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538B1 -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538B1
KR101384538B1 KR1020120060126A KR20120060126A KR101384538B1 KR 101384538 B1 KR101384538 B1 KR 101384538B1 KR 1020120060126 A KR1020120060126 A KR 1020120060126A KR 20120060126 A KR20120060126 A KR 20120060126A KR 101384538 B1 KR101384538 B1 KR 101384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onic liquid
absorbent
gas mixtur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617A (ko
Inventor
백일현
박기태
유정균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38B1/ko
Priority to PCT/KR2012/005916 priority patent/WO2013183808A1/ko
Publication of KR2013013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33/14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36Cyclic amines
    • B01D2252/20473Cyclic amines containing an imidazol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30Ionic liquids and zwitter-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50Combinations of absorbents
    • B01D2252/502Combinations of absorbents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ities in the same molecule other than alkano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원은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기반 이온성 액체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원의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는 우수한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가지며,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가열 등을 통해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선택성, 열적 안정성 및 반복적 사용 및 오랜 사용수명으로 인해 CO2 포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Immidazolium cation based ionic liquid functionalized with acid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and its use}
본원은 양이온 기반의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배가스로부터 CO2를 분리하는 기술은 학술적, 산업적 측면에서 뿐 아니라 환경적으로 유익한 지속 가능 발전을 위해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이 주된 연료로 사용되는 상황에서 CO2의 생성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경제적인 CO2 분리 및 회수 기술의 개발은 CO2 저감을 위한 핵심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분리 및 회수기술로는 화학적 흡수법, 물리적 흡수법 또는 분리막 분리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CO2 분리를 목적으로 천연가스나 석유, 각종 화학 산업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화학적 흡수법이 주로 사용된다.
물리적 흡수 방법은 주로 가스 흐름 내 산성 가스(H2S, CO2, SO2)들의 농도가 높을 때 주로 선호된다. 물리 흡수제들은 산성 가스들과 높은 친화력을 가진 주로 비반응성의 극성 유기 화합물이 쓰인다. 대표적으로 메탄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설포네이트, N-포닐필롤리돈 (NMP)등이 물리 흡수에 주로 사용된다. 화학적 흡수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잔존 산성 물질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일차, 이차, 삼차, 장애 아민, 가공된 아민 등의 액상 용액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애 아민류는 종종 CO2와 H2S를 포함하는 가스에서 선택적 H2S 제거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CO2 흡수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알카놀아민류 특히 모노에탄올아민 (monoethanolamine, MEA), 디에탄올아민 (diethanolamine, DEA) 및 메틸디에탄올아민( methyldiethanolamine, MDEA) 등의 혼합 액상용액을 이용하는 화학적 흡수방법이다. MEA 기반 기술을 통해 약 75-90% 가량의 CO2 회수가 가능하며, 99% 이상의 고농도 CO2 가스 생산이 가능하다.
하지만 아민 기반 기술의 이러한 높은 CO2 분리 효율에도 불구하고, 이 기술에는 장치의 부식 등의 문제로 인한 용액 내 아민 농도의 제약, 회수 가스로부터의 수분 제거, 휘발성으로 인한 흡수제 손실, 배가스 내 황 함유 물질이나 높은 열로 재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흡수제 열화, 그리고 산소와 결합에 의한 흡수제 산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휘발성 및 부식성이 없고 공정상 경제적일 뿐 아니라 환경적으로 유익한 흡수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의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이온성액체이다. 이온성액체는 4차 암모늄(quaternary ammonium), 이미다졸륨(imidazolium), 피리디늄(pyridinium), 포스포늄 (phosphonium) 이온 등과 같은 의 커다란 유기 대칭 구조의 양이온과, 상대적으로 비대칭 구조의 작은 크기의 [Cl]-, [Br]-, [I]-, [BF4]-, [PF6]-, [Tf2N]- 등과 같은 무기물질 혹은 [RCO2]- 등의 유기 물질 등으로 구성되는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양이온과 음이온, 그리고 기능성 작용기 등의 무한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특성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이온성액체의 특징으로 인하여 "디자이너 용매 (designer solvent)"라고도 불리운다.
