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613B1 - 상흔들림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상흔들림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613B1
KR101380613B1 KR1020070070539A KR20070070539A KR101380613B1 KR 101380613 B1 KR101380613 B1 KR 101380613B1 KR 1020070070539 A KR1020070070539 A KR 1020070070539A KR 20070070539 A KR20070070539 A KR 20070070539A KR 101380613 B1 KR101380613 B1 KR 10138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unit
unit
shake correction
valu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154A (ko
Inventor
유키오 우에나카
Original Assignee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2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206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92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0220B2/ja
Application filed by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코 이메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가동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 이동 제어는 가동 유닛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이동 범위의 단부와 접촉하게 될 때 OFF 상태로 된다.
상흔들림 보정 장치, 각속도 센서, 제어부, AF 유닛, AE 유닛, 표시 유닛, 미러 조리개 셔터, 가동 유닛

Description

상흔들림 보정 장치{ANTI-SHAKE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용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흔들림 양이 지나치게 커서 가동 유닛이 손흔들림 양에 상응하게 이동할 수 없고 또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정확히 수행하는 데 필요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없을 때 가동 유닛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용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제안되어 있다. 이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촬상 중에 생기는 손흔들림 양에 따라 상흔들림 보정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광축과 수직인 평면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손흔들림 효과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218794호는 가동 유닛의 위치가 이동의 기준 범위를 넘어설 때, 가동 유닛에 대한 구동력의 게인(gain)을 제한하여 가동 유닛의 발진(oscillation)을 억제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서는, 약한 구동력으로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가 행해지기 때문에,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의 추종성이 낮다. 따라서, 가동 유닛이 손흔들림에 상응하도록 정확하게 이동될 수 없는 조건하에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유닛이 손흔들림에 상응하도록 정확하게 이동될 수 없을 때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제한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가동 유닛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 이동 제어는 가동 유닛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이동 범위의 단부와 접촉하게 될 때 OFF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유닛이 손흔들림에 상응하도록 정확하게 이동될 수 없을 때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제한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촬상 장치(1)의 카메라 렌즈(67)는 광축(LX)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제 1 방향(x), 제 2 방향(y) 및 제 3 방향(z)을 정의한다(도 1 참조). 제 1 방 향(x)은 광축(LX)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2 방향(y)은 광축(LX) 및 제 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3 방향(z)은 광축(LX)과 평행하고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의 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제 1 실시 형태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촬상 장치(1)의 촬상부는, PON 버튼(11), PON 스위치(11a), 측광 스위치(12a), 릴리스 버튼(13), 릴리스 스위치(13a), 상흔들림 보정 버튼(14),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 LCD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 유닛(17),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 DSP(19), CPU(21), AE 유닛(Automatic Exposure Unit)(23), AF 유닛(Automatic Focus Unit)(24),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의 촬상 유닛(39a), 및 카메라 렌즈(67)를 포함한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PON 스위치(11a)가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의 여부는 PON 버튼(11)의 상태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촬상 장치(1)의 ON/OFF 상태는 PON 스위치(11a)의 ON/OFF 상태에 대응된다.
피사체상은 촬상 유닛(39a)에 의해 카메라 렌즈(67)를 통한 광학상으로서 촬상되고, 표시 유닛(17) 상에 촬상된 화상이 표시된다. 피사체상은 광학 파인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광학적으로 관찰할 수도 있다.
릴리스 버튼(13)이 사용자에 의해 부분적으로 눌러질 때,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측광 동작, AF 감지 동작 및 포커싱 동작이 행해진다.
릴리스 버튼(13)이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눌러질 때,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촬상 유닛(촬상 장치)(39a)에 의해 촬상 동작이 행해지고, 촬상된 영상이 저장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는 시점으로부터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그리고 구동 OFF 파라미터(SP)의 값이 제로(0)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진다.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은 CPU(21)의 포트(P7)와 접속되어 있고, 릴리스 스위치(13a)의 ON 상태에 연동하여 미러의 UP/DOWN 동작(미러 상승 동작 및 미러 하강 동작), 조리개의 OPEN/CLOSE 동작, 그리고 셔터의 OPEN/CLOSE 동작을 수행한다.
