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863B1 - 비젼프레스 - Google Patents

비젼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863B1
KR101380863B1 KR1020120101475A KR20120101475A KR101380863B1 KR 101380863 B1 KR101380863 B1 KR 101380863B1 KR 1020120101475 A KR1020120101475 A KR 1020120101475A KR 20120101475 A KR20120101475 A KR 20120101475A KR 101380863 B1 KR101380863 B1 KR 10138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vision
transfer
substr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086A (ko
Inventor
조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아이
Priority to KR1020120101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8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5Computer numeric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 공급 및 이송과정과 프레싱작업을 동일 공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품을 정확도 및 완성도의 향상과 대량 생산가능한 비젼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비기판이 올려지는 공급판과, 피씨비기판을 정렬하는 정렬테이블과, 피씨비기판이 프레스 커팅을 위해 물려져 고정되는 클램프부와, 상기 정렬된 피씨비기판을 클램프부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와, 상기 피씨비기판을 프레스 커팅하는 상,하부금형과, 상기 피씨비기판의 프레스커팅 위치를 판독하여 클램프부이 이송 경로를 알려주는 비젼카메라부와 트리거신호부로 구성하여; 하나의 베이스상에 공급 및 이송, 프레스 커팅 이송, 프레스 커팅 등의 작업이 가능하여 설비의 체적 규모를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거리가 짧아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시간이 빨라져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젼프레스{Vision press}
본 발명은 비젼프레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렬 공급 및 이송과정과 프레싱작업을 동일 공간 내에서 순차적으로 자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품을 정확도 및 완성도의 향상과 대량 생산가능한 비젼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 절단방법은 기판 위에 이음선을 두고 전자 부품을 납땜한 후 다시 조작원이 손으로 절단하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변두리가 달아서 떨어지기 쉬워 이후 조립할 때 곤란한 점이 있게 된다. 그 외 또 다른 방식은 형단조프레스 방식으로 절단하는 것인데 이 방식은 따로 모형을 제작해야 하며, 즉 각기 다른 외형의 절단에 그때마다 다른 모형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요즘처럼 기종의 변화가 신속해 몇 개월 가지 않아 모형을 바꾼다는 것은 원가의 과잉투자를 가져오며 또한 프레스 후에 쉽게 기판의 단열을 초래해 재료 원가도 증가하게 된다.
일반 PCB(인쇄 전로판) 절단기는 PCB(인쇄 전로판)을 절단할 때 사용자가 각기 다른 형식의PCB(인쇄 전로판)에 따라 각기 다른 루트로 동작을 지도하게 되어 있다. 루트의 지도 과정에서 사용자는 PCB(인쇄 전로판)를 절단기 내에 두고 머리부분을 기계에 넣어 PCB(인쇄 전로판)의 가공 부위 가까이서 눈으로 가공 위치를 측량하게 되어 있으며 프로그램 서식기 상의 방향 통제 버튼으로 칼날을 PCB(인쇄 전로판) 상의 가공 부위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 PCB(인쇄 전로판) 절단기는 대부분 반도체 산업에 응용되고 또 그 지도 과정에서 인위적 인소로 인한 사고가 쉽게 발생한다. 때문에 이러한 PCB(인쇄 전로판) 절단기 방식은 선진국가의 기계안전 규범의 수준에 도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PCB(인쇄 전로판) 절단기는 가공 시 그 주축이 칼날을 끼워 잠그고 가동 시 사용자가 머리를 들이밀어 눈으로 그 위치를 확인하는 등 기계에 접근하기 때문에 오차가 쉽게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으며 때
문에 원가도 올라가고 시간도 소비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프레스 절단 작업을 위한 기판의 공급과 정렬, 이송, 패턴에 따라 전후좌우, 상하 이동하는 각 과정을 이루는 장치들이 하나의 장치에 마련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어 장치의 전체 체적이 증대되어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프레스 절단 작업을 위한 기판이 경사지게 배치될 경우 새롭게 클램핑해야 하고 수정 사항이 없을 경우 불량품의 생산량이 증대되어 비용적인 손해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문헌]
특허 등록번호 제20-0253189호(명칭 : PCB 절단기의 통제 시스템 좌표응용 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베이스상에 공급 및 이송, 프레스 커팅 이송, 프레스 커팅 등의 작업이 가능하여 설비의 체적 규모를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거리가 짧아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시간이 빨라져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비젼프레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프이동부가 전후좌우 이동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틀어져 이동 조정가능하여 피씨비기판의 정렬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기판고정대 중 하나의 이동으로 거리 조절가능하여 작업준비 과정을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씨비기판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의 간격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프로브에 의해 금형과 기판고정대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씨비기판의 크기에 따라 비젼카메라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금형을 상하 이송시키는 축을 4축 방식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금형의 교체시나 수리시 프레스 작업위치에서 교체 작업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변화에 따른 상부금형의 교체시 상부금형의 펀칭날의 위치를 펀칭 위치에 정확히 세팅함으로써 시험용으로 펀칭하는 기판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부 일측으로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가 새겨진 피씨비기판을 쌓아 놓는 공급판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급판의 일측으로 베이스의 상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을 따라 피씨비기판을 정렬하는 정렬테이블을 공급판의 상부로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정렬테이블의 일측으로 전후좌우 이동하며 클램프이동부의 전면에 피씨비기판이 물림되는 한 쌍의 제1,2기판고정대가 이격 설치된 클램프부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 중앙으로 설치되는 프레스프레임을 따라 좌우/상하이동 작동으로 공급판의 피씨비기판을 정렬테이블에서 정렬 후 클램프부의 의 제1,2기판고정대에 물림 고정하기 위하여 피씨비기판을 흡착 이동시키는 기판이송부를 구성하며, 상기 프레스프레임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상부금형의 전방으로 전후좌우 위치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비젼카메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과 마주보게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신호부를 구성하여, 상기 기판이송부에 의해 피씨비기판을 클램프부의 제1,2기판고정대에 물림 후 상,하부금형의 사이에서 트리거신호부의 트리거 신호가 피씨비기판의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을 거쳐 비젼카메라부에 입력되는 좌표를 프로그램을 통해 클램프부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절취패턴의 위치를 상,하부금형의 사이에 위치시켜 프레스 커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베이스상에 공급 및 이송, 프레스 커팅 이송, 프레스 커팅 등의 작업이 가능하여 설비의 체적 규모를 축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거리가 짧아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시간이 빨라져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클램프이동부가 