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221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221B1
KR101386221B1 KR1020130076527A KR20130076527A KR101386221B1 KR 101386221 B1 KR101386221 B1 KR 101386221B1 KR 1020130076527 A KR1020130076527 A KR 1020130076527A KR 20130076527 A KR20130076527 A KR 20130076527A KR 101386221 B1 KR101386221 B1 KR 10138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display
image
observ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275A (ko
Inventor
야스히로 다이쿠
히데히로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6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series; tande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2Function characteristic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표시장치에서는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라, 항상 다수의 배리어 영역(슬릿영역)이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우방향으로 나열된 상태가 되는 패턴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라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표시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시차 배리어의 패턴 변경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라고 해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표시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시차 배리어의 패턴 병경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에 의한 입체 화상의 표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수한 안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입체 화상의 표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이 알려져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표시장치는 주로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각각 요소 화상을 단위로서 하나의 세로 라인 간격으로 교대로 나열해서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와, 표시 디바이스(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바로 앞에 설치되는 시차(視差) 배리어로 구성된다. 시차 배리어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과 동일한 주기로 가로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배리어 영역과, 각 배리어 영역의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슬릿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있어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관찰자에게 시차 배리어를 통해 표시 디바이스를 관찰시키고, 관찰자의 좌안에 좌안용 화상만을 시인(視認)시키며, 또한 관찰자의 우안에 우안용 화상만을 시인시키는 것에 의해,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인식시킨다. 즉, 관찰자에게 표시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한다.
또, 예를 들면 국제 공개 WO2007/024118A1(일본국 특개표 2009-506357호 공보)에는 시차 배리어를 도트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에 의해 형성하고, 표시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과, 액정 패널에 표시(형성)하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을 이하와 같이 제어하는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즉, 상기 국제 공개 WO2007/024118A1에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이 90°회전되었을 때에는 회전 전과는 달리, 표시 디바이스에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90°회전시킨 상태로 표시시키고,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이 관찰자에게 있어서 가로방향(좌우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확보한다. 동시에, 액정 패널에는 다수의 배리어 영역(슬릿영역)의 나열방향이 회전 전의 방향과 직교하는 시차 배리어, 즉 다른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를 표시시키고, 다수의 배리어 영역이 관찰자에게 있어서 가로방향(좌우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확보하는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입체 화상의 표시중에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이 90°회전한 방향으로 변화되었다고 해도, 관찰자에게 지장없이 입체 화상을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상기 표시장치에서는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을,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라, 항상 다수의 배리어 영역(슬릿영역)이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우방향으로 나열된 상태가 되는 패턴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라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표시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시차 배리어의 패턴 변경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해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영역에 대향해서 설치된 시차 배리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차 배리어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제 1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2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행방향에 인접하는 제 3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4 화소의 4개의 화소에 대해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이 대응하고, 상기 각 개구 영역은 상기 행방향을 따라 2개의 화소분의 간격을 갖고, 상기 열방향에 2개의 화소분의 간격을 갖고,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서로 상기 행방향에 1개의 화소분의 간격만큼 벗어난 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90도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해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의 표시장치는,
표시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영역에 대향해서 설치된 시차 배리어와,
상기 화소에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 모듈의 회전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차 배리어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제 1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2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행방향에 인접하는 제 3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4 화소의 4개의 화소에 대해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이 대응하고, 상기 각 개구 영역은 상기 행방향을 따라 2개의 화소분의 간격을 갖고, 상기 열방향에 2개의 화소분의 간격을 갖고, 인접하는 행 사이에서 서로 상기 행방향에 1개의 화소분의 간격만큼 벗어난 위치에 복수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행방향이 관찰자의 우안과 좌안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 1 회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에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1 회전 상태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열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과 상기 좌안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 2 회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상기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상기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다.
또, 상기 발명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해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제어방법의 형태의 하나는,
표시 모듈이 제 1 회전 상태에 있을 때에, 제 1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제 1 방향에 인접하는 제 2 화소에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인접하는 제 3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에 인접하는 제 4 화소에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표시 모듈이 상기 제 1 회전 상태로부터 미리 정한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제 2 회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라고 해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표시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표시 디바이스의 방향의 변화에 따른 시차 배리어의 패턴 병경을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외관도이다.
도 2는 표시부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배리어 표시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표시 모듈의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b는 시차 배리어의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시차 배리어의 개구 영역과 표시 모듈의 화소 그룹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c는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는 시차 배리어의 개구 영역과 표시 모듈의 화소 그룹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b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c는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휴대 전화기의 전기적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어부에 의한 화상표시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휴대 전화기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b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3D 화상의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a는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선 평면도이다.