DSP(19)는 CPU(21)의 포트(P9) 및 촬상 유닛(39a)과 접속된다. CPU(21)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여, DSP(19)는 촬상 유닛(39a)의 촬상 동작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에 대해 화상 처리 동작 등의 연산 동작을 행한다.
CPU(21)는, 촬상 동작 및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관한 촬상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상흔들림 보정 동작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및 위치 검출의 양자를 포함한다.
또한, CPU(21)는, 상흔들림 보정 모드 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 제 1 방향 최대값(maxPx), 제 2 방향 최대값(maxPy), 제 1 방향 최소값(minPx), 제 2 방향 최소값(minPy),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 그리고 구동 오프(OFF) 파라미 터(SP)의 값을 저장한다.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은, 릴리스 시퀀스 동작에 연동하여 변경된다.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수행될 때에는,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고(도 4의 스텝 S22 내지 스텝 S30 참조),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종료된 때에는,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리세트된다)(도 4의 스텝 S13 및 스텝 S30 참조).
제 1 방향 최대값(maxPx)은,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끝부분)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정값이다.
제 1 방향 최소값(minPx)은,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정값이다.
제 2 방향 최대값(maxPy)은,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정값이다.
제 2 방향 최소값(minPy)은,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정값이다.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가 정사각형 모양을 형성하여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 범위의 길이와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 범위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는, 제 1 방향 최대값(maxPx)과 제 2 방향 최대값(maxPy)은 같은 값이고 제 1 방향 최소값(minPx)과 제 2 방향 최소값(minPy)은 같은 값이다.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위치를 나타내는 A/D 변환후의 위치(Pn)의 제 1 방향(x)에서의 좌표값(pdxn)이, 제 1 방향 최대값(maxPx) 이상인 경우, 즉 가 동 유닛(3Oa)이 제 1 방향(x)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가 1로 설정되고, 그외의 경우에는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가 0으로 설정된다.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위치를 나타내는 A/D 변환후의 위치(Pn)의 제 1 방향(x)에서의 좌표값(pdxn)이, 제 1 방향 최소값(minPx) 이하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가 1로 설정되고, 그외의 경우에는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가 0으로 설정된다.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위치를 나타내는 A/D 변환후의 위치(Pn)의 제 2 방향(y)에서의 좌표값(pdyn)이, 제 2 방향 최대값(maxPy)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가 1로 설정되고, 그외의 경우에는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가 0으로 설정된다.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위치를 나타내는 A/D 변환후의 위치(Pn)의 제 2 방향(y)에서의 좌표값(pdyn)이, 제 2 방향 최소값(minPy) 이하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가 1로 설정되고, 그외의 경우에는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가 0으로 설정된다.
CPU(21)는,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에 된 후에, 릴리스 시퀀스 동작을 실행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는 가동 유닛(30a)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건으로서,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 범위의 양 쪽 단부에 접촉할 때, 구동 오프 파라미터(SP)가 1로 설정되어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된다. 하지만, 소정의 조건은 상기 상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에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실행될 때(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을 때: 도 4의 스텝 S22 내지 스텝 S30 참고)에,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 및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의 값이 1로 설정되거나,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 및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은 1로 설정된다. 이 경우, CPU(21)는, 촬상 장치(1)가 노광 중이더라도,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구동)을 OFF 상태로 한다(도 5의 스텝 S53 참조).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손흔들림 양이 지나치게 커서 가동 유닛(30a)을 손흔들림 양에 대응하여 이동시켜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고, 촬상 장치(1)는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쪽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촬상 장치(1)가 삼각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릴리스 버튼(13)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삼각 받침대에서 공진(resonance)을 발생시키는 경우이거나, 촬상 장치(1)를 흔드는 등 통상적인 손흔 들림보다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유닛(30a)은 발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촬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하에서 촬상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고, 이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동 유닛(30a)과 접촉 부품 사이의 충격이 큰 경우에는 접촉 부품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될 때에,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를 OFF 상태에 하여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한다.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촬상 장치(1)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실행될 때(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을 때:도 4의 스텝 S22 내지 스텝 S30 참고)에,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 및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의 값이 1로 설정되지 않고, 또한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 및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은 1로 설정되지 않는다(계속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CPU(21)가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구동)를 ON 상태로 한다.