전후좌우 이동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틀어져 이동 조정가능하여 피씨비기판의 정렬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한 쌍의 기판고정대 중 하나의 이동으로 거리 조절가능하여 작업준비 과정을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피씨비기판의 크기에 따라 클램프의 간격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프로브에 의해 금형과 기판고정대가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씨비기판의 크기에 따라 비젼카메라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부금형을 상하 이송시키는 축을 4축 방식으로 동시에 회전하여 이동하도록 하여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의 교체시나 수리시 프레스 작업위치에서 교체 작업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변화에 따른 상부금형의 교체시 상부금형의 펀칭날의 위치를 펀칭 위치에 정확히 세팅함으로써 시험용으로 펀칭하는 기판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공급부와 정렬, 이송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렬테이블의 내부를 일부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공급부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기판고정대와 이동구조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기판고정대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상,하부금형과 비젼프레스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상,하부금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하부금형과 비젼카메라부를 나타낸 전방측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하부금형과 비젼카메라부를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비젼카메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비젼카메라부의 슬리브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하부금형판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하부금형판의 교체위치와 설치위치를 나타낸 작동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젼프레스의 비젼카메라부를 상부금형을 향하도록 고정시킨 사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젼프레스는 피씨비기판(20)이 올려지는 공급판(30)과, 피씨비기판(20)을 정렬하는 정렬테이블(32)과, 피씨비기판(20)이 프레스 커팅을 위해 물려져 고정되는 클램프부(40)와, 상기 정렬된 피씨비기판(20)을 클램프부(40)로 이송하는 기판이송부(50)와, 상기 피씨비기판(20)을 프레스 커팅하는 상,하부금형(60)(80)과, 상기 피씨비기판(20)의 프레스커팅 위치를 판독하여 클램프부(40)이 이송 경로를 알려주는 비젼카메라부(70)와 트리거신호부(71)로 비젼프레스(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공급판(30)은 베이스(10)의 상부 일측으로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가 새겨진 피씨비기판(20)을 쌓아 놓는 판으로써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공급판(3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방식은 하부에 공압실런더에서 인출입하는 실린더로드를 공급판(30)의 하부에 연결하여 작동 수행가능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테이블(32)은 공급판(30)의 일측으로 베이스(10)의 상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31)을 따라 피씨비기판(20)을 정렬하는 정렬테이블(32)을 공급판(30)의 상부로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정렬테이블(32)에서 공급판(30)측을 향하는 상부에는 정렬판(32a)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브라켓(53)이 상부로 상승하는 동시에 이송프레임(31)을 따라 공급모터(3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공급벨트(30b)에 결합된 정렬테이블(32)이 공급판(30)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정렬대(32c)는 피씨비 크기에 맞게 제1,2정렬손잡이(33)(34)를 각각 회전시키면 제1,2정렬실린더(33d)(34d)과 결합된 제1,2정렬스핀들(35)(36)이 제1,2정렬나사축(33b)(34b)과 나선 결합되어 제1,2정렬가이드(33c)(34c)를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테이블(32)의 정렬대(32c)의 사이에 피씨비기판(20)이 올려지면 제1,2정렬실린더(33d)(34d)에서 인출입하는 제1,2실린더로드(33e)(34e)와 연결되고 정렬대(32c)가 상부로 결합된 제1,2정렬구(33a)(34a)가 제1,2정렬가이드(33c)(34c)를 따라 미세하게 전후진 움직이며 피씨비기판(20)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부(40)는 정렬테이블(32)의 일측으로 전후경사 이동하며 클램프이동부(41)의 전면에 피씨비기판(20)이 물림되는 한 쌍의 제1,2기판고정대(42)(43)가 좌우상하 이동하며 이격 설치되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40)의 클램프이동부(41)는 베이스(10)의 상부에 프레스프레임(11)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1,2레일(41a)(41b)을 따라 이동하는 제1,2슬리브(41c)(41d)를 제1,2나선축(41e)(41f)과 나선 체결로 관통되게 설치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2나선축(41e)(41f)을 제1,2모터(41g)(41h)의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제1,2슬리브(41c)(41d)가 나선 체결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슬리브(41c)의 하부에는 제1레일(41a)과 직교 배치의 보조레일(41i)이 결합되어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레일(41i)과 결합되는 보조슬리브(41j)가 제1레일(41a)과 미끄럼 결합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슬리브(41c)(41d)의 각각 상부에는 회전브라켓(41k)을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41k)의 상부를 연결하는 고정브라켓(41l)의 하부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는 한 쌍의 제1,2기판고정대(42)(43)가 마주보게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제1모터(41g)는 비 작동하고 제2모터(41h)가 작동하면 제2슬리브(41d)는 전진하되 제1슬리브(41c)는 회전브라켓(41k)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보조레일(41i)을 따라 보조슬리브(41j)가 이동하여 제1기판고정대(42)측보다 제2기판고정대(43)측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는 제1,2클램프단(42a)(43a)과 제1,2이송단(42b)(43b)이 직교 배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이송단(42b)(43b)은 제1이송단(42b)의 외측면과 제2이송단(43b)의 내측면에는 렉기어(44)를 마주보며 결합 구성하며, 상기 제1,2이송단(42b)(43b)은 하부이송판(45)의 하부 설치된 이송단레일(45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설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1l)의 전면에 설치된 가로이송레일(41l')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전면에 형성된 세로이송레일(46a)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한 쌍의 수직이송판(46)을 한쌍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하나의 수직이송판(46)에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브라켓(41l)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모터(47a)로 회전하는 이송나사축(47b)에 나선 결합되는 지지단브라켓(47)을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하부이송판(45)이 하부로 결합되고 수직이송판(46)의 세로이송레일(46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전면이송판(48)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이송판(48)은 고정브라켓(41l)의 상부에 설치된 전면모터(48a)에 결합된 캠(48b)에 편심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2이송단(42b)(43b)의 렉기어(44)는 고정브라켓(41l)의 하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49)와 기어 연결 구성한다.
