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737B1 -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737B1
KR101382737B1 KR1020120156617A KR20120156617A KR101382737B1 KR 101382737 B1 KR101382737 B1 KR 101382737B1 KR 1020120156617 A KR1020120156617 A KR 1020120156617A KR 20120156617 A KR20120156617 A KR 20120156617A KR 101382737 B1 KR101382737 B1 KR 10138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air conditioning
vehicle
mode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60L1/0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fed by the power supply line
    • B60L1/06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fed by the power supply line using only one supply
    • B60L1/08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차의 충전 또는 공조 설정 제어를 센터연동모드 또는 차량자가모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고,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내 장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차량자가모드 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센터연동모드 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remotely charge and air condition of vehicle char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차의 충전 또는 공조 설정 제어를 센터연동모드 또는 차량자가모드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정차 및 주차할 경우 외부 환경에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만약 무더운 여름철이라면 운전자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차량 파워윈도우 및 도어를 열고 환기만을 하거나, 시동을 켠 다음 에어컨디셔너 등 공조시스템을 가동하여 환기 및 공조가 어느 정도 수행된 후에 차량을 운행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바쁜 용무가 있을 경우는 환기나 에어컨디셔너 가동을 통해 온도를 낮추지 못하고 불쾌한 상태 그대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여름철 등 햇볕이 뜨거운 직사광선 아래에 차량을 장시간 방치했을 때는 운전자가 차량 실내로 진입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며, 만약 차량의 내부 온도가 차량의 부품 설계 온도 또는 작동 온도 범위를 벗어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차량을 운행할 경우에는 차량 부품의 성능에 손상을 주며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차의 경우 차량 충전을 제때에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의 충전, 공조 제어등이 유연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차의 충전 또는 공조 설정 제어를 센터연동모드 또는 차량자가모드로 복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고,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내 장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차량자가모드 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센터연동모드 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자가모드는 상기 차량제어부가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 시간을 카운팅하고 시간이 도래하면 차량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센터연동모드는 상기 원격센터에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 시간을 카운팅하고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차량제어부에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연동모드 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충전 또는 공조제어 요청을 전달받으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재 충전상태 및 공조상태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 단말기,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고,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량자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차량 내의 차량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부가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타이어 카운팅이 완료되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센터연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원격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센터가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타이어 카운팅이 완료되면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요청을 상기 차량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는, 충전 또는 공조 시작시간 설정정보 또는 변경정보,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 설정정보 또는 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전기차의 충전 또는 공조 설정 제어를 센터연동모드 또는 차량자가모드 중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센터연동모드에서의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시스템은 충전부(100), 공조부(200), 차량제어부(300), 멀티미디어 단말기(400), 원격센터(500) 및 이동 통신 단말기(600)를 포함한다.
충전부(100)는 차량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충전시킨다.
공조부(200)는 차량의 공조(온도, 습도 등)상태가 설정된 값이 되도록 구동되는 에어컨,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제어부(300)는 차량자가모드 시 이동통신 단말기(6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로부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충전부(100) 또는 공조부(200)를 제어한다. 한편, 센터연동모드 시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로부터 원격센터(500)의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요청을 받으면 충전부(100) 또는 공조부(200)를 제어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차량 내에 탑재되고, 사용자로부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재 충전상태 또는 공조상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터치방식으로 입력 또는 선택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 단말기,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센터(500)는 센터연동모드 시, 멀티미디어 단말기(40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한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60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고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재 충전상태 또는 공조상태 정보를 멀티미디어 단말기(400) 또는 원격센터(5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원격센터(500) 및 멀티미디어 단말기(4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6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는다(S101).
이어, 차량 자가모드가 선택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6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고(S102), 입력받은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차량제어부(300)로 전송한다(S103). 이때, 도 2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600)가 차량제어부(300)에 직접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차량제어부(300)에 통신장치가 없는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를 통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는 충전 또는 공조 시작시간정보, 충전 또는 공조 종료시간정보, 충전 또는 공조 시작시간 또는 종료시간의 변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차량제어부(3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시작 타이머를 카운팅하고(S104), 충전 또는 공조 시작 시간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5).
충전 또는 공조 시작 시간이 도래한 경우, 충전이 시작되도록 충전부(100)를 제어하고(S106), 공조 구동이 시작되도록 공조부(200)를 제어한다(S107).
그 후, 차량제어부(3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종료 타이머를 카운팅하고(S108),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9).
이에,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이 도래한 경우, 충전이 종료되도록 충전부(100)를 제어하고(S110), 공조 구동이 종료되도록 공조부(200)를 제어한다(S111).
한편, 상기 과정 S101의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 중 센터연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600)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고(S201), 입력받은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원격센터(500)로 전송한다(S202).
이에, 원격센터(5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시작 타이머를 카운팅하고(S203), 충전 또는 공조 시작 시간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4).
충전 또는 공조 시작 시간이 도래한 경우, 원격센터(500)는 차량제어부(300)로 충전 또는 공조 시작 제어를 요청한다(S205). 이에, 차량제어부(300)는 충전이 시작되도록 충전부(100)를 제어하고(S206), 공조 구동이 시작되도록 공조부(200)를 제어한다(S207).
그 후, 원격센터(500)는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종료 타이머를 카운팅하고(S208),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이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9).
이에,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이 도래한 경우, 차량제어부(300)로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제어를 요청한다(S210). 이에, 차량제어부(300)는 충전이 종료되도록 충전부(100)를 제어하고(S211), 공조 구동이 종료되도록 공조부(200)를 제어한다(S212).
이때, 도 2 및 도 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600)가 멀티미디어 단말기(400)와 별개로 차량제어기(300)와 무선통신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동 통신 단말기(600)가 멀티미디어 단말기(400)를 통해 차량제어기(3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원격센터(500)와의 통신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4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자가모드와 센터연동모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차량의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 변경정보를 입력받아 설정 또는 변경하여 차량의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전 또는 공조 상태정보 등을 이동통신 단말기(600), 멀티미디어 단말기(400) 및 원격센터(500)와 연동되는 웹서버(미도시)를 통해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충전 또는 공조 제어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으나, 본 기술은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EMS, Engine Management System) 모듈, 도어 잠금을 제어하는 도어 모듈(DDM, Drive Door Module) 등으로 편의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충전부 200 : 공조부
300 : 차량제어부 400 : 멀티미디어 단말기
500 : 원격센터 600 :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7)

