weight
bat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726A (ko
Inventor
박수영
서인수
이호상
이욱재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0003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9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집보리수나무 추출물, 바디나물 추출물, 천선과나무 추출물 등의 약용 식물을 포함하고 또 보리 주박 추출물이나 분말, 송이 분말,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을 포함함으로서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피부 보습 활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는 입욕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FUNCTIONAL BATH CLEANSER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욕제는 일반적으로 입욕 시에 욕조에 투입하여 입욕에 의한 피로 회복, 피부 미용 등 건강 증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입욕 보조제를 말한다.
적당한 농도로 염류나 유황과 같은 입욕제를 욕탕(浴湯)에 넣으면 피부에 대한 자극이 완화되어 장시간의 입욕에 견딜 수 있게 되므로 온천요법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입욕제에 대한 개발에 있어서, 초기에는 유기산, 탄산염, 이온성 계면활성제, 각종 폴리머 등의 합성 화학물질을 주성분으로 한 입욕제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스트레스 해소, 비만 등 성인병의 예방, 피부 노화 방지, 피부 보습 효과, 아토피 등의 피부 질환 개선, 숙취 해소 등 각종 기능성에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입욕제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0762288호는 복숭아 꽃 추출물 및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아토피나 건성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입욕제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5184호는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소나무잎, 쑥, 당귀, 정제된 황토 및 숯 분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방광염, 폐렴, 질염 등 각종 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입욕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도 천연 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항스트레스 활성을 갖고 더불어 피로 회복 활성과 피부 보습 활성을 갖는 입욕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집보리수나무 추출물, 바디나무 추출물 및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동물실험을 통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이들 추출물을 보리 주박 추출물,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 농축 분말 그리고 송이 분말과 혼합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입욕제 조성물의 피로 회복 활성, 항스트레스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에 대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 바디나무 추출물 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에 비하여 위 활성들이 모두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집보리수나무 추출물, 바디나물 추출물 및/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집보리수나무 분말, 바디나물 분말 및/또는 천선과나무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그것은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가 욕조의 온수에 용해시켜 사용할 제품이란 점에서, 집보리수나무 분말, 바디나물 분말 ,천선과나무 분말을 사용하더라도 추출물 형태의 것을 사용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집보리수나무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집보리수나무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집보리수나무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대상인 집보리수나무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바디나물 추출물"과 "천선과나무 추출물"은 추출 대상이 바디나물 전초 또는 천선과나무의 잎, 줄기, 꽃, 뿌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능성"은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입욕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집보리수나무 추출물/분말, 바디나물 추출물/분말 및/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분말을 상기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5.0 중량 % 내지 99.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상기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분말, 바디나물 추출물/분말 및/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분말 이외에, 보리 주박(酒粕) 추출물/분말, 송이 분말,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리 주박 추출물"은 보리 주박을 건조·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추출 용매로 처리하여 얻어진 것이나, 그 건조 분말을 산, 알카리, 단백질 분해효소 및/또는 탄수화물 분해 효소로 처리하고 그 얻어진 결과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여기서 추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단백질 분해효소는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 유래의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파파인, 펩신, 트립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수화물 분해효소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셀룰라제, 펙티나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은 그 추출 대상이 보리 주박의 건조 분말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리 주박은 보리를 가공하여 발효주를 생산을 하고 남은 잔여물을 의미한다. 보리 주박은 기본적으로 보리의 껍질(husk)-과피(pericarp)-종피(seed coat)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네랄,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특히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욕조의 온수에 용해시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보리 주박 추출물 대신에 또는 그 추출물과 함께 보리 주박 분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송이 분말"이란 화산재로서 스코리아(scoria)를 의미한다. 송이는 수많은 불규칙한 관상 기공을 가지고 있어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하며 약간 모가 난 입상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 현무암질 암괴이다. 송이는 고열의 화산열에 의하여 점토가 타서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송이는 통상 그 내화도가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또 본 명세에서,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란 제주도의 행정구역상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를 말한다(최순학 등, 1989. 