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80B1 -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80B1
KR101380680B1 KR1020130139464A KR20130139464A KR101380680B1 KR 101380680 B1 KR101380680 B1 KR 101380680B1 KR 1020130139464 A KR1020130139464 A KR 1020130139464A KR 20130139464 A KR20130139464 A KR 20130139464A KR 101380680 B1 KR101380680 B1 KR 10138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sealing
cap
air cap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빅스
Priority to KR102013013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76Moistening; Drying; Cooling; Heat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에어캡을 갖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봉투 입구를 밀봉되게 하는 밀봉부가 견고하고 튼튼하게 개선된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피지원단롤(11A) 및 에어캡시트원단롤(12A)에서 각각 공급되는 외피지(11) 및 시트지(121)와 에어캡(122)을 가진 에어캡시트(12)가 서로 포개져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외피지(11)와 에어캡(122) 상면부가 열접합되고 냉각되어 합지원단(10)이 제조되는 합지과정(S1)과; 상기 합지원단(10)이 반으로 접혀지게 하여 반접이원단(10')이 되게 하는 반접이과정(S4)과; 상기 반접이원단(10')의 양측단부를 열접합되게 하여 봉투(100) 양측에 측면실링부(102)를 갖도록 하는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과; 상기 측면실링부(102)를 갖는 반접이원단(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되게 하여 낱개의 봉투(100)를 얻게 하는 절단과정(S6)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합지과정(S1)에서 연속으로 제조되는 합지원단(10)에서 봉투(100) 완성시에 밀봉부(110)가 되는 부분을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상호 접합 된 외피지(11)와 에어캡(122) 상면부가 파괴되면서 압착되어 외피지(11) 내면부에 에어캡(122)과 시트지(121)가 납작하게 압착되어 접합 되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도록 하는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상기 외피지(11) 내면부에 압착되게 접합 된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는 밀봉부(110)를 급속냉각시켜 경화되도록 하는 밀봉부경화과정(S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봉투(100)의 밀봉부(110) 및 개구단부(1203) 내면에 압착보강부재(124)를 구비하여 빳빳한 지탱력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Sustained power has been granted a sealed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bags}
본 발명은 내부에 에어캡을 갖는 포장용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투 내부에 내용물을 삽입한 후 입구를 밀봉시키는 밀봉부가 강하고 견고한 지탱력을 갖도록 개선된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 및 취급시에 봉투에 내장된 내용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봉투 내부면에 에어캡을 갖도록 하는 포장용 봉투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봉투는 에어캡이 수지재질이므로 외피지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8708호와 같이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가 개시되고 있고, 상기 선행기술은 에어캡을 로울러나 핀에 의해서 터트려서 압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므로 봉투 제조시에 반접이 된 합지원단의 양측면부의 에어캡만 파괴하여 실링 시킬 수밖에 없었고 단단하게 실링 되지 않음에 따라 밀봉부를 외피지에 의해서만 구비되도록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선행기술의 봉투는 밀봉부가 두께가 매우 얇은 외피지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탱력이 전혀 없이 흐늘흐늘한 상태가 됨으로써 밀봉할 때 우그러지게 되어 밀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고 밀봉된 상태의 밀봉지가 우그러진 상태로 밀봉됨으로써 외관상으로도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그리고 밀봉부가 매우 얇은 상태이기 때문에 운반 및 취급시에 찢어질 수 있어서 내용물 훼손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10-0838708 B1 2008.06.16 도면3b
본 발명은 내부에 에어캡을 갖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봉투 입구를 밀봉되게 하는 밀봉부가 견고하고 튼튼하게 개선된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투의 밀봉부가 견고하게 하여 찢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반이나 취급시에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봉투의 밀봉부가 밀봉 전이나 밀봉된 후에도 우그러지거나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외피지원단롤 및 에어캡시트원단롤에서 각각 공급되는 외피지 및 시트지와 에어캡을 가진 에어캡시트가 서로 포개져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외피지와 에어캡 상면부가 열접합되고 냉각되어 합지원단이 제조되는 합지과정과, 상기 합지원단이 반으로 접혀지게 하여 반접이원단이 되게 하는 반접이과정과, 상기 반접이원단의 양측단부를 열접합되게 하여 봉투 양측에 측면실링부를 갖도록 하는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과, 상기 측면실링부를 갖는 반접이원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되게 하여 낱개의 봉투를 얻게 하는 절단과정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합지과정에서 연속으로 제조되는 합지원단에서 봉투 완성시에 밀봉부가 되는 부분을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상호 접합 된 외피지와 에어캡 상면부가 파괴되면서 압착되어 외피지 내면부에 에어캡과 시트지가 납작하게 압착되어 접합 되는 압착보강부재를 갖도록 하는 밀봉부가열압착과정과, 상기 외피지 내면부에 압착되게 접합 된 압착보강부재를 갖는 밀봉부를 급속냉각시켜 경화되도록 하는 밀봉부경화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 부분이 히터선이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받침대와 