도 11b는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시선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차 배리어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시차 배리어의 개구 영역과 표시 모듈의 화소 그룹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a는 표시부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에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의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b는 표시부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에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의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a는 표시부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에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의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b는 표시부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에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의 시인 가능 영역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a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b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a는 휴대 전화기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7b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3D 화상의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표시장치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이다. 이 휴대 전화기(1)는 접이형이고, 힌지부(2)를 통해 개폐 자유롭게 연결된 본체부(3)와 덮개부(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덮개부(4)를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부(3)에는 음성 입력용의 마이크(5)와,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1)의 조작 시에 사용하는 조작 버튼군(6)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4)에는 문자정보나 화상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방형의 표시부(7)와, 음성 출력용의 스피커 (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표시부(7)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시부(7)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 화상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며, 후술의 표시영역이 덮개부(4)로부터 노출하도록 덮개부(4)에 편입된 표시 모듈(9)과, 표시 모듈(9)의 앞면에 배치된 배리어 표시소자(10)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모듈(9)은 문자정보나 화상정보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을 갖는 표시 디바이스이며, 본 발명의 표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표시 모듈(9)이 표시하는 화상정보에는 통상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과, 관찰자에게 입체 화상으로서 인식되는 1조의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이 포함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통상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2D 화상이라고 부르고, 1조의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3D(three-dimensional) 화상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표시 모듈(9)은 예를 들면 액정소자, EL(Electroluminescence) 소자 등의 표시소자(이하, 서브 픽셀이라고 부름)를 갖는 투과형, 또는 자(自)발광형인 동시에, 다수의 표시소자가 종횡 방향으로 배열된 도트 매트릭스형의 표시 디바이스이다. 표시 모듈(9)의 각 서브 픽셀에는 예를 들면, 컬러 필터에 의해서 적색(R), 녹색 (G), 및 청색(B)의 3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이 소정의 배색 패턴에 따라 각각 할당되어 있다.
도 4a는 표시 모듈(9)의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화소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표시 모듈(9)에 있어서는, 서브 픽셀(9a)의 형상은 도 4a에 H로 나타낸 수평 라인 방향과 V로 나타낸 수직 라인 방향의 길이의 비가 1:3인 장방형이다. 또,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각 서브 픽셀(9a)에 대응시킨 배색 패턴은 수평 라인 방향(H)으로 R, G, B의 3색이 차례대로 반복해서 할당되고, 또한 수직 라인 방향(V)으로 동일한 색이 나열되도록 할당된 것이다. 즉, 컬러 필터는 소위 스트라이프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 모듈(9)에 있어서는 수평 라인 방향(H)으로 나열된 R, G, B의 3색의 서브 픽셀(9a, 9a, 9a)에 의해 1화소(픽셀)(P)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모듈(9)에 있어서는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 대상의 화상의 각 화소의 색에 따라 각 화소(P)를 구성하는 1조의 서브 픽셀의 계조 레벨(휘도 레벨)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 컬러 표시가 실행된다. 즉, RGB 공간 분할 방식에 의해서 컬러 표시가 실행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 모듈(9)의 수평 라인 방향(H)이 도 1에 나타낸 표시부(7)의 긴변 방향(A)과 일치되고, 또한 표시 모듈(9)의 수직 라인 방향(V)이 도 1에 나타낸 표시부(7)의 짧은 변 방향(B)과 일치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배리어 표시소자(10)는 표시 모듈(9)에 3D 화상(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 표시 모듈(9)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특정의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시차 배리어를 표시한다.
배리어 표시소자(10)는 예를 들면 스태틱(static)형 TN 액정소자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셀(11)과, 액정셀(11)의 하면측(광의 입사측)과 상면측(광의 사출(射出)측)에 배치된 한 쌍의 편광판(12,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셀(11)은 한 쌍의 투명기판(14, 15)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투명전극 (16, 17)과, 투명전극(16, 17)을 피복하는 배향막(18, 19)과, 배향막(18, 19)이 대향하는 밀폐 공간에 봉입된 액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배리어 표시소자(10)는 한 쌍의 편광판(12, 13)이, 각각의 편광 방향이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일반적으로 노멀리 화이트(normaly white)라고 불리는 구성이다. 또,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있어서는 액정셀(11)의 상면측의 투명전극(16) 또는 하면측의 투명전극(17)의 한 쪽측이 후술하는 시차 배리어(100)의 차광영역(100a)에 따른 형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있어서는 투명전극(16, 17)에 소정의 구동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시차 배리어(100)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표시 모듈(9)이 발하는 특정의 화소영역의 광을 차단한다. 또, 배리어 표시소자(10)는 투명전극(16, 17)에 소정의 구동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표시 모듈(9)이 발하는 모든 화소영역의 광을 투과시킨다.
도 4b는 배리어 표시소자(10)가 표시하는 시차 배리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100)는 표시 모듈(9)이 발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영역(100a)과, 종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규칙적으로 배치되고, 표시 모듈(9)이 발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의 개구 영역(100b)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b에 나타낸 개구 영역(100b)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개구 영역(100b)의 배치를 편의상 매트릭스형의 배치라고 부른다.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의 형상은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 (H)에 나열된 3색의 서브 픽셀(9a)로 이루어지는 각 화소와 마찬가지로 정방형이고, 또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의 크기도 각 화소와 동일하다. 또한, 개구 영역 (100b)의 크기에 대해서는 반드시 각 화소와 동일하지 않아도 좋고,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의 화소 사이의 간극 분(서브 픽셀(9a)의 배치 간격분)을 포함시킨 크기 이하이면 상관없다.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은 표시 모듈(9)의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화소를 2화소를 단위로 해서 수평 라인 방향(H), 및 수직 라인 방향(V)으로 분할하여 얻어지는 4화소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화소 그룹, 즉 중심에 관해 90도의 회전 대칭인 정방형의 화소영역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시차 배리어(100)는 개구 영역(100b)으로서의 광의 투과영역이 4개의 화소에 대해 1개가 대응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90도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화소 그룹은 표시 모듈(9)이 3D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3D 화상의 표시 요소로서 기능한다.
