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177B1 -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177B1
KR101381177B1 KR1020110048850A KR20110048850A KR101381177B1 KR 101381177 B1 KR101381177 B1 KR 101381177B1 KR 1020110048850 A KR1020110048850 A KR 1020110048850A KR 20110048850 A KR20110048850 A KR 20110048850A KR 101381177 B1 KR101381177 B1 KR 10138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state
service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349A (ko
Inventor
타마키 카마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25Faul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67Restarting a communication or performing a recovery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2Detecting the status of a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처리 실행을 의뢰할 수 있고,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처리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취득된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기동 유닛과, 상기 기동 유닛으로 기동된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처리의 상태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확인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정지시키는 정지 유닛과, 상기 확인 유닛이 정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처리 실행을 의뢰하는 의뢰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외부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장치와 내부 네트워크상의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다기능 복합기(MFP:multifunction peripherals) 등의 디바이스에 대해 다기능화가 진행되어, 화상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도 디바이스 내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는,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의 퍼포먼스에의 영향이 크고, 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인스톨 및 정보 설정 절차는 성가시다.
인터넷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이하, 서비스 서버라고 칭함)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높은 부하 처리 및 디바이스가 갖지 않은 기능의 처리를 의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88570호).
이 경우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각각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서버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해서 특정의 처리를 의뢰한다. 디바이스는, 장해가 발생한 후, 장해를 언제 복구하는지, 이미 복구했는지 등의 문의를 서비스 서버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행한다. 이 경우, 개개의 디바이스가 인터넷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리퀘스트(request)를 송신한다.
그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도 리퀘스트를 송신한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장해가 발생한 것을 알리는 에러 메세지를 되돌려보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인터넷상에의 과잉 액세스와 과잉 통신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처리 실행을 의뢰할 수 있고,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처리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취득된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기동 유닛과, 상기 기동 유닛으로 기동된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처리의 상태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확인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정지시키는 정지 유닛과, 상기 확인 유닛이 정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처리 실행을 의뢰하는 의뢰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장해물 감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버 및 디바이스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장해물 발생시 처리와 관련되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감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테이블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각 기기 간에 행해지는 일련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국면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장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해 감시 시스템은, 통신 제어 시스템의 일례이며, 서비스 서버 103(1) 내지 103(N),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1) 내지 105(N)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 103(1) 내지 103(N)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서비스 서버(103)라고 칭한다. 한편, 특정의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 서버 103(X), 서비스 서버 103(Y) 등으로 표기한다. 그밖에, 디바이스 105(1) 내지 105(N)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설명의 편의상, 디바이스 105라고 칭한다. 한편, 특정의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105(X), 디바이스 105(Y) 등으로 표기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는, 내부 네트워크의 일례인 근거리 통신망(이하, LAN)(101)을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는, 외부 네트워크의 일례인 인터넷(102)을 통해서 서비스 서버(103)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서비스 서버(103)는, 정보처리장치(컴퓨터)의 일례이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와 통신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로부터 인터넷(102)을 통해서 송신되는 각종의 요구(리퀘스트)를 수신한다. 또, 서비스 서버(103)는, 각종의 요구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정보처리장치(컴퓨터)의 일례이며, 디바이스 105의 사용 가부 상태, 설치 장소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서버(103)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장해 발생 통지)를 디바이스 105로부터 수신한다. 또,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장해 발생 통지를 수신한 후에, 장해 발생 통지를 송신한 디바이스 105(X) 이외의 디바이스 105(Y)에 대해 후술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한다.
디바이스 105는, 화상처리장치의 일례이며, 스캔 송신 기능, 인쇄 기능, 인터넷(102)에의 접속 기능 등을 갖는 프린터, FAX, 다기능 복합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102)(즉, 클라우드(cloud))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때, LAN(101) 내의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모든 장치를 대신해서 감시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105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감시할 필요는 없다. 또,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그것의 관리하에 있는 디바이스 105에 대해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의 직접적인 문의를 방지하는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한다.
도 2는, 서버(200)(서비스 서버(103) 및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할 수가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는, 서버(200)의 연산/제어를 관리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202)는, CPU(201)의 주메모리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각종의 프로그램의 실행 에어리어 및 데이터 에어리어로서 기능한다. 각종의 프로그램은, CPU(201)에 의해, 외부 메모리(213)로부터 RAM(202)으로 로드(load)되어 실행된다.
