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807B1 -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807B1
KR101382807B1 KR1020120080689A KR20120080689A KR101382807B1 KR 101382807 B1 KR101382807 B1 KR 101382807B1 KR 1020120080689 A KR1020120080689 A KR 1020120080689A KR 20120080689 A KR20120080689 A KR 20120080689A KR 101382807 B1 KR101382807 B1 KR 10138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nut
tru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527A (ko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8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5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 작업 완료 후 밀림에 따른 보정 값을 적용하기 위해 트렁크 힌지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에 체결되고, 트렁크 리드(1)에 체결된 힌지암(3)의 단부와 힌지연결되는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힌지암(3)의 단부를 수용하고 차체에 체결되는 외부브라켓(10)과,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브라켓(20)과, 상기 외부브라켓(10), 상기 내부브라켓(20) 및 힌지암(3)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브라켓(10)과 내부브라켓(20)을 상기 힌지암(3)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축(30)과, 상기 내부브라켓(20)와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내부브라켓(20)을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서 상기 힌지축(30)과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너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50)로 힌지축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렁크 리드(1)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렁크 리드(1)와 상기 트렁크 리드(1)에 인접한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 for trunk lid adjustable parting gap}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장 작업 완료 후 밀림에 따른 보정 값을 적용하기 위해 트렁크 힌지축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 리드와 차체를 연결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되도록 하는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최근에는 트렁크 리드의 개방이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가스리프트를 구비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트렁크 리드 개방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가스리프트에 의해서 트렁크 리드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110)에 힌지축(111)을 통하여 힌지암(3)을 연결하고, 가스리프트(120)를 적용하여 상기 가스리프트(120)가 힌지암(3)을 밀어내어 트렁크 리드(1)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가스리프트(120)의 반력(F)에 의해서 트렁크 리드(1) 쪽으로 회전모멘트(M)가 전달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1)가 밀리거나(화살표 'A'참조), 부상(浮上, 화살표 'B'참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차량의 조립과정 중, 상기와 같은 밀림, 부상에 의한 오차를 보정하는데, 이때, 차량의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 사이의 파팅 갭(PG)이 줄어 상기 사이드 아우터(2)와 상기 트렁크 리드(1)가 서로 간섭을 일으켜 도장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리프트를 사용하여 트렁크리드 개방시 팝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1-004996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트렁크 리드의 밀림, 부상에 대한 보정값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힌지축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할 수 있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에 체결되고, 트렁크 리드에 체결된 힌지암의 단부와 힌지연결되는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힌지암의 단부를 수용하고 차체에 체결되는 외부브라켓과,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브라켓과, 상기 외부브라켓, 상기 내부브라켓 및 힌지암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브라켓과 내부브라켓을 상기 힌지암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내부브라켓와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내부브라켓을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부에서 상기 힌지축과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로 힌지축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렁크 리드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렁크 리드와 상기 트렁크 리드에 인접한 사이드 아우터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너트는 회전시켜 상기 내부브라켓을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힌지축이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사이의 파팅 갭이 줄어들게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연결공(11a)이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브라켓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첩부와, 상기 중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부분에 상기 조절너트가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볼트부는 차량의 전방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첩부에는 상기 내부브라켓의 이동시 마찰을 저감시키는 니들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외부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인너너트와, 상기 인너너트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외부브라켓의 외측에 접하도록 체결하는 아우터너트와, 상기 인너너트를 상기 외부브라켓에 대하여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상기 인너너트를 1차 체결한 상태에서 파팅 갭을 조절하고, 파팅 갭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아우터너트를 상기 외부브라켓의 외측에 접하도록 최종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힌지축과 상기 체결너트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따르면, 간단히 조절너트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힌지축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의 파팅 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너트로 상기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의 파팅 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장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밀림, 부상에 따른 보정값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의 파팅 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의 간섭에 의해 도장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가 적용된 트렁크 리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서 외부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서 체결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2-A2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파팅 갭 조절 이전상태를 도시한 도 6의 A1-A1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파팅 갭이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도 6의 A1-A1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는, 도 3에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체결되고 힌지암(3)의 단부와 힌지연결되는 외부브라켓(10)과,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브라켓(20)과, 상기 힌지암(3), 상기 외부브라켓(10) 및 상기 내부브라켓(20)을 관통하는 힌지축(30)과, 상기 힌지축(30)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40)와, 상기 내부브라켓(20)과 체결정도에 따라 내부브라켓(20)을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조절너트(50)를 포함한다.