시차 배리어(100)가 임의의 개구 영역(100b)과, 그 개구 영역(100b)과 대응하는 화소 그룹의 구체적인 위치 관계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5a는 배리어 표시소자(10)(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표시영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배리어 표시소자(10)의 표면에 수직한 직선 상(법선 상)에 존재하는, 배리어 표시소자(10)로부터의 거리가 3D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지는 설계 상의 소정 거리인 기준점(1점)을 시점으로 해서 배리어 표시소자 (10)를 보았을 때의, 서로 대응하는 개구 영역(100b)과 화소 그룹(15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은 상기의 기준점과,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150)(화소(A, B, C, D))의 중심(O)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시차 배리어(100)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찰자가 상기의 기준점으로부터 표시 모듈(9)을 관찰할 때, 임의의 개구 영역(100b)을 통해 관찰자의 우안 및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9)의 화면 상의 영역(이하, 시인 가능 영역이라고 함)은 이하에 기재하는 영역이 되어 있다.
도 5b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측의 시인 가능 영역(E)은 개구 영역(1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150)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A, C)에 걸치는 영역으로서,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A)의 하반분과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C)의 상반분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또, 도 5c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측의 시인 가능 영역(E)은 개구 영역(1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15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B, D)에 걸치는 영역으로서,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B)의 하반분과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D)의 상반분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여기서, 서로 대응하는 시차 배리어(100)의 임의의 개구 영역(100b)과 표시 모듈(9)의 화소 그룹(150)(화소(A, B, C, D))의 위치 관계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가 90°회전한 상태라도 동일하다. 즉, 서로 대응하는 개구 영역 (100b)과 화소 그룹(150)의 위치 관계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도록 변화되었을 경우라도 동일하다. 또,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100)에 있어서의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의 형상은 정방형이다. 또한, 도 6a는 표시부(7)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에서의 도 5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표시 모듈(9)의 모든 화소 그룹(150)에 있어서는 각각의 화소 그룹 (150)을 구성하는 4화소와 전술한 시인 가능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표시부 (7)(표시 모듈(9)과 배리어 표시소자(10))가 90° 회전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즉, 임의의 화소 그룹(150)을 구성하는 4화소와 전술한 시인 가능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와,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하다.
도 6b는 표시부(7)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고,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 5b에 대응한 도면이다. 또, 도 6c는 표시부(7)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고,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 5c에 대응한 도면이다.
단,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9)의 화소 배열에는 방향성이 있다. 따라서, 관찰자의 우안, 또는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서브 픽셀의 범위에 대해서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와,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에서는 이하와 같이 다른 것이 된다.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 각각의 화소 그룹 (150)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 영역(E)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 (A)를 구성하는 모든 색의 서브 픽셀(Ra, Ga, Ba)의 1/2의 영역과, 관찰자로부터 보아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C)를 구성하는 모든 색의 서브 픽셀(Rc, Gc, Bc)의 1/2의 영역이 포함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 각각의 화소 그룹(150)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 영역(E)에는 다음의 서브 픽셀이 포함된다. 즉, 시인 가능 영역(E)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C)를 구성하는 녹색의 서브 픽셀(Gc)의 1/2의 영역, 및 청색의 서브 픽셀(Gc)의 전체 영역과, 관찰자로부터 보아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D)를 구성하는 적색의 서브 픽셀(Rd)의 전체 영역, 및 녹색의 서브 픽셀(Gd)의 1/2의 영역이 포함된다.
즉, 개구 영역(100b)은 관찰자에 대해 표시 모듈(9)과 시차 배리어(100)를 90도 회전시키는 전과 후의 양쪽에 있어서, 개구 영역(100b)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또한 이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개구 영역(100b)은 관찰자에 대해 표시 모듈(9)과 시차 배리어(100)를 90도 회전시키는 전과 후의 양쪽에 있어서,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 2개의 화소가 특정의 1개의 개구 영역(100b)을 통해 동시에 시인 가능한 바와 같이, 또한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 상기 2개의 화소와는 다른 2개의 화소가 상기 특정의 1개의 개구 영역을 통해 동시에 시인 가능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단, 관찰자에 대해 표시 모듈(9)과 시차 배리어(100)를 90도 회전시키는 전과 후의 사이에서는 동시에 시인 가능한 2개의 화소의 조합이 다르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휴대 전화기(1)의 전기적 구성의 요점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는 키 입력부(51), 제어부(52), 표시 데이터 생성부(53), 표시 모듈(9), 배리어 표시소자(10), 각도 검출부(54), 데이터 기억부(55), 및 프로그램 기억부(56)를 구비하고 있다.
키 입력부(51)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버튼군(6)을 포함하고, 사용자에게 조작된 조작 버튼에 따른 조작신호를 제어부(52)로 공급한다.
제어부(5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그 주변회로, CPU의 작업용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2)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과, 키 입력부 (51)로부터 공급되는 조작신호에 의거해서 동작하고, 휴대 전화기(1)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52)는 표시제어회로나 판정회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화상표시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화상표시처리할 때에는 본 발명의 표시제어수단, 판단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표시 데이터 생성부(53)는 제어부(52)에 의해서 데이터 기억부(55)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 등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표시 모듈(9)에 공급한다. 그리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53)는 3D 화상(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는 본 발명의 생성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각도 검출부(54)는 휴대 전화기(1)가 덮개부(4)를 열린 상태(도 1 참조)에 있을 때의 표시부(7)의 경사 각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 검출부 (54)는 본체부(3)에 설치된 각도 센서와, 각도 센서의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나, 증폭 후의 검출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도 검출부(54)는 처리 후의 검출신호를 표시부(7)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정보로 해서 제어부(52)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각도정보 취득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각도 검출부(54)가 검출하는 구체적인 경사 각도는 표시부(7)의 화면(표시 모듈(9), 및 배리어 표시소자(10)의 표시 화면)이 수평면에 대해 일정 각도를 넘어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의 표시부(7)의 회전 방향의 경사 각도이다.