캡파괴판부재 사이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가열 및 가압 되어 외피지 내면에 에어캡과 시트지가 납작하게 압착되어 접합 되는 압착보강부재를 갖도록 하고, 상기 외피지와 내면에 압착되게 접합된 압착보강부재는 냉수관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받침대와 가압경화판부재 사이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되면서 급냉되어 경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가열압착과정과 밀봉부경화과정이 합지과정에서 연속으로 제조되는 합지원단에서 봉투 완성시에 밀봉부와 대향되는 개구단부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의 가이드롤러 사이에 상부붙박이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롤러와 상부붙박이롤러 사이에 각각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지지대 끝단부에 공전롤러가 있는 자유이동롤러부를 각각 구비하여 합지원단이 지그재그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원단저장대기수단과, 상기 원단저장대기수단에서 대기하던 합지원단이 상면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이동하는 캡파괴판부재 및 가압경화판부재와, 상기 받침대와 캡파괴판부재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전부에 선택적으로 히터선이 내장되고, 상기 받침대와 가압경화판부재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전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수관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캡파괴판부재와 가압경화판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이동되게 하여 합지원단의 밀봉부를 가압 및 가열한 다음 급냉 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부강화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감속모터 동력에 의해서 캠이 회전되면 수평직진로드가 전,후진되게 이동되어 연동축으로 연결된 ㄱ자형링크가 링크축을 중심으로 회동 되면서 연동축으로 연결된 수직직진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고, 상기 수직직진로드는 연동축에 의해 캡파괴판부재와 가압경화판부재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캡파괴판부재와 가압경화판부재가 동시에 승하강 이동되게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파괴판부재와 가압경화판부재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미세엠보돌기와 미세골홈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피지 및 시트지와 에어캡을 가진 에어캡시트가 서로 포개져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외피지와 에어캡 상면부가 열접합되고 냉각되는 합지원단이 반접이 된 후 양측단부를 각각 열접합시켜 측면실링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있는 투입구 일측으로 밀봉부(110)를 구비하고 타측으로 하나의 개구단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투입구 양측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개구단부를 구비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봉부 및 개구단부의 외피지 내면에 있는 에어캡시트를 가열하고 가압하여 외피지에 압착되게 접합되는 압착보강부재를 급냉시켜 경화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의 외피지 내면에 압착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와 대향되는 개구단부의 외피지 내면에 압착보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단부의 압착보강부재가 있는 부분이 절곡되어 투입구가 밀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캡을 갖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견고하고 튼튼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고하고 튼튼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를 연속으로 제조 가능하게 하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대량 생산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으로 제조 가능하므로 원가 절감이 도모되어 제품단가를 높이지 않고도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 봉투를 보급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투의 밀봉부가 견고하여 찢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밀봉 후 운반이나 취급시에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봉투의 밀봉부가 견고하여 빳빳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밀봉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전이나 밀봉된 후에도 우그러지거나 일그러지지 않게 되므로 제품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봉투 제조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봉투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합지원단과 합지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강화수단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강화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강화수단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7의 (a),(b)는 도 6의 X-X'선 단면 상태로 나타낸 합지원단의 반접이과정 설명도이고, (c)는 (b)의 Z-Z'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도 8 (c)의 "Y"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밀봉부강화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이 실시된 일실시예의 봉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나타낸 봉투의 일측 일부 단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봉투를 나타낸 일측 일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봉투를 나타낸 일측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피지원단롤(11A) 및 에어캡시트원단롤(12A)에서 공급되는 외피지(11)와 에어캡시트(12)가 서로 포개지는 상태가 되면서 가열판(1) 위에서 가압롤러(2)에 의해서 가압 됨에 따라 상호 부착되는 합지과정(S1)이 실시되고, 다음에 냉각판(3)에 의해서 냉각된다.