외부브라켓(10)은 내부에 내부브라켓(20)과 힌지암(3)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브라켓(10)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벽부(11)와, 상기 측벽부(11)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11), 지지부(12)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측벽부(11)는 트렁크 리드(1)에 체결된 힌지암(3)의 단부와 힌지연결된다. 상기 측벽부(11)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단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측벽부(11) 사이에 상기 힌지암(3)의 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측벽부(11)와 힌지암(3)이 서로 힌지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벽부(11)에는 후술되는 힌지축(30)이 관통할 수 있는 힌지연결공(11a)이 형성된다.
지지부(12)는 상기 측벽부(11)와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측벽부(11)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축(30)과, 상기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는 축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 된다. 상기 지지부(12)는 후술되는 내부브라켓(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12)에는 내부브라켓(20)의 볼트부(2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1)와 지지부(12)의 하단에는 차체와 체결을 위한 플랜지(11b)(12b)가 형성된다.
내부브라켓(20)는 상기 외부브라켓(10)의 측벽부(11)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부(21)와, 상기 중첩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3) 및 상기 연결부(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24)를 포함한다.
중첩부(21)는 상기 외부브라켓(10)의 측벽부(11)에 중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중첩부(21)에도 힌지축(30)이 관통되도록 하는 힌지연결공(21a)이 형성된다.
연결부(23)는 상기 중첩부(21)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된 중첩부(21)와 연결부(23)는 U자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상기 힌지암(3)의 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볼트부(24)는 상기 연결부(23)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볼트부(24)는 상기 지지부(12)의 관통공(12a)을 관통한다. 상기 볼트부(2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중첩부(21)에는 베어링, 바람직하게는 니들베어링(25)이 설치되어, 상기 내부브라켓(20)이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서 이동할 때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외부브라켓(10)의 측벽부(11)와 상기 내부브라켓(20)의 힌지연결부(23)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연결공(11a)(21a) 중 적어도 하나는 정원(正圓)이 아니라, 상기 내부브라켓(20)의 볼트부(24)가 형성된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공 또는 타원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외부브라켓(10)의 측벽부(11)에 형성된 힌지연결공(11a)의 높이(h)보다 폭(w)이 크게 형성되어(도 4 참조), 상기 외부브라켓(10)과 내부브라켓(20)이 연결되었을 때, 힌지축(30)이 힌지연결공(11a)의 폭방향, 즉 차량의 길이방향(화살표 F 또는 R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힌지축(30)은 상기 외부브라켓(10)과 내부브라켓(20)의 힌지연결공(11a)(21a) 및 힌지암(3)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힌지암(3)이 상기 외부브라켓(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파팅 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내부브라켓(20)을 이동시키면, 상기 내부브라켓(20)가 함께 상기 힌지축(30)도 이동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1)와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0)의 단부, 즉 상기 힌지축(30)이 외부브라켓(10)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외부브라켓(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체결너트(40)와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너트(40)는 상기 힌지축(30)의 단부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너트(40)는 상기 외부브라켓(10)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30)의 단부에 1차적으로 나사체결되는 인너너트(41)와, 상기 인너터트(41)의 외측면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외부브라켓(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아우터너트(42)와, 상기 체결너트(40)가 상기 힌지축(3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인너너트(41)와 상기 외부브라켓(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너너트(41)를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43)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너트(40)는 인너너트(41)와 아우터너트(42)로 이루어진 2단 체결너트로서, 상기 인너너트(41)는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너트(42)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너트(40)를 이용하여, 상기 인너너트(41)를 이용하여 상기 힌지축(30)과 1차 체결되고, 상기 판스프링(43)에 의해서 1차 체결에 따른 체결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파팅 갭을 조절하도록 하고,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의 파팅 갭이 조절된 후 아우터너트(42)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체결된다.