데이터 기억부(55)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데이터 기억부(55)에는 주소록을 구성하는 어드레스 정보나 전자 메일 데이터나, 휴대 전화기(1)가 갖는 각각의 기능에 관한 설정 정보, 2D 화상이나 3D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기억부(56)는 제어부(52)에 휴대 전화기(1)를 제어시키기 위한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된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이다.
도 8은 휴대 전화기(1)가 데이터 기억부(5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정지화상(이하, 그냥 화상이라고 부름)을 표시부(7)에 표시할 때에 제어부(52)가 실행하는 화상표시처리의 내용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제어부(52)에 있어서의 화상표시처리를 도 8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화상표시처리에 있어서, 제어부(52)는 표시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55)로부터 판독한다(스텝S1). 또한, 표시 대상의 화상은 사용자(관찰자)가 소정의 버튼 조작에 의해 선택한 임의의 화상이다.
다음에, 제어부(52)는 각도 검출부(54)로부터 공급된 표시부(7)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7)의 방향을 판단한다(스텝S2). 제어부(52)가 판단하는 표시부(7)의 방향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2 종류이다. 즉, 스텝S2에 있어서 제어부(52)는 표시부(7)의 상태가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 가까운지 판단한다. 여기서, 「가로방향」이란, 도 1, 및 도 10a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8)가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일 때의 방향이며, 표시부(7)의 긴변 방향(A)(표시 모듈(9)의 수평 라인 방향(H))이 관찰자에게 있어서 좌우방향이 되는 방향이다. 또, 「세로방향」이란, 도 10a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상태일 때의 방향이며, 표시부(7)의 긴변 방향(A)이 관찰자에게 있어서 상하방향이 되는 방향이다.
다음에, 제어부(52)는 스텝S2의 처리로 판단한 표시부(7)의 방향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적정화한다(스텝S3). 화상 데이터의 적정화 처리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화면에 최대의 크기로 표시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의 화소 사이즈를, 종횡비를 유지한 채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수직 라인 방향 (V)의 화소 수에 따라 축소하는 처리이다. 또한, 제어부(52)는 표시 대상이 3D 화상일 경우에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쌍방의 화상 데이터를 적정화한다.
계속해서, 제어부(52)는 표시 대상이 2D 화상일 경우에는(스텝S4:「2D」), 적정화 후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43)에 공급하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2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시킨다(스텝S5). 그리고, 제어부(52)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53)가 생성한 2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모듈(9)에 공급함으로써 표시 모듈(9)을 구동하고, 표시 모듈(9)에 2D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S6). 이 때에는, 제어부(52)는 시차 배리어(100)를 배리어 표시소자(10)에 표시시키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52)는 표시 대상이 3D 화상일 경우(스텝S4:「3D」), 제어부 (52)는 즉시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소정의 구동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도 4b에 나타낸 시차 배리어(100)를 배리어 표시소자(10)에 표시시킨다(스텝S7). 다음에, 제어부(52)는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표시부(7)의 방향에 따른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스텝S2의 처리에서 판단한 표시부(7)의 방향이 도 10a의 좌측에 나타낸 「가로방향」이었을 경우의 처리(스텝S8:YES), 즉, 표시 모듈(9)의 수평 라인 방향(H)이, 예를 들면 실제의 수평방향과 일치 또는 거의 일치하고 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이었을 경우, 제어부(52)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 즉,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 (43)에 공급하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도 9a에 나타낸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시킨다(스텝S9).
스텝S9의 처리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각각의 수직 라인에 수평 라인 방향(H)을 따라 1화소마다 교대로 할당하고, 동시에 표시 모듈(9)의 동일 수직 라인에 동일한 화소 그룹(150)의 2화소를 1조로 해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화소 그룹(150)마다,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A, C)에 우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또한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 (B, D)에 좌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 데이터는 종래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와는 달리,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쌍방의 화상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를,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하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9)의 가로방향 2라인에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다음에, 상기의 처리와는 달리, 스텝S2의 처리에서 판단한 표시부(7)의 방향이 도 10a의 우측에 나타낸 「세로방향」이었을 경우의 처리(스텝S8:NO), 즉,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이, 예를 들면 수직방향과 일치 또는 거의 일치하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이었을 경우, 제어부(52)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 즉,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 (43)에 공급하고,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도 9b에 나타낸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생성시킨다(스텝S10).
스텝S10의 처리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각각의 수평 라인에 수직 라인 방향(V)을 따라 1화소마다 교대로 할당하고, 동시에 표시 모듈(9)의 동일 수평 라인에 동일한 화소 그룹(150)의 2화소를 1조로 해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화소 그룹(150)마다,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C, D)에 우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또한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 (A, B)에 좌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이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 데이터는 종래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있어서의 표시 데이터와는 달리,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의 쌍방의 화상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를,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하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9)의 가로방향 2라인에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그리고, 제어부(52)는 스텝S9의 처리, 또는 스텝S10의 처리에 있어서, 표시 데이터 생성부(53)가 생성한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모듈(9)에 공급함으로써, 표시 모듈(9)에 3D 화상을 표시시킨다(스텝S10).