상기 외피지(11)는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되고, 에어캡시트(12)는 수지재질의 시트지(121) 일면에 다수의 에어캡(122)을 구비하도록 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합지과정(S1)에서는 가열판(20)에 의해 가열되어 에어캡(122) 상면부에 외피지(11)가 열융착되어 합지원단(10)이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합지된 후에는 냉각판(22)에 의해서 냉각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합지과정(S1)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밀봉부가 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피지(11) 상면에만 에어캡시트(12)가 포개져서 접합 되었으나, 본 발명은 밀봉부가 되는 부분까지도 외피지(11) 전체에 에어캡시트(12)가 포개져서 열접합되도록 합지과정(S1)이 실시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이 실시된다.
상기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은 합지원단(10)에서 봉투(100)가 완성되었을 때 밀봉부(110)에 해당되는 부분의 에어캡(122)을 파괴하여 외피지(11)와 시트지(121) 사이에서 열융착되게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이 실시되면서 밀봉부경화과정(S3)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밀봉부경화과정(S3)이 별개로 각각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두 개의 과정이 동시에 실시되도록 하는 것이 연속생산 효율성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경화과정(S3)은,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에서 밀봉부(110)에 해당되는 부분의 에어캡(122)이 파괴되어 외피지(11)와 시트지(121) 사이에서 열융착된 것을 급냉 시켜 단단하게 경화되게 하는 강화(强化)과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밀봉부경화과정(S3)은 원단저장대기수단(20) 및 밀봉부강화수단(30)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원단저장대기수단(20)은 합지원단(10)이 밀봉부강화수단(30)으로 이동하기 전에 잠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원단저장대기수단(20)은, 한쌍의 가이드롤러(21,21') 사이에 상부붙박이롤러(22)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롤러(21,21')와 상부붙박이롤러(22) 사이에 각각 고정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지지대(24) 끝단부에 공전롤러(25)가 있는 자유승하강롤러부(26,26')를 각각 구비하여 합지원단(10)이 지그재그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합지과정(S1)에서 합지되게 연속 제조되는 합지원단(10)은 가이드롤러(21)를 거처 자유승하강롤러부(26)의 공전롤러(25)를 통과하여 상부붙박이롤러(22)와 다른 자유승하강롤러부(26)의 공전롤러(25)를 거치게 된 후 다시 상부 쪽에 있는 가이드롤러(21')를 통과하여 밀봉강화수단(30)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밀봉강화수단(30)에서 합지원단(10)의 이동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밀봉강화수단(30)이 작동하여 밀봉부가 강화(强化)되게 하는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밀봉부경화과정(S3)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밀봉강화수단(30)에서 합지원단(10)의 이동이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도 합지과정(S1)이 연속 진행되기 때문에 원단저장대기수단(20)에서 잠시 합지원단(10)이 잠시 저장되어 대기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밀봉강화수단(30)에서 합지원단(10)의 이동이 일시 정지되면 가이드롤러(21') 회전이 정지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롤러(21) 쪽에서 합지원단(10)이 계속 이동되면 자유승하강롤러부(26)의 공전롤러(25)의 하중에 의해서 하측방향으로 롤러 하중이 실리기 때문에 고정축(23)을 중심으로 롤러지지대(24)가 도 4의 실선 도시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합지원단(10)이 저장되어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자유승하강롤러부(26)에서 공전롤러(25)에 걸려 있는 합지원단(10)이 더 이상 하측 방향으로 내가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다른 쪽의 자유승하강롤러부(26')의 공전롤러(25) 하중에 의해서 도 4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밑으로 내려가게 됨으로써 더 많은 합지원단(10)을 저장하고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이송롤러(36)의 회전에 의해서 면 밀봉강화수단(30)에서 합지원단(10)의 이동이 다시 진행되게 되면 가이드롤러(21')가 회전되면서 원단저장대기수단(20)에 저장되어 대기하고 있던 합지원단(10)을 끌어 당기게 되어 이송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 이러한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밀봉부강화수단(30)에서 합지원단(10)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더라도 합지과정(S1)에서 연속적으로 제조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봉부강화수단(30)은 합지원단(10)이 얹혀지게 되는 한쌍의 받침대(31,31')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운동 되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는 하나의 연결부재(34)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34)에는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를 승하강운동되도록 하기 위한 승하강수단(35)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수단(35)은, 감속모터(351) 동력에 의해서 캠(352)이 회전되면 수평직진로드(353)가 전,후진되게 이동되어 연동축(353')으로 연결된 ㄱ자형링크(354)가 링크축(354')을 중심으로 회동 됨으로써 연동축(354")으로 연결된 수직직진로드(355)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운동 되게 되어 있다. 