조절너트(50)는 상기 내부브라켓(20)의 볼트부(24)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브라켓(10)과 내부브라켓(20)의 힌지연결위치를 조절한다. 즉, 상기 조절너트(50)는 상기 지지부(12)를 관통한 내부브라켓(20)의 볼트부(24)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너트(50)를 회전시켜 상기 조절너트(50)와 볼트부(24)의 체결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외부브라켓(10)의 내부에서 내부브라켓(2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사이드 아우터와 트렁크 리드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의 초기 조립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초기 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너트(40)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고, 단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힌지축(30)에 인너너트(41)가 1차 체결되어, 상기 체결너트(40)의 인너너트(41)와 아우터너트(42)가 측벽부(11)와 'Ga'만큼의 간격을 두고 있는 상태이나, 상기 체결너트(40)의 판스프링(43)에 의해서 힌지축(30)과 체결너트(40)의 체결력은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외부브라켓(10)의 힌지연결공(11a)에서 간극 'Gb'를 두고 위치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상대적으로 상기 트렁크 리드(1)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은 도장 작업이 용이하도록 최종조립상태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초기의 가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의 사이의 파팅 갭이 충분하여 도장작업을 하여도, 상기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가 서로 중첩되지 않아 도장이 까지는 것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 사이의 파팅 갭이 충분한 상태에서 도장이 완료되면, 트렁크 리드의 밀림 또는 부상과 같은 후변형에 대한 보정치를 적용하기 위하여 공구를 사용하여, 도 8에 화살표 ①로 도시된 방향, 즉 조절너트(50)가 볼트부(24)에 더 체결되는 방향으로 조절너트(5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절너트(50)를 볼트부(24)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너트(50)는 지지부(12)에 의해서 볼트부(24)로 더 이상 체결되지 않으므로, 내부브라켓(20)은 전체적으로 화살표 ②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내부브라켓(20)이 화살표 ② 방향, 즉 차량의 전방방향(F)으로 이동하면, 이와 함께 힌지축(30)도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조절너트(50)를 체결정도를 조절하여, 내부브라켓(20)을 이동시킴으로써, 힌지축(30)과 외부브라켓(10)의 힌지연결공(11a)사이의 간극이 도 8에 도시된 'Gb'에서 도 9에 도시된 'G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트렁크 리드(1)는 차량의 전방방향(F)으로 간극 Gb 또는 Gc에 상응하는 만큼 이동하여 파팅 갭이 조절되고, 상기 체결너트(40)의 아우터너트(42)를 더욱 조여 상기 아우터너트(42)가 상기 외부브라켓(10)에 접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체결너트(40)의 체결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30)이 차량의 전방방향(F) 또는 후방방향(R)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힌지축(30)에 단부가 연결된 힌지암(3)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상기 힌지암(3)에 연결된 트렁크 리드(1)가 그에 상응하는 만큼 차량의 전방방향(F) 또는 후방방향(R)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내부브라켓(20)에는 니들베어링(2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니들베어링(25)이 화살표 ③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내부브라켓(20)과 외부브라켓(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내부브라켓(2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30)의 이동량은 힌지연결공(11a)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힌지축(30)의 직경과 힌지연결공(11a)의 차이만큼 힌지축(30)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브라켓(20)이 차량의 전방방향(F)으로 이동하면, 그에 상응하여 상기 사이드 아우터(2)와 트렁크 리드(1) 사이의 파팅 갭이 줄어든다. 즉, 도장작업 이전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1)와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을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한 상태에서 도장작업을 수행하고,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조절너트(50)를 회전시켜, 내부브라켓(20)을 차량의 전방향향(F)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도장작업전에 트렁크 리드(1)와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이 트렁크 리드(1)가 도 9의 간극 'Gc'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차량의 전방방향(F)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트렁크 리드(1)와 사이드 아우터(2) 사이의 파팅 갭이 줄어들어 설계사양을 충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팅 갭은 조절너트(50)의 체결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1 : 트렁크 리드 2 : 사이드 아우터
3 : 힌지암 10 : 외부브라켓
11 : 측벽부 11a : 힌지연결공
11b : 플랜지 12 : 지지부
12a : 관통공 12b : 플랜지
20 : 내부브라켓 21 : 중첩부
22 : 힌지연결공 23 : 연결부
24 : 볼트부 25 : 니들베어링
30 : 힌지축 40 : 체결너트
41 : 인너너트 42 : 아우터너트
43 : 판스프링 50 : 조절너트
110 : 트렁크 힌지 111 : 힌지축
120 : 가스리프트

Claims (7)

  1. 차체에 체결되고, 트렁크 리드에 체결된 힌지암의 단부와 힌지연결되는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힌지암의 단부를 수용하고 차체에 체결되는 외부브라켓과,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브라켓과,