한국 등록특허 제0975897호는 트리알콕시히드록시포스포늄 카복실레이트계 이온성 액체를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2011-0080004는 함불소올레핀을 포함한 이마졸륨계 이온성액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관하여 개시한다. 하지만 불소가 포함된 이온성액체의 경우 높은 CO2 흡수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생분해가 어려워 환경적으로 유해하다. 또한 이미다졸륨 양이온을 기반으로 이온성 액체와 [Cl]-, [BF4]-, [PF6]-, [CH3SO3]-, [CF3BF3]-, [C2F5BF3]- 음이온을 이용한 합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이산화탄소 분리에 최적의 특성을 지닌 친수성의 열적으로도 안정하며, 낮은 용융점, 낮은 점도는 물론 반복적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이온성액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원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적으로 안정하면서도, 수명이 길고, 고온 및 감압 조건에서 반복사용이 가능한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기반 이온성액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갖는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화합물 [Cmmim][X]을 제공하며,
[화학식 1]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BF4]-, [PF6]-, [Tf2N]-, [TfO]-, [DCA]-, [Cl]-, [Br]-, [I]-, [NO3]-, [SO4]2 -, [CF3COO]-, [CF3SO2]-, [(CF3SO2)2N]-, [SF6]-, [(C2F5)3PF3]-, [N(SO2CF3)2]-, [CF3SO3]-, [B(CN)4]-, [N(CN)2]-, [C(CN)3]-, [SCN]-, [HSO4]-, [CH3SO4]-, [C2H5SO4]-, [C4H9SO4]-, [C6H13SO4]-, [B(C2O4)2]-, [CH3SO3]-, [CH3C6H4SO3]-, 또는 [C4F9SO3]- 이다.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기체 혼합물에서 본원에 따른 이온성 액체 또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탈기 후,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재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탈기 단계에서 이산화탄소 : 이온성액체가 이산화탄소 흡수단계에서 1:1의 몰비로 반응하는 것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의 온도는 약 0 ℃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의 압력은 약 상압 내지 60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킬 때의 온도는 60 ℃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산으로 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는 우수한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가지며, 흡수된 이산화탄소는 가열 등을 통해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선택성, 열적 안정성 및 반복적 사용 및 오랜 사용수명으로 인해 CO2 포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0 ℃에서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압력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몰분획(χ)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50 ℃에서 상이한 이온성 액체에서 압력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몰분획(χ)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Cmmim][BF4], [Cmmim][PF6], [Cmmim][Tf2N], [Cmmim][TfO] 및 [Cmmim][DCA] 이온성 액체의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상이한 이온성 액체의 13C 스펙트럼이다: (a)[Cmmim][BF4], (b)[Cmmim][PF6], (c)[Cmmim][Tf2N], (d)[Cmmim][TfO] 및 (e)[Cmmim][DCA]임.
도 5는 산관능화된 이온성 액체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전을 나타낸다.
도 6은 30 ℃에서 재생된 상이한 이온성 액체를 사용하여 측정된 압력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몰분획(χ)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원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으로 관능화된 이미다졸륨기반의 이온성액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상기 식에서 X-는 [BF4]-, [PF6]-, [Tf2N]-, [TfO]-, [DCA]-, [Cl]-, [Br]-, [I]-, [NO3]-, [SO4]2 -, [CF3COO]-, [CF3SO2]-, [(CF3SO2)2N]-, [SF6]-, [(C2F5)3PF3]-, [N(SO2CF3)2]-, [CF3SO3]-, [B(CN)4]-, [N(CN)2]-, [C(CN)3]-, [SCN]-, [HSO4]-, [CH3SO4]-, [C2H5SO4]-, [C4H9SO4]-, [C6H13SO4]-, [B(C2O4)2]-, [CH3SO3]-, [CH3C6H4SO3]-, 또는 [C4F9SO3]- 이다.