제주도 지하수의 수질특성, 대한지질학회지, 제25(3)권, P.230-238; 고기원, "제주도 지하수 부존특성과 서귀포층의 수문지질학적 관련성", 1997,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고기원,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 상태", 1991,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 오윤근 등, "Tritium(3H)을 이용한 제주도 동부지역 지하수의 염수화에 관한 연구", 2000, 한국환경과학회 학술대회지, P.55-57; 이상규, "제주도 지하수 문제에서 물리탐사의 역할",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학술대회지, 1994, P.75-91; 최윤영 등, "제주도 동부지역에서 해수 침입에 의한 지하수 염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처리기술연구회 6(4), 1998, P.15-26). 구체적으로 염지하수가 부존하고 있는 제주도 동부 지역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853244호 명세서의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853244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에는 해양심층수와 유사하게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853244호 참조; 그 명세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염지하수의 농축물"이란 염지하수를 탈수시켰을 때 얻어지는 임의의 것을 의미한다. 완전히 탈수되었을 때는 분말 형태의 결과물이 얻어질 것인데, 상기 "염지하수의 농축물"에는 이러한 분말 형태의 결과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말 형태의 결과물은 그 염지하수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들의 조성물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이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분말, 바디나물 추출물/분말 및/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분말 이외에, 보리 주박(酒粕) 추출물/분말, 송이 분말, 제주도 동부 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을 추가로 포함할 경우, 본 발명자의 경험에 따를 때 (a) 집보리수나무 추출물/분말, 바디나물 추출물/분말 및/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분말은 5 내지 30 중량%, 보리 주박 추출물/분말은 10~60 중량%, 송이 분말은 10 내지 40 중량%,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은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추가로 여러 약용 식물을 추출물/분말 형태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그러한 약용식물로서는 부쟁이, 생달나무, 순비기나무, 무화과나무, 석창포, 산들깨, 비파나무, 머귀나무, 개산초나무, 무환자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약용 식물은 뿌리, 줄기, 잎, 열매 및/또는 꽃을 건조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분말로 이용하거나 상기 "집보리수나무 추출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콜 등의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입욕제 조성물에 통상 포함되는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보온/온열 효과를 위한 무기 염류, 제제의 성형을 위한 부형제, 보습 효과를 위한 실리카, 피부 윤택과 혈액 순환의 촉진을 위한 아미노산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유기산류, 알콜류, 비타민류, 향료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을 가진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조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집보리수나무 , 바디나물 및 천선과나무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집보리수나무 추출물의 제조
집보리수나무 줄기 파쇄물, 잎 파쇄물 및 과실의 파쇄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3배 중량의 물을 넣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바디나물 추출물의 제조
바디나물(전초)의 파쇄물에 3배 중량의 물을 넣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천선과나무 추출물의 제조
천선과나무 줄기 파쇄물, 잎 파쇄물 및 과실의 파쇄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3배 중량의 물을 넣고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 제조예 및 비교 제조예 >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예 1
보리 주박 추출물 30 중량%, 송이 분말 20 중량 %, 제주 동부지역의 염지하수의 분말상의 농축물 30 중량% 및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 20 중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보리 주박 추출물은 보리 주박을 건조·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80% 에탄올에 24시간 침지시키고 그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분말상의 추출물이다.
<제조예 2>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예 2
보리 주박 추출물 30 중량%, 송이 분말 20 중량 %, 제주 동부지역의 염지하수의 분말상의 농축물 30 중량% 및 상기 <실시예 2>의 추출물 20 중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입욕제 조성물의 제조예 3
보리 주박 추출물 30 중량%, 송이 분말 20 중량 %, 제주 동부지역의 염지하수의 분말상의 농축물 30 중량% 및 상기 <실시예 3>의 추출물 20 중량%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입욕제 조성물의 비교 제조예
실시예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보리 주박 추출물 35 중량%, 송이 분말 25 중량 % 및 제주 동부지역의 염지하수의 분말상의 농축물 40 중량%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스트레스 활성(심신 안정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또는 피부 보습 활성 실험
<실험예 1> 항스트레스 활성 동물실험
상기 각 실시예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활성에 대해서 동물실험을 통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Cortisol) 분비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50~300g 6주령의 SD계 흰쥐{(주)중앙실험동물, 대한민국}를 구입하여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사료를 충분히 제공하며 5마리씩 분리 사육하여 2주간 시험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시험 24시간 전에 상기 각 실시예(200mg/kg)의 추출물을 흰쥐에 경구 투여하고, 투여 24 시간 후 강제적 스트레스(Restrain Stress)를 가한 후, 혈액을 채취하고 코르티졸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음성 대조군은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군이고, 양성대조군은 스트레스를 가한 군이며, 실험군은 스트레스를 가하고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다.
코르티졸의 혈중 농도 변화
구분 혈중 코르티졸의 농도(mmol/ℓ)
음성 대조군 45.2±3.45
양성 대조군 82.5±5.73
<실시예 1>의 추출물 투여군 64.7±4.63
<실시예 2>의 추출물 투여군 63.4±3.72
<실시예 3>의 추출물 투여군 59.6±2.56
상기 [표 1]의 결과는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혈중 농도를 저하시킴을 보여준다.