부호 351'는 모터축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직직진로드(355)는 연동축(355')에 의해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에 연결됨에 따라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에 승하강 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부호 353" 및 355"는 가이드부재를 나타내고, 부호 37은 기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윗쪽으로 상승된 위치에서 승하강수단(35)의 구동에 의해 캠(352)이 1 회전하게 되면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에 하강 되게 이동된 후에 다시 승강되게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받침대(31,31') 위에 있는 합지원단(10)을 가압할 동안에는 도 2에 나타낸 한쌍의 이송롤러(36)가 일시 정지함에 따라 합지원단(10)의 이송이 일시 정지된 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승강되게 이동하게 되면 다시 이송롤러(36)가 구동을 하여 합지원단(10)이 다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용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하강되게 이동하여 받침대(31,31') 위에 있는 합지원단(10)을 가압할 동안에 제어부(미도시됨)가 감속모터(351)를 제어함으로써 캠(352)이 회전이 일시 정지되게 하여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합지원단(10)을 잠시동안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합지원단(10)을 가압하는 최하사점에 이르게 됨과 동시에 곧바로 다시 상승 되게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캠(352)이 회전이 일시 정지되지 않고 계속 회전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합지원단(10)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합지원단(10)을 가압하는 최하사점에 이르게 되는 순간 이동이 일시 정지되었다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상승되게 이동되었다가 다시 하강되게 이동되는 동안에 합지원단(10)이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에 하강 되게 이동되어 합지원단(10)을 가압함에 따라 에어캡(122)이 파괴되어 외피지(11)에 층착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캡파괴판부재(32)는 내부에 히터선(321)이 내장됨으로서 열에너지를 발산하여 캡파괴판부재(32)가 뜨거워지도록 가열되는 상태가 되고, 가열온도는 제어부(미도시됨)에서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어부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 322는 전기케이블을 나타낸다.
가압경화판부재(33)는, 내부에 냉수관(331)이 내장되어 냉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냉수관(331)으로 냉수가 공급되고 순환되게 하는 것은 입출수 역할을 하는 냉수호스(332)와 냉각기유니트(미도시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냉각관(331)을 흐르는 냉수로부터 냉기를 열전달 받아서 가압경화판부재(33)는 차거워 지는 상태가 되고, 냉각관(3331)으로 계속 냉수가 순환됨으로써 가압경화판부재(33)는 항상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하강수단(35)의 구동에 의해서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적으로 받침대(31,31') 위에 있는 합지원단(1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지원단(10) 전체 면적 중에서 봉투가 완성되었을 때 밀봉부(110)가 되는 부분에만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가압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캡파괴판부재(32a) 및 가압경화판부재(33a)에 의해서 합지원단(10) 전체 면적 중에서 봉투가 완성되었을 때 개구단부(103)가 되는 부분에도 가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캡파괴판부재(32a) 및 가압경화판부재(33a)는 크기 차이만 있고 이미 설명된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도 6에 나타낸 합지원단(10)은 도 7의 (a) 상태와 같이 일자형태이며, 이 상태에서 반접이점선(P)을 중심으로 이후에 실시되는 반접이과정(S4)에서 반으로 접혀지게 됨에 따라 도 7의 (b)와 같이 밀봉부(110) 및 투입구(101)와 개구단부(103)를 갖는 반접이원단(10')이 제조되는 것이며, 도 7의 (c)와 같이 반접이원단(10')의 양측단부(102a)를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에서 열접합되게 하여 도 12와 같이 봉투(100)의 양측에 측면실링부(102)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반접이과정(S4) 및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므로 도 6에서 밀봉부(110)가 되는 부분에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그리고 개구단부(103)가 되는 부분에는 캡파괴판부재(32a) 및 가압경화판부재(33a)가 가압되게 하는 것으로서, 밀봉부(110)만 가압되게 할 수 있는 한편 밀봉부(110)와 개구단부(103) 모두에게 가압 되도록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밀봉부(110) 부분을 가압하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와, 개구단부(103) 부분을 가압하는 캡파괴판부재(32a) 및 가압경화판부재(33a)가 동일한 구조이므로 밀봉부(110) 부분을 가압하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의 작용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에 합지원단(1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지만, 합지원단(10)을 놓고 보면 먼저 캡파괴판부재(32)에 의해 에어캡(122)이 파괴되면서 열에너지에 의해 외피지(11)에 달라붙게 한 다음에 받침대(31')로 이동한 후 정지되어 가압경화판부재(33)에 의해서 밀봉부(110)가 경화 처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캡파괴판부재(32)에 의해서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이 먼저 실시되고, 다음에 가압경화판부재(33)에 의해서 밀봉부경화과정(S3)이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은 도 8의 (a)와 같이 캡파괴판부재(32)가 외피지(11)와 접합된 에어캡(122) 상면부로 하강 이동하여 가압하면서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되어 가열하게 된다.