또한, CPU(21)는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yn), 제 1 디지털 각속도(VVxn), 제 2 디지털 각속도(VVyn), 제 1 디지털 변위 각도(Bxn), 제 2 디지털 변위 각도(Byn), 위치(Sn)의 제 1 방향(x)에서의 좌표(Sxn), 위치(Sn)의 제 2 방향(y)에서의 좌표(Syn), 제 1 구동력(Dxn), 제 2 구동력(Dyn), A/D 변환 후의 위치(Pn)의 제 1 방향(x)에서의 좌표(pdxn), A/D 변환 후의 위치(Pn)의 제 2 방향(y)에서의 좌표(pdyn), 제 1 감산값(exn), 제 2 감산값(eyn), 제 1 비례 계수(Kx), 제 2 비례 계수(Ky), 상흔들림 보정 동작의 샘플링 주기(θ), 제 1 적분 계수(Tix), 제 2 적분 계수(Tiy), 제 1 미분 계수(Tdx) 및 제 2 미분 계수(Tdy)의 값을 저장한다.
AE 유닛(노출 연산 유닛)(23)은 촬상되는 피사체에 기초하여 측광 동작을 실행하고 노광치를 연산한다. AE 유닛(23)은 또한 이 노광치에 대해,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조리개 값 및 노광 시간을 연산한다. AF 유닛(24)는 촬영에 필요하게 되는 AF 감지 동작 및 상응하는 포커싱 동작을 실행한다. 포커싱 동작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67)가 광축(LX) 방향으로 변위된다.
촬상 장치(1)의 상흔들림 보정부(상흔들림 보정 장치)는 상흔들림 보정 버튼(14),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 표시 유닛(17), CPU(21), 각속도 검출 유닛(25),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 상흔들림 보정 유닛(30),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자기장 변화 검출 소자)(45), 및 카메라 렌즈(67)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흔들림 보정 버튼(14)을 누르면,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변환되어, 측광 동작 등을 포함하는 다른 동작과 독립하여 각속도 검출 유닛(25) 및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구동되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소정의 시 간 간격 동안 실행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되면, 다시 말해,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가 1로 설정된다(IS=1).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에 있지 않을 때는, 다시 말해, 비-상흔들림 보정 모드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가 0으로 설정된다(IS=0).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이 1ms 이다.
이러한 스위치들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각종의 출력 명령은 CPU(21)에 의해 제어된다.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관한 정보가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P12)에 입력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관한 정보가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P13)에 입력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관한 정보가 1비트의 디지털 신호로서 CPU(21)의 포트(P14)에 입력된다.
AE 유닛(23)은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CPU(21)의 포트(P4)에 접속된다. AF 유닛(24)은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CPU(21)의 포트(P5)에 접속된다. 표시 유닛(17)은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해 CPU(21)의 포트(P6)에 접속된다.
다음에, 각속도 검출 유닛(25),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 상흔들림 보정 유닛(30), 및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45)과 CPU(21)와의 사이의 입출력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속도 검출 유닛(25)은 제 1 각속도 센서(26a), 제 2 각속도 센서(26b), 제 1 하이 패스 필터 회로(27a), 제 2 하이 패스 필터 회로(27b), 및 제 1 앰프(28a), 제 2 앰프(28b)를 가지고 있다.
제 1 각속도 센서(26a)는 촬상 장치(1)의 제 2 방향(y)의 축 둘레의 회전 운동(요잉)의 각속도(촬상 장치(1)의 각속도의 제 1 방향(x)의 속도 성분)를 검출한다. 제 1 각속도 센서(26a)는 요잉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이다.
제 2 각속도 센서(26b)는 촬상 장치(1)의 제 1 방향(y)의 축 둘레의 회전 운동(피칭)의 각속도(촬상 장치(1)의 각속도의 제 2 방향(y)의 속도 성분)를 검출한다. 제 2 각속도 센서(26b)는 피칭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이다.
제 1 하이 패스 필터 회로(27a)는, 제 1 각속도 센서(26a)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성분은 상흔들림과 관련이 없는 널 전압(null voltate) 및 패닝 운동(panning-motion)에 기초한 신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각속도 센서(26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삭감시킨다.