<실험예 2>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 관능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 입욕제 조성물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에 대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1인용 욕조에 물을 가득 채운 후 상기 각 제조예의 입욕제 조성물을 40g 첨가하여 녹이고 1일 1회 15~20분가량 1주일 동안 입욕을 하게 하고 아래의 기준에 따라 개선도를 구분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A: 우수한 효과, B: 다소 우수한 효과, C: 효과 없음
결과를 아래의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의 입욕제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효과
참가자수 우수한 효과 다소 효과 있음 효과 없음
항스트레스 활성 10 6 3 1
피로 회복 활성 10 7 3 0
피부 보습 활성 10 5 4 1
<제조예 2>의 입욕제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효과
참가자수 우수한 효과 다소 효과 있음 효과 없음
항스트레스 활성 10 4 6 0
피로 회복 활성 10 6 3 1
피부 보습 활성 10 5 3 2
<제조예 3>의 입욕제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효과
참가자수 우수한 효과 다소 효과 있음 효과 없음
항스트레스 활성 10 4 6 0
피로 회복 활성 10 5 3 2
피부 보습 활성 10 7 2 1
<비교 제조예>의 입욕제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효과
참가자수 우수한 효과 다소 효과 있음 효과 없음
항스트레스 활성 10 2 6 2
피로 회복 활성 10 5 2 3
피부 보습 활성 10 5 1 4
상기 [표 2] 내지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집보리수나무 추출물, 바디나물 추출물 또는 천선과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어 제조된 제조예의 입욕제 조성물의 항스트레스 활성, 피로 회복 활성 및 피부 보습 활성이 비교 제조예의 입욕제 조성물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음을 보여준다.

Claims (6)

  1. (a) 보리 주박 추출물 또는 보리 주박 분말;
    (b) 송이(스코리아, scoria) 분말;
    (c)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 및
    (d) 항스트레스 활성으로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바디나물 전초 추출물 또는 바디나물 전초의 분말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a) 성분인 보리 주박 추출물 또는 보리 주박 분말을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b) 성분인 송이(스코리아, scoria) 분말을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c) 성분인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는 염지하수의 농축물은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d) 성분인 바디나물 전초 추출물 또는 바디나물 전초의 분말을 5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용식물 추출물 또는 그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고,
    그 약용식물 추출물 또는 그 분말은 부쟁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생달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순비기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석창포 추출물 또는 그 분말, 산들깨 추출물 또는 그 분말, 비파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머귀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개산초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 또는 무환자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은 산제, 액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20100036318A 2010-04-20 2010-04-20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127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18A KR101270917B1 (ko) 2010-04-20 2010-04-20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18A KR101270917B1 (ko) 2010-04-20 2010-04-20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26A KR20110116726A (ko) 2011-10-26
KR101270917B1 true KR101270917B1 (ko) 2013-06-05

Family

ID=4503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318A KR101270917B1 (ko) 2010-04-20 2010-04-20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9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4B1 (ko) * 2013-08-05 2014-04-24 우현택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5041B1 (ko) 2019-12-10 2021-04-28 (주)미스플러스 휴지기간이 없는 입욕제 제조방법
KR20210070546A (ko) * 2019-12-05 2021-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원네이처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44B1 (ko) * 2011-11-15 2013-10-29 (주)제주사랑농수산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1490114B1 (ko) * 2013-04-29 2015-02-10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석창포 정유 추출물과 비자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향료 조성물
CN104042715B (zh) * 2014-06-30 2017-01-11 吉林化工学院 一种刺玫果分散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01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70013481A (ko) * 2005-07-26 2007-01-3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24689A (ja) * 2006-07-25 2008-02-07 Nippon Apricot Kk 入浴剤
KR20100010049A (ko) * 2010-01-08 2010-01-29 녹차원(주) 비타민 나무의 열매와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01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70013481A (ko) * 2005-07-26 2007-01-3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24689A (ja) * 2006-07-25 2008-02-07 Nippon Apricot Kk 入浴剤
KR20100010049A (ko) * 2010-01-08 2010-01-29 녹차원(주) 비타민 나무의 열매와 잎을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724B1 (ko) * 2013-08-05 2014-04-24 우현택 입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0546A (ko) * 2019-12-05 2021-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원네이처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305964B1 (ko) 2019-12-05 2021-09-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원네이처 좁은잎천선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45041B1 (ko) 2019-12-10 2021-04-28 (주)미스플러스 휴지기간이 없는 입욕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26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917B1 (ko)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39309A (ko)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9132662A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KR101867308B1 (ko)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05754809B (zh) 一种工业化生产有机富硒藏虫草原浆酒的方法及所得产物
KR20120001111A (ko)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20130092652A (ko) 숙취해소용 자연차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9672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CN105266164A (zh) 一种高能量子富硒功能水的制作方法
KR101606381B1 (ko) 친환경 가공천일염을 이용한 융복합 미용솔트 제조방법
KR102331515B1 (ko)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0869B1 (ko) 천연 성분이 포함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1652897B1 (ko)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1391788B1 (ko)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KR20110091959A (ko) 암의 치료 개선효과를 갖는 무수 유산균발효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17841A (ko) 돌분말과 숯분말로부터 얻은 정제수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114745A (zh) 一种枸杞多糖果蜜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111364A (ko) 기능성바이오세라믹과 107가지 산야초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기능성 피부건강미용제
CN104489834B (zh) 一种含鱼腥草的植物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