도 10b는 제어부(52)가 상술한 화상표시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의 표시부(7)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도 9a 또는 도 9b에 나타낸 표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3D 화상이 표시 모듈(9)에 표시된다. 즉, 표시 모듈(9)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각각의 화소 그룹 (150)의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에 우안용 화상(R)이 표시되고, 각각의 화소 그룹(150)의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에 좌안용 화상(L)이 표시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설계상의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시차 배리어(100)의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을 통해 표시 모듈(9)을 관찰할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표시 모듈(9) 위의 시인 가능 영역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150)에 있어서의 상하 2화소가 포함된다. 동시에,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표시 모듈(9) 위의 시인 가능 영역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150)에 있어서의 상하 2화소가 포함된다.
따라서,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우안에 의해서 표시 모듈(9)의 각각의 화소 그룹(150)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만을 시인할 수 있다. 동시에, 관찰자는 좌안에 의해서 표시 모듈(9)의 각각의 화소 그룹(15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만을 시인할 수 있다. 그 결과,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표시부(7)에 표시된 3D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때, 컬러 화상으로서의 3D 화상을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컬러 화질로 시인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는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경우와 「세로방향」일 경우에 있어서 공통되는, 관찰자(M)의 우안 및 좌안의 시선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a는 평면도, 도 11b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의 흐름도에서는 생략했지만, 제어부(52)는 휴대 전화기(1)가 표시부(7)에 3D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동안, 스텝S11의 처리 후에 있어서는 스텝S2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서 표시부(7)의 방향을 축차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 (52)는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에서 「세로방향」으로 변화되거나, 역으로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변화되었을 때를 표시 전환 타이밍으로 해서,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시차 배리어(100)를 표시시킨 채로, 스텝S8∼스텝S11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는 배리어 표시소자(10)가 표시하는 시차 배리어(100)가, 각각의 개구 영역(100b)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특정의 패턴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표시부(7)에 3D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표시 모듈(9)의 방향에 따라 시차 배리어(100)의 패턴을 변경하지 않아도, 표시 모듈(9)의 방향에 관계없이 관찰자에게 3D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3D 화상을 표시할 때에, 제어부(52)는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에는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수평 라인 방향(H)의 2라인에 할당한다. 또, 제어부 (52)는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에는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 (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수직 라인 방향(V)의 2라인에 할당한다.
즉, 표시 모듈(9)에 표시되는 3D 화상은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 데이터가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하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9)의 가로방향의 2라인에 할당된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9) 위에 있어서의 각각의 개구 영역(100b)에 대응하는 시인 가능 영역이 표시부(7)의 방향(「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의해서 다르다고 해도, 관찰자에게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3D 화상을 동일한 화질 상태로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는 도 1∼도 3, 도 7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배리어 표시소자(10)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특정한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리어 표시소자(10)는 액정셀(11)의 상면측의 투명전극(16) 또는 하면측의 투명전극(17)의 한 쪽측이, 도 12에 나타낸 시차 배리어 (200)의 차광영역(200a)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배리어 표시소자 (10)는 투명전극(16, 17)에 소정의 구동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도 12에 나타낸 시차 배리어(200)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표시 모듈(9)이 발하는 특정한 화소영역의 광을 차단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차 배리어(200)는 표시 모듈(9)이 발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영역(200a)과, 표시 모듈(9)이 발하는 광을 투과시키는 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개구 영역(200b)으로 이루어지는 특정의 패턴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의 형상 및 크기는 제 1 실시형태의 시차 배리어(100)의 개구 영역(100b)과 동일하다.
단, 본 실시형태의 시차 배리어(200)에 있어서는,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가로방향에 일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동시에 1행마다 가로방향의 위치가 벗어나 있고, 인접하는 3개의 개구 영역(200b)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2에 나타낸 개구 영역(100b)은 델타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배치를 편의상 델타형의 배치라고 부른다.
시차 배리어(200)에 있어서는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 수평 라인 방향(H), 및 수직 라인 방향(V)에 서로 인접하는 4화소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화소 그룹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200)의 임의의 개구 영역(200b)과, 그 개구 영역(200b)과 대응하는 화소 그룹의 구체적인 위치 관계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도 13은 배리어 표시소자(10)(표시 모듈(9))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배리어 표시소자(10)의 표면에 수직한 직선 위에 존재하는, 배리어 표시소자(10)로부터의 거리가 3D 화상의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지는 설계상의 소정 거리인 기준점(1점)을 시점으로서 배리어 표시소자(10)를 보았을 때의 서로 대응하는 개구 영역(200b)과 화소 그룹(250)(화소(A, B, C, D))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250)이, 수평 라인 방향(H)의 위치가 1행마다(2수평 라인마다) 1화소분만큼 벗어나 있고, 인접하는 3개의 화소 그룹(250)의 중심(O)이 삼각형을 이루는 관계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시차 배리어(200)에 있어서도, 각각의 개구 영역 (200b)은 상기의 기준점과,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250)(화소(A, B, C, D))의 중심(O)을 연결하는 직선 위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배리어 표시소자(10)에 시차 배리어(200)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찰자가 상기의 기준점으로부터 표시 모듈(9)을 관찰할 때, 임의의 개구 영역(200b)을 통해 관찰자의 우안 및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모듈(9)의 화면 위의 시인 가능 영역은 이하에 기재하는 영역이 되어 있다.
도 14a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안측의 시인 가능 영역(E)은 개구 영역(2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250)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A, C)에 걸치는 영역으로서,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A)의 하반분과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C)의 상반분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또, 도 14b는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측의 시인 가능 영역(E)은 개구 영역(200b)이 대응하는 화소 그룹(25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B, D)에 걸치는 영역으로서,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B)의 하반분과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D)의 상반분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부(7)(표시 모듈(9)과 배리어 표시소자(10))가 90°회전한 상태, 즉,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경우라도, 임의의 화소 그룹(250)을 구성하는 4화소와 전술한 시인 가능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동일하다.