한 구현예에서 X-는 [BF4]-, [PF6]-, [Tf2N]-, [TfO]-, [DCA]- 이다.
본원의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기반의 이온성액체는 본원에서 사용된 음이온과 조합시 상온에서 액체상을 유지하면서 낮은 점도를 지닌다.
나아가 본원은 상기 화학식 1의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기반의 이온성액체화합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이산화탄소 흡수제는 본원에 따른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기반의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제는 이산화탄소와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이를 흡수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제는 화학적 흡수제와 물리적 흡수제로 구분된다. 화학적 흡수제는 이산화탄소와 흡수제 간의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이산화탄소의 압력이 낮은 범위에서 흡수가 가능하다. 그러나 물리적 흡수는 압력에 의하여 흡수와 재생이 되므로 분리하고자 하는 가스에 압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학적 흡수는 일반적으로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산소 원자의 고립 전자쌍이 친핵적(nucleophilic)으로 CO2의 탄소 원자를 공격하여 무수물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1몰의 CO2가 1몰의 이온성액체와 반응하는 1:1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민(RNH2)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하면 카바메이트(2RNH2+CO2 = RNHCOO-.RNH3 +)를 형성하고, 아민과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면 바이카보네이트(2RNH2+CO2+H2O = RNH3 +.HCO3 -+RNH2) 한다. 이때 아민과 이산화탄소의 반응은 아민과 이산화탄소와 2:1 몰 반응으로 카바메이트가 형성되어 반응속도를 매우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나 2몰의 아민에 1몰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므로 단위 아민 당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낮다. 그러나 산(-COOH) 관능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시 이온성액체와 이산화탄소가 1:1 몰 반응을 하므로 단위 이온성액체 당 이산화탄소의 흡수능은 아민 형태보다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은 유기용매 흡수제보다 훨씬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보여주며, 본원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이산화탄소 흡수 실험에서 0.9 몰분율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나타냈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 이미다졸의 측쇄를 카르복실기로 치환하여 이산화탄소와 반응을 직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이온성액체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호작용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보다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흡수제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제의 순환속도를 낮출 수 있어 장치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이산화탄소 흡수제로 사용하는 경우, 흡수제의 손실이 거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분해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제의 손실 아주 낮다. 또한, 재사용 실험시 본 발명에 따른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은 10회 흡수-탈기 실험을 반복할 때에도 이산화탄소 흡수능의 저하가 관찰되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액체 화합물은 우수한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흡수된 이산화탄소의 탈기도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시에도 흡수능의 감소가 거의 없어 이산화탄소 흡수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기체 혼합물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사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본원의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다.
본원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분리에 관한 공지의 공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Energy saving in a CO2 capture plant by MEA scrubbing",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89, p1676-1683 (2011), "Stripper configurations for CO2 capture by aqueous monoethanolamine",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89, p1639-1646 (2011)에 기재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체 혼합물에서 본원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사용하여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흡수제를 탈기탑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기탑에서 탈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따른 방법은 상기 탈기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재사용하기 위해 흡수탑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의 바람직한 온도는 약 0 ℃ 내지 약 80 ℃ 범위 , 특히 약 20 ℃ 내지 약 60 ℃ 범위이고 , 바람직한 압력은 상압 내지 약 80 기압, 특히 상압 내지 60기압이다.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 온도는 낮을수록, 압력은 높을수록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킬 때의 바람직한 온도는 약 60 내지 약 150 ℃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130 ℃ 범위이고, 바람직한 압력은 상압 내지 약 20 파스칼(Pa)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체 혼합물로는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기체, 예를 들면 화학공장, 발전소, 대형 보일러 등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천연가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온성 액체의 합성
본원 실시예에 사용된 모노클로로아세트산 (Monochloroaceticacid, ClCH2COOH), 1-메틸이미다졸 (1-methylimidazole),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소디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sodium tetrafluoroborate (NaBF4)), 마그네슘 설페이트 (magnesium sulfate (MgSO4)), 포타슘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potassium hexafluorophosphate (KPF6)), 리티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아마이드 (Lith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 amide Li(Tf2N)), 소디움 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네이트 (sodium trifluoromethylsulfonate Na(TfO)), 소디움 디시아나미드 (sodium dicyanamide (Na(DCA)) 들은 Sigma-Aldrich 사에서 구입하였으며 추가적인 정제는 하지 않았다.