즉,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중 하나를 이동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클램프단(42a)(43a) 내측면으로 피씨비기판(20)의 네 모퉁이를 고정하는 한 쌍씩의 제1,2클램프(42a')(43a')가 이격되어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클램프(42a')(43a')가 설치된 사이에 상부금형(60)에 접촉하여 클램프이동부(41)로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프로브(40a)를 마주보게 설치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프로브(40a)에 하부금형(60)이 접촉되면 제어를 통해 클램프이동부(41)의 동작을 제어시켜 제1,2기판고정대(42)(43)가 하부금형(80)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추가로, 상기 프로브(40a)는 몸체(40b)의 전방으로 접촉시 삽입되는 감지단(40c)이 다수개로 돌출 형성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브(40a)의 몸체(40b) 후방으로 프로브실린더(40d)에서 인출입하는 프로브실린더로드(40e)가 결합되어 전후 돌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클램프단(42a)(43a)의 하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3,4레일(42a")(43a")에 제2클램프(43a')를 각각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3,4레일(42a")(43a")이 설치된 제1,2클램프단(42a)(43a) 의 후방으로 가이드축(40f)을 결합하여 제2클램프(43a')의 일측과 결합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클램프(43a')를 제3,4레일(42a")(43a")을 따라 수동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축(40f)이 결합된 제1,2클램프단(42a)(43a)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1실린더(40g)를 고정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실린더(40g)에서 인출입 작동하는 제1실린더로드(40h)에 가이드축(40f)을 관통하는 가압구(40i)가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프(43a')를 제3,4레일(42a")(43a")을 따라 수동 이동 후 제1실린더로드(40h)의 인출입 동작으로 가압구(40i)가 가이드축(40f)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기판이송부(50)는 베이스(10)의 상부 중앙으로 설치되는 프레스프레임(11)을 따라 좌우/상하이동 작동으로 공급판(30)의 피씨비기판(20)을 정렬테이블(32)에서 정렬 후 클램프부(40)의 의 제1,2기판고정대(42)(43)에 물림 고정하기 위하여 피씨비기판(20)을 흡착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기판이송부(50)는 프레스프레임(11)의 전방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레일(5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직립으로 설치된 이송판(52)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승하강 작동하는 이송브라켓(53)의 하부에 좌우측과 전면으로 돌출 설치되는 이송가이드(54)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고정대(55)의 끝단에 공기 흡입력이 작용하는 다수개의 흡착구(56)가 결합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상부금형(60)의 전방으로 전후좌우 위치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비젼카메라부(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60)이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금형판(61)의 상부로 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스나선축(62)과 가이드(63)가 프레스프레임(11)을 관통하여 설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을 프레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프레스모터(64)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하부에는 상부금형(60)이 가압할 때 압축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65)을 설치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동시 회전으로 상부금형(60)이 상,하 이동시 편심되지 않고 정확한 압축하중이 대상물에 전달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스나선축(62)에 나선 결합되는 프레스스핀들(66)이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축풀리(67)가 연결벨트(68)로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축풀리(67)를 프레스모터(64)와 연결되는 구동벨트(69)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추가로, 상기 연결벨트(68)에 접촉 가압하는 텐션조절장치(68a)를 프레스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 구성한다.
즉, 상기 프레스모터(64)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프레스나선축(62)이 회전하며 연결벨트(68)의 장력조절로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비젼카메라부(70)는 상부금형(60)과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에 디귿자 형태의 고정프레임(72)이 결합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프레임(72)의 가로단(172a)을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왼나선과 오른나선이 형성된 나선구동축(73)이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나선구동축(73)의 일 끝단에는 구동핸들(73')이 연결되어 구동핸들(73')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나선구동축(73)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구동축(73)의 왼나선과 오른나선에 각각 제3,4슬리브(74)(75)가 나선 체결되고, 상기 제3,4슬리브(74)(75)의 하부로는 트리거신호부(71)를 향하는 비젼카메라(76)가 결합 구성한다.
즉, 상기 나선구동축(73)의 좌우 회전시 제3,4슬리브(74)(75)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져 비젼카메라(76)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72)의 세로단(172b)에는 제5,6레일(72a)(72b)이 각각 설치된 연결브라켓(72h)이 각각 결합되어 프레스프레임(11)에 고정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5,6레일(72a)(72b)을 따라 이동하는 제5,6슬리브(72c)(72d)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손잡이(72e)를 회전시키면 메인벨트(72f) 연결로 회전되는 회전축(72g)을 한 쌍의 연결브라켓(72h)에 연결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72g)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각각의 보조벨트(72i)에 제5,6슬리브(72c)(72d)를 결합하고, 상기 보조벨트(72i)를 세로단(172b)에 설치된 풀리(72j)에 각각 연결 구성한다.
즉, 상기 회전손잡이(72e)를 회전시 회전력이 메인벨트(72f), 회전축(72g), 보조벨트(72i), 제5,6슬리브(72c)(72d)를 통해 전달되어 고정프레임(72)이 고정브라켓(41l)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5,6슬리브(72c)(72d)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실린더(77)의 하부 방향으로 인출입하는 제2실린더로드(77a)에 가압판(77b)이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77b)의 상부면에는 제5,6레일(72a)(72b)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가압부재(77c)를 결합 구성한다.
즉, 상기 제5,6슬리브(72c)(72d)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실린더로드(77a)가 삽입되면서 가압판(77b)이 가압부재(77c)를 제5,6레일(72a)(72b)에 접촉 가압시켜 제5,6슬리브(72c)(72d)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3,4슬리브(74)(75)의 내부에는 각각 나선구동축(73)의 나선에 결합되는 제1,2나선부싱(73a)(73b)을 이격된 상태로 삽입 결합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2나선부싱(73a)(73b)의 사이에 스프링(73c)을 삽입한 후 제1나선부싱(73a)은 제3,4슬리브(74)(75)와 고정볼트(73d)로 체결되어있고, 제2나선부싱(73b)은 제3,4슬리브(74)(75)를 관통한 볼트(73e)가 키 역할을 하도록 느슨하게 체결되어있어, 축방향으로는 움직이나, 회전하지 못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나선부싱(73b)이 스프링(73c)의 탄성력에 밀려 나선구동축(73)의 나선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이동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비젼카메라부(70)의 비젼카메라(76)는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 중 하나에 상부금형(60)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부금형(6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시 상부금형(60)을 향하도록 비젼카메라(76)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판제품(21)이 변화되었을 경우 상부금형(60)를 교체할 때 상부금형(60)의 하부면에 형성된 펀칭 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부연설명하자면, 펀칭 할 피씨비기판(20)의 위치는 비전카메라(76)로 확인 하므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나, 상부금형(60)의 펀칭 날의 정확한 위치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알 수 없다.