도 15a는 표시부(7)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고,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 14a에 대응한 도면이다. 또, 도 15b는 표시부(7)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고,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을 나타낸 도 14b에 대응한 도면이다.
단,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9)의 화소 배열에는 방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관찰자의 우안 또는 좌안에 의해서 시인할 수 있는 시인 가능 영역(E)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서브 픽셀의 범위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관찰자에게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평 라인 방향(H)과 일치하고 있을 때와,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수직 라인 방향(V)과 일치하고 있을 때에서는 서로 다른 것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도, 제어부(52)는 필요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화상표시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7)에 2D 화상이나 3D 화상을 표시시킨다. 단,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00)의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대응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250)은 표시 모듈(9)의 화소영역내에 있어서의 상호의 위치 관계가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각각의 화소 그룹(250)과 다르다. 그 때문에, 제어부(52)는 표시부(7)에 3D 화상을 표시시킬 때에는, 전술한 스텝S9의 처리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생성시킨다.
도 16a는 스텝S8의 처리 시에,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부 (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 즉, 도 1 및 도 10a의 좌측에 나타낸 방향일 때의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표시 모듈(9)의 동일 수평 라인의 각 화소에, 우안용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좌안용 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1화소마다 교대로 할당하고, 또한 표시 모듈(9)의 동일 수직 라인의 각 화소에, 우안용 화상의 화소 데이터와 좌안용 화상의 화소 데이터를 동일한 화소 그룹(250)의 2화소를 단위로 해서 교대로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동시에,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표시 모듈(9)의 동일 수직 라인에 있어서의 동일한 화소 그룹(250)의 2화소를 1조로 해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화소 그룹(250)마다,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A, C)에 우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또한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 (B, D)에 좌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부(52)가 스텝S10의 처리로 표시 데이터 생성부(53)에 생성시키는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 즉,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 즉, 도 1 및 도 10a의 우측에 나타낸 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16b는 스텝S9의 처리 시에, 표시 데이터 생성부(43)가 생성하는 표시부 (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의 3D 화상의 표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좌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와 우안용 화상의 세로방향 1라인의 화소 데이터를 표시 모듈(9)의 각각의 수평 라인에 수직 라인 방향(V)을 따라 1화소마다 교대로 할당하고, 동시에 표시 모듈(9)의 동일 수평 라인에 있어서의 동일한 화소 그룹(250)의 2화소를 1조로 해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즉,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의 표시 데이터는 화소 그룹(250)마다,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C, D)에 우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또한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 (A, B)에 좌안용 화상의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한 표시 데이터이다.
도 17a, 도 17b는 각각 도 10a, 도 10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7b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의 표시부(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도 16a 또는 도 16b에 나타낸 표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3D 화상이 표시 모듈(9)에 표시된다. 즉, 표시 모듈(9)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각각의 화소 그룹 (250)의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에 우안용 화상(R)이 표시되고, 각각의 화소 그룹(250)의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에 좌안용 화상(L)이 표시된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찰자가 설계상의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시차 배리어(200)의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을 통해 표시 모듈(9)을 관찰할 때,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표시 모듈(9) 위의 시인 가능 영역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250)에 있어서의 상하 2화소가 포함된다. 동시에,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표시 모듈(9) 위의 시인 가능 영역에는 관찰자로부터 보아 우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화소 그룹(250)에 있어서의 상하 2화소가 포함된다.
따라서, 표시부(7)에 3D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우안에 의해서 표시 모듈(9)의 각각의 화소 그룹(250)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만을 시인할 수 있다. 동시에, 관찰자는 좌안에 의해서 표시 모듈(9)의 각각의 화소 그룹(25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하 2화소만을 시인할 수 있다. 그 결과,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표시부(7)에 표시된 3D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때, 컬러 화상으로서의 3D 화상을 관찰자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컬러 화질로 시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배리어 표시소자(10)가 표시하는 시차 배리어(200)가, 각각의 개구 영역(200b)이 델타형으로 배치된 특정의 패턴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표시부(7)에 3D 화상을 표시할 때에는 표시 모듈(9)의 방향에 따라 시차 배리어(200)의 패턴을 변경하지 않아도, 표시 모듈(9)의 방향에 관계없이 관찰자에게 3D 화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3D 화상을 표시할 때 제어부(52)는 표시부 (7)의 방향이 「가로방향」일 때에는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를, 표시 모듈(9)의 수평 라인 방향(H)의 2라인에 할당한다. 또, 제어부(52)는 표시부(7)의 방향이 「세로방향」일 때에는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를, 표시 모듈(9)의 수직 라인 방향(V)의 2라인에 할당한다.