프로그램 ROM(read-only memory)(203)은, 서버(200)를 제어하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103)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ROM(203)은, 디바이스 105로부터 의뢰받은 처리를 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데이터 ROM(204)은, 서버(200)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있어서는, 서버(200)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디바이스 105의 사용 가부 상태, 설치 장소 등의 정보가 있다. 데이터 ROM(204) 대신에, 외부 메모리(213)를 이용해도 된다.
네트워크 콘트롤러(이하, NC)(205)는, 네트워크(LAN(101) 등)에 접속되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키보드 콘트롤러(206)는, 키보드(211)로부터의 키 입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207)는, 서버(200) 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212)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고, 그 표시의 제어를 행한다. 디스크 콘트롤러(208)는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있어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 105의 사용 가부 상태, 설치 장소 등의 정보의 외부 메모리(213)에 있어서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키보드(211)는, 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기기이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103)에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 관리자는, 복구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12)에 표시되는 정보를 참조하면서 키보드(211)를 조작한다. 디스플레이(21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다. 외부 메모리(HD:Hard Disk, FD:Flexible Disk)(213)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3)의 CPU(201)가, 외부 메모리(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서비스 서버(103)에 있어서의 기능 및 후술하는 플로차트와 관련되는 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또,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CPU(201)가, 외부 메모리(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있어서의 기능 및 후술하는 플로차트와 관련되는 처리가 실현될 수 있다.
서버(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서버(200)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키보드(211) 및 디스플레이(212)를 반드시 갖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디바이스 105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CPU(301)는, CPU(201)와 같고, RAM(302)는, RAM(202)와 같고, 프로그램 ROM(303)은, 프로그램 ROM(203)와 같다. 다만, 프로그램 ROM(303)에는,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103)에의 처리를 의뢰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프로그램 ROM(303)에는, 서비스 서버(103)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103)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하기 위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ROM(304)은, 데이터 ROM(204)와 같고, NC(305)는, NC(205)와 같고, 키보드 콘트롤러(306)는, 키보드 콘트롤러(206)와 같다.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07)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207)와 같고, 디스크 콘트롤러(308)는, 디스크 콘트롤러(208)와 같다.
스캐너 콘트롤러(309)는, 스캐너부(314)에 의해 종이 문서가 스캔되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어한다. 프린터 콘트롤러(310)는, 디바이스 105 내의 정보와, LAN(101) 및 인터넷(102)을 통해서 수신한 정보를, 인쇄용 화상 데이터로 전개해, 이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315)에 의해 종이에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키보드(311)는, 키보드(211)와 같고, 디스플레이(312)는, 디스플레이(212)와 같고, 외부 메모리(313)는, 외부 메모리(213)와 같다.
스캐너부(314)는, 디바이스 105의 이용자가 종이 문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 장치이다. 프린터부(315)는, 디바이스 105의 이용자가 디바이스 105 내의 정보와 LAN(101) 및 인터넷(102)을 통해서 수신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린터 장치다.
디바이스 105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술한 하드웨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디바이스 105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105는, 프린터부(315)를 갖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서비스 서버(103),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및 디바이스 105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내의 디바이스 관리부(401)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관리하에 있는 모든 디바이스 105의 사용 가부 상태, 설치 장소 등의 정보를 관리(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1000)을 이용해 데이터를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2)는, 디바이스 관리부(401)의 관리하에 있는 디바이스 105에 대해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종료를 지시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04)의 서비스 감시부(403)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장해 등으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에, 서비스 서버(103)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송수신부(404)는, LAN(101) 및 인터넷(102)을 통해서, 네트워크상의 기기와 통신한다.
디바이스 105의 스캔 처리부(411)는, 스캐너부(314)를 이용해 종이를 스캔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캔 처리부(411)는, 디바이스 105가 스캔 기능을 갖는 경우에 설치된다. 디바이스 105의 인쇄 처리부(412)는, 디바이스 105 내의 정보와, LAN(101) 및 인터넷(102)을 통해서 수신한 정보를, 프린터부(315)로 인쇄하기 위한 인쇄용 화상 데이터로 전개하고, 프린터부(315)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인쇄 처리부(412)는, 디바이스 105가 인쇄 기능을 갖는 경우에 설치된다.