제 2 하이 패스 필터 회로(27b)는, 제 2 각속도 센서(26b)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성분은 상흔들림과 관련이 없는 널 전입 및 패닝 운동에 기초한 신호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각속도 센서(26b)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삭감시킨다.
제 1 앰프(28a)는 저주파 성분이 삭감된 요잉 각속도에 관한 신호를 증폭하고, 제 1 각속도(vx)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CPU(21)의 AD 컨버터(A/D0)로 출력한다.
제 2 앰프(28b)는 저주파 성분이 삭감된 피칭 각속도에 관한 신호를 증폭하고, 제 2 각속도(vy)로서 아날로그 신호를 CPU(21)의 AD 컨버터(A/D1)로 출력한다.
저주파 신호 성분의 삭감은 2단계 처리로 이루어진다. 즉, 1차적인 단계분 의 아날로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이 제 1 및 제 2 하이 패스 필터 회로(27a, 27b)에 의해 먼저 실행되고, CPU(21)에 의해 실행되는 2차적인 단계분의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이 이어진다.
2차적인 단계분의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의 컷-오프 주파수는 1차적인 단계분의 아날로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의 컷-오프 주파수보다 높다.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에 있어서는, 시정수(제 1 하이 패스 필터 시정수(hx) 및 제 2 하이 패스 필터 시정수(hy))의 값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CPU(21) 및 각속도 검출 유닛(25)의 각 부분으로의 전력 공급은, PON 스위치(11a)가 ON 상태로 설정된(주 전원이 ON 상태로 설정된) 후에 개시된다. 손흔들림 양의 연산은 PON 스위치(11a)가 ON 상태로 설정된 후에 개시된다.
CPU(21)는 A/D 컨버터(A/D0)에 입력된 제 1 각속도(vx)를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로 변환하고(A/D 변환 동작); 상흔들림과 관련이 없는 널 전압과 패닝 운동에 기초하는 신호 요소들을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의 저주파 성분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의 저주파 성분을 삭감함으로써 제 1 디지털 각속도(VVxn)를 연산하고(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 그리고 제 1 디지털 각속도(VVxn)를 적분 연산함으로써 손흔들림 양(일종의 손흔들림 변위 각도: 제 1 디지털 변위 각도(Bxn))을 연산한다(적분 연산 처리 동작).
마찬가지로, CPU(21)는 A/D 컨버터(A/D1)에 입력된 제 2 각속도(vy)를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yn)로 변환하고(A/D 변환 동작); 상흔들림과 관련이 없는 널 전압과 패닝 운동에 기초하는 신호 요소들을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yn)의 저주파 성분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yn)의 저주파 성분을 삭감함으로써 제 2 디지털 각속도(VVyn)를 연산하고(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 그리고 제 2 디지털 각속도(VVyn)를 적분 연산함으로써 손흔들림 양(일종의 손흔들림 변위 각도: 제 1 디지털 변위 각도(Byn))을 연산한다(적분 연산 처리 동작).
따라서, CPU(21) 및 각속도 검출 유닛(25)은 손흔들림 양을 연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은 1 이상의 정수이고,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1, 도 4의 스텝 S12 참조)으로부터 최신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실행되는 시점(t=n)까지의 시간의 길이(ms)을 나타낸다.
제 1 방향(x)에 관한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에 있어서, 제 1 디지털 각속도(VVxn)는, 1ms의 일정 시간 간격 이전까지의(최신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지기 이전까지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에 의해 산출된 제 1 디지털 각속도(VVx1∼VVxn -1)의 합을 제 1 하이 패스 필터 시정수(hx)로 나누고, 그런 다음 그 나눈 결과의 값을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로부터 감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VVxn=Vxn-(ΣVVxn -1)/hx, 도 6의 (1) 참조).
제 2 방향(y)에 관한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에 있어서, 제 2 디지털 각속도(VVyn)는, 1ms의 일정 시간 간격 이전까지의(최신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지기 이전까지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에 의해 산출된 제 2 디지털 각속도(VVy1∼VVyn -1)의 합을 제 2 하이 패스 필터 시정수(hy)로 나누고, 그런 다음 그 나눈 결과의 값을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yn)로부터 감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VVyn=Vyn-(ΣVVyn -1)/hy).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그 중 일부분)에 있어서의 각속도 검출 동작은 각속도 검출 유닛(25)에 있어서의 처리 및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CPU(21)로의 제 1 각속도(vx) 및 제 2 각속도(vy)의 입력 처리를 포함한다.