즉, 표시 모듈(9)에 표시되는 3D 화상은 좌안용 화상(L)과 우안용 화상(R)에 있어서의 가로방향 1라인분의 화소가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항상 관찰자로부터 보아 상하에 위치하는 표시 모듈(9)의 가로방향의 2라인에 할당된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모듈(9) 위에 있어서의 각각의 개구 영역(100b)에 대응하는 시인 가능 영역이 표시부(7)의 방향(「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의해서 다르다고 해도, 관찰자에게는 표시부(7)의 방향에 관계없이 3D 화상을 동일한 화질 상태로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52)가 각도 검출부(54)로부터 공급된 표시부(7)의 경사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정보에 의거해서, 표시부(7)의 방향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고, 표시 모듈(9)에 있어서의 3D 화상의 표시 방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 기타가 임의의 표시장치에 적용할 때에는 표시장치 등을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표시장치 등에는 사용자로부터 버튼 조작 등에 의해서 표시 방향의 전환 지시가 있던 시점을 표시 전환 타이밍으로 해서 3D 화상의 표시 방향을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 배리어 표시소자(10)는 개구 영역(100b)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시차 배리어(100)나 개구 영역(200b)이 델타형으로 배치된 시차 배리어(200)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구비한 것에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리어 표시소자(10)는 표시하는 시차 배리어 패턴이 고정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가 도트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패시브형이나 액티브형의 액정 패널 등과 같이, 표시하는 시차 배리어 패턴을 변경 가능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3D 화상만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배리어 표시소자(10)는 개구 영역이 매트릭스형이나 델타형 등으로 배치된 특정의 패턴을 갖는 시차 배리어를 상시로 형성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임의의 표시장치에 적용할 때에는, 3D 화상을 표시 디바이스가 갖는 표시영역의 전체 영역이 아니고 일부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할 경우, 시차 배리어는 3D 화상을 표시시키는 일부의 영역만에 대응해서 설치하면 좋다.
1: 휴대 전화기 2: 힌지부
3: 본체부 4: 덮개부
5: 마이크 6: 조작 버튼군
7: 표시부 8: 스피커
9: 표시 모듈 9a: 서브 픽셀
10: 배리어 표시소자 11: 액정셀
12, 13: 편광판 14, 15: 투명기판
16, 17: 투명전극 18, 19: 배향막
43, 53: 표시 데이터 생성부 51: 키 입력부
52: 제어부 53: 표시 데이터 생성부
54: 각도 검출부 55: 데이터 기억부
56: 프로그램 기억부 100, 200: 시차 배리어
100b, 200b: 개구 영역 150, 250: 화소 그룹
200a: 차광영역 H: 수평 라인 방향
L: 좌안용 화상 R: 우안용 화상
V: 수직 라인 방향

Claims (14)

  1.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해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표시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매트릭스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영역에 대향해서 설치된 시차 배리어를 구비하고,
    상기 시차 배리어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제 1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2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행방향에 인접하는 제 3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4 화소의 4개의 화소에 대해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이 대응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컬러 필터가 스트라이프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서로 다른 색성분이 할당된 3개의 서브 픽셀에 의해 1개의 상기 화소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제 1 화소 내지 제 4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 영역의 크기는 상기 화소와 동일하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관찰자에 대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시차 배리어를 90도 회전시키는 전과 후의 양쪽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상기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 2개의 화소가 미리 정한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동시에 시인 가능하게, 또한 상기 관찰자의 상기 좌안에 의해 상기 2개의 화소와는 다른 2개의 화소가 상기 미리 정한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동시에 시인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1개의 개구 영역을 통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 동시에 시인 가능한 2개의 화소에 대해,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미리 정한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좌안에 의해 동시에 시인 가능한 2개의 화소에 대해,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형상이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해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표시영역에 복수의 화소가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매트릭스형상으로 복수 형성된 표시 모듈과,
    상기 표시영역에 대향해서 설치된 시차 배리어와,
    상기 화소에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 모듈의 회전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차 배리어는 광을 투과하는 복수의 개구 영역과 광을 차단하는 차광 영역을 갖고, 제 1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2 화소와, 상기 제 1 화소에 대해 상기 행방향에 인접하는 제 3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대해 상기 열방향에 인접하는 제 4 화소의 4개의 화소에 대해 1개의 상기 개구 영역이 대응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컬러 필터가 스트라이프 배열되고,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의 각각은 서로 다른 색 성분이 할당된 3개의 서브 픽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제 1 화소 내지 제 4 화소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 영역의 크기는 상기 화소와 동일하고,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관찰자의 우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시인 가능한 서브 픽셀의 면적이 각 색성분 사이에서 동등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행방향이 관찰자의 우안과 좌안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 1 회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에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1 회전 상태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열방향이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과 상기 좌안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 제 2 회전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상기 우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에 상기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소 데이터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배리어는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에 공통으로 대응한 광의 투과영역으로서의 상기 개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90도의 회전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1 회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서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가 시인 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좌안에 의해서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1 회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서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가 시인되지 않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상기 좌안에 의해서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가 시인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2 회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서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가 시인 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상기 좌안에 의해서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가 시인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영역은,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시차 배리어가 상기 제 2 회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미리 정한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영역을 관찰하는 상기 관찰자의 상기 우안에 의해서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가 시인되지 않도록, 또한 상기 관찰자의 상기 좌안에 의해서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가 시인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컬러 필터가 스트라이프 배열되고,