이는, 상기 상부금형(60)의 외곽 크기의 중심과, 실제 펀칭되는 날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으로, 최초 상부금형(60)의 펀칭 위치를 셋팅하기 위해서는, 피씨비기판(20)을 임의의 위치에 놓고 펀칭을 한 후, 펀칭 위치의 어긋난 편차를 감안하여 상부금형(60)의 결합 위치를 수정하여 다시 펀칭해 보는 방법을 수차례 반복하여 정확한 위치를 셋팅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세팅을 위한 반복적인 펀칭작업을 상부금형(60)의 셋팅시 마다 수행 할 경우, 낭비되는 피씨비기판(20)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상부금형(60)의 펀칭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셋팅 작업을 할 필요성이 있어, 비전카메라(76)를 제1,2기판고정대(42)(43) 중 하나에 설치하고 상부금형(60)의 하부면에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는 얼라인 마킹을 해 놓음으로써, 비전카메라(76)가 얼라인 마킹 포인트를 인식하여, 상부금형(60)의 펀칭 위치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있게 되어 셋팅 작업시의 피씨비기판(20)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금형(6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비젼카메라(76)는 제1,2기판고정대(42)(43) 뿐만 아니라 피씨비기판(20)을 클램핑하는 제1,2클램프(42a')(43a')에 설치 할 수도 있으며, 상부금형(60)이 감지 가능한 다른 위치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60)과 마주보게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80)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신호부(71)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80)은 설치되는 베이스(10)의 상부에 한 쌍의 금형레일(81)을 전후방향으로 설치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금형레일(81)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금형판(82)의 상부로 하부금형(80)과 트리거신호부(71)를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부금형(80)의 교체시 하부금형판(82)을 교체 위치로 이동시켜 교체가 편리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하부금형(80)을 교체하기 위한 하부금형판(82)을 후방으로 이동시 금형레일(81)의 사이에 베이스(10)에는 하부금형판(82)의 후면에 접촉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교체스톱퍼(83)를 설치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금형레일(81)의 전방 끝단 각 외측부분에는 하부금형판(82)이 전면에 접촉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설치스톱퍼(84)와 하부금형판(82)과의 접촉을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센서(85)를 설치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교체를 위해 이동으로 하부금형판(82)이 위치되는 지점에는 하부금형판(82)의 전면 양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교체레버(86)가 금형레일(81)의 바깥쪽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스 작업을 위해 하부금형판(82)이 설치되는 지점에는 하부금형판(82)의 후면 양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레버(87)가 금형레일(81)의 바깥쪽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 구성한다.
즉, 상기 교체레버(86)와 위치레버(87)에 의해 하부금형판(82)의 자유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교체레버(86)와 위치레버(87)는 베이스(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장홀(88a)과 타측면에는 이동홈(88b)이 형성된 니은자 형태의 브라켓(88)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88)의 이동홈(88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부금형판(82)을 지지하는 고정바(88c)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88)의 장홀(88a)과 고정바(88c)를 관통해 결합되는 레버(88d)를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레버(88d)의 조임력을 풀어 고정바(88c)를 이동시킨 후 레버(88d)를 조임하여 고정바(88c)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트리거신호부(71)는 금형레일(8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트리거신호부(71)는 위치레버(87)에 의해 고정되는 하부금형판(82)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가 위치된 하부로 베이스(10)에는 절취패턴에 따라 프레스 절단으로 생성되는 기판제품(21)을 제외한 나머지판(22)은 클램프부(40)가 원위치로 복귀 후 제1,2클램프(42a')(43a')의 클램핑 작용력이 사라지면 낙하 수집되는 수집통(12)이 수집레일(13)을 따라 이동한 다음 베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수집커버(14)를 개방시켜 외부로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집통(12)의 하부에는 미 도시된 실린더 작동으로 승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시 비젼프레스(100)는 기판이송부(50)에 의해 피씨비기판(20)을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에 물림 후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에서 트리거신호부(71)의 트리거 신호가 피씨비기판(20)의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을 거쳐 비젼카메라부(70)에 입력되는 좌표를 프로그램을 통해 클램프부(40)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절취패턴의 위치를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에 위치시켜 프레스 커팅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비젼카메라(100)의 외부로는 베이스(10)의 상부로 덮어 씌워지며 사방면에 개방창(201)이 형성된 케이스(200)를 씌워 소음의 외부 누출과 작업자 및 관리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젼프레스(100)는 플렉시블(Flexible) 피씨비기판(20)을 사용될 용도에 맞게 프레스 커팅하기 위한 장치로써, 피씨비기판(20)에는 프레스 커팅할 절취패턴이 미리 다수개로 표시되어 있으며, 절취패턴의 부분에는 비젼카메라(76)가 인식가능한 마킹 포인트가 표시되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가공전 피씨비기판(20)을 공급판(30)을 실린더 작동을 이용하여 하부로 이송시킨 다음, 여러 장의 피씨비기판(20)을 적측하여 쌓는다.
이후, 상기 비젼프레스(100)의 공압 제어, 전기 제어, 모터 제어, 유압 제어 및 프로그램 실행 등을 수행하는 제어부(도면상 미도시)를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이송부(50)가 이송레일(51)을 따라 공급판(30)의 상부로 이동한 다음 이송브라켓(53)이 하강하여 흡착구(56)에 피씨비기판(20)를 접촉시키면 압축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이송부(50)의 이송브라켓(53)이 상부로 상승하는 동시에 이송프레임(31)을 따라 공급모터(3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공급벨트(30b)에 결합된 정렬테이블(32)의 정렬대(32c)가 정렬홀(32b)의 최외측에 위치되게 벌어진 상태로 공급판(30)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정렬대(32c)는 피씨비 크기에 맞게 제1,2정렬손잡이(33)(34)를 각각 회전시켜 제1,2정렬스핀들(35)(36)이 제1,2정렬나사축(33b)(34b)과 나선 결합되어 제1,2정렬가이드(33c)(34c)를 따라 이동시켜 제1,2정렬실린더(33d)(34d)의 제1,2실린더로드(33e)(34e)와 결합된 제1,2정렬구(33a)(34a)가 함께 이동하여 정렬대(32c)의 간격을 일차적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시행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기판이송부(50)의 이송브라켓(53)이 하강하여 흡착구(56)에 흡착된 피씨비기판(20)을 정렬판(32a)과 정렬대(32c)의 사이에 올려놓는다.
이후, 상기 제1,2정렬실린더(33d)(34d)의 제1,2실린더로드(33e)(34e)가 전진하여 제1,2정렬구(33a)(34a)가 이동함에 따라 정렬대(32c)가 피씨비기판(20)에 삼면을 접촉하면서 정렬하고, 나머지 한 면은 정렬판(32a)에 접촉시켜 정렬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테이브(32)의 정렬대(32c)의 사이에 피씨비기판(20)이 올려지면 제1,2정렬실린더(33d)(34d)에서 인출입하는 제1,2실린더로드(33e)(34e)와 연결되고 정렬대(32c)가 상부로 결합된 제1,2정렬구(33a)(34a)가 제1,2정렬가이드(33c)(34c)를 따라 미세하게 전후진 움직이며 피씨비기판(20)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이송부(50)의 이송브라켓(53)이 하강하여 흡착구(56)에 피씨비기판(20)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이송레일(51)을 따라 이동하여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판이송부(50)의 이송브라켓(53)이 하강하여 피씨비기판(20)을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사이로 위치시켜 흡착구(56)에 흡착된 피씨비기판(20)의 사방 네모퉁이가 제1,2클램프(42a')(43a')에 의해 클램핑시킨다.
