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460B1 -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460B1
KR101382460B1 KR1020080009119A KR20080009119A KR101382460B1 KR 101382460 B1 KR101382460 B1 KR 101382460B1 KR 1020080009119 A KR1020080009119 A KR 1020080009119A KR 20080009119 A KR20080009119 A KR 20080009119A KR 101382460 B1 KR101382460 B1 KR 101382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shock absorber
bump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132A (ko
Inventor
조기봉
김봉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4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2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72Cooling or war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2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temperature-related
    • F16F2222/025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프스토퍼가 배치된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버 실린더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열을 방출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범프스토퍼에 배치된 범프 냉매유로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로 안내하는 제 1 안내유로와, 상기 흡열부의 냉매를 상기 발열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와, 상기 발열부의 냉매를 상기 범프 냉매유로로 안내하는 제 3 안내유로를 포함하기 때문에, 쇽업쇼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쇽업쇼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shock absorb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쇽업쇼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판을 통해 흡수하고 쇽업쇼버에 장착되는 범프스토퍼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통해 냉각판의 유체를 이동시키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서스펜션이 배치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이 차량 내부의 승객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차량 주행 중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쇽업쇼버가 배치되고, 상기 쇽업쇼버는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하여 피스톤 및 실린더가 상대이동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그런데 쇽업쇼버가 반복적인 상대이동을 지속하면 마찰에 의해 작동온도가 크게 상승되고, 이를 방치할 경우 원활한 충격흡수를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감소시켜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쇽업쇼버의 작동 중 냉각이 월활이 이루어지도록 차량의 쇽업쇼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판을 통해 흡수하고 쇽업쇼버에 장착되는 범프스토퍼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통해 냉각판의 유체를 이동시키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쇽업쇼버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증가될수록 냉매의 순환량이 비례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쇽업쇼버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범프스토퍼가 배치된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버 실린더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열을 방출시키는 발열부와, 상기 범프스토퍼에 배치된 범프 냉매유로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로 안내하는 제 1 안내유로와, 상기 흡열부의 냉매를 상기 발열부로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와, 상기 발열부의 냉매를 상기 범프 냉매유로로 안내하는 제 3 안내유로를 포함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2, 3 안내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수단과, 상기 제 1, 2, 3 안내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매를 보충하는 냉매보충수단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프 냉매유로는 상기 범프스토퍼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는 차량의 휠가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열부는 상기 실린더에 밀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 1 안내유로 및 상기 제 2 안내유로와 연결되는 하우징 냉매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는 실린더에 흡열부를 부착시켜 열을 흡수하고, 쇽업쇼버의 압축 시 발생되는 힘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서 쇽업쇼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쇽업쇼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범프스토퍼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범프스토퍼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100)는 차량의 현가장치인 쇽업쇼버(10)에 설치되어 상기 쇽업쇼버(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상기 쇽업쇼버(10)는 실린더(12) 및 피스톤(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12) 및 피스톤(14)을 감싸도록 코일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2) 및 피스톤(14)은 서로 상대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쇽업쇼버(10)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14)의 외주측에는 상기 피스톤(14)이 일정 한계 이상 내려가는 방지하는 범프스토퍼(20)가 배치되고, 상기 범프스토퍼(20)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프스토퍼(20)의 내부에 범프 냉매유로(5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쇽업쇼버 냉각장치(100)는 실린더(12)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12)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60)와, 상기 흡열부(60)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열을 방출시키는 발열부(70)와, 상기 범프 냉매유로(50)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60)로 안내하는 제 1 안내유로(80)와, 상기 흡열부(60)의 냉매를 상기 발열부(70)로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90)와, 상기 발열부(70)의 냉매를 상기 범프 냉매유로(50)로 안내하는 제 3 안내유로(95)와, 상기 냉매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수단(11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매는 물이고, 다양한 종류의 냉매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범프스토퍼(20) 내부에 배치된 범프 냉매유로(50)는 피스톤(12)의 상대 이동으로인해 압축될 때, 내부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60) 측으로 압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안내유로(80)는 상기 범프 냉매유로(50) 및 상기 흡열부(60)를 연결시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안내유로(80)에는 상기 역류방지수단(110)으로서 스윙 체크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스윙 체크밸브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흡열부(60)는 상기 실린더(12)의 표면에 밀착되는 하우징(62)과, 상기 하우징(62) 내부를 따라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우징 냉매유로(6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2)은 상기 실린더(12)의 열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냉매유로(64)는 상기 제 1 안내유로(80) 및 상기 제 2 안내유로(90)에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냉매유로(64)는 나선형으로 배치되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안내유로(90)에는 상기 발열부(70)가 연결되고, 상기 발열부(70)는 상기 흡열부(60)에서 흡수된 냉매의 열을 방출시킨다.
상기 발열부(70)는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바퀴를 감싸는 휠가드(미도시)에 배치되어 공랭식으로 냉각되고, 특히 냉매의 열을 신속히 발산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열전달 계수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70) 및 상기 범프 냉매유로(50)는 제 3 안내유로(95)를 통해 연결되어 냉매를 순환시키고, 상기 제 3 안내유로(95)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시키는 역류방지수단(110)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안내유로(80)(90)(95) 중 어느 하나에는 냉매를 보충시키는 냉매보충수단(12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안내유로(95)에 상기 냉매보충수단(120)이 연결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쇽업쇼버 냉각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상기 범프스토퍼(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바 원형대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되어 쇽업쇼버(10)가 상대이동되면서 작동되는 경우 상기 쇽업쇼버(10)가 압축되고, 이때 상기 실린더(12)의 상단에 의해 상기 범프스토퍼(50)가 압축된다.
상기 범프스토퍼(50)가 압축되면, 상기 범퍼스토퍼(50)의 내부에 배치된 범프 냉매유로(50)가 압축되면서 상기 범프 냉매유로(50)의 냉매가 상기 제 1 안내유로(80) 측으로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범프 냉매유로(50)에서 발생된 냉매의 압출로 인해 냉매는
제 1 안내유로(80) -> 흡열부(60) -> 제 2 안내유로(90) -> 발열부(70) -> 제 3 안내유로(95) -> 범프 냉매유로(50)
순으로 순환된다.
여기서 순환되는 냉매는 상기 흡열부(60)의 하우징 냉매유로(64)에서 열을 흡수한 후, 상기 발열부(70)에서 기중으로 열을 방출시킨 후, 다시 상기 흡열부(60)로 유동된다.
즉, 본 실시예의 쇽업쇼버 냉각장치(100)는 자동차의 주행 중 쇽업쇼버(10)에서 발생되는 충격량을 통해 냉매를 유동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서 냉매를 순환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쇽업쇼버 냉각장치(100)는 쇽업쇼버(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증가될수록 냉매의 순환량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쇽업쇼버(10)에의한 완충작용이 증가되면 필연적으로 발열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완충작용으로 인한 범프스토퍼(50)에서의 압출량도 증가되기 때문에, 쇽업쇼버(10)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에 비례하여 상기 냉매의 순환량도 증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범프스토퍼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범프스토퍼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관한 간략한 설명>
10 : 쇽업쇼버 20 : 범프스토퍼
50 : 범프 냉매유로 60 : 흡열부
70 : 발열부 80 : 제 1 안내유로
90 : 제 2 안내유로 95 : 제 3 안내유로
100 : 쇽업쇼버 냉각장치 110 : 역류방지수단
120 : 냉매보충수단