이하 본원의 이온성액체의 합성은 기존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이용하였다( Z. Fei, D. Zhao, T.J. Geldbach, R. Scopelliti, P.J. Dyson, Bracidic ionic liquids and their zwitterion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Ka determination, Chemistry, A European Journal 10 (2004) 4886-4893).
단, 1-메틸이미다졸의 알킬화반응은 잔존 할로겐 양을 줄이기 위해 약간 과량(당량비 1.1)의 NaBF4, KPF6, Li(Tf2N), Na(TfO), Na(DCA)과의 할로겐(Cl, Br) 치환을 통해 알킬할라이드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실시예 1-1 [ Cmmim ][ Cl ]의 합성
환류 증류기가 장착된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50ml의 아세토니트릴을 주입한 후 추가로 모노클로로아세트산 (6.73 g, 0.10 mol)과 1- 메틸이미다졸(12.3g, 0.15mol)을 주입한 후, 약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해 주었다. 이어 원형 플라스크에 300∼500mmHg의 진공을 걸어주면서 50℃ 내지 100℃에서 가열하면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때 약간 노란색 물질인 [Cmmim][Cl]이 합성되었으며, 수율은 82%이며 수분의 함량은 3.66μg(H2O)ml-1 (RTIL, romm temperature ionic liquid, 상온에서 액상을 유지하는 이온성액체)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3

실시예 1-2 [Cmmim][BF 4 ]의 합성
[Cmmim][Cl] (27.00 g, 0.15 mol)와 NaBF4 (19.00 g, 0.17 mol)를 250ml 용량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150ml의 메탄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해주었다. 이어 생성된 불순물이 포함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이온성액체를 100ml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이온성액체를 MgSO4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이어 건조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재여과 하였다. 최종적으로 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약한 갈색의 액상 이온성액체(37.00g, 수율 91%)을 수득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2.37 μg (H2O)ml-1 (RTIL)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4

실시예 1-3 [Cmmim][PF 6 ]의 합성
[Cmmim][Cl] (27.00 g, 0.15 mol)와 KPF6(31.00 g, 0.17 mol)를 250ml 용량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150ml의 메탄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해주었다. 이어 생성된 불순물이 포함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이온성액체를 100ml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이온성액체를 MgSO4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이어 건조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재여과 하였다. 최종적으로 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짙은 갈색의 액상 이온성액체(37.00g, 수율 91%)을 수득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1.92μg (H2O)ml-1 (RTIL)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5

실시예 1-4 [Cmmim][NTf 2 ]의 합성
[Cmmim][Cl] (27.00 g, 0.15 mol)와 Li(Tf2N)(48.80 g, 0.17 mol)를 250ml 용량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150ml의 메탄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해주었다. 이어 생성된 불순물이 포함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이온성액체를 100ml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이온성액체를 MgSO4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이어 건조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재여과 하였다. 최종적으로 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약한 갈색의 액상 결과물(37.00g, 수율 91%)을 수득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1.88μg (H2O)ml-1 (RTIL)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6