디바이스 105의 복구 체크부(413)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이다.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 관리되는 모든 디바이스 105에 인스톨되어 있다. 또,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105가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에 처리를 의뢰한 후에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기동되고, 디바이스 105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부터의 기동의 지시를 수신했을 때에 기동된다.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105상에서 항상 기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 105의 송수신부(414)는, LAN(101) 및 인터넷(102)을 통해서 네트워크상의 기기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디바이스 105는, 모두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디바이스에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예를 들면, 복구 체크 기능을 실현할 수 없는 디바이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디바이스 105로서는, 빌트 인 프로그램으로서 복구 체크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구성 정보(타입, 네트워크 정보, 펌웨어(firmware) 정보, 탑재 옵션 등)를 관리하고 참조해, 디바이스 105와 같은 디바이스를 특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1) 내지 421(N)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서비스)의 일례이며, 각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부 421(1) 내지 421(N) 중의 하나 또는 모두는, 설명의 편의상, 간단히 서비스 제공부 421라고 표기할 것이다. 한편, 특정의 서비스 제공부 421은 서비스 제공부 421(A), 서비스 제공부 421(B) 등으로 표기할 것이다.
서비스 서버(103)의 에러 처리부(422)는, 서비스 제공부 421가 디바이스 105로부터 의뢰받은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 디바이스 105에 대해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알리기 위해서 에러 코드 및/또는 에러 메세지를 되돌려보내는 처리를 행한다.
서비스 서버(103)의 복구 시각 관리부(423)는, 서비스 제공부 421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의 복구 예정 시각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 근거해서 관리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 421가 디바이스 105로부터 의뢰받은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 장해가 발생하고, 이후의 처리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 서비스 서버(103)의 관리자에 의해 복구 작업을 한다.
장해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의 정지 외에, 정기적인 메인터넌스(maintenance) 작업 등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이 정지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관리자는, 복구 작업 및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 복구 예정 시각을 미리 알면, 키보드(211) 등을 조작해, 복구 예정에 관한 정보를 도 8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 설정한다.
서비스 서버(103)의 인증 처리부(424)는, 디바이스 105로부터 처리의 의뢰를 받을 때, 디바이스 105의 이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인증 처리를 행한다. 송수신부(425)는, 인터넷(102)을 통해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와 디바이스 105와 통신을 행한다.
도 5는, 디바이스 105에 의해 장해 발생시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대해서 처리를 의뢰하고, 그 후에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덧붙여, 디바이스 105(X)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제1의 통지자로서 통지한다.
스텝 S501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이용자에 의한 유저 조작에 응답해, 송수신부(414)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105(X)는, 자신의 디바이스 105(X)로는 행할 수 없는 처리를 행하도록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의뢰한다.
스텝 S502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하면, 송수신부(414)를 통해서, 서비스 서버(103)로부터 에러 코드를 수신한다. 에러 코드는, 서비스 제공부 421(A)가 처리를 정지한 이유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이다. 이 에러 코드는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의 장해가 어떠한 장해인지를 식별 가능한 코드이다. 디바이스 105(X)의 이용자는, 에러 코드를 파악하는 것으로, 의뢰한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았던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장해에는, 몇 가지의 종류가 있다. 한 종류의 장해로서는 디바이스 105(X)의 이용자의 데이터 설정 미스 등으로 발생하는 장해가 있는데 이것은, 간단히 데이터 설정을 수정하면 해결가능하다. 다른 종류의 장해로서는, 서비스 서버(103)의 관리자가 특정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만 해결 가능하다.
스텝 S503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복구 체크부(413)를 기능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디바이스 105(X)는, 디바이스 105가 장해를 회피할 수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 즉, 서비스 서버(103)의 관리자에 의한 복구 작업이 필요한 장해라고 판단했을 경우, 처리는 스텝 S503로 진행된다. 디바이스 105(X)는, 에러 코드에 근거해, 관리자에 의한 복구 작업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경우, 예를 들면 이용자의 설정 미스 등으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 디바이스 105(X)는, 정보의 재설정을 재촉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시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04에서는, 복구 체크부(413)는, 송수신부(414)를 통해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장해 발생 통지)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장해 발생 통지를 받으면, 서비스 감시부(403)에 의해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의 처리 상태(스테이터스)를 감시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디바이스 105(X)는,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의 장해를 검출하고,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장해 발생 통지를 송신한다.
