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287B1 -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287B1
KR101726287B1 KR1020150104786A KR20150104786A KR101726287B1 KR 101726287 B1 KR101726287 B1 KR 101726287B1 KR 1020150104786 A KR1020150104786 A KR 1020150104786A KR 20150104786 A KR20150104786 A KR 20150104786A KR 101726287 B1 KR101726287 B1 KR 10172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nut insert
steel ball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2787A (ko
Inventor
배상윤
Original Assignee
(주)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덕 filed Critical (주)혜덕
Priority to KR102015010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2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4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with guide members shaped as circular ar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4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relating to the use of free balls as bearing-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도어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와 도어베이스 상에 힌지어셈블리가 개재되어 도어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도어 힌지장치에서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도어베이스에 삽설된 스틸볼의 상부를 상기 힌지의 하부가 미끄럼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너트인서트에 나사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정확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힌지장치{DOOR HINGE APPARATUS FOR CONTAINER BOX}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이 삽입된 힌지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에는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여 비품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도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도어와, 도어와 개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주는 힌지장치로 이루어져, 도어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개구의 테두리에는 개구의 테두리 면과 동일면이 되게 문틀을 설치하여 힌지장치의 설치장소를 마련하거나 개구의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힌지장치는 힌지축을 갖고 도어의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회동체와, 상기 힌지축을 끼울 수 있는 축홈을 갖고 개구의 상부와 하부(바닥)에 설치되는 원형상의 고정체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회동체와 고정체와의 사이에 와셔를 개재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는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여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별도의 댐퍼를 가구 본체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댐퍼를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댐퍼를 구매해야하는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가구 본체에 설치되는 댐퍼가 물건의 수납시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상의 도어 힌지는 도어의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기 때문에 힌지의 유격이나 또는 도어의 무게로 인하여 도어가 정확하게 닫히지 못하고, 도어가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수시로 힌지의 유격을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051호(2013.02.1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 힌지 어셈블리를 이용한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힌지를 도어의 상하측에 구비한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와 도어베이스 상에 힌지어셈블리가 개재되어 도어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도어베이스에 삽설된 스틸볼의 상부를 상기 힌지의 하부가 미끄럼회전하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너트인서트에 나사 결합되고, 힌지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너트인서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된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의 하부에 외주연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너트인서트의 하부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너트인서트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과회전방지턱과, 상기 과회전방지턱의 하부로 돌출성형된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단부에 상기 스틸볼의 상부가 삽설되어 회전운동하는 하부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도어 힌지장치에 의하면, 스틸볼이 삽입된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기울어지는 현상없이 정확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인서트의 확대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너트인서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장치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200)와 도어(200)를 지지하는 도어베이스(Door Base;210)사이에 힌지어셈블리(Hinge Assembly;100)를 개재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어베이스(210) 하부에는 수납함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220)이 구비될 수 있고, 힌지어셈블리(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100)는 스틸볼을 도어의 상하에 설치하여 도어를 개폐하도록 동작하기 위하여, 힌지어셈블리(100)는 도어베이스(210)에 스틸볼을 삽입하고 도어에 결합된 힌지(110)가 스틸볼상을 회전하도록 동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베이스(210)에 스틸볼을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로 힌지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스틸볼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힌지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어셈블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인서트의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어셈블리(100)는 도어베이스(210)에 스틸볼(130)을 구성하고, 도어(200)에 힌지(110)를 결합하여 힌지의 단부가 스틸볼 상부를 미끄럼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베이스(210) 상에 스틸볼(130)이 삽설되는 둥근 요홈(211)을 형성하고, 스틸볼(130) 상단이 도어(200)에 결합된 힌지(110)의 하부홈(111)에 삽설되어 미끄럼 회전을 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120)를 보다 쉽게 도어에 설치하기 위하여 너트인서트(120)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너트인서트(120)는 도어와 같은 얇은 박판 또는 파이프 등 폐단면을 가지는 소재에 너트 부착이 필요할 때 용접을 하지 않고도 한 방향에서 공구(300)를 사용하여 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명 펌너트(PEMNET), 너섯트라 한다.
이러한 너트인서트(120)는 중공형상의 내부 외주연에 나사산(12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접철가능한 바디(122)와 바디의 하부에 외주연으로 돌출형성된 단턱(121)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너트인서트(120)의 바디(122)는 나사산(123)이 형성된 몸체(124) 대비 가늘어서 공구를 사용하여 너트인서트를 결합할 때 바디(122) 부분이 접철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너트인서트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너트인서트(120)를 삽설하고, 이에 힌지(110)가 나사결합되어 스틸볼(130)의 상부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어에 결합되어 스틸볼(130)의 상부에서 회전결합되는 부재이면 족하기 때문에 너트인서트를 사용하지 않고 힌지를 도어에 바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힌지(110)는 너트인서트(120)의 나사산(12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된 힌지몸체(114)와, 힌지몸체(114)의 하부에 외주연으로 돌출형성되어 너트인서트(120)의 단턱(121)의 하부에 밀착지지되어 더 이상의 힌지몸체(114)가 너트인서트(120)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회전방지턱(113)이 구성된다.
과회전방지턱(113)의 하부로 돌출성형된 하부몸체(112)와 하부몸체(112)의 단부에 스틸볼(130)의 상부가 삽설되어 회전운동하는 하부홈(111)이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너트인서트(120)의 힌지몸체(114)가 나사결합되고, 하부홈(111)에 스틸볼(130)의 상부가 삽설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어베이스(210)는 스틸볼(130)이 삽설되는 둥근 요홈(211)을 형성하고, 요홈의 상부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턱(212)이 하부에 형성된 힌지홈(213)을 형성하여 힌지(110)의 하부몸체(112)가 삽설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도어 힌지장치의 작동과 그 효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20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너트인서트를 결합한다.
도 5와 도 6의 너트인서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을 보면, 너트인서트(120)를 공구 스크류(300)에 대고 가볍게 밀어 정회전시킨 다음 공구에 장착된 너트인서트(120)를 도어(200)의 결합홈(220)에 삽입한다.
이때 결합홈(220)의 배면에 너트인서트(120)의 단턱(121)의 상면을 밀착시킨 후 방아쇠를 당기면 너트인서트의 바디(122)가 접혀 접철단턱(124)이 형성되면서 자동으로 역회전하여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결국 단턱(121)과 접철단턱(124) 사이에 도어(200)의 베이스가 물려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너트인서트(120)가 도어(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되면, 너트인서트(120)의 나사산(12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힌지몸체(114)를 나사결합하되, 너트인서트(120)의 단턱(121)의 하부에 괴회전방지턱(113)이 밀착지지되도록 나사결합한다.
도어의 상부도 하부와 동일한 구조 또는 일반적인 힌지 구조를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도어베이스(210)의 둥근 요홈(211)에 스틸볼(130)을 삽설하고, 힌지(110)의 하부몸체(112)를 힌지홈(213)에 삽설하면서, 힌지(110)의 하부홈(111)에 스틸볼(130)의 상부가 삽설되도록 조립하면 도어의 하중에 의하여 스틸볼(130)의 상부를 힌지(110)가 미끄럼회전하게 되고, 결국 도어를 개페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힌지와 스틸볼을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기 때문에 유격없이 정확히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힌지어셈블리 110 : 힌지
120 : 너트인서트 130 : 스틸볼
200 : 도어 210 : 도어베이스

