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536B1 -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 Google Patents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536B1
KR101385536B1 KR1020120115050A KR20120115050A KR101385536B1 KR 101385536 B1 KR101385536 B1 KR 101385536B1 KR 1020120115050 A KR1020120115050 A KR 1020120115050A KR 20120115050 A KR20120115050 A KR 20120115050A KR 101385536 B1 KR101385536 B1 KR 10138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passage
dust
main body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래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윈테크
Priority to KR102012011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B07C7/02Compartmented furniture, e.g. pigeon-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 분류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는,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분류칸이 형성되고, 상기 분류칸의 후방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류칸에는 상기 분류칸의 내부와 상기 제1통로부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제1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분류대본체와; 상기 분류대본체의 상기 제1통로부와 연통되는 제2통로부가 형성된 집진기본체와; 상기 제2통로부에 장착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집진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공기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집진기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류대본체에서 우편물을 분류시 발생되는 분진은 상기 송풍기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MAILING TABLE EQUIPPED WITH PRECIPITATOR }
본 발명은 우편물 분류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내는 우편물은 집배원에 의해 수집되어 수집국에서 모이게 된다.
이렇게 수집국에 수집된 우편물은 지역, 거리 등에 따라 분류하게 되는데, 이때, 우편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우편물 분리대에서 우편물을 분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편물을 분류하는 우편물 분류대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315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0567호 등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우편물 분류대는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우편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작업장 내로 날리게 되면서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편물을 분리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하여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하지 않게 작업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는,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분류칸이 형성되고, 상기 분류칸의 후방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류칸에는 상기 분류칸의 내부와 상기 제1통로부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제1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분류대본체와; 상기 분류대본체의 상기 제1통로부와 연통되는 제2통로부가 형성된 집진기본체와; 상기 제2통로부에 장착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집진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공기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집진기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류대본체에서 우편물을 분류시 발생되는 분진은 상기 송풍기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대본체는,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과; 상기 분류칸의 하부에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바닥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제2통로부와 연통되는 제3통로부가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와 상기 제3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대본체는 상기 집진기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3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기본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2통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송풍기가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제2통로부는,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3통로부와 연통된 제1실과; 상기 제1실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가 장착된 제2실;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의 하부와 상기 제2실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필터부는 필터링 방향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되게 상기 제2통로부의 하면과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의 상부는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통로부의 폭은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칸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다수개의 가로판와; 상기 가로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뒷판과; 상호 이격된 상기 가로판 사이에 탈착되는 칸막이판;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분류칸에 분류되는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로판에 탈부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통로부의 높이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분류대본체에서 우편물을 분류할 때, 우편물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송풍기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됨으로써, 우편을 분류하는 작업자가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지 않게 작업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상기 분류대본체가 상기 분류칸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상기 제2통로부와 연통되는 상기 제3통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제3통로부와 상기 바닥판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상기 제2연통공이 관통형성됨으로써, 우편물을 상기 바닥판에 올려놓거나 분류할 때, 우편물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제2연통공 및 제3통로부를 통해 흡입하여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필터부의 필터링 방향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되게 상기 제2통로부의 하면과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필터부의 상부는 상기 송풍기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제2통로부의 하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분류대본체에서 흡입된 분진 중 무거운 분진은 상기 제2통로부의 하면에 쌓이게 되면서 상기 필터부를 막는 분진의 량이 줄어들어 상기 필터부의 사용기간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집진기본체의 좌우 양측에 상기 제2통로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송풍기가 장착됨으로써,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좌우 양측의 상기 필터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송풍기 두 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에너지를 절감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통로부의 폭이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짐으로써,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분류칸과 하단에 위치하는 분류칸에 작용하는 상기 송풍기의 흡입압력이 거의 동등하게 되어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에 고르게 상기 송풍기의 흡입압력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류칸이 상기 가로판과, 상기 뒷판, 상기 칸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칸막이판이 상기 가로판에 탈부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분류되는 우편물의 크기에 맞게 상기 분류칸의 넓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통로부의 높이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짐으로써,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연통공과 후단에 위치하는 제2연통공 에 작용하는 상기 송풍기의 흡입압력이 거의 동등하게 되어 다수개의 상기 제2연통공에 고르게 상기 송풍기의 흡입압력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통로부의 높이가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면서, 상기 제3통로부의 밑면이 전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진 상기 제3연통공의 밑면에 분진이 쌓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2통로부로 잘 흘러가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서 분류칸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서 집진기 본체의 공기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서 분류칸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에서 집진기본체의 공기 흐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지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는, 분류대본체(100), 집진기본체(200), 필터부(300), 송풍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류대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우편물을 가져다가 주소, 거리 등에 따라 우편물을 분류하는 곳이다.