도 6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있어서의 감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감시 처리는, 스텝 S504에서 디바이스 105(X)로부터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받고 나서 서비스 제공부 421(A)가 장해를 복구할 때까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의해서 행해진다.
스텝 S601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X)로부터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장해 발생 통지)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1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02로 진행된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1에서 NO), 스텝 S6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602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감시부(403)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는, 도 8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 근거해서 서비스 서버(103)에 의해 관리된다.
스텝 S603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서버(103)로부터 돌려받은 스테이터스(확인 결과)에 근거해,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정상 상태)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3에서 YES), 서비스 제공부 421(A)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디바이스 105(X)로부터 장해 발생 통지를 받고 나서, 스텝 S602에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할 때까지 서비스 제공부 421(A)은, 장해로부터 복구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정지상태에서, 장해 상태, 메인터넌스 상태 등)라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4로 진행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스텝 S602에서 후술의 스텝 S605의 처리를 위해서, 서비스 서버(103)로부터,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하기로 예정된 복구 예정 시각도 취득한다.
스텝 S604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관리부(401)가 관리하고 있는 디바이스 105에 대해서, 디바이스 105 내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2)를 통해서 지시한다.
스텝 S605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스텝 S602에 있어서 복구 예정 시각을 취득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복구 예정 시각을 취득할 수 없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스텝 S605에서 YES), 복구 예정 시각이 미정이므로, 처리가 스텝 S606로 진행된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복구 예정 시각을 취득할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스텝 S6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스텝 S606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도 9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서 복구 예정 시각을 미정으로서 관리하고, 처리는 스텝 S607로 진행된다.
스텝 S607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서버(103)를 통한 정기적인 스테이터스의 확인 결과,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복구 예정 시각이 미정이라고 판단했으므로(스텝 S605에서 YES),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어느 일정 간격으로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7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11로 진행된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가 장해로부터 복구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7에서 NO), 처리는, 스텝 S607을 반복한다.
스텝 S608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도 9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 서비스 서버(103)로부터 취득한 복구 예정 시각을 설정해 복구 예정 시각을 관리한다.
스텝 S609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복구 예정 시각에서 서비스 서버(103)를 통한 스테이터스의 확인 결과,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9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11로 진행된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610로 진행된다.
스텝 S610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서버(103)를 통해서 복구 예정 시각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새로운 복구 예정 시각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10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스텝 S608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새로운 복구 예정 시각을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 설정한다. 한편,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새로운 복구 예정 시각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10에서 NO), 처리는 스텝 S607로 진행된다.
스텝 S611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었으므로,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를 설정한다.
스텝 S612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X)의 복구 체크부(413)로부터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의 문의(복구 체크 요구)를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디바이스 105(X)로부터의 문의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61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13로 진행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게 처리를 행하도록 요구했다고 판정한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디바이스 105(X)로부터의 문의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스텝 S612에서 NO),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계속해 문의를 기다린다. 이 경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의 처리의 요구가 없었다고 판정한다.
스텝 S613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02)를 통해서 디바이스 105(X)에 대해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에 응답해, 디바이스 105(X)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해,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할 수가 있게 된다. 디바이스 105(X) 이외의 디바이스 105는, 서비스 제공부 421(A)에의 액세스가 가능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디바이스 105(X) 이외의 디바이스 105는, 디바이스 105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하려고 했을 때에,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 가능해질 수 있다(예를 들면 도 7 참조).
도 7은, 디바이스 105(X) 이외의 디바이스 105(Y)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부터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받고 나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까지의 처리(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례이다.
스텝 S701에서는, 디바이스 105(Y)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부터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하는 취지의 기동 지시를 수신한다.
스텝 S702에서는, 디바이스 105(Y)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부터의 기동 지시에 따라,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복구 체크부(413)를 기능시킨다).
스텝 S703에서는, 디바이스 105(Y)의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가 키보드(311)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디바이스 105(Y)에 의해서는 행할 수 없는 처리를 서비스 서버(103)에 의뢰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디바이스 105(Y)의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복구 체크부(413)가,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7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04로 진행된다.