    상기 제 1 화소와 상기 제 2 화소와 상기 제 3 화소와 상기 제 4 화소의 각각은 서로 다른 색 성분이 할당된 3개의 서브 픽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상기 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 성분이 연장하도록, 또한 상기 행 방향을 따라 다른 색 성분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스트라이프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076527A 2009-09-24 2013-07-01 표시장치 KR101386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8702 2009-09-24
JP2009218702A JP2011069869A (ja) 2009-09-24 2009-09-24 表示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15A Division KR20110033063A (ko) 2009-09-24 2010-09-17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275A KR20130084275A (ko) 2013-07-24
KR101386221B1 true KR101386221B1 (ko) 2014-04-17

Family

ID=43886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15A KR20110033063A (ko) 2009-09-24 2010-09-17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
KR1020130076527A KR101386221B1 (ko) 2009-09-24 2013-07-01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15A KR20110033063A (ko) 2009-09-24 2010-09-17 표시장치 및 화상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6373B2 (ko)
JP (1) JP2011069869A (ko)
KR (2) KR20110033063A (ko)
CN (1) CN102033322A (ko)
TW (1) TWI426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7508A (ja) * 2010-03-23 2011-10-06 Sony Corp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20098931A1 (en) * 2010-10-26 2012-04-26 Sony Corporation 3d motion picture adaption system
JP5728895B2 (ja) * 2010-11-09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2070469A1 (ja) * 2010-11-24 2012-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US9024927B2 (en) 2011-06-15 2015-05-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30010834A (ko) 2011-07-19 2013-01-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20130050817A1 (en) * 2011-08-26 2013-02-28 Chimei Innolux Corporation 3d image display device
TWI474047B (zh) * 2011-10-06 2015-02-21 Hannstar Display Corp 立體顯示器
KR101857292B1 (ko) * 2011-10-28 2018-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779124B2 (ja) * 2012-03-13 2015-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30106217A (ko) * 2012-03-19 2013-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958447B1 (ko) * 2012-05-16 2019-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9076246B2 (en) * 2012-08-09 2015-07-07 Hologic, Inc. System and method of overlaying images of different modalities
JP2014106289A (ja) * 2012-11-26 2014-06-09 Sony Corp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40067575A (ko) * 2012-11-27 2014-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삼차원 이미지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6277544B2 (ja) * 2013-02-27 2018-02-14 Tianma Japan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端末装置
JP6453298B2 (ja) 2013-03-15 2019-01-16 ホロジ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Hologic, Inc. 細胞診標本を観察および解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918144A1 (en) * 2013-09-03 2015-03-12 Koninklijke Philips N.V. Multi-view display device
CN103873845A (zh) * 2014-03-18 2014-06-18 北京乐成光视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棋盘光栅的裸眼3d显示装置及方法
KR20160071922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04599625B (zh) * 2015-03-02 2017-06-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边界判定方法和装置、显示驱动方法和装置
CN104599626B (zh) 2015-03-02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方法和装置、采样区的生成方法和装置
TWI554788B (zh) * 2015-03-04 2016-10-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
JP6666657B2 (ja) * 2015-04-30 2020-03-18 任天堂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950462B (zh) * 2015-07-21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装置及其工作方法
CN105093550A (zh) * 2015-09-02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7227448B2 (ja) * 2018-07-18 2023-0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7100523B2 (ja) 2018-07-27 2022-07-13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KR101971994B1 (ko) * 2018-10-11 2019-04-24 주식회사 오버다임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
CN112929648A (zh) * 2019-12-05 2021-06-08 北京芯海视界三维科技有限公司 实现3d图像显示的方法、3d显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282A (ja) 2004-06-29 2006-01-19 Sharp Corp 縦または横に表示することのできる3d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733A (ja) *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JPH10221646A (ja) * 1997-02-10 1998-08-21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H10232366A (ja) * 1997-02-18 1998-09-02 Canon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JP3605572B2 (ja) * 2001-03-28 2004-12-22 大阪大学長 三次元映像表示装置及び点状光出射部材及び点状光透過部材
US7372629B2 (en) * 2003-11-06 2008-05-13 Nec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display panel and fly eye lens
GB2415850A (en) * 2004-06-29 2006-01-04 Sharp Kk Multiple view directional display operable in two orientations.
GB2415849A (en) 2004-06-29 2006-01-04 Sharp Kk A switchable liquid crystal parallax barrier
KR100786862B1 (ko) * 2004-11-30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JP4764624B2 (ja) * 2004-12-07 2011-09-0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立体視表示装置及び立体視用画像生成方法
JP2006276319A (ja) * 2005-03-29 2006-10-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6276406A (ja) 2005-03-29 2006-10-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647517B1 (ko) 2005-08-26 2006-11-23 (주)마스터이미지 셀 구조 패러랙스-배리어 및 이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JP5154183B2 (ja) 2007-09-28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366035B (en) 2008-02-15 2012-06-11 Ind Tech Res Inst 3-d image display devices, 3d/2d switchable display devices and driving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282A (ja) 2004-06-29 2006-01-19 Sharp Corp 縦または横に表示することのできる3d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6373B2 (en) 2015-07-07
CN102033322A (zh) 2011-04-27
TWI426300B (zh) 2014-02-11
KR20130084275A (ko) 2013-07-24
KR20110033063A (ko) 2011-03-30
TW201118425A (en) 2011-06-01
US20110234582A1 (en) 2011-09-29
JP2011069869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221B1 (ko) 표시장치
US801848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27754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端末装置
KR100728112B1 (ko)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576277B2 (en) 3-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883176B2 (en) Display device
KR20090058428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CN105744253B (zh) 自动立体三维显示设备
US9392265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554959B2 (en) Display device
CN105430369B (zh) 自动立体三维显示设备
CN103327347A (zh) 显示设备和电子设备
JP2013190501A (ja) 表示装置
US8988411B2 (en) Display device
JP2011197508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7292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CN109254409A (zh) 显示装置、电子设备及显示方法
KR20120133719A (ko) 패럴랙스 배리어 셀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7072772B2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36367A1 (en) Display device
US20120105497A1 (en) Auto-stereoscopic 3d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18155571A (zh) 显示装置
JP201224254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