그러므로 에어캡(122) 상면부는 뜨거운 열에너지에 의해서 흐물해지는 상태가 되면서 가압 되기 때문에 접합 된 외피지(11)와 함께 에어캡(122) 상면부가 파괴됨에 따라 에어캡(122) 내부 공기가 누출되면서 도 8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납작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에어캡(122) 상면부가 파괴됨으로써 에어캡(122)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분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납작하게 가압 되기 때문에 도 8의 (c)와 같이 밀봉부(110)가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두께가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납작하게 가압 되는 에어캡(122)은 열에너지를 부여받게 되어 외피지(11)와 시트지(121) 사이에서 융착되는 상태로 납작 되게 압착되어 외피지(11) 내면에 시트지(121)와 압착된 에어캡(122)으로 이루어지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에서 에어캡(122) 부분과 접촉되는 면에 다수의 미세엠보돌기(38)와 미세골홈(39)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엠보돌기(38)에 의해서 가압시에 공기로 충진 된 에어캡(122)이 어느 한쪽으로 일그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에어캡(122)은 공기가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 누르게 되면 공기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쏠림현상이 발생 되어 파괴된 상태의 에어캡(122)이 균일하게 압착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으로 쏠려서 압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밀봉부(110)가 균일한 두께를 갖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미세엠보돌기(38)가 미그럼 방지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에어캡(122)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파괴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에어캡(122)이 도 8의 (c)와 같이 그대로 눌러 퍼지는 상태로 압착됨으로써 압착보강부재(124)가 균일한 두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지(11)와 접합 된 에어캡(122) 상면부가 파괴됨에 따라 파괴공(123)으로 누출되는 에어캡(122) 내부공기가 미세골홈(39)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더욱 에어캡(122)이 더욱 어느 한쪽으로 일그러지지 않고 곧바로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미세엠보돌기(38)는 도 8의 (c)와 같이 압착되는 상태에서 미세엠보돌기(38)가 표면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도 9와 같이 미세엠보돌기(38)에 의해 가압 되는 부분에는 엠보눌림홈부(125)가 생기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미세엠보돌기(38)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는 더 가압하는 상태가 되어 엠보눌림홈부(125)가 생기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엠보눌림홈부(125)가 더욱 강하게 압착되어 확실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세엠보돌기(38) 및 미세골홈(39)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을 정도로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의 저면에 매우 미세하게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의 저면에 미세엠보돌기(38) 및 미세골홈(39)이 있어도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고 매끈하게 식별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세엠보돌기(38) 및 미세골홈(39)은, 가령 스크레이퍼(scraper)로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의 저면을 긁어내서 스크래치(scratch) 형태의 미세엠보돌기(38) 및 미세골홈(39)를 갖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밀봉부경화과정(S3)이 가압경화판부재(33)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캡파괴판부재(32)가 외피지(11)와 접합 된 에어캡(122) 상면부로 하강 이동하여 가압하면서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이 완료되어 받침대(31')로 이동해 온 합지원단(10)의 밀봉부(110)는 열에너지가 남아 있어서 뜨거운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압경화판부재(33)가 하강 이동하여 밀봉부(110)를 가압하는 순간 뜨거운 상태의 밀봉부(110)가 급속하게 냉각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밀봉부(110)가 급냉 되어 경화 처리가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금속을 가열한 후 냉각수에 급속히 담그면 담금질이 되어 금속이 더욱 단단해지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밀봉부(110)가 급냉됨에 따라 납작하게 상호 접합 된 에어캡(122)과 외피지(11) 및 시트지(121)가 더욱 단단하게 경화되어 밀봉부(110)가 더욱 빳빳한 상태로 강화되는 것이다. 