실시예 1-5 [ Cmmim ][ TfO ]의 합성
[Cmmim][Cl] (27.00 g, 0.15 mol)와 Na(Tf0)(29.24 g, 0.17 mol)를 250ml 용량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150ml의 메탄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해주었다. 이어 생성된 불순물이 포함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이온성액체를 100ml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이온성액체를 MgSO4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이어 건조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재여과 하였다. 최종적으로 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약한 갈색의 액상 결과물(37.00g, 수율 91%)을 수득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1.78μg (H2O)ml-1 (RTIL)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7

실시예 1-6 [Cmmim][DCA]의 합성
[Cmmim][Cl] (27.00 g, 0.15 mol)와 Na(DCA)(15.13 g, 0.17 mol)를 250ml 용량의 엘렌마이어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150ml의 메탄올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해주었다. 이어 생성된 불순물이 포함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이온성액체를 100ml의 메탄올을 이용하여 2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이온성액체를 MgSO4를 이용해 건조하였다. 이어 건조된 이온성액체를 아스피레이터가 장착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재여과 하였다. 최종적으로 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약한 갈색의 액상 결과물(37.00g, 수율 91%)을 수득하였으며, 수분 함량은 1.86μg (H2O)ml-1 (RTIL)이었다.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8

실시예 2 합성된 이온성액체의 특성 규명
Bruker Avance-700 FT NMR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해 1H 및 13C 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용매로는 [D6]아세톤을 사용하였다. 화학이동(Chemical Shift) 값은 TMS internal 규격에 기반하여 ppm 단위로 나타내었다. 샘플의 질량은 Hewlett Packard 1100 Series, 매스 스펙트로포토미터, Agilent 1200 Series로 측정되었다. FT-IR spectra는 Thermo, Model: Nicolet 6700로 측정되었다. 성분 원소 분석 (C, H, N)은 Thermo Finnigan Flash EA-2000 Elemental Analyzer (EA)를 이용하였다. 이온성액체내 수분 함유량은 Karl-Fischer titration (Mitsubishi Chem., model CA-07)을 이용하였다.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염은 진공조건에서 약 70-100℃ 온도에서 가열하여, 24시간 건조 후 사용하였다. TGA 실험은 thermal analysis system (Mettler Toledo, Model: TGA/SDTA 85 1e)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평균 시료의 중량은 약 5mg으로 이를 플라티늄 팬에 놓고 N2 분위기에서 30℃에서 100℃까지 약 10℃/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하였다. 각 액상 염의 밀도는 25℃에서 1.0mL의 각 샘플을 3번씩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점도계 (Brookfield, model DV-III+)을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각 0.6ml의 샘플을 10, 20, 30℃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있다.
[표 1]
Figure 112012044733648-pat00009
일반적으로 음이온이 동일할 때 이온성액체의 밀도는 양이온의 1-알킬(알킬에테르) 고리의 길이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CmOnmim]+ 기반 이온성액체의 밀도는 이와 유사한 [Cmmim]+ 기반 이온성액체들보다 약간 더 높으며 예로, (C2O>C3), (C3O>C4)이다. 반면 양이온이 동일할 때, 밀도는 음이온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서로 다른 음이온들에 따른 측정된 [C2Omim][X]의 밀도 경향은 다음과 같다.