한편, 복구 체크부(413)가,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스텝 S703에서 NO), 본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장해에 의해 이용할 수 없는 서비스 제공부 421(A)에의 액세스가 제한되어 쓸데없는 인터넷(102)에의 통신을 더 이상 하지 않게 된다.
스텝 S704에서는, 디바이스 105(Y)의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스텝 S705에서는,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부터 서비스 제공부 421(A)의 스테이터스를 받아,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지 아닌지(즉, 서비스 제공부 421이 정지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복구 체크부(413)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 S7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706로 진행된다.
한편, 복구 체크부(413)가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스텝 S705에서 NO), 디바이스 105(Y)는,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A)을 이용할 수 없는 취지를 통지한다. 디바이스 105(Y)는, 서비스 제공부 421(A)에의 액세스를 유저에게 허가하지 않는다. 그리고나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06에서는, 디바이스 105(Y)는, 서비스 제공부 421(A)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으므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스텝 S707에서는, 디바이스 105(Y)는, 디바이스 105(Y)의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액세스하려고 하고 있으므로, 장해로부터 복구된 서비스 제공부 421(A)에 처리의 실행을 의뢰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105(Y)는, 장해로부터 복구한 서비스 제공부 421(A)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서비스 서버(103)의 복구 시각 관리부(423)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 제공부 421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는, 서비스 서버(103)상에서 동작하는 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제공부 421)에 대해서 1개의 레코드가 저장된다. 이 레코드는, 서비스 제공부 421가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장해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언제 복구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낸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는, 어플리케이션 ID(801), 어플리케이션명(802), 스테이터스(803), 및 복구 예정 시각(804)이 저장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에 저장된 정보는 장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플리케이션 ID(801)는, 서비스 서버(103)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식별 가능한 고유의 값이다. 어플리케이션명(802)은, 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테이터스(803)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낸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스테이터스(803)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부 4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 서비스 제공부 421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어떠한 상태인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복구 예정 시각(804)은, 서비스 제공부 42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서비스 제공부 421의 복구 예정 시각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복구 예정 시각이 미정인 경우,"복구 미정"이 설정된다.
도 9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서비스 감시부(403)에 의해 감시되는 서비스 제공부 421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103)의 각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서비스 제공부 421)에 대해서 1개의 레코드가 저장된다.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은,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로부터 취득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 421이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장해 상태 등에 있는 경우에는 언제 복구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는, 서비스 서버 ID(901), 어플리케이션 ID(902), 어플리케이션명(903), 스테이터스(904), 복구 예정 시각(905), URL(uniform resource locator)(906), 인증 ID(907), 및 패스워드(908)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장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에 의존하므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서버 ID(901)는, 인터넷(102)상에 복수의 서비스 서버(103)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서비스 서버(103)를 식별 가능한 고유의 값이다. 어플리케이션 ID 902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ID 801의 정보와 같은 정보이다.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인터넷(102)상에 복수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103)가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 ID(901)와 어플리케이션 ID(902)의 조합에 의해, 각각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유일하게 식별한다. 어플리케이션명 903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명 802의 정보와 같은 정보이다.
스테이터스 904의 정보는, 스테이터스 803의 정보와 같은 정보이다. 디바이스 105의 복구 체크부(413)는, 스테이터스 904를 확인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부 42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 서비스 제공부 421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어떠한 상태인지 등을 판별한다. 복구 예정 시각 905의 정보는, 복구 예정 시각 804의 정보와 같은 정보이다. URL 906은,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하기 위한 URL의 정보를 나타낸다. URL의 정보는, 예를 들면, 미리 서비스 서버(103) 내의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의 정보를 취득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구를 서비스 서버(103)에 송신할 때에 이용된다. 인증 ID 907 및 패스워드 908의 정보는,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800)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103)에 대해서 인증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용된다.