이때, 미세엠보돌기(38)는 밀봉부(110)를 다시 한번 강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더욱 확실한 접합이 도모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봉투(100)에 채용되는 외피지(11) 및 에어캡시트(12)의 재질은 이미 알려진 것이고, 이들의 용융접합온도, ,파괴온도 및 냉한온도나 두께 등과 같은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가열 및 냉각온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아울러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봉투(100)에 채용되는 외피지(11) 및 에어캡시트(12)의 재질 종류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해 캡파괴판부재(32)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고, 냉각기유니트(미도시됨)에 의해서 가압경화판부재(33)의 냉각온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선(321)이 받침대(31)에 내장되게 하여 밀봉부(110)에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받침대(31')에는 냉수관(331)이 내장되게 하여 밀봉부(110)의 경화 처리가 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히터선(321)이 캡파괴판부재(32) 및 받침대(31)에 각각 내장되게 하여 밀봉부(110)에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가압경화판부재(33)와 받침대(31')에는 냉수관(331)을 각각 내장되게 하여 밀봉부(110)의 경화 처리가 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 경우 더욱 양호하고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과정으로 반접이과정(S4)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이 과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접이유니트(40)에 의해서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합지원단(10)이 절반으로 접혀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반접이유니트(40)는 이미 알려진 장치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다음 과정은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이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은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접이원단(10')의 양측단부(102a)가 접합되게 하여 도 12에 보인 봉투(100)의 양측에 각각 측면실링부(102)를 갖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접이원단(10')의 양단부를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수단(50)에 의해서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수단(50)도 이미 알려진 장치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 본 발명은 커터(61)에 의해서 반접이원단(10)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도 12에 보인 낱개의 봉투(100)가 되도록 절단하는 절단과정(S6)이 실시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반접이과정(S4)과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 및 절단과정(S6)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며, 이들 과정들에 사용되는 장치들도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서 완성된 상태의 봉투(1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봉투(100)는 밀봉부(110)가 외피지(11) 내면에 압착된 에어캡(122)과 시트지(121)로 이루어지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에어캡을 갖는 포장용 봉투에 있어서 견고하고 튼튼하여 지탱력을 갖는 밀봉부(110)를 구비하는 봉투(100)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봉투(100)의 밀봉부(110)가 압착보강부재(124)에 의해 밀봉부(110) 두께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꺼워지게 되므로 견고하고 찢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110)에 양면테이프(k)와 같은 것으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투입구(101)를 밀봉시켰을 때 견고하게 밀봉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밀봉 후 운반이나 취급시에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봉투의 밀봉부가 견고하여 빳빳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밀봉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밀봉 전이나 밀봉된 후에도 밀봉부(110)가 빳빳하여 우그러지거나 일그러지지 않게 되므로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지원단(10)의 개구단부(103)가 되는 부분에도 캡파괴판부재(32a) 및 가압경화판부재(33a)가 가압되게 하는 경우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투(100)의 투입구(101) 일측의 개구단부(103)의 외피지(11) 내면에도 압착보강부재(124)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에어캡시트(12)와 압착보강부재(124)의 높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접힘경계선(103a)이 되어 접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접힘경계선(103a)이 꺽여져서 접혀지도록 하면서 밀봉부(110)가 양면테이프(k)에 의해 봉투(100)에 도 14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밀봉시키게 되면 밀봉부(110) 쪽의 내부에 있는 에어캡시트(12), 즉 개구단부(103)의 압착보강부재(124)와 대향 되는 반대쪽의 에어캡시트(12)가 투입구(101)를 막아버리게 됨으로써 투입구(101) 부분에 에어캡(122)이 존재하게 되므로 더욱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봉투(100)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밀봉부(110) 없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입구(101) 양측에 외피지(11) 내면에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는 각각의 개구단부(103)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단부(103)가 양면테이프(k)에 의해 밀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단부(103)가 압착보강부재(124)에 의해 빳빳한 지탱력을 가지게 되므로 밀봉이 양호하고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 개구단부(103)가 견고하여 찢어지지 않아서 훼손방지가 도모되고 제품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S1:합지과정 S2:밀봉부가열압착과정