Tf2N- > PF6 - > TfO- > BF4 - > Cl- > DCA-
[Tf2N]-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액체는 [DCA]-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액체와 비교해 더 높은 밀도를 갖는다. 그러나 [C2F5BF3]를 포함하는 이온성액체의 경우 [Tf2]- 이온성액체와 거의 동일한 밀도를 갖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이온성액체들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약간의 변경을 통해 원하는 특성으로의 변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온성액체의 점도는 음이온의 종류에 강하게 의존적이며, 수소 결합을 형성하려는 경향과 Van der Waals interaction (분산, 반발 작용)에 의해 기본적으로 결정된다. 이미다졸륨 이온성액체의 경우 양이온의 알킬고리가 길수록 Van der Waals 인력이 증가하여 높은 점도를 갖는 반면, 음이온의 전하 비편재화는 양이온의 수소 결합을 약화시킴에 따라 점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고른 전하 분포를 보이고 평평한 모양을 갖는 음이온의 경우(e.g., [F(HF)2.3]-, [N(CN)2]-, [C(CN)3]-)나 비균일한 모양의 음이온을 갖는 경우(e.g., [Al2Cl7], [(CF3SO2)(CF3CO)N]-, [(CF3SO2)2N]-) 이온성액체의 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이는 반면, 높은 대칭 구조(e.g., BF4 -, PF6 -, AsF6 -, SbF6 -, TaF6 -)를 갖는 경우 약한 조직화 능력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도 혹은 높은 용융점을 갖는다. 이들 점도 데이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음이온이 동일할 경우 서로 다른 양이온에 대한 이온성액체의 측정된 점도 경향은 다음과 같다:
Cl- > PF6 - > BF4 - > TfO- > CF3BF3 > C2F5BF3 > Tf2N- > DCA-
이러한 결과는 이온성액체의 점도는 음이온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 것을 증명한다. [DCA]- 음이온을 가진 이온성액체는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고, [PF6]- 음이온을 포함한 이온성액체는 가장 높은 점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이산화탄소 등온 흡수 곡선 측정 및 기전 규명
등체적(isochoric) 포화 기술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등온 흡착 곡선을 각 30, 50℃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의 주요 부분으로는 가스 저장소, 온도 조절장치, 압력 게이지, 등체 셀, 진공 펌프, 자석 교반기 등이 있다. 실험 온도는 각 셀의 히팅자켓안에 있는 보정된 플라티늄 저항성 온도계로 측정되었으며 오차 범위는 ±0.1 ℃이었다. 실험 측정 압력의 오차는 ±0.001 bar이었다. 실험시 약 2ml 가량의 이온성액체를 등체적 셀(isochoric cell)에 주입 후 진공 펌프를 이용해 내부 공기를 제거한 후 가스 저장소에 있던 CO2를 주입 후 이온성액체를 교반해주었다. 이 시스템은 이후 약 2시간 가량 압력 변동이 없을 시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고 가정하였다. 셀의 무게는 전자저울(Sartorius BS224S)로 측정하였으며 ±0.0001 g의 오차 범위를 갖는다. 이온성액체의 이산화탄소 흡수능은 이 등체적 셀의 shifted quality에 의해 결정되었다.
CO2 흡수 메커니즘은 CO2의 FTIR 및 13C NMR 측정을 통해 조사되었다. 각 물질들의 특성화 분석 또한 같은 장치들이 사용되었다.
결과는 도 1 및 2에 있다. 본원에서 합성된 이온성액체에 대한 CO2 흡착 등온 곡선(isotherm)을 상압, 30, 50℃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본원에 따른 산기능성 이온성액체가 상당히 높은 CO2 흡수능을 보였다. 이온성액체의 CO2 흡수 용량은 압력이 증가할수록,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 실험 결과 이온성액체의 CO2 흡수 능력은 30에서 이온성액체 1몰당 약 0.9 mol CO2 까지 도달하였다. 서로 다른 음이온의 흡수능 실험에서는 BF4< DCA ~ PF6~TfO< Tf2N의 경향을 보였다. 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음이온의 경우 가장 높은 CO2 흡수능을 보이는 것은 이미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며, 플루오로 알킬기가 양적으로 증가할 경우 CO2의 흡수능 또한 증가한다.
또한 본원에서 합성된 이온성액체와 CO2 간의 상호 작용을 FT-IR을 이용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산기능성 이온성액체의 CO2 흡수는 화학적 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이온성액체에 흡수된 CO2의 FT-IR 스펙트럼(도 3)은 카르복실산의 (=C=Ostr)와 (-O-H in plane bend)에 해당하는 1825 cm-1 및 1758 cm-1 두개의 지점에서 새로운 피크를 보였다. 산기능성 이온성액체에 흡수된 CO213C NMR 스펙트럼은 도 4에 나타내었다. 모든 이온성액체의 NMR 스펙트럼은 δ=182,172 ppm 부근에서 새로운 피크를 나타냈다. 이들 피크는 CO2 흡수 이후 형성된 카르복실 그룹의 카르보닐 카본원자에 의해서 생성된 것이다.