도 10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의 디바이스 관리부(401)에 의해 관리되는 디바이스 105의 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10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1000)에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로 관리되는 각 개개의 디바이스 105에 대해서 1개의 레코드가 저장된다. 이 레코드는, 디바이스 105가 현재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어느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지, 복구 체크부(413)가 현재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1000)에는, 디바이스 ID(1001), 기종명(1002), 사용 가부 상태(1003), 설치 장소(1004),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 스테이터스(1005)가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장해 감시 시스템의 구성에 의존하므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바이스 ID 1001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LAN(101) 상의 디바이스 105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값이다. 기종명(1002)은,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디바이스 105의 기종의 명칭을 나타낸다. 사용 가부 상태(1003)는, 디바이스 105가 온라인 상태에 있는지,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 설치 장소(1004)는, 디바이스 105가 물리적으로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 스테이터스(1005)는, 디바이스 105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있는지 아닌지, 즉 복구 체크부(413)가 동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도 11은, 디바이스 105(X)로부터의 처리의 의뢰에 대해서,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에서 장해가 발생하고 나서 서비스 제공부 421가 장해로부터 복구하기까지의 기간 동안 각 기기 사이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스텝 S1101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에 대해서 처리를 의뢰한다. S1101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디바이스 105(X) 자신이 행할 수 없는 처리와, 디바이스 105(X)보다 서비스 제공부 421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서비스 서버(103)에 의뢰한다.
스텝 S1102에서는,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은, 디바이스 105(X)로부터 처리 의뢰를 받아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103에서는, 서비스 서버(103)는, 스텝 S1102에서의 처리의 결과를 디바이스 105(X)에 반각(회신)한다. 이 예에서는, 스텝 S1102의 처리에서 장해가 발생해, 서비스 서버(103)가, 에러 코드 등의 서비스 제공부 421에서 장해가 발생한 취지의 통지를 반각한다. 서비스 서버(103)는, 서비스 제공부 421가 정상적으로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는, 그 처리의 결과를 디바이스 105(X)에 반각한다.
스텝 S1104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디바이스 105(X) 자신이 관리하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스텝 S1105에서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할 때, 디바이스 105의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에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통지(장해 발생 통지)한다.
스텝 S1106에서는, 송수신부(404)를 통해서 디바이스 105(X)로부터 장해 발생 통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감시부(403)는,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스텝 S1107에서는, 서비스 서버(103)는, 스테이터스의 확인 처리의 결과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반각한다. 스텝 S1108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반각된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스테이터스 관리 테이블(900)에 저장한다.
스텝 S1109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X) 이외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지 않은 디바이스 105의 정보를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 1000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 스테이터스(1005)로부터 취득해 디바이스 105(Y)를 특정한다. 그리고,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특정한 디바이스 105(Y)에 대해서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해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관리하는 모든 디바이스 105의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게 된다. 스텝 S1110에서는, 디바이스 105(Y)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스텝 S1111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 상태인 동안, 정기적으로 또는 복구 예정 시각이 되었을 때에,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서비스 서버(103)에 문의한다(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스텝 S1112에서는, 서비스 서버(103)는, 문의의 결과(스테이터스)를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반각한다.
스텝 S1113 및 S1114의 처리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어 있지 않을 때의 디바이스 105에 있어서의 처리이다. 도 11은, 스텝 S1113 및 S1114의 처리가, 설명의 편의상 디바이스 105(X)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처리는 디바이스 105(X)에 한정하지 않고 어떤 디바이스 105에 의해서든 행해질 수 있는 처리이다.
스텝 S1113에서는,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에 처리 실행을 의뢰하려고 했을 때,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문의한다(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스텝 S1114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디바이스 105(X)의 복구 체크부(413)에 반각한다. 이 예에서는, 스테이터스 904의 정보가 "장해 복구 작업중"이므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장해 복구 작업중"을 반각한다.
스텝 S1115로부터 스텝 S1120까지의 처리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을 때의 디바이스 105의 처리이다. 도 11은, 스텝 S1115로부터 스텝 S1120까지의 처리가 설명의 편의상, 디바이스 105(X)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지만, 이 처리는 디바이스 105(X)에 한정하지 않고 어떤 디바이스 105에 의해서든 행해질 수 있는 처리이다.
스텝 S1115에서는, 복구 체크부(413)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에 처리 실행을 의뢰하려고 했을 때,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는지 아닌지를 문의한다(스테이터스를 확인한다). 스텝 S1116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디바이스 105(X)의 복구 체크부(413)에 반각한다. 이 예에서는, 스테이터스 904의 정보가 "정상"이므로,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정상"을 반각한다. 스텝 S1117에서는, 디바이스 105(X)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으므로, 복구 체크부(413)를 종료한다.