S3:밀봉부경화과정 S4:반접이과정
S5: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 S6:절단과정
1:가열판 2:가압롤러
3:냉각판 10:합지원단
11:외피지 11A:외피지원단롤
12:에어캡시트 12A:에어캡시트롤
121:시트지 122:에어캡
123:파괴공 124:압착보강부재
125:엠보눌림홈부 20:원단저장대기수단
21,21':가이드롤러 22:상부붙박이롤러
23:고정축 24:롤러지지대
25:공전롤러 26,26':자유승하강롤러부
30:밀봉부강화수단 31,31':받침대
32,32a:캡파괴판부재 321:히터선
322:전기케이블 33,33a:가압경화판부재
331:냉수관 332:냉수호스
34:연결부재 35:승하강수단
351:감속모터 352:캠
353:수평직진로드 354:ㄱ자형링크
355:수직직진로드 36:이송롤러
37:기대 38:미세엠보돌기
39:미세골홈 40:반접이유니트
50: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수단 60:절단수단
61:커터 100:봉투
101:투입구 102:측면실링부
103:개구단부 110:밀봉부

Claims (8)

  1. 외피지원단롤(11A) 및 에어캡시트원단롤(12A)에서 각각 공급되는 외피지(11) 및 시트지(121)와 에어캡(122)을 가진 에어캡시트(12)가 서로 포개져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외피지(11)와 에어캡(122) 상면부가 열접합되고 냉각되어 합지원단(10)이 제조되는 합지과정(S1)과;
    상기 합지원단(10)이 반으로 접혀지게 하여 반접이원단(10')이 되게 하는 반접이과정(S4)과;
    상기 반접이원단(10')의 양측단부(102a)를 열접합되게 하여 봉투(100) 양측에 측면실링부(102)를 갖도록 하는 반접이원단양측단부실링과정(S5)과;
    상기 측면실링부(102)를 갖는 반접이원단(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되게 하여 낱개의 봉투(100)를 얻게 하는 절단과정(S6)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합지과정(S1)에서 연속으로 제조되는 합지원단(10)이 이송되어 봉투(100) 완성시에 밀봉부(110)가 되는 부분을 가열하면서 가압하여 상호 접합 된 외피지(11)와 에어캡(122) 상면부가 파괴되면서 압착되어 외피지(11) 내면부에 에어캡(122)과 시트지(121)가 납작하게 압착되어 접합 되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도록 하는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상기 외피지(11) 내면부에 압착되게 접합 된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는 밀봉부(110)를 급속냉각시켜 경화되도록 하는 밀봉부경화과정(S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10) 부분이 히터선(321)이 선택적으로 내장되는 받침대(31)와 캡파괴판부재(32) 사이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가열 및 가압 되어 외피지(11) 내면에 에어캡(122)과 시트지(121)가 납작하게 압착되어 접합 되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갖도록 하고;
    상기 외피지(11)와 내면에 압착되게 접합된 압착보강부재(124)는 냉수관(33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받침대(31')와 가압경화판부재(33) 사이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되면서 급냉되어 경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열압착과정(S2)과 밀봉부경화과정(S3)이 합지과정(S1)에서 연속으로 제조되는 합지원단(10)에서 봉투(100) 완성시에 밀봉부(110)와 대향되는 개구단부(103)에서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방법.
  4. 한쌍의 가이드롤러(21,21') 사이에 상부붙박이롤러(22)를 구비하고, 각각의 가이드롤러(21,21')와 상부붙박이롤러(22) 사이에 각각 고정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롤러지지대(24) 끝단부에 공전롤러(25)가 있는 자유이동롤러부(26,26')를 각각 구비하여 합지원단(10)이 지그재그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원단저장대기수단(20)과;
    상기 원단저장대기수단(20)에서 대기하던 합지원단(10)이 상면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받침대(31,31')와, 상기 받침대(31,31') 상부에서 각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이동하는 캡파괴판부재(32) 및 가압경화판부재(33)와, 상기 받침대(31)와 캡파괴판부재(32)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전부에 선택적으로 히터선(321)이 내장되고, 상기 받침대(31,31')와 가압경화판부재(33) 중에 어느 하나이거나 전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수관(331)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는 연결부재(34)로 연결되어 승하강수단(35)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이동되게 하여 합지원단(10)의 밀봉부를 가압 및 가열한 다음 급냉 시키도록 구성되는 밀봉부강화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35)은, 감속모터(351) 동력에 의해서 캠(352)이 회전되면 수평직진로드(353)가 전,후진되게 이동되어 연동축(353')으로 연결된 ㄱ자형링크(354)가 링크축(354')을 중심으로 회동 되면서 연동축(354")으로 연결된 수직직진로드(355)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고, 상기 수직직진로드(355)는 연동축(355')에 의해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에 연결되어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가 동시에 승하강 이동되게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파괴판부재(32)와 가압경화판부재(33)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미세엠보돌기(38)와 미세골홈(39)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제조장치.