이러한 상기 분류대본체(100)는 분류칸(110), 바닥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류칸(110)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한다.
상기 분류칸(110)의 후방에는 공기가 통하는 제1통로부(5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칸(110)에는 상기 제1통로부(510)와 상기 분류칸(1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류칸(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제1연통공(101)을 통해 상기 제2통로부(51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통로부(510)는 후술하는 상기 송풍기(400)에 의해 상기 분류칸(110)에 존재하는 분진을 상기 제1연통공(101)을 통해 흡입하는 통로이다.
이러한 상기 제1통로부(5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대본체(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폭이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110)에 작용하는 각각의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압력을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통로부(510)의 폭이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게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통로부(510)의 면적이 상단과 하단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은 상기 제1통로부(5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류칸(110)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서 상단으로 갈수록 흡입력이 약해지고, 따라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압력도 약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통로부(5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류칸(110)에 존재하는 분진은 잘 흡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통로부(510)의 폭을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통로부(5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류칸(110)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은 약해지지만, 약해지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기 제1통로부(510)의 면적도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면서 상기 제1통로부(510)의 상부와 하부에서 작용하는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압력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상기 제1통로부(510)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110) 전체에서 분진을 잘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통로부(510)의 상단으로 갈수록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류칸(110)에서 공기를 흡입하면서 약해지는 흡입력에 대해 상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각각의 위치에서의 흡입압력을 거의 동등하게 하여 상기 제1통로부(510)의 하부와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기 분류칸(110)에 거의 동등한 흡입압력이 작용하여 분진을 잘 흡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류칸(11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판(111), 뒷판(112), 칸막이판(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판(111)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뒷판(112)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판(111)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통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통공(101)은 상기 분류칸(110)의 내부와 상기 제1통로부(510)를 연통시켜 상기 분류칸(110)에 우편물이 수용되면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과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제1통로부(510)로 흡입되도록 서로 연통시키는 구멍이다.
상기 칸막이판(113)는 상호 이격된 상기 가로판(111)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칸막이판(1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에 의해 상기 가로판(111) 사이에 탈착되게 장착된다.
이는 상기 칸막이판(113)을 상기 분류칸(110)에 수용되는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로판(111)에서 탈착하여 위치를 맞춘 후, 상기 가로판(111) 사이에 다시 결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류되는 우편물의 크기에 맞게 상기 분류칸(1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113)이 상기 가로판(111)의 사이에 상기 볼트 등에 의해 탈착되게 결합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종래의 공지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칸막이판(113)이 상기 가로판(111)의 사이에 탈착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1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칸(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바닥판(120)은 우편물을 올려놓거나 펼쳐 놓고, 우편물을 주소, 거리 등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대 역할을 한다.
상기 바닥판(120)의 하부에는 제3통로부(5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통로부(530)는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20)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통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공(102)은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와 상기 제3통로부(530)를 연통시키는 구멍이다.
이러한 상기 제2연통공(102)은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에서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도록 상기 제3통로부(530)와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를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제3통로부(5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대본체(1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높이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바닥판(120)의 전방인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상기 제1통로부(510)과 같이, 전방에 위치하는 제2연통공(102)과 후방에 위치하는 제2연통공(102)에 작용하는 각각의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압력을 전체적으로 거의 동등하게 하여 상기 바다판(120) 상부의 분진을 보다 잘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3통로부(530)의 높이가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면서, 상기 제3통로부(530)의 밑면이 전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진 상기 제3통로부(530)의 밑면에 분진이 쌓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잘 흘러가게 된다.