상기 결과는 산기능성 이온성액체의 이산화탄소 흡수 반응은 화학적 반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산성기 산소 원자의 고립 전자쌍이 친핵적(nucleophilic)으로 CO2의 탄소 원자를 공격하여 무수물(anhydride)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세한 메커니즘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1몰의 CO2가 1몰의 이온성액체와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1몰의 CO2가 1몰의 이온성액체와 반응하는 1:1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민(RNH2)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하면 카바메이트(2RNH2+CO2 = RNHCOO-.RNH3 +)를 형성하고, 아민과 이산화탄소와 물이 반응하면 바이카보네이트(2RNH2+CO2+H2O = RNH3 +.HCO3 -+RNH2) 한다. 이때 아민과 이산화탄소의 반응은 아민과 이산화탄소와 2:1 몰 반응으로 카바메이트가 형성되어 반응속도를 매우 증가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나 2몰의 아민에 1몰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므로 단위 아민 당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낮다. 그러나 산(-COOH) 관능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시 이온성액체와 이산화탄소가 1:1 몰 반응을 하므로 단위 이온성액체 당 이산화탄소의 흡수능은 아민 형태보다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4 이온성액체의 열적 안정성 및 재사용
산기능성 이온성액체의 열적 안정성을 연구하기 위해 TGA를 이용해 질소 분위기(유량 20ml/min), 승온률 10℃/min 조건에서 테스트하였다. 약 100℃ 까지 승온 실험 결과 눈에 띄는 질량 손실은 없었으며, 이를 통해 약 30, 50℃의 실험 조건에서도 모든 이온성액체가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O2가 포화된 이온성액체를 재생시키기 위해 70℃로 가열하거나 20 Pa 이하로 압력 강하시켰으며 각각 10 사이클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이후에도 이온성액체의 CO2 흡수능에 특별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원에서는 친수성이고 화학적/열적으로 안정한 [Cmmim][X] 시리즈를 합성하고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들의 CO2 흡수능을 측정하였다. CO2 흡수능은 상압 조건에서 1몰의 이온성액체당 0.9 mol CO2 에 달하였다. 가장 큰 CO2 흡수능을 보인 이온성액체는 [Tf2N] 음이온을 가진 것으로 다른 음이온들과 비교했을 때 Tf2N의 음이온의 플루오로알킬화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이 이유였다.
흡수 메커니즘은 FT-IR과 13C NMR을 이용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화학적 반응임을 증명하였다. 이온성액체에 흡수된 CO2는 가열 또는 압력스윙(pressure swing) 방법을 통해 손쉽게 탈착이 가능했으며 반복적인 이용이 가능하였다. 본원의 산관능화된 이온성액체는 높은 이산화탄소 포집 능은 물론, 선택성, 열적 안정적, 오랜 사용 수명으로 인해 CO2 포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이산화탄소 흡수능을 갖는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 액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화학식 1]
    Figure 112013113866216-pat00010

    상기 식에서 X-는 [BF4]-, [PF6]-, [Tf2N]-, [TfO]-, [DCA]-, [Cl]-, [Br]-, [I]-, [NO3]-, [SO4]2 -, [CF3COO]-, [CF3SO2]-, [(CF3SO2)2N]-, [SF6]-, [(C2F5)3PF3]-, [N(SO2CF3)2]-, [CF3SO3]-, [B(CN)4]-, [N(CN)2]-, [C(CN)3]-, [SCN]-, [HSO4]-, [CH3SO4]-, [C2H5SO4]-, [C4H9SO4]-, [C6H13SO4]-, [B(C2O4)2]-, [CH3SO3]-, [CH3C6H4SO3]-, 또는 [C4F9SO3]-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X-는 [BF4]-, [PF6]-, [Tf2N]-, [TfO]-, 또는 [DCA]- 인, 이산화탄소 흡수제.