스텝 S1118에서는, 복구 체크부(413)의 종료에 의해,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디바이스 105(X)는, 서비스 서버(103)의 서비스 제공부 421에 처리를 의뢰한다. 스텝 S1119에서는, 서비스 제공부 421은, 디바이스 105(X)로부터 의뢰받은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120에서는, 서비스 서버(103)는, 처리의 결과를 디바이스 105(X)에 반각한다.
일반적으로, LAN(101) 내의 디바이스 105와 인터넷(102)상의 서비스 제공부 421과의 사이에는, 파이어 월(fire wall)이 있다. 그 때문에, 디바이스 105가 서비스 제공부 421에 문의하지 않는 이상, 디바이스 105는,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없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 105는, LAN(101)상의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의 상태를 확인하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105는, 서비스 제공부 421에 직접 액세스하는 일 없이 서비스 제공부 421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져, 서비스 제공부 421이 장해로부터 복구된 것을 알 수 있다.
제1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디바이스 105(X)가 서비스 제공부 421의 장해를 검출하고,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부 421에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통지하는 경우에 근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정기적으로 서비스 제공부 421의 스테이터스를 체크해, 서비스 제공부 421의 장해를 검출하는 경우에 근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의 실시예와 제1의 실시예와의 주된 차이는,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가 도 11의 S1105에서 디바이스 105(X)로부터의 장해 발생 통지를 받는 일 없이, 스텝 S1106 이후의 처리를 행해서, 스텝 S1106 및 S1107의 처리를 정기적으로 실행한다는 점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디바이스 105로부터의 장해 발생 통지를 받는 일 없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 자신이 서비스 제공부 421의 장해를 알아차렸을 경우에 디바이스 105에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언한다면,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서비스 제공부 421의 장해를 검출했을 때, 관리자에 의한 복구 작업이 필요한 장해라고 판단했을 경우, 디바이스 관리 서버(104)는 복구 체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디바이스 105에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의 실시예의 구성과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프로세스, 즉,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가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또는 기록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제공되고, 이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가 프로그램을 판독해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기록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처리 실행을 의뢰할 수 있고, 내부 네트워크내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취득된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기동 유닛과,
    상기 기동 유닛으로 기동된 상기 확인 유닛이 상기 처리의 상태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확인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정지시키는 정지 유닛과,
    상기 확인 유닛이 정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처리 실행을 의뢰하는 의뢰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행해진 처리가 정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의 상기 처리의 정지에 관한 통지에 근거해, 상기 처리가 정지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또한 상기 처리의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에 상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통지에 포함된 상기 처리를 정지한 이유에 관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유닛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행해진 처리가 정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의 상태를 취득해 상기 처리가 정지된 것을 인식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상기 처리의 정지에 관한 통지에 근거해, 상기 처리가 정지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화상처리장치.
  5.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처리 실행을 의뢰할 수 있고 내부 네트워크내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관리하는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취득된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확인 유닛을 기동하는 기동 단계와,
    상기 기동된 확인 유닛이 상기 처리의 상태가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확인했을 경우, 상기 확인 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확인 유닛이 정지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상기 처리 실행을 의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제어방법.
  6. 내부 네트워크내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의뢰받은 처리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의 상태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의뢰한 경우, 상기 취득 유닛으로 취득된 상기 처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뢰한 화상처리장치에 회신하는 회신 유닛을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의 정지에 관한 통지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화상 처리 장치 중 한 개의 화상처리장치로부터의 상기 처리의 정지에 관한 통지에 근거해, 상기 처리가 정지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처리가 정지된 것을 다른 화상 처리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에 통지하는 통지 유닛을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유닛은 제1의 통지 유닛이고, 상기 취득 유닛은 정기적으로 상기 처리의 상태를 취득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행해진 상기 처리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가 정지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처리가 정지된 것을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에 통지하는 제2의 통지 유닛을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9. 내부 네트워크내의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관리하고,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의뢰받은 처리를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와 상기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의 상태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처리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의뢰한 경우, 상기 취득된 처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뢰한 화상처리장치에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제어방법.
  10.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와,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제어 시스템.