제 1 방향(x)에 관한 적분 연산 동작에 있어서는, 제 1 디지털 변위 각도(Bxn)는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되는 시점(t=1; 도 4의 스텝 S12 참조)에서의 제 1 디지털 각속도(VVx1)로부터 최신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지는 시점(t=n)에서의 제 1 디지털 각속도(VVxn)까지의 합에 의해 산출된다(Bxn=ΣVVxn, 도 6의 (3) 참조).
마찬가지로, 제 2 방향(y)에 관한 적분 연산 동작에 있어서는, 제 2 디지털 변위 각도(Byn)는 타이머의 인터럽션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제 2 디지털 각속 도(VVy1)로부터 최신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행해지는 시점에서의 제 2 디지털 각속도(VVyn)까지의 합에 의해 산출된다(Byn=ΣVVyn).
CPU(21)는, 산출된 손흔들림 양(제 1 및 제 2 디지털 변위 각도(Bxn, Byn))에 대응하여 촬상 유닛(39a)(가동 유닛(30a))이 이동되어야 할 위치(Sn)를 위치 변환 계수(zz)(제 1 방향(x)에 대한 제 1 위치 변환 계수(zx) 및 제 2 방향(y)에 대한 제 2 위치 변환 계수(zy))에 기초하여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에 대해 산출한다.
위치(Sn)의 제 1 방향(x) 좌표를 Sxn으로 정의하고, 위치(Sn)의 제 2 방향(y) 좌표를 Syn으로 정의한다. 촬상 유닛(39a)을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의 이동은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행해지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동 유닛(30a)을 위치(Sn)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Dn)이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를 구동한다. 구동력(Dn)의 제 1 방향(x) 좌표를 제 1 구동력(Dxn)(D/A 변환 후: 제 1 PWM 듀티(dx))으로 정의한다. 구동력(Dn)의 제 2 방향(y) 좌표를 제 2 구동력(Dyn)(D/A 변환 후: 제 2 PWM 듀티(dy))으로 정의한다.
제 1 방향(x)에 관한 위치 설정 동작에 있어서는, 위치(Sn)의 제 1 방향(x) 좌표는 Sxn으로 정의되고, 최신의 제 1 디지털 변위 각도(Bxn)와 제 1 위치 변환 계 수(zx)를 곱셈한 값이다(Sxn=zx×Bxn, 도 6의 (3) 참조).
제 2 방향(y)에 관한 위치 설정 동작에 있어서는, 위치(Sn)의 제 2 방향(y) 좌표는 Syn으로 정의되고, 최신의 제 2 디지털 변위 각도(Byn)와 제 2 위치 변환 계수(zy)를 곱셈한 값이다(Syn=zy×Byn).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노광 시간 동안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IS=1)에, 촬상 유닛(39a)을 위치(Sn)로 이동시키고, 촬상 유닛(39a)의 촬상 소자의 결상면 상에서의 피사체상의 래그(lag)를 제거하고, 촬상 소자의 결상면 상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손흔들림 효과를 보정하는 장치이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고정 유닛(30b)과, 촬상 유닛(39a)을 포함하고 있으며 xy 평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는 가동 유닛(30a)을 가지고 있다.
노광 시간 동안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IS=0)에는, 가동 유닛(30a)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유지)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이동 범위의 중심에 위치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의 릴리스 시퀀스 동작에서,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때를 제외한 시간 동안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구동)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은 가동 유닛(30a)이 구동되지 않을 때(구동 OFF 상태에서) 가동 유닛(30a)을 고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기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소정의 고정 위치로의 이동을 포함하는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의 가동 유닛(30a)의 구동은 CPU(21)의 PWM0로부터 입력된 제 1 PWM 듀티(dx) 및 CPU(21)의 PWM1로부터 입력된 제 2 PWM 듀티(dy)를 가진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를 통해 구동용 코일 유닛 및 구동용 자석 유닛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해 행해진다(도 6의 (5)참조).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동 전 또는 이동 후의 가동 유닛(30a)의 검출 위치(Pn)는 홀 소자 유닛(44a) 및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45)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 위치(Pn)의 제 1 방향(x)의 제 1 좌표에 관한 정보는, 즉 제 1 검출 위치 신호(px)는 CPU(21)의 A/D 컨버터(A/D2)에 입력된다(도 6의 (2) 참조). 제 1 검출 위치 신호(px)는 A/D 컨버터(A/D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A/D 변환 동작) 아날로그 신호이다. A/D 변환 동작 후의 위치(Pn)의 제 1 방향(x) 좌표는 pdxn으로 정의되고, 제 1 검출 위치 신호(px)에 대응된다.