이후, 상기 기판이송부(50)는 공급판(30)에 쌓여진 피씨비기판(20)을 정렬테이블(32)에서 정렬시킨 후 클램프부(40)로 이송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클램프부(40)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하부금형(60)(80)측으로 전진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40)의 전진작동은 제1,2모터(41g)(41h)가 회전으로 제1,2나선축(41e)(41f)이 회전하게 되면, 제1,2나선축(41e)(41f)에 나선 결합된 제1,2슬리브(41c)(41d)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2슬리브(41c)(41d)의 이동에 의해 제1,2슬리브(41c)(41d)의 상부로 결합된 회전브라켓(41k)과 고정브라켓(41l)이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브라켓(41l)의 이동으로 제1,2기판고정대(42)(43)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클램프(42a')(43a')에 물림된 피씨비기판(20)이 평면에서 투영시 물려진 양 끝단이 제1,2기판고정대(42)(43)와 일직선을 이루지 못할 경우 재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모터(41g)는 비 작동하고 제2모터(41h)가 작동하면 제2슬리브(41d)는 전후진하되 제1슬리브(41c)는 회전브라켓(41k)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보조레일(41i)을 따라 보조슬리브(41j)가 이동하여 제1기판고정대(42)측보다 제2기판고정대(43)측이 전후진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피씨비기판(20)의 위치를 경사지게 재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피씨비기판(20)의 재 조정이 완료되면 제1,2모터(41g)(41h)의 회전력이 제1,2나선축(41e)(41f)과 제1,2슬리브(41c)(41d)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화되어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클램프(42a')(43a')에 물림된 피씨비기판(20)을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 위치된 피씨비기판(20)을 절취패턴으로 프레스 절단하기 위해서는 피씨비기판(20)을 하부금형(80)에 올려놓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상하 이송작업과, 절취패턴마다 피씨비기판(20)을 하부금형(80)의 상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좌우 이송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하 이송작업은 전면모터(48a)의 회전으로 캠(48b)이 회전하면 캠(48b)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전면이송판(48)이 수직이송판(46)의 세로이송레일(46a)을 따라 상하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이송작업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모터(47a)의 회전력으로 이송나사축(47b)이 회전하면 지지단브라켓(47)이 나선 결합을 통해 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력은 수직이송판(46), 전면이송판, 하부이송판(45)의 순서로 전달되어 제1,2기판고정대(42)(43)가 함께 좌우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상하 이동과 좌우 이동으로 피씨비기판(20)은 절취패턴의 정확한 위치를 하부금형(80)에 올려놓으면, 상기 프레스프레임(11)에 설치된 프레스모터(64)의 동작으로 상부금형(60)이 상하 이동 작동을 하면서 피씨비기판(20)을 프레스 커팅하게 된다.
더불어, 설명하자면 상기 상하부금형(60)(80)을 교체 설치 한 직후, 상하부금형(60)(80)의 크기가 변하였을 경우, 클래프이동부(41)가 상부금형(60)과 충돌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래프이동부(41)에 상부금형(60)의 크기를 인지시켜 충돌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그 방법으로, 상기 상하부금형(60)(80)을 교체 설치한 직후, 클래프이동부(41)를 서서히 움직여, 상기 프로브(40a)의 감지단(40c)에 상부금형(60)이 접촉하게 하여 위치를 인식 시킴으로써, 클래프이동부(41)가 그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설정한다.
이로써, 프레스 작업시 제1,2기판고정대(42)(43)가 상부금형(6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60)의 상하 이동 작동시 프레스모터(64)를 회전시키면 구동벨트(69)와 연결된 다수개의 프레스나선축(62)의 축풀리(67)가 회전되어 연결벨트(68)를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시키게 되며, 연결벨트(68)는 텐션조절장치(68a)를 통해 장력이 조절된 상태로 균일하게 회전하게 프레스나선축(62)이 회전하게 되어 상부금형판(61)이 정확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스나선축(62)에 결합된 로드셀(65)에 의해 상부금형(60)이 하부금형(8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측정하게 되어 피씨비기판(20)을 프레스 절단하는 적정 프레스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상시 프레스 압력을 재 조정하여 상,하부금형(60)(80)의 마모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씨비기판(20)의 절취패턴을 통한 클램프부(40)의 정확한 위치선정과 마키 포인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나선구동축(73)의 일 끝단에 결합된 구동손잡이(73')를 좌우 회전하게 되면 제3,4슬리브(74)(75)가 나선구동축(73)의 왼나선과 오른나선을 따라 이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져 비젼카메라(76)의 폭방향 위치를 조정한다.
아울러, 상기 비젼카메라(76)의 전후 방향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회전손잡이(72e)를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메인벨트(72f), 회전축(72g), 보조벨트(72i), 제5,6슬리브(72c)(72d)를 통해 전달되어 고정프레임(72)이 고정브라켓(41l)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한편, 상기 비젼카메라(76)와 마주보는 트리거신호부(71)는 하부금형판(82)이 이동하는 금형레일(8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절취패턴을 따라 프레스 커팅으로 제품화된 기판제품(21)은 인력을 통해 하부금형의 상부에서 제거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금형(8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위치레버(87)의 레버(88d)의 조임력을 풀어 레버(88d)는 장홀(88a)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고정바(88c)는 이동홈(88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금형레일(81)을 따라 레버(88d)의 조임력을 풀어 레버(88d)는 장홀(88a)을 고정바(88c)는 이동홈(88b)을 따라 후방으로 고정바(88c)를 이송시킨 교체레버(86)를 지나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교체레버(86)의 고정바(88c)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레버(88d)를 조임시켜 고정바(88c)는 하부금형판(82)의 전면에 접촉시키고, 교체스톱퍼(83)는 후면에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레버(88d)를 조임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하부금형(80)의 교체나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교체레버(86)를 레버(88d)의 조임력을 풀어 레버(88d)는 장홀(88a)을 고정바(88c)는 이동홈(88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금형판(82)을 위치레버(87)를 지나 하부금형판(82)이 전면을 설치스톱퍼(84)에 접촉시켜 이동의 차단과 위치센서(85)에 접촉시켜 설치위치를 확인한 다음, 설치레버(88d)의 레버(88d)를 레버(88d)는 장홀(88a)을 고정바(88c)는 이동홈(88b)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켜 고정바(88c)에 의해 하부금형판(82)의 후방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금형(60)(80)을 통해 프레스 작업이 완료되고 프레스 절단으로 생성되는 기판제품(21)을 제외한 나머지판(22)은 클램프부(40)가 원위치로 복귀 후 수집통(12)에 수집되고, 수집 용량을 초과할 경우 수집커버(1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집통(12)을 수집레일(13)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베이스(10)의 일측으로 통해 해체시켜 제거한 다음 해체 역순으로 재 설치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의 간격 및 제1,2클램프(42a')(43a')의 간격조절, 비젼카메라부(70)의 비젼카메라(76) 간격 조절과 전후 위치조절, 트리거신호부(71)의 위치조절 등은 비젼프레스(100)를 가동시키기 전에 피씨비기판(20)의 종류에 따라 먼저 설정하는 것일 바람직 할 것이다.