상기 집진기본체(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대본체(1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집진기본체(200)와 상기 분류대본체(100) 사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통로부(5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본체(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송풍기(400)기 장착되어 상기 분류대본체(100)에서 우편물을 분리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본체(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부(510) 및 상기 제3통로부(530)와 연통되는 제2통로부(5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통로부(52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본체(2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통로부(52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부(510)와 상기 제3통로부(530)를 상기 송풍기(400)와 연통시켜,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분류칸(110) 및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2통로부(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통로부(520)는 제1실(521)과 제2실(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5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부(510) 및 상기 제3통로부(530)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실(522)은 상기 제1실(521)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521)이 후방에 상기 제2실(522)은 전방에 배치하여 상기 제2실(522)에 장착되는 상기 필터부(300)를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전방에서 교체하기 쉽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실(522)에는 필터부(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실(521)의 하부와 제2실(522)의 하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된다.
이는 상기 제1실(521)에서 하방향으로 흡입된 먼지가 상기 제2실(522)에서 상방향으로 돌아 올라가면서, 상기 분류대본체(100)에서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된 분진 중 무거운 분진은 상기 제1실(521)의 하부 및 상기 제2실(522)의 하부 즉, 제2통로부(520)의 하면에 쌓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터부(30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52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300)의 필터링 방향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되게 상기 제2통로부(520)의 하면과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400)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를 상기 제2실(522)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송풍기(40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실(522)에서 돌아서 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부(300)에서도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통과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분류대본체(100)에서 흡입된 분진 중 무거운 분진은 상기 제2통로부(520)의 하면에 분리되어 쌓이게 되고 가벼운 분진만 상기 필터부(300)에 접촉하여 제거 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필터부(300)를 막는 분진의 양은 줄어들게 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사용기간을 높여주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통로부(520)를 상기 제1실(521)과 상기 제2실(522)로 나누지 않고, 상기 필터부(300)의 필터링 방향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되게 상기 제2통로부(520)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를 상기 제2통로부(520)에 장착하게 되면 무거운 분진도 함께 상기 필터부(300)에 접촉하여 제거되면서 상기 필터부(300)를 막게 되는 분진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상기 필터부(30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필터부(300)의 일측은 상기 제2통로부(520) 방향으로 타측은 상기 송풍기(400) 방향으로 즉, 상기 필터부(300)를 수직방향으로 상기 집진기본체(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상기 필터부(300)를 상기 집진기본체(20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에는 가벼운 분진만 접촉하여 제거되게 되고, 상기 필터부(300)의 하부에는 무거운 분진과 가벼운 분진이 함께 접촉하여 제거되면서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와 하부에 제거되는 분진의 양이 차이가 생겨 상기 필터부(300)에 균형있게 분진이 제거되지 않아 상기 필터부(300)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통로부(520)를 상기 제1실(521)과 상기 제2실(522)로 분할하여 그 하부가 서로 연통되게 함으로써, 무거운 분진은 상기 제2통로부(520)의 하면에 쌓이게 하고 가벼운 분진은 상기 제2실(522)에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필터링 되게 장착된 상기 필터부(300)에 의해 제거되게 하여 상기 필터부(300)에 제거되는 분진의 량을 줄여줌으로써 상기 필터부(300)의 수명을 높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기(4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중앙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2통로부(520)와 연통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기(4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통로부(520)의 제2실(522)에 장착된 상기 필터부(300)와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송풍기(400)는 상기 분류대본체(100)에서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하는 분진과 함께 공기를 상기 제1통로부(510) 및 상기 제3통로부(530)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제2실(522)에서 상기 필터부(300)로 통과시켜 분진을 제거한 후,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외부로 공기만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송풍기(400)를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 쪽에 배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제2통로부(520)를 배치하여 분진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배치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300)가 하나만 장착되기에 상기 필터부(300)를 자주 교체하게 된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2통로부(520)에 각각 상기 송풍기(400)를 장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송풍기(400)가 각각 장착되면 각각의 상기 송풍기(400)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고, 설치가 복잡해지면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상기 송풍기(400)를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중앙에 배치하여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2통로부(520)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여 제작단가를 낮추면서도, 두 개의 상기 필터부(300)에서 분진을 제거하여 상기 필터부(300)의 교체시기를 연장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진기본체(200)가 상기 분류대본체(100)의 하부에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집진기본체(200)를 상기 분류대본체(100)와 분리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2통로부(520)와 상기 제1통로부(510) 및 상기 제3통로부(530)가 연통되게 호스 등을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집진기본체(200)와 상기 분류대본체(100)를 분리되게 설치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이 상기 호스 등에서 수직이동 하면서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집진기본체(200)를 상기 분류대본체(100)의 하부에 장착하여 흡입된 무거운 분진이 중력에 의해 상기 제2통로부(520)로 내려와 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의 사용상태 및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분류하고자 하는 우편물의 크기에 맞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판(113)을 상기 가로판(111)에서 분리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다시 결합한다.