  7. 외피지(11) 및 시트지(121)와 에어캡(122)을 가진 에어캡시트(12)가 서로 포개져서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외피지(11)와 에어캡(122) 상면부가 열접합되고 냉각되는 합지원단(10)이 반접이 된 후 양측단부(102a)를 각각 열접합시켜 봉투(100)의 측면실링부(102)를 구비하고, 상부에 있는 투입구(101) 일측으로 밀봉부(110)를 구비하고 타측으로 하나의 개구단부(103)를 구비하거나, 상기 투입구(101) 양측으로 대향되는 한쌍의 개구단부(103)를 구비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봉부(110) 및 개구단부(103)의 외피지(11) 내면에 있는 에어캡시트(12)를 가열하고 가압하여 외피지(11)에 압착되게 접합되는 압착보강부재(124)를 급냉시켜 경화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110)의 외피지(11) 내면에 압착보강부재(124)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110)와 대향되는 개구단부(103)의 외피지(11) 내면에 압착보강부재(124)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단부(103)의 압착보강부재(124)가 있는 부분이 절곡되어 투입구(101)가 밀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KR1020130139464A 2013-11-16 2013-11-16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KR10138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464A KR101380680B1 (ko) 2013-11-16 2013-11-16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464A KR101380680B1 (ko) 2013-11-16 2013-11-16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680B1 true KR101380680B1 (ko) 2014-04-02

Family

ID=5065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464A KR101380680B1 (ko) 2013-11-16 2013-11-16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6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56B1 (ko)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28360B1 (ko) * 2017-09-18 2018-12-13 성일화학(주) 포장봉투 제조장치
KR101996069B1 (ko) * 2019-01-23 2019-07-03 김기구 에어캡 쇼핑백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490618Y1 (ko) * 2019-06-27 2019-12-06 이영숙 접이가 용이한 포장봉투
KR20230048783A (ko) 2021-10-05 2023-04-12 미소포장 주식회사 비닐봉투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943A (ja) * 2001-12-14 2003-06-24 Kyokuyo Sigma Kk 封 筒
JP2008110815A (ja) * 2008-01-29 2008-05-15 Kyokuyo Sigma Kk 封筒
KR20080094576A (ko) * 2007-04-19 2008-10-23 신기호 안전 봉투의 제조설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안전 봉투
KR20130097264A (ko) * 2012-02-24 2013-09-03 이영식 포장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943A (ja) * 2001-12-14 2003-06-24 Kyokuyo Sigma Kk 封 筒
KR20080094576A (ko) * 2007-04-19 2008-10-23 신기호 안전 봉투의 제조설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안전 봉투
JP2008110815A (ja) * 2008-01-29 2008-05-15 Kyokuyo Sigma Kk 封筒
KR20130097264A (ko) * 2012-02-24 2013-09-03 이영식 포장공간이 넓게 형성되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56B1 (ko) 2014-06-09 2014-11-28 이영숙 포장봉투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928360B1 (ko) * 2017-09-18 2018-12-13 성일화학(주) 포장봉투 제조장치
KR101996069B1 (ko) * 2019-01-23 2019-07-03 김기구 에어캡 쇼핑백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490618Y1 (ko) * 2019-06-27 2019-12-06 이영숙 접이가 용이한 포장봉투
KR20230048783A (ko) 2021-10-05 2023-04-12 미소포장 주식회사 비닐봉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680B1 (ko) 지탱력이 부여된 밀봉부를 갖는 포장용 봉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CN205470109U (zh) 一种热封装置
CN104995012B (zh) 用于一组由塑料材料制成的至少两个容器的包装
KR20080069974A (ko) 진공, 압력 및/또는 액체 담기를 위한 재밀폐가능한 패키지제조 방법
JP6419805B2 (ja) 部分的に重なり合う二つのパッケージング部分の液密シーリ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それにより生産される容器
JPH08244728A (ja) 液体充填チューブのヒートシール装置
JP2008531420A (ja) 収縮性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包装機
US20070092166A1 (en) Reclosable pouches or bags having front panel containment zipper
JP3098675B2 (ja) 線状リブ付き袋の製造方法
KR101664957B1 (ko) 튜브형 플라스틱 용기의 용접 방법 및 장치
US4430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nd cutting plastic films
JP2002234075A (ja) 高周波ヒートシール装置
CN100439210C (zh) 密封设备中的平衡轨和平衡元件及其制造方法
KR102206578B1 (ko) 접이식 플렉시블 패키지 밀봉 방법
JP2002254520A (ja) 高周波ヒートシール装置
US20130341385A1 (en) Fin seal container and method
JP3881059B2 (ja) シール装置
JP2004303563A (ja) 圧着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KR102157232B1 (ko) 파레트 적재품 보호용 커버 융착방법 및 장치
JP2000062708A (ja) 製袋充填包装機
KR100463684B1 (ko) 포장용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02557B1 (ko) 다용도 쿠션 제조방법
KR102240598B1 (ko) 저방사 단열재 제조장치
JP6059321B1 (ja) 包装用袋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RU2406665C2 (ru)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адочных упаково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паковки путем термического запечатыва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лотка верхней плен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