즉, 상기 하나의 피씨비기판(20)은 공급판(30)에 적치 -> 기판이송부(50)에 의해 피씨비기판(20)이 흡착되어 상부로 이동 -> 공급판(30)의 상부로 이동하는 정렬테이블(32)에 기판이송부(50)에 흡착된 피씨비기판(20)를 적치 -> 정렬테이블(32)의 정렬대(32c)에 의해 피씨비기판(20) 정렬 -> 기판이송부(50)에 의해 피씨비기판(20)이 흡착되어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사이로 이동 -> 제1,2클램프(42a')(43a')에 의해 피씨비기판(20)의 네 모퉁이 클램핑 -> 클램프이동부(41)의 전후 이동 작동과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좌우 이동 작동 및 상하 이동 작동으로 피씨비기판(20)의 절취패턴 위치에 따라 하부금형(80)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위치 -> 상부금형(60)의 상하 이동작동으로 하부금형(80)에 올려진 피씨비기판(20)을 절취패턴을 따라 프레스 절단 과정 반복 -> 기판제품(21)을 프레스 절단 후 남은 나머지판(22)은 수집통(12)에 낙하시켜 수집의 반복적인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베이스 11 : 프레스프레임
12 : 수집통 13 : 수집레일
14 : 수집커버 20 : 피씨비기판
21 : 기판제품 22 : 나머지판
30 : 공급판 30a : 공급모터
30b : 공급벨트 31 : 이송프레임
32 : 정렬테이블 32a : 정렬판
32b : 정렬홀 32c : 정렬대
40 : 클램프부 40a : 프로브
40b : 몸체 40c : 감지단
40d : 프로브실린더 40e : 프로브실린더로드
40f : 가이드축 40g : 제1실린더
40h : 제1실린더로드 40i : 가압구
41 : 클램프이동부 41a : 제1레일
41b : 제2레일 41c : 제1슬리브
41d : 제2슬리브 41e : 제1나선축
41f : 제2나선축 41g : 제1모터
41h : 제2모터 41i : 보조레일
41j : 보조슬리브 41l ; 고정브라켓
41l' : 가로이송레일 41k : 회전브라켓
42 : 제1기판고정대
42a : 제1클램프단 42a' : 제1클램프
42a" : 제3레일 42b : 제1이송단
43 : 제2기판고정대 43a : 제2클램프단
43a' : 제2클램프 43a" : 제4레일
43b : 제2이송단 44 : 렉기어
45 : 하부이송판 45a : 이송단레일
46 : 수직이송판 46a : 세로이송레일
47 : 지지단브라켓 47a : 이송모터
47b : 이송나사축 48 : 전면이송판
48a : 전면모터 48b : 캠
49 : 피니언기어 50 : 기판이송부
51 : 이송레일 52 : 이송판
53 : 이송브라켓 54 : 이송가이드
55 : 흡착구 60 : 상부금형
61 : 상부금형판 62 : 프레스나선축
63 : 가이드 64 : 프레스모터
65 : 로드셀 66 : 프레스스핀들
67 : 축풀리 68 : 연결벨트
68a : 텐션조절장치 69 : 구동벨트
70 : 비젼카메라부 71 : 트리거신호부
72 : 고정프레임 72a : 제5레일
72b : 제6레일 72c : 제5슬리브
72d : 제6슬리브 72e : 회전손잡이
72f : 메인벨트 72g : 회전축
72h : 연결브라켓 72i : 보조벨트
73 : 나선구동축 73' : 구동손잡이
73a : 제1나선부싱
73b : 제2나선부싱 73c : 스프링
73d : 고정볼트 73e : 가압볼트
74 : 제3슬리브 75 : 제4슬리브
76 : 비젼카메라 77 : 제2실린더
77a : 제2실린더로드 77b : 가압판
77c : 가압부재 80 : 하부금형
81 : 금형레일 82 : 하부금형판
83 : 교체스톱퍼 84 : 설치스톱퍼
85 : 위치센서 86 : 교체레버
87 : 위치레버 88 : 브라켓
88a : 장홀 88b : 이동홈
88c : 고정바 88d : 레버
100 : 비젼프레스 172a : 가로단
172b : 세로단 200 : 케이스
201 : 개방창

Claims (21)

  1. 베이스(10)의 상부 일3측으로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가 새겨진 피씨비기판(20)을 쌓아 놓는 공급판(30)을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급판(30)의 일측으로 베이스(10)의 상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31)을 따라 피씨비기판(20)을 정렬하는 정렬테이블(32)을 공급판(30)의 상부로 전후 이동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정렬테이블(32)의 일측으로 전후경사 이동하며 클램프이동부(41)의 전면에 피씨비기판(20)이 물림되는 한 쌍의 제1,2기판고정대(42)(43)가 좌우상하 이동하며 이격 설치된 클램프부(40)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중앙으로 설치되는 프레스프레임(11)을 따라 좌우/상하이동 작동으로 공급판(30)의 피씨비기판(20)을 정렬테이블(32)에서 정렬 후 클램프부(40)의 의 제1,2기판고정대(42)(43)에 물림 고정하기 위하여 피씨비기판(20)을 흡착 이동시키는 기판이송부(50)를 구성하며,
    상기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로 상하 작동하는 상부금형(60)의 전방으로 전후좌우 위치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비젼카메라부(7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60)과 마주보게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80)의 전방에 설치되는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리거신호부(71)를 구성하여,
    상기 기판이송부(50)에 의해 피씨비기판(20)을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에 물림 후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에서 트리거신호부(71)의 트리거 신호가 피씨비기판(20)의 절취패턴 및 마킹 포인트을 거쳐 비젼카메라부(70)에 입력되는 좌표를 프로그램을 통해 클램프부(40)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며 절취패턴의 위치를 상,하부금형(60)(80)의 사이에 위치시켜 프레스 커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테이블(32)에는 내부의 공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정렬대(32c)를 좌우방향과 전후 방향 3방면에 설치하고,
    좌우 두 방향의 정렬대(32c)는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며, 전후방향의 정렬대(32c) 는 고정된 정렬판(32a)을 향해 일방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정렬대(32c)는 수동 손잡이로 피씨비 크기에 맞게 위치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40)의 클램프이동부(41)는 베이스(10)의 상부에 프레스프레임(11)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1,2레일(41a)(41b)을 따라 이동하는 제1,2슬리브(41c)(41d)를 제1,2나선축(41e)(41f)과 나선 체결로 관통되게 설치 구성하고,
    상기 제1,2나선축(41e)(41f)을 제1,2모터(41g)(41h)의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제1,2슬리브(41c)(41d)가 나선 체결로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41c)의 하부에는 제1레일(41a)과 직교 배치의 보조레일(41i)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레일(41i)과 결합되는 보조슬리브(41j)가 제1레일(41a)과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제1,2슬리브(41c)(41d)의 각각 상부에는 회전브라켓(41k)을 회전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회전브라켓(41k)의 상부를 연결하는 고정브라켓(41l)의 하부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는 한 쌍의 제1,2기판고정대(42)(43)가 마주보게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1모터(41g)는 비 작동하고 제2모터(41h)가 작동하면 제2슬리브(41d)는 전후진하되 제1슬리브(41c)는 회전브라켓(41k)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보조레일(41i)을 따라 보조슬리브(41j)가 이동하여 제1기판고정대(42)측보다 제2기판고정대(43)측이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는 제1,2클램프단(42a)(43a)과 제1,2이송단(42b)(43b)이 직교 배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이송단(42b)(43b)은 제1이송단(42b)의 외측면과 제2이송단(43b)의 내측면에는 렉기어(44)를 마주보며 결합 구성하며, 상기 제1,2이송단(42b)(43b)은 하부이송판(45)의 하부 설치된 이송단레일(45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1l)의 전면에 설치된 가로이송레일(41l')을 따라 좌우 이동하며 전면에 형성된 세로이송레일(46a)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한 쌍의 수직이송판(46)을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나의 수직이송판(46)에 직교로 결합되어 고정브라켓(41l)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송모터(47a)로 회전하는 이송나사축(47b)에 나선 결합되는 지지단브라켓(47)을 구성하고,