이후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중앙에 장착된 상기 송풍기(400)를 가동시킨 후, 분류되지 전의 우편물을 상기 바닥판(120)에 올려놓고, 우편물을 주소, 거리 등으로 분류하여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110)에 수용하게 된다.
이때, 분류된 우편물이 상기 분류칸(110)에 수용되면서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하는 분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분류칸(110) 내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제1연통공(101)을 지나 상기 제1통로부(510)를 통해 상기 제2통로부(520)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20)의 상부에서 우편물을 분류하면서도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게 발생하는 분진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바닥판(120) 상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제2연통공(102)을 지나 상기 제3통로부(530)를 통해 상기 제2통로부(520)로 흡입된다.
이렇게 상기 송풍기(40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2통로부(520)로 흡입된 분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521)을 하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제2실(522)에서 상방향으로 돌아서 상기 필터부(300)를 거쳐 분진은 제거되고 공기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400)로 흡입되어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실(521)과 상기 제2실(522)에서 공기의 방향이 바뀌면서 공기와 함께 통과하는 분진 중 무거운 분진은 중력에 의해 상기 제2통로부(520)의 하면에 쌓이게 되고, 가벼운 분진은 상기 필터부(300)에 의해 제거되어 공기만 상기 송풍기(400)에 의해 상기 집진기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류대본체(100)에서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필터부(300)에서 제거함으로써, 우편물을 분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작업자가 마시지 않게 작업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입된 분진 중 무거운 것은 상기 제2통로부(520)의 하면에 쌓이게 되고, 가벼운 분진만 상기 필터부(300)에 접촉하여 제거되면서 상기 필터부(300)의 수명을 연장시 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필터링 되게 상기 제2실(522)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필터부(300)의 전체에 분진이 고르게 필터링 되게 된다.