KR1020110048850A 2010-05-25 2011-05-24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381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9626 2010-05-25
JP2010119626A JP5606155B2 (ja) 2010-05-25 2010-05-25 画像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49A KR20110129349A (ko) 2011-12-01
KR101381177B1 true KR101381177B1 (ko) 2014-04-04

Family

ID=4453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850A KR101381177B1 (ko) 2010-05-25 2011-05-24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6868B2 (ko)
EP (2) EP2391091B1 (ko)
JP (1) JP5606155B2 (ko)
KR (1) KR101381177B1 (ko)
CN (1) CN102263871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9837A1 (en) * 2003-08-28 2005-03-03 Curtis Reese Remote printer management via email
JP2009225316A (ja) * 2008-03-18 2009-10-01 Canon Inc 遠隔操作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83A (ja) * 1995-06-26 1997-01-17 Sharp Corp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3065053B2 (ja) 1998-01-06 2000-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器監視システム、ローカル監視装置、統合監視装置、機器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6288790B1 (en) 1998-05-15 2001-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ity support for printing
JP3671803B2 (ja) * 2000-03-03 2005-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97634B2 (ja) * 2000-09-25 2005-09-21 キヤノン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記録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6370341B1 (en) 2000-12-13 2002-04-09 Hewlett-Packard Company Consumable management device,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of managing an imaging consumable of an image forming device
JP3957065B2 (ja) * 2002-08-28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JP2004234645A (ja) 2003-01-10 2004-08-1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監視装置、該監視装置による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並びに管理装置、該管理装置による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JP2004288193A (ja) * 2003-03-20 2004-10-14 Toshiba Corp インターネットプリントプロトコル印刷ディスパッチサーバ
JP4193556B2 (ja) 2003-04-11 2008-12-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ジョブ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62328A (ja) * 2003-06-05 2004-12-24 Seiko Epson Corp 情報機器管理システム、情報機器、機器管理サーバ、状態管理プログラム、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機器管理方法
JP4125270B2 (ja) 2004-08-06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通知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007358B2 (ja) 2004-10-07 2007-11-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ジョブ実行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218638B2 (ja) * 2004-12-28 2009-0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81771A (ja) * 2005-09-14 2007-03-29 Fuji Xerox Co Ltd ジョブ処理装置およびジョブ依頼装置
JP5236958B2 (ja) 2008-02-01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方法、管理装置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9837A1 (en) * 2003-08-28 2005-03-03 Curtis Reese Remote printer management via email
JP2009225316A (ja) * 2008-03-18 2009-10-01 Canon Inc 遠隔操作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7862A2 (en) 2012-08-15
EP2487862A3 (en) 2012-09-05
KR20110129349A (ko) 2011-12-01
EP2391091B1 (en) 2017-11-15
EP2391091A1 (en) 2011-11-30
JP5606155B2 (ja) 2014-10-15
CN102263871B (zh) 2014-07-02
JP2011248531A (ja) 2011-12-08
CN102263871A (zh) 2011-11-30
US8706868B2 (en) 2014-04-22
US20110296008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94B1 (ko) 풀 프린트 시스템, 인쇄 잡 관리방법, 프린트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US103337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operates with management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935368B2 (ja) 情報処理装置、ジョブ処理システム、ジョブ処理方法、及びジョブ処理プログラム
JP2010224768A (ja)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リントサーバマシン、プリントサーバマシン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5317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4317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第一の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48691B2 (ja)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クライアント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184247B2 (ja) 管理装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81177B1 (ko) 화상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6368157B2 (ja) 通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6366332B2 (ja) プリントサーバ、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47023B2 (en) Host device, managing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ation thereof
JP4744808B2 (ja) 通信装置とそ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52461A (ja) クラウドシステム、ルータ、管理用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43151A (ja) 課金管理装置及び課金管理方法
JP2004362328A (ja) 情報機器管理システム、情報機器、機器管理サーバ、状態管理プログラム、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機器管理方法
JP6313658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2011138389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90029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及び方法
JP552326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130667A (ja) 監視装置、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監視装置の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98971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JP2004295866A (ja) 電子装置とその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ログ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342015A (ja) プリンタの障害通知方法および装置
JP2010250593A (ja) 画像形成装置の部門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