    상기 외부브라켓, 상기 내부브라켓 및 힌지암의 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브라켓과 내부브라켓을 상기 힌지암과 힌지연결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내부브라켓와의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내부브라켓을 상기 외부브라켓의 내부에서 상기 힌지축과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로 힌지축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트렁크 리드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트렁크 리드와 상기 트렁크 리드에 인접한 사이드 아우터 사이의 파팅 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너트는 회전시켜 상기 내부브라켓을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힌지축이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사이의 파팅 갭이 줄어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힌지연결공이 설치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브라켓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에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첩부와,
    상기 중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부분에 상기 조절너트가 체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는 차량의 전방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에는 상기 내부브라켓의 이동시 마찰을 저감시키는 니들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외부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인너너트와, 상기 인너너트의 외측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외부브라켓의 외측에 접하도록 체결하는 아우터너트와, 상기 인너너트를 상기 외부브라켓에 대하여 탄력지지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상기 인너너트를 1차 체결한 상태에서 파팅 갭을 조절하고, 파팅 갭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아우터너트를 상기 외부브라켓의 외측에 접하도록 최종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힌지축과 상기 체결너트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KR1020120080689A 2012-07-24 2012-07-24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KR10138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89A KR101382807B1 (ko) 2012-07-24 2012-07-24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89A KR101382807B1 (ko) 2012-07-24 2012-07-24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27A KR20140014527A (ko) 2014-02-06
KR101382807B1 true KR101382807B1 (ko) 2014-04-08

Family

ID=5026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89A KR101382807B1 (ko) 2012-07-24 2012-07-24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69U (ko) * 1997-12-16 1999-07-05 정몽규 트렁크 리드 토션 바
KR20040041922A (ko) * 2002-11-12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110049969A (ko) * 2009-11-06 2011-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969U (ko) * 1997-12-16 1999-07-05 정몽규 트렁크 리드 토션 바
KR20040041922A (ko) * 2002-11-12 2004-05-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20110049969A (ko) * 2009-11-06 2011-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리드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27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785B2 (en) Hinge
US9254733B2 (en) Automotive glass channel and method
JP2011245915A (ja) 蓋の建付調整構造
KR20140005738A (ko) 유리문용 자동 복귀 장치
US20150158503A1 (en) Railway vehicle plug door device and railway vehicle plug door
EP34602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vehicle accessory
KR101382807B1 (ko) 파팅 갭 조절이 가능한 트렁크 힌지 어셈블리
US7308732B2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CN105735819A (zh) 一种轿车电动尾门推杆增阻器
KR20150134013A (ko) 작동효율을 향상한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US6952898B2 (en) Guide rail adjus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power window assembly
KR101828945B1 (ko) 블라인드 볼트
GB2519096A (en) A clamp
KR101949205B1 (ko) 간격 조절 공구
CN111094681A (zh) 用于在窗户或门上的被遮盖的装置的转动配件
JP2015202427A (ja) 車両のシーラー塗布装置
WO2015182476A1 (ja) ガイドローラユニット及び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4805098B2 (ja) ピボットヒンジ
JP6199175B2 (ja) マンホールカバーの開閉装置
FR2997145A1 (fr) Paumelles pour montage provisoire d'une portiere sur un chassis de vehicule
CN205558769U (zh) 卷帘可伸缩固定组件
WO2014199032A1 (fr) Ensemble comprenant un outil d'anglage et un outil de sertissage de deux pièces en tole
EP1898122A3 (de) Stellvorrichtung zur linearen Verstellung eines Stellgliedes
KR101726287B1 (ko) 도어 힌지장치
FR2997991A1 (fr)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vantail couliss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