본 발명의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분류대본체 101: 제1연통공 102: 제2연통공
110: 분류칸 111: 가로판 112: 뒷판
103: 칸막이판 120: 바닥판 200: 집진기본체
300: 필터부 400: 송풍기 510: 제1통로부
520: 제2통로부 521: 제1실 522: 제2실
530: 제3통로부

Claims (6)

  1.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분류칸이 형성되고, 상기 분류칸의 후방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류칸에는 상기 분류칸의 내부와 상기 제1통로부를 연통시키는 다수개의 제1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분류대본체와;
    상기 분류대본체의 상기 제1통로부와 연통되는 제2통로부가 형성된 집진기본체와;
    상기 제2통로부에 장착되어 분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집진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공기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집진기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 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류대본체에서 우편물을 분류시 발생되는 분진은 상기 송풍기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2통로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되고,
    여기서, 상기 분류대본체는,
    분류된 우편물을 수용하는 다수개의 상기 분류칸과;
    상기 분류칸의 하부에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바닥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제2통로부와 연통되는 제3통로부가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상부와 상기 제3통로부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대본체는 상기 집진기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3통로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기본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2통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집진기본체의 중앙에는 상기 송풍기가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제2통로부는,
    상기 제1통로부 및 상기 제3통로부와 연통된 제1실과;
    상기 제1실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가 장착된 제2실; 로이루어지며,
    상기 제1실의 하부와 상기 제2실의 하부는 서로 연통되고,
    상기 필터부는 필터링 방향이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되게 상기 제2통로부의 하면과 이격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부의 상부는 상기 송풍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통로부의 폭은 상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칸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다수개의 가로판와;
    상기 가로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통공이 형성된 뒷판과;
    상호 이격된 상기 가로판 사이에 탈착되는 칸막이판;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분류칸에 분류되는 우편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로판에 탈부착되어 상기 분류칸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류대본체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3통로부의 높이는 전단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KR1020120115050A 2012-10-16 2012-10-16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KR10138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50A KR101385536B1 (ko) 2012-10-16 2012-10-16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50A KR101385536B1 (ko) 2012-10-16 2012-10-16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536B1 true KR101385536B1 (ko) 2014-04-17

Family

ID=5065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050A KR101385536B1 (ko) 2012-10-16 2012-10-16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210A (zh) * 2021-03-24 2021-08-13 杭州乐橙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递自动分拣设备
KR200497178Y1 (ko) * 2023-01-27 2023-08-21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분진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물질 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6048A (ja) * 1989-05-18 1990-12-1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0334404A (ja) * 1999-06-01 2000-12-05 Nec Laser & Automation Ltd 郵便局区分機用掃除機
KR20010000526U (ko) * 1999-06-12 2001-01-05 최진민 하향식 가스보일러
JP2003265918A (ja) 2002-03-18 2003-09-24 Nec Robotics Eng Ltd 郵便区分機用集塵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6048A (ja) * 1989-05-18 1990-12-19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0334404A (ja) * 1999-06-01 2000-12-05 Nec Laser & Automation Ltd 郵便局区分機用掃除機
KR20010000526U (ko) * 1999-06-12 2001-01-05 최진민 하향식 가스보일러
JP2003265918A (ja) 2002-03-18 2003-09-24 Nec Robotics Eng Ltd 郵便区分機用集塵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5210A (zh) * 2021-03-24 2021-08-13 杭州乐橙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递自动分拣设备
CN113245210B (zh) * 2021-03-24 2022-05-17 杭州乐橙电子有限公司 一种快递自动分拣设备
KR200497178Y1 (ko) * 2023-01-27 2023-08-21 대성기계공업 주식회사 분진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물질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4596B2 (en) Air purifier
CA2467151A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140009338A (ko) 진공 청소기
RU2006101733A (ru)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для мусор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вакуумного действия
CN103586210A (zh) 一种覆膜砂风选机
KR101385536B1 (ko) 집진부가 장착된 우편물 분류대
CN203737598U (zh) 一种多功能筛分清选机
CN208865967U (zh) 一种新型连续风力选矿机
CN210121597U (zh) 一种除尘装置
CN215615877U (zh) 废料收集机构及激光切割机
CN214440858U (zh) 一种立式振动选矿机
JP4780486B2 (ja) 集塵機
CN220126830U (zh) 一种多层矿山筛选机
CN209646147U (zh) 一种粉尘分离装置及封闭式干粉尘收尘系统
CN219580899U (zh) 一种喷塑箱
CN211640243U (zh) 一种双面木工压刨床用木屑收集机构
CN217474068U (zh) 物料分离装置
CN214723474U (zh) 一种用于铸铁件抛光机的分料除尘装置
CN220944638U (zh) 一种密胺餐具磨边机
CN105289174A (zh) 一种用于汽车钣金抛光粉尘收集装置
CN217911404U (zh) 一种选煤除尘装置
CN213288082U (zh) 用于二分器的粉尘颗粒吸尘装置
CN215542766U (zh) 一种茶叶加工用高效色选机
CN219923695U (zh) 一种刨花板生产用刨花风选除杂装置
CN211764385U (zh) 一种带有整纸台的胶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