  3. 삭제
  4. 기체 혼합물로부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흡수된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단계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 이온성액체가 1:1의 몰비로 반응하는 것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탈기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재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의 온도는 0 ℃ 내지 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킬 때의 압력은 상압 내지 60 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탈기시킬 때의 온도는 상온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혼합물은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되는 기체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혼합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KR1020120060126A 2012-06-05 2012-06-05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KR10138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126A KR101384538B1 (ko) 2012-06-05 2012-06-05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PCT/KR2012/005916 WO2013183808A1 (ko) 2012-06-05 2012-07-25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126A KR101384538B1 (ko) 2012-06-05 2012-06-05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17A KR20130136617A (ko) 2013-12-13
KR101384538B1 true KR101384538B1 (ko) 2014-04-11

Family

ID=4971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126A KR101384538B1 (ko) 2012-06-05 2012-06-05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4538B1 (ko)
WO (1) WO2013183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2134B (zh) * 2014-01-08 2015-10-28 浙江大学 一种离子液体高效节能碳捕集的方法
EP4268936A1 (en) * 2022-01-24 2023-11-01 SK Innovation Co., Ltd. Carbon dioxide absorbent comprising phenolate-based ionic liquid and aliphatic alcohol and carbon dioxide separation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085A1 (en) * 2010-03-12 2011-09-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rbon dioxide capture with ionic liquid electrospray
KR20120055393A (ko) * 2010-11-23 2012-05-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페놀레이트계 이온성액체 제조방법 및 그 제품과 그것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 Appl. Sci. Res. 2(4), 235-239, 2010. *
J. Am. Chem. Soc. 126, 5300-5308, 20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617A (ko) 2013-12-13
WO2013183808A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676C (en) N-functionalized imidazole-contain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JP4865530B2 (ja) 二酸化炭素分離用の混合吸収剤
US7749475B2 (en) Method for separation and recycle of pure sulfur dioxide from a gaseous mixture in is cycle with ionic liquids
US9919262B2 (en) Process for capturing sulfur dioxide from a gas stream
AU2014260379B2 (en) Mixtures of physical absorption solvents and ionic liquids for gas separation
KR101107203B1 (ko) 이온성 액체계 이산화황 흡수제
CA2861345A1 (en) Process for absorbing co2 from a gas mixture
Li et al. PEG-linked functionalized dicationic ionic liquids for highly efficient SO2 capture through physical absorption
JP6530167B2 (ja) 二酸化炭素化学吸収液及び二酸化炭素分離回収方法
KR101071774B1 (ko) 아마이드로부터 유도된 이온성 액체계 이산화탄소 흡수제
KR101415865B1 (ko) 고분자에 지지된 아민 기반 신규 이산화황 및 아황산 흡수제
KR101384538B1 (ko) 이산화탄소 분리용 산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KR101380758B1 (ko) 이산화탄소 분리용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CN112839729A (zh) 从包含酸性气体的气体混合物中去除酸性气体
KR102020293B1 (ko) 이온성 액체 기반 산가스 흡수제를 이용한 산가스 분리방법
KR20140014740A (ko) 이산화탄소 분리용 아민 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WO2012171831A1 (en) Process for separating co2 from a gaseous stream
KR101122714B1 (ko) 함불소올레핀을 포함한 이미다졸륨계 이온성액체 화합물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흡수제
KR20130126359A (ko) 이산화탄소 분리용 에테르 관능화된 이미다졸륨 이온성 액체 및 그 용도
KR102035926B1 (ko) 산성가스 분리용 흡수제
WO2016126957A1 (en) Gas treating solutions containing imidazole-amine compounds
Chaudhary et al. A novel ionic liquid for carbon capture
EP4268935A1 (en) Carbon dioxide absorbent comprising ionic liquid and alcohol solvent, and method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using same
CN116847921A (zh) 包含酚盐基离子液体和脂肪族醇的二氧化碳吸收剂及利用其分离二氧化碳的方法
NZ615884B2 (en) N-functionalized imidazole-containing systems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