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946B1 - 틸팅 타입 책상 - Google Patents

틸팅 타입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946B1
KR101731946B1 KR1020150067319A KR20150067319A KR101731946B1 KR 101731946 B1 KR101731946 B1 KR 101731946B1 KR 1020150067319 A KR1020150067319 A KR 1020150067319A KR 20150067319 A KR20150067319 A KR 20150067319A KR 101731946 B1 KR101731946 B1 KR 10173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late
cam
le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992A (ko
Inventor
우인환
오주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룸
Priority to KR102015006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9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47B1/03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6Desks with double worktop of which one at least is separately height adjust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 타입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평되게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중 착석자에 근접하는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고정판의 제1지점에 힌지 고정된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 틸팅판을 포함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지점보다 하부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점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판에 고정된 틸팅 안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틸팅 타입 책상{Tilting type Desk}
본 발명은 틸팅 타입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부의 일부만이 능동적으로 틸팅 가능함은 물론, 틸팅 작동 시 사용자의 연령층에 관계없이 틸팅 작동이 용이하고, 틸팅 작동 시 틸팅판의 자중에 의한 하방 처짐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 타입 책상에 관한 것이다.
책상은 학교, 일반 사무실 및 가정에서 필수적인 생활가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가구로서,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포함하는 물건이 거치되는 상판부와, 상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평행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부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최근에는, 책상의 상판부가 수평으로 고정된 구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상판부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작업 환경에 부합하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판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틸팅되는 타입의 책상을 '틸팅 타입 책상'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은, 상판부를 틸팅시키기 위한 구성이 매우 복잡한 한편, 별도로 틸팅된 상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추가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상판부를 틸팅 작동 시 상판부의 자중에 의한 처짐으로 인하여 손가락 등이 끼임으로써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621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3621호 (2006.05.29.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판부의 절개된 틸팅판 일부만이 틸팅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고, 틸팅 작동 시 틸팅판의 단계별 각도 조절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각도에서도 고정 가능한 락 실린더를 제공하며, 틸팅 작동 시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성을 확보한 틸팅 타입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수평되게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중 착석자에 근접하는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고정판의 제1지점에 힌지 고정된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 틸팅판을 포함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지점보다 하부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점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판에 고정된 틸팅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 안내부는, 상기 제2지점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상기 틸팅판의 틸팅 동작을 지지하는 틸팅 레버와, 상기 틸팅판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틸팅판과 평행되게 길이가 가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틸팅판을 고정시키는 락 실린더와, 상기 락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와, 상기 틸팅판의 상방 틸팅 시 부가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틸팅판의 하방 틸팅 시 저항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시켜 상기 틸팅판의 자중 방향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 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틸팅 레버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된 이동 피스톤과, 상기 이동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하여 푸쉬되도록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한 푸쉬력이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한 푸쉬력이 해제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단에 상기 제2지점의 힌지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캠 하우징과,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점에 대하여 상이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캠 경사면이 형성된 캠 블록과,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 상기 틸팅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서 상기 