    상기 하부이송판(45)이 하부로 결합되고 수직이송판(46)의 세로이송레일(46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전면이송판(48)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이송판(48)은 고정브라켓(41l)의 상부에 설치된 전면모터(48a)에 결합된 캠(48b)에 편심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2이송단(42b)(43b)의 렉기어(44)는 고정브라켓(41l)의 하부면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피니언기어(49)와 기어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중 하나를 이동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판고정대(42)(43)의 제1,2클램프단(42a)(43a) 내측면으로 피씨비기판(20)의 네 모퉁이를 고정하는 한 쌍씩의 제1,2클램프(42a')(43a')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2클램프(42a')(43a')가 설치된 사이에 상부금형(60)에 접촉하여 클램프이동부(41)로 신호를 전달하는 한 쌍의 프로브(40a)를 마주보게 설치 구성하여,
    상기 상하부금형(60)(80)을 교체 설치한 직후, 클래프이동부(41)를 서서히 움직여, 상기 프로브(40a)에 상부금형(60)이 접촉하게 하여 위치를 인식 시킴으로써, 클래프이동부(41)가 그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설정하여 프레스 작업시 제1,2기판고정대(42)(43)가 상부금형(60)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0a)는 몸체(40b)의 전방으로 접촉시 삽입되는 감지단(40c)이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로브(40a)의 몸체(40b) 후방으로 프로브실린더(40d)에서 인출입하는 프로브실린더로드(40e)가 결합되어 전후 돌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단(42a)(43a)의 하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제3,4레일(42a")(43a")에 제2클램프(43a')를 각각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제3,4레일(42a")(43a")이 설치된 제1,2클램프단(42a)(43a) 의 후방으로 가이드축(40f)을 결합하여 제2클램프(43a')의 일측과 결합 구성하여,
    상기 제2클램프(43a')를 제3,4레일(42a")(43a")을 따라 수동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40f)이 결합된 제1,2클램프단(42a)(43a)의 하부면 일측에는 제1실린더(40g)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제1실린더(40g)에서 인출입 작동하는 제1실린더로드(40h)에 가이드축(40f)을 관통하는 가압구(40i)가 연결 구성하여,
    상기 제2클램프(43a')를 제3,4레일(42a")(43a")을 따라 수동 이동 후 제1실린더로드(40h)의 인출입 동작으로 가압구(40i)가 가이드축(40f)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카메라부(70)는 상부금형(60)과 간섭되지 않도록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에 디귿자 형태의 고정프레임(72)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72)의 가로단(172a)을 따라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왼나선과 오른나선이 형성된 나선구동축(73)이 설치되고,
    상기 나선구동축(73)의 왼나선과 오른나선에 각각 제3,4슬리브(74)(75)가 나선 체결되고, 상기 제3,4슬리브(74)(75)의 하부로는 트리거신호부(71)를 향하는 비젼카메라(76)가 결합 구성되어,
    상기 나선구동축(73)의 좌우 회전시 제3,4슬리브(74)(75)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져 비젼카메라(76)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72)의 세로단(172b)에는 제5,6레일(72a)(72b)이 각각 설치된 연결브라켓(72h)이 각각 결합되어 프레스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제5,6레일(72a)(72b)을 따라 이동하는 제5,6슬리브(72c)(72d)가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고정프레임(72)에 회전손잡이(72e)를 회전시키면 메인벨트(72f) 연결로 회전되는 회전축(72g)을 한 쌍의 연결브라켓(72h)에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72g)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각각의 보조벨트(72i)에 제5,6슬리브(72c)(72d)를 결합하고, 상기 보조벨트(72i)를 세로단(172b)에 설치된 풀리(72j)에 각각 연결 구성하여,
    상기 회전손잡이(72e)를 회전시 회전력이 메인벨트(72f), 회전축(72g), 보조벨트(72i), 제5,6슬리브(72c)(72d)를 통해 전달되어 고정프레임(72)이 고정브라켓(41l)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6슬리브(72c)(72d)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실린더(77)의 하부 방향으로 인출입하는 제2실린더로드(77a)에 가압판(77b)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판(77b)의 상부면에는 제5,6레일(72a)(72b)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가압부재(77c)를 결합시켜,
    상기 제5,6슬리브(72c)(72d)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실린더로드(77a)가 삽입되면서 가압판(77b)이 가압부재(77c)를 제5,6레일(72a)(72b)에 접촉 가압시켜 제5,6슬리브(72c)(72d)의 자유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4슬리브(74)(75)의 내부에는 각각 나선구동축(73)의 나선에 결합되는 제1,2나선부싱(73a)(73b)을 이격된 상태로 삽입 결합하고,
    상기 제1,2나선부싱(73a)(73b)의 사이에 스프링(73c)을 삽입한 후 제1나선부싱(73a)은 제3,4슬리브(74)(75)와 고정볼트(73d)로 체결되고, 제2나선부싱(73b)은 제3,4슬리브(74)(75)를 관통한 볼트(73e)가 키 역할을 하도록 느슨하게 체결되어있어 나선구동축(73)의 방향으로는 움직이나 회전하지 못하고, 상기 제2나선부싱(73b)이 스프링(73c)의 탄성력에 밀려 나선구동축(73)의 나선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이동 오차가 최소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카메라(76)는 클램프부(40)의 제1,2기판고정대(42)(43) 중 하나에 상부금형(60)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비젼카메라(76)에 의해 상부금형(60)의 외곽 크기의 중심과, 실제 펀칭되는 날의 중심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으로, 피씨비기판(20)을 임의의 위치에 놓고 펀칭을 한 후, 펀칭 위치의 어긋난 편차를 감안하여 상부금형(60)의 결합 위치를 수정하여 다시 펀칭해 보는 방법을 수차례 반복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확한 위치를 셋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60)이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부금형판(61)의 상부로 결합된 다수개의 프레스나선축(62)과 가이드(63)가 프레스프레임(11)을 관통하여 설치 구성하고,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을 프레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프레스모터(64)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하부에는 상부금형(60)이 가압할 때 압축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65)을 설치 구성하여,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동시 회전으로 상부금형(60)이 상,하 이동시 편심되지 않고 정확한 압축하중이 대상물에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나선축(62)에 나선 결합되는 프레스스핀들(66)이 프레스프레임(11)의 하부면에 고정되게 구성하고,