  1. 사용자로부터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고,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차량 내 장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차량자가모드 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차량제어부; 및
    상기 센터연동모드 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하는 원격센터
    를 포함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자가모드는 상기 차량제어부가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 시간을 카운팅하고 시간이 도래하면 차량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모드이고,
    상기 센터연동모드는 상기 원격센터에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에 따라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 시간을 카운팅하고 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차량제어부에 충전 또는 공조 시작 또는 종료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터연동모드 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충전 또는 공조제어 요청을 전달받으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차량의 현재 충전상태 및 공조상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텔레매틱스 단말기,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6.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통해 차량자가모드 또는 센터연동모드를 선택받고,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차량자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차량 내의 차량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부가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타이어 카운팅이 완료되면 차량 내의 충전부 또는 공조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센터연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를 원격센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센터가 타이머를 카운팅하여 타이어 카운팅이 완료되면 차량 내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충전 또는 공조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제어 요청을 상기 차량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전 또는 공조 설정정보는,
    충전 또는 공조 시작시간 설정정보 또는 변경정보, 충전 또는 공조 종료 시간 설정정보 또는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방법.
KR1020120156617A 2012-12-28 2012-12-28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17A KR101382737B1 (ko) 2012-12-28 2012-12-28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617A KR101382737B1 (ko) 2012-12-28 2012-12-28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737B1 true KR101382737B1 (ko) 2014-04-08

Family

ID=5065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617A KR101382737B1 (ko) 2012-12-28 2012-12-28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82B1 (ko) * 2015-02-06 2016-06-27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대중교통 운행정보와 avn 유닛을 이용한 hvac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08A (ja) * 1994-11-21 1996-06-07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電話制御システム
JP2004256092A (ja) 2003-02-03 2004-09-16 Denso Corp 移動体の空調装置
JP2011148325A (ja) 2010-01-19 2011-08-04 Tokai Rika Co Ltd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20120041066A (ko) * 2010-10-20 2012-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격 공조 제어를 위한 전기 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원격 공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9608A (ja) * 1994-11-21 1996-06-07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用電話制御システム
JP2004256092A (ja) 2003-02-03 2004-09-16 Denso Corp 移動体の空調装置
JP2011148325A (ja) 2010-01-19 2011-08-04 Tokai Rika Co Ltd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20120041066A (ko) * 2010-10-20 2012-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격 공조 제어를 위한 전기 자동차의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원격 공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82B1 (ko) * 2015-02-06 2016-06-27 주식회사 성우모바일 대중교통 운행정보와 avn 유닛을 이용한 hvac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92986B (zh) 用于车载装置的远程控制系统
JP6218839B2 (ja) 電気機器、空気調和機、外部制御器、携帯端末及び空調システム
EP2712757A2 (en) In-vehicle device controller
KR101721484B1 (ko) 자동차 스마트 케어 시스템 및 방법
CN102705965A (zh) 一种采用移动智能终端控制的空调器
CN102830683B (zh) 汽车的远程控制系统及远程控制方法
CN104401206B (zh) 远程控制车载净化器净化空气的方法及系统
CN104834275A (zh) 车辆的远程监控系统和方法
JP2018122836A (ja) リモート空調始動システム
KR101249882B1 (ko) 실내환경정보 제공 이동 단말기와 실내환경 제어 컴퓨터
CN107962927A (zh) 空调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125098A (ja) 車載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8054206A (ja) 屋内環境調整システム
KR101382737B1 (ko) 차량 충전 또는 공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686344U (zh) 一种智能中控车联网集成系统
CN103940034A (zh) 一种功能启动的方法、空调和移动电子设备
JP2014069593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CN104713190A (zh) 车辆空调控制方法及系统
KR101360529B1 (ko) 알람 시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4957B1 (ko) 원격 공조 제어 시스템
CN203713763U (zh) 一种整车控制器的远程唤醒系统
KR101866520B1 (ko) 차량 공조기 웨이크 업 장치 및 방법
CN114559974B (zh) 车载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14043A (zh) 一种空气旋钮
KR101646195B1 (ko) 날씨정보와 avn 유닛이 연계된 자동차 hvac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hvac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