틸팅 레버의 회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블록의 캠 경사면에 접하는 접촉 돌기가 구비된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 블록을 인장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경사면은, 상기 틸팅판의 틸팅 전 상기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짧고, 상기 틸팅판의 틸팅 후 상기 탄성체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 내부 일측에 상기 틸팅 레버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캠 하우징의 타측에는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캠 블록을 삽입 설치하는 설치구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설치구를 차폐시키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상판부의 절개된 일부인 틸팅판 만이 틸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틸팅판 이외의 상판부는 본래 책상의 상판부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용도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푸쉬 레버의 푸시 동작을 통해 락 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틸팅 각도에서 틸팅판을 고정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틸팅판의 상부 틸팅 동작 시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틸팅판의 하부 틸팅 동작 시에는 틸팅판의 자중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틸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한 틸팅판의 상부 틸팅 동작 시에는 탄성체의 인장력을 통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틸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틸팅판의 틸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틸팅 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틸팅 안내부의 구성 중 처짐 방지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틸팅 안내부를 나타낸 전후방향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6의 틸팅 안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틸팅판의 틸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는 사용자가 착석되는 부분을 책상의 '후방'으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사용자의 착석 부분 건너편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물건이 거치되는 상판부(10,20)와, 상기 상판부(10,20)의 하부에서 상기 상판부(10,2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판부(1a,1b,2,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부(1a,1b,2,3)는, 상기 상판부(10,2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하로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판부(10,2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지지하는 좌측 플레이트(1a) 및 우측 플레이트(1b)와, 상기 상판부(10,20)의 전단부에서 상하로 수직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판부(10,20)의 전단을 지지하는 전방 플레이트(2)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플레이트(1a)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1b)와 상기 전방 플레이트(2)의 내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연결 플레이트(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플레이트(1a)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1b)의 하단은 직접 바닥면에 접촉되는 부위인 바, 바닥면의 다양한 환경에 따른 상판부(10,20)의 평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평평도 조절캡(4a-4d)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플레이트(1a)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1b)의 상단 후단부에는 미적 향상을 위한 디자인 곡면(도면부호 미표기)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부(10,20)는, 수평되게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물건 등이 거치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 중 착석자에 근접하는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고정판(10)의 제1지점(150)에 힌지 고정된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 틸팅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판(10)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후방측으로 개구된 형상의 절개부(도면부호 미표기)를 가지는 탑 플레이트(10a)와, 상기 탑 플레이트(10a)의 외관을 감싸도록 배치된 탑 프레임(11)과, 상기 탑 플레이트(10a)가 안착 설치되도록 안착 공간(4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 플레이트(1a) 및 상기 우측 플레이트(1b)의 상단부 내측면에 고정된 안착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판(20)은, 상기 탑 플레이트(10a)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 내측에 배치된 인사이드 플레이트(20a)와, 상기 인사이드 플레이트(20a)의 외관을 감싸도록 배치된 인사이드 프레임(21)과, 상기 인사이드 플레이트(20a)의 상부면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인사이드 플레이트(20a)의 외관면을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탑 플레이트(10a) 중 상기 인사이드 플레이트(20a)의 전단부가 위치되는 어느 일부에는 적어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틸팅 안내부(100)의 구성 중 푸쉬 레버(105)를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그립 홈부(30)가 절개 구비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상판부(10,20)의 하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지점(150)보다 하부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점(160)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판(20)에 고정된 틸팅 안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후술할 도 4 참조).