    상기 프레스나선축(62)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축풀리(67)가 연결벨트(68)로 연결 구성하며,
    상기 하나의 축풀리(67)를 프레스모터(64)와 연결되는 구동벨트(69)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벨트(68)에 접촉 가압하는 텐션조절장치(68a)를 프레스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 구성 하여,
    상기 프레스모터(64)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프레스나선축(62)이 회전하며 연결벨트(68)의 장력조절로 동일한 회전비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80)은 설치되는 베이스(10)의 상부에 한 쌍의 금형레일(81)을 전후방향으로 설치 구성하고,
    상기 금형레일(81)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금형판(82)의 상부로 하부금형(80)과 트리거신호부(71)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하부금형(80)의 교체시 하부금형판(82)을 교체 위치로 이동시켜 교체가 편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80)을 교체하기 위한 하부금형판(82)을 후방으로 이동시 금형레일(81)의 사이에 베이스(10)에는 하부금형판(82)의 후면에 접촉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교체스톱퍼(83)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금형레일(81)의 전방 끝단 각 외측부분에는 하부금형판(82)이 전면에 접촉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설치스톱퍼(84)와 하부금형판(82)과의 접촉을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센서(85)를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판(82)이 위치되는 전방 지점에는 하부금형판(82)의 전면 양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교체레버(86)가 금형레일(81)의 바깥쪽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 구성하고,
    상기 하부금형판(82)이 위치되는 후방 지점에는 하부금형판(82)의 후면 양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위치레버(87)가 금형레일(81)의 바깥쪽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 구성하여,
    상기 교체레버(86)와 위치레버(87)에 의해 하부금형판(82)의 자유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레버(86)와 위치레버(87)는 베이스(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장홀(88a)과 타측면에는 이동홈(88b)이 형성된 니은자 형태의 브라켓(88)을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88)의 이동홈(88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부금형판(82)을 지지하는 고정바(88c)를 구성하고,
    상기 브라켓(88)의 장홀(88a)과 고정바(88c)를 관통해 결합되는 레버(88d)를 구성하여,
    상기 레버(88d)의 조임력을 풀어 고정바(88c)를 이동시킨 후 레버(88d)를 조임하여 고정바(88c)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신호부(71)는 금형레일(8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젼프레스.
KR1020120101475A 2012-09-13 2012-09-13 비젼프레스 KR10138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75A KR101380863B1 (ko) 2012-09-13 2012-09-13 비젼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75A KR101380863B1 (ko) 2012-09-13 2012-09-13 비젼프레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86A KR20140035086A (ko) 2014-03-21
KR101380863B1 true KR101380863B1 (ko) 2014-04-02

Family

ID=5064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475A KR101380863B1 (ko) 2012-09-13 2012-09-13 비젼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4916B (zh) * 2018-10-23 2020-06-30 六安龙翔美食王禽业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切片厚度的农产品加工用切片装置
CN111805609A (zh) * 2020-06-30 2020-10-23 广东东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pc板材分割装置
CN114505700B (zh) * 2022-04-19 2022-07-01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制电路板控深槽加工用定位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070A (ja) * 1990-01-22 1991-09-24 Ibiden Co Ltd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969506B1 (ko) 2009-07-10 2010-07-09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부착장치
KR101086571B1 (ko) 2011-01-20 2011-11-23 우영관 부재 플레이트의 프레스 타발 및 포장 장치
KR101143775B1 (ko) 2010-11-29 2012-05-1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피씨비 쏘우 머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070A (ja) * 1990-01-22 1991-09-24 Ibiden Co Ltd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969506B1 (ko) 2009-07-10 2010-07-09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용 보강판 부착장치
KR101143775B1 (ko) 2010-11-29 2012-05-11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피씨비 쏘우 머신 시스템
KR101086571B1 (ko) 2011-01-20 2011-11-23 우영관 부재 플레이트의 프레스 타발 및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86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865B1 (ko) 비젼프레스의 클램프 이동구조
CN106624815B (zh) 一种二胡弦轴自动加工机
CN101633079B (zh) 一种pcb板激光切割机
EP0120588B1 (en) Drilling machine for boards, particularly of printed circuits
CN203343725U (zh) 全自动锁螺丝机
CN108214393B (zh) 一种高速经编机连杆组件的装配工装
KR101380863B1 (ko) 비젼프레스
CN109093370B (zh) 一种多螺丝同步锁付机
CN102095900A (zh) 检测系统
KR101375227B1 (ko) 비젼프레스의 비젼카메라 이동구조
CN110430745A (zh) 一种用于电子制造的贴片机
CN105228356B (zh) 一种用于多种尺寸规格线路板印刷定位机构及其使用方法
KR20190004776A (ko) 가공물 시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가변 공구를 갖는 기기
CN106585102B (zh) 具有旋转工作台的印制电路喷墨打印设备及喷墨打印系统
CN209565511U (zh) 一种对钻机总装配
KR101342089B1 (ko) 비전프레스에서 금형 위치를 확인하여 등록하는 방법
KR101453543B1 (ko) 회전테이블 중심 표시기능을 갖는 수직 선반
CN109926816A (zh) 一种手机前壳与手机屏的组装间隙的检测设备
CN107756815A (zh) 一种塑料油箱单点打孔焊接机
KR100806739B1 (ko) 차량 조향용 브러시리스 전동기의 코어와 보빈을 결합하는장치
CN220720335U (zh) 热压设备
CN203765244U (zh) 双转式夹具结构和多工件型插装设备
CN211768584U (zh) 平移送料机构
CN209439736U (zh) 一种钢珠压入机
CN214025300U (zh) 一种可校对的快速定位治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