Claims (4)

  1. 삭제
  2. 도어와 도어베이스 상에 힌지어셈블리가 개재되어 도어가 회전하도록 동작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너트인서트(120)에 나사 결합되는 힌지(110)와 상기 도어베이스(210)에 삽설된 스틸볼(130)의 상부를 상기 힌지의 하부가 미끄럼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너트인서트(120)는
    중공형상의 내부 외주연에 나사산(123)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접철가능한 바디(122)와 바디의 하부에 외주연으로 돌출형성된 단턱(121)을 포함하고, 상기 단턱(121)과 바디(122) 사이에 도어(200)의 베이스가 물려 결합되도록 접철단턱을 형성한 도어 힌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에 결합된 너트인서트(12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외주연에 형성된 힌지몸체(114);
    상기 힌지몸체의 하부에 외주연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너트인서트의 하부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힌지몸체가 상기 너트인서트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과회전방지턱(113);
    상기 과회전방지턱의 하부로 돌출성형된 하부몸체(112);및
    상기 하부몸체의 단부에 상기 스틸볼의 상부가 삽설되어 회전운동하는 하부홈(111);
    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베이스는
    상기 스틸볼이 삽설되는 둥근 요홈(211);
    상기 요홈의 상부 바깥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단턱(212)이 하부에 형성된 힌지홈(213);
    을 포함하고, 상기 스틸볼은 상기 요홈에 삽설되어 미끄럼회전하는 도어 힌지장치.








KR1020150104786A 2015-07-24 2015-07-24 도어 힌지장치 KR101726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786A KR101726287B1 (ko) 2015-07-24 2015-07-24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786A KR101726287B1 (ko) 2015-07-24 2015-07-24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87A KR20170012787A (ko) 2017-02-03
KR101726287B1 true KR101726287B1 (ko) 2017-04-13

Family

ID=5815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786A KR101726287B1 (ko) 2015-07-24 2015-07-24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0796A (zh) * 2020-12-16 2021-03-09 马鞍山市博浪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三联供热泵热水器安装设备及其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025Y2 (ja) * 1989-04-18 1994-11-16 下平金物株式会社 下ピボット具
KR20020031912A (ko) * 2000-10-24 2002-05-03 강일봉 도어용 힌지 장치
KR101276670B1 (ko) 2011-08-09 2013-06-19 장근대 가구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787A (ko) 2017-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5119B (zh) 用于冰箱的门支承装置
US8413298B2 (en) Universal damping mechanism
US8701248B2 (en) Door construction with closing pivot hinges integrated into door panel
JP5535580B2 (ja) 自動開閉扉蝶番
US20170122020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KR101726287B1 (ko) 도어 힌지장치
CN105486009B (zh) 冰箱
KR20150040499A (ko) 캠을 이용한 도어용 경첩
JP2016527423A (ja) 家具の扉を開放および支持するための改良型ガイド装置
US9936809B2 (en) Cabinet assembly having a releasable support foot
KR101672163B1 (ko) 댐핑 기능을 갖춘 수납장의 상하 개폐용 도어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TWI498200B (zh) 工具盒
KR20080114710A (ko) 스프링 에너지 저장 장치, 가구 및 폐쇄 장치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8185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20170103293A (ko) 가구 플랩 도어용 댐핑 기능을 가진 완충기
KR20200084966A (ko)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KR101358369B1 (ko) 가구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34152B1 (ko) 자동닫힘 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
KR20140008833A (ko) 절첩식 컨테이너용 스프링 경첩
KR102520553B1 (ko) 도어용 손끼임방지 경첩
CN111050603A (zh) 面板支架和抽屉
KR101731946B1 (ko) 틸팅 타입 책상
JP6997070B2 (ja) 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