상기 틸팅 안내부(100)는, 상기 고정판(10)에 대한 상기 틸팅판(20)의 연결을 매개함과 아울러,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판(20)을 사용자가 틸팅 작동 시킬 때, 상기 틸팅판(20)의 틸팅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틸팅 안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6의 틸팅 안내부의 구성 중 처짐 방지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틸팅 안내부를 나타낸 전후방향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틸팅 안내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상기 틸팅 안내부(100)는, 도 4 내지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점(160)에 일단(111)이 힌지 고정되어 상기 틸팅판(20)의 틸팅 동작을 지지하는 틸팅 레버(110)와, 상기 틸팅판(20)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틸팅판(20)과 평행되게 배치되되, 상기 틸팅판(20)의 틸팅 동작 시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틸팅판(20)을 고정시키는 락 실린더(120)와, 상기 락 실린더(120)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105) 및 상기 틸팅판(20)의 상방 틸팅 시 부가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틸팅판(20)의 하방 틸팅 시 저항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시켜 상기 틸팅판(20)의 자중 방향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레버(11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점(150)이 상기 고정판(10)의 후단 중 후면에 경첩 타입의 힌지 브라켓(170a,170b)의 회동 중심이라고 할 경우, 상기 제1지점(150)보다 전방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된 상기 제2지점(160)에 일단(111)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타단(113)은 상기 락 실린더(12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틸팅판(20)이 틸팅되기 전의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의 위치를 살펴보면,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판(20)의 어느 1점을 기준으로 “가”점에 위치되나, 상기 틸팅판(20)이 틸팅된 후에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판(20)의 틸팅 각도에 따라 점점 상기 틸팅판(20)의 상기 “가”점을 기준으로 후방에 해당되는 “나”점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지점(150)과 상기 제2지점(160)이 상호 어긋난 위치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의 회동 반경(도 4의 도면부호 “R2” 참조)이 상기 틸팅판(20)의 어느 1점의 회동 반경(도 4의 도면부호 “R1” 참조)과 상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락 실린더(120)는, 도 6, 도 9 및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에 힌지 고정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121)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된 이동 피스톤(122)과, 상기 이동 피스톤(122)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푸쉬 레버(105)에 의하여 푸쉬되도록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은 상기 틸팅판(20)이 틸팅 작동될 때에는 연속적으로 상기 “가”점으로부터 소정거리 변위가 변동되는 바, 이 때,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에 힌지 고정된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이 상기 틸팅판(20)의 하부에서 상기 틸팅판(20)과 평행되는 방향으로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을 따라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이동 피스톤(122)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 피스톤(122)은 정지한 상태에 있으며, 정지된 상태의 상기 이동 피스톤(122)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이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락 실린더(1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푸쉬 레버(105)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123)가 푸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 공간(124)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상기 푸쉬 레버(105)가 상기 피스톤 로드(123)를 푸쉬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 레버(105)가 상기 피스톤 로드(123)를 푸쉬하지 않는 경우(즉, 사용자가 상기 푸쉬 레버(105)를 그립하지 않고 상기 틸팅판(20)을 틸팅시키려고 소정의 작동력을 가한 경우), 상기 이동 피스톤(122)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게 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되지 않게 되고, 상기 푸쉬 레버(105)가 상기 피스톤 로드(123)를 푸쉬하는 경우(즉, 사용자가 상기 푸쉬 레버(105)를 그립하여 상기 틸팅판(20)을 틸팅시키려고 소정의 작동을 가한 경우), 상기 이동 피스톤(122)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바, 사용자가 제공한 상기 작동력에 의하여 상기 틸팅판(20)이 틸팅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123)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105)에 의한 푸쉬력이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122)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123)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105)에 의한 푸쉬력이 해제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121)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122)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푸쉬 레버(105)는 상기 틸팅판(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틸팅판(20)의 틸팅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처짐 방지부(130)는, 상기 고정판(10)의 후단에 상기 제2지점(160)의 힌지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마운팅 브라켓(131)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131)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캠 하우징(135)과, 상기 캠 하우징(135)의 소정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점(160)에 대하여 상이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캠 경사면(132a)이 형성된 캠 블록(132)과, 상기 캠 하우징(135)의 소정 공간에 상기 틸팅 레버(1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캠 하우징(135)의 