Claims (6)

  1. 범프스토퍼가 배치되고,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성된 쇽업쇼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쇽업쇼버 실린더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
    차량의 휠가드에 배치되어 상기 흡열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열을 방출시키는 발열부;
    상기 범프스토퍼에 배치된 범프 냉매유로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범프 냉매유로와 상기 흡열부를 연결시키는 제 1 안내유로;
    상기 흡열부의 냉매를 상기 발열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발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부에서 흡수된 상기 냉매의 열을 방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유로; 및
    상기 발열부와 상기 범프 냉매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상기 범프 냉매유로로 안내되어 냉매를 순환시키는 제 3 안내유로를 포함하고,
    사익 범프 냉매유로는,
    상기 범프스토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이 압축될 때, 내부의 냉매를 상기 흡열부측으로 압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범프 냉매유로;를 포함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 안내유로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매의 역류를 역류방지수단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냉매를 보충하는 냉매보충수단이 배치되는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09119A 2008-01-29 2008-01-29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KR10138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19A KR101382460B1 (ko) 2008-01-29 2008-01-29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119A KR101382460B1 (ko) 2008-01-29 2008-01-29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32A KR20090083132A (ko) 2009-08-03
KR101382460B1 true KR101382460B1 (ko) 2014-04-09

Family

ID=4120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119A KR101382460B1 (ko) 2008-01-29 2008-01-29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3766A (zh) * 2016-03-25 2016-06-15 嘉兴职业技术学院 自散热油缸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748B (zh) * 2019-03-13 2023-08-15 安徽工程大学 磁流变减震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86A (ko) * 1996-10-18 1998-07-15 정몽규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냉각시스템
KR20040006903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786A (ko) * 1996-10-18 1998-07-15 정몽규 자동차의 쇽업소버용 냉각시스템
KR20040006903A (ko) * 2002-07-16 2004-0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3766A (zh) * 2016-03-25 2016-06-15 嘉兴职业技术学院 自散热油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132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1693B (zh) 一种轨道车辆用车轮盘式颗粒阻尼减振器
CN210297434U (zh) 一种煤矿电机用高效散热降温装置
KR101382460B1 (ko) 차량의 쇽업쇼버 냉각장치
CN208000539U (zh) 一种电脑用外部散热器
CN109027103B (zh) 一种水冷式汽车减震机构
KR100571156B1 (ko) 하이브리드형 베어링
KR101154266B1 (ko)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장치
KR100552757B1 (ko) 차량의 수냉식 쇽업소버 냉각장치
CN109854667B (zh) 一种高强度的汽车减震器
CN109822897B (zh) 可降温3d打印机喷头
CN215576237U (zh) 一种工程机械控制器
CN218054845U (zh) 一种具有多重制冷的散热器
CN111516477A (zh) 一种柴油发动机减震散热系统
CN214197099U (zh) 一种汽车散热器用减振装置
KR102154699B1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마운팅 구조
CN220581374U (zh) 一种减震效果好的船用离心泵
CN215109704U (zh) 一种具有抗震功能的汽车发动机风扇
EP3561433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KR20200077183A (ko) 차량의 서스펜션을 이용한 냉각 장치
CN216132330U (zh) 一种用于散热器的减震装置
CN216131304U (zh) 一种具备自冷却装置的磁流变汽车阻尼器
CN212570974U (zh) 一种散热性能好的集成电路板
KR20130043730A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100835856B1 (ko) 충격완화 타이어
CN111038424B (zh) 碰撞吸能机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