소정 공간에서 상기 틸팅 레버(110)의 회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블록(132)의 캠 경사면(132a)에 접하는 접촉 돌기(133b)가 구비된 이동 블록(133)과,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 블록(133)을 인장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31)은, 상기 탑 플레이트(10a)의 개구된 절개부의 후단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된 탑 프레임(11)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점(160)으로 정의되는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에 대한 힌지 고정부(도 11의 도면부호 160 참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지점(160)으로 정의되는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에 대한 힌지 고정부는 좌우 수평 방향의 회전 축(160)을 가지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131)의 우측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캠 하우징(135)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31)의 제2지점(160)의 좌측에 구비된 빈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131)에 결합된다. 상기 캠 하우징(135)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 및 상기 탄성체(134)가 구비되는 상기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 사이에는 상기 탄성체(134)가 압축된 상태로 개재되어 고정된 상기 캠 블록(132)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 블록(133)을 인장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캠 블록(132)에 형성된 상기 캠 경사면(132a)은, 상기 틸팅 레버(110)가 상기 틸팅판(20)을 틸팅시키는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틸팅 레버(110)의 타단(113)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 블록(133)에는 상기 캠 경사면(132a)과 형합되는 형합면(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은, 상기 틸팅 레버(110)가 회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134)가 최대로 압축된 상태로서, 상기 캠 경사면(132a)과 상기 형합면(133a)이 상호 형합되어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는 것이고, 반대로, 상기 틸팅 레버(110)가 회동된 후에는, 상기 탄성체(134)가 신장된 상태로서, 상기 접촉 돌기(133b)가 상기 캠 경사면(132a)을 타고 회전되면서 상기 캠 경사면(132a)과 상기 형합면(133a)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캠 블록(132)과 상기 이동 블록(133)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처짐 방지부(130)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푸쉬 레버(105)를 그립하여 상기 틸팅판(20)을 상방으로 틸팅시키면 상기 탄성체(134)가 인장되면서 상기 캠 경사면(132a)을 따라 상기 이동 블록(133)이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체(134)의 인장력을 제공받아 사용자로 하여금 적은 힘으로도 원하는 각도로 상기 틸팅판(20)을 틸팅시킬 수 있는 바, 나이가 어린 사용자에 의하여도 틸팅 동작이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푸쉬 레버(105)를 그립하여 상기 틸팅판(20)을 하방으로 틸팅하는 경우에는, 틸팅판(20)의 자체 하중의 도움을 받아,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틸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공하는 작동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134)가 압축되면서 소정의 저항력으로도 작용하는 바, 상기 틸팅판(2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갑작스런 상기 틸팅판(20)의 하방 처짐으로 인해 상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동 블록(133)은 상기 캠 하우징(135)의 소정 공간 내부 일측에 상기 틸팅 레버(110)의 일단(111)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 블록(132)은 상기 캠 하우징(135)의 소정 공간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캠 하우징(135)의 타측에는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 블록(133)과, 상기 탄성체(134) 및 상기 캠 블록(132)을 삽입 설치하는 설치구(138)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틸팅 레버(110)의 좌측에는 상기 이동 블록(133)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14)가 소정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 블록(133)의 우측에는 상기 연결구(114)에 삽입되어 상기 틸팅 레버(110)의 회동력을 전달받는 삽입단(133c)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짐 방지부(130)는, 상기 설치구(138)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된 상기 이동 블록(133)과, 상기 탄성체(134) 및 상기 캠 블록(132)을 차폐하도록 하우징 커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136)는, 상기 캠 하우징(135)의 타측면에 소정의 체결부재(137)를 이용하여 체결되어, 상기 탄성체(134)에 의하여 인장력을 제공받는 상기 캠 블록(13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틸팅 타입 책상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고정판 20: 틸팅판
30: 그립 홈부 40: 안착부
100: 틸팅 안내부 110: 틸팅 레버
111: 틸팅 레버의 일단 113: 틸팅 레버의 타단
120: 락 실린더 121: 실린더 하우징
122: 이동 피스톤 123: 피스톤 로드
130: 처짐 방지부 131: 마운팅 브라켓
132: 캠 블록 133: 이동 블록
134: 탄성체 135: 캠 하우징
136: 하우징 커버 137: 체결부재
138: 설치구 150: 제1지점
160: 제2지점

Claims (7)

  1. 수평되게 배치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중 착석자에 근접하는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고정판의 제1지점에 힌지 고정된 후단을 중심으로 전단이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된 틸팅판을 포함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1지점보다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되게 배치된 제2지점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틸팅판에 고정된 틸팅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안내부는,
    상기 제2지점에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상기 틸팅판의 틸팅 동작을 지지하는 틸팅 레버와;
    상기 틸팅판의 하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틸팅판과 평행되게 길이가 가변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틸팅판을 고정시키는 락 실린더와;
    상기 락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푸쉬 레버와,
    상기 틸팅판의 상방 틸팅 시 부가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틸팅판의 하방 틸팅 시 저항력으로서 틸팅 방향의 모멘트를 저감시켜 상기 틸팅판의 자중 방향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단에 상기 제2지점의 힌지 고정 부위를 제공하는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캠 하우징과;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제2지점에 대하여 상이한 이격거리를 가지는 캠 경사면이 형성된 캠 블록과;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 상기 틸팅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에서 상기 틸팅 레버의 회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 블록의 캠 경사면에 접하는 접촉 돌기가 구비된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과 상기 이동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 블록을 인장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틸팅 타입 책상.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실린더는,
    일단이 상기 틸팅 레버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배치된 이동 피스톤과;
    상기 이동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하여 푸쉬되도록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틸팅 타입 책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한 푸쉬력이 제공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상기 푸쉬 레버에 의한 푸쉬력이 해제되면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 피스톤이 고정되는 틸팅 타입 책상.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경사면은,
    상기 틸팅판의 틸팅 전 상기 탄성체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짧고,
    상기 틸팅판의 틸팅 후 상기 탄성체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캠 블록을 합한 축방향 길이가 가장 길도록 형성된 틸팅 타입 책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 내부 일측에 상기 틸팅 레버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캠 하우징의 소정 공간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캠 하우징의 타측에는 외부에서 순차적으로 상기 이동 블록과, 상기 탄성체 및 상기 캠 블록을 삽입 설치하는 설치구가 개구되게 형성되고,상기 처짐 방지부는, 상기 설치구를 차폐시키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는 틸팅 타입 책상.
KR1020150067319A 2015-05-14 2015-05-14 틸팅 타입 책상 KR10173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19A KR101731946B1 (ko) 2015-05-14 2015-05-14 틸팅 타입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19A KR101731946B1 (ko) 2015-05-14 2015-05-14 틸팅 타입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92A KR20160133992A (ko) 2016-11-23
KR101731946B1 true KR101731946B1 (ko) 2017-05-02

Family

ID=5754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19A KR101731946B1 (ko) 2015-05-14 2015-05-14 틸팅 타입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50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높이 조절 책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70A (ja) * 1999-09-03 2001-03-21 Yanagisawa Seiki Mfg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用伸縮調節自在型ガススプ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21B1 (ko) 2003-09-20 2006-05-29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 상판의 틸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70A (ja) * 1999-09-03 2001-03-21 Yanagisawa Seiki Mfg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用伸縮調節自在型ガススプリング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블로그 http://blog.naver.com/sonfour/22031453423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50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높이 조절 책상
KR101965653B1 (ko) * 2017-08-18 2019-04-04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높이 조절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992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36B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책상
US7866749B2 (en) Adjustment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US20070029458A1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JP2018508673A (ja) 家具
US20060157990A1 (en) Guide and support device for a furniture door
RU2707329C1 (ru) Подставка для монитора
US11019928B2 (en) Armrest and chair
KR101731946B1 (ko) 틸팅 타입 책상
US11920382B2 (en) Rotating support handle assembly for bottom-hinged door
JP7363281B2 (ja) テーブル
CN109213331B (zh) 脚架高度调整结构
KR101483407B1 (ko) 탁자 상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JP2017086523A (ja) 配線カバー装置及び机
JP2001161446A (ja) テーブル
JP6939355B2 (ja) 配線ダクトのカバー装置
JP4517616B2 (ja) 昇降式収納装置および昇降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399530Y1 (ko) 고정식 의자의 슬라이딩장치
KR101528733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240004965A (ko) 마사지 의자
KR200162641Y1 (ko) 책상용 키보드 받침대 방향 전환 장치
KR20130079725A (ko) 키보드 일체형 엘씨디 모니터
JP2021049255A (ja) テーブル
JP2005000302A (ja) 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