검출 위치(Pn)의 제 2 방향(y)의 제 2 좌표에 관한 정보는, 즉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는 CPU(21)의 A/D 컨버터(A/D3)에 입력된다.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는 A/D 컨버터(A/D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A/D 변환 동작) 아날로그 신호이다. A/D 변환 동작 후의 위치(Pn)의 제 2 방향(y) 좌표는 pdyn으로 정의되고, 제 2 검출 위치 신호(py)에 대응된다.
검출 위치(Pn)(pdxn, pdyn)의 좌표 데이터와 이동해야 할 위치(Sn)(Sxn, Syn)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제어에 의해 제 1 및 제 2 구동력(Dxn, Dyn)을 산출한다.
제 1 구동력(Dxn)의 산출은 위치(Sn)의 제 1 감산값(exn), 제 1 비례 계수(Kx), 샘플링 주기(θ), 제 1 적분 계수(Tix), 및 제 1 미분 계수(Tdx)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Dxn=Kx×{exn+θ÷Tix×Σexn+Tdx÷θ×(exn-exn -1)}, 도 6의 (4) 참조). 제 1 감산값(exn)은 위치(Sn)의 제 1 방향(x) 좌표(Sxn)에서 A/D 변환 동작 후의 검출 위치(Pn)의 제 1 방향(x) 좌표(pdxn)를 감산함으로써 산출된다(exn=Sxn-pdxn).
제 2 구동력(Dyn)의 산출은 위치(Sn)의 제 2 감산값(eyn), 제 2 비례 계수(Ky), 샘플링 주기(θ), 제 2 적분 계수(Tiy), 및 제 2 미분 계수(Tdy)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Dyn=Ky×{eyn+θ÷Tiy×Σeyn+Tdy÷θ×(eyn-eyn -1)}). 제 2 감산값(eyn)은 위치(Sn)의 제 2 방향(y) 좌표(Syn)에서 A/D 변환 동작 후의 검출 위치(Pn)의 제 2 방향(y) 좌표(pdyn)를 감산함으로써 산출된다(eyn=Syn-pdyn).
샘플링 주기(θ)의 값은 1ms 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된다.
PID 제어에 의한 상흔들림 보정에 대응한 위치(Sn)(Sxn, Syn)로의 가동 유 닛(30a)의 구동은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된 촬상 장치(1)의 상흔들림 보정 모드(IS=1)인 때에 행해진다.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가 0인 때에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대응하지 않는 PID 제어가 행해져, 가동 유닛(30a)은 이동 범위의 중심(특정 위치)으로 이동된다.
가동 유닛(30a)은 제 1 구동용 코일(31a)과 제 2 구동용 코일(32a)로 이루어진 구동용 코일 유닛, 촬상 소자를 가지는 촬상 유닛(39a), 및 자기장 변화 검출 소자 유닛으로서의 홀 소자 유닛(44a)을 가진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가 CCD이지만, 촬상 소자는 CM0S 등의 다른 촬상 소자일 수도 있다.
고정 유닛(30b)은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과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1b)와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2b)로 이루어진 구동용 자석 유닛을 가진다.
고정 유닛(30b)은 가동 유닛(30a)을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촬상 소자의 촬상 범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촬상 소자의 중심 영역에 카메라 렌즈(67)의 광축(LX)이 교차될 때에,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양자 모두에 있어 가동 유닛(30a)이 이동 범위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가동 유닛(30a)의 위치와 고정 유닛(30b)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설정한다.
촬상 소자의 촬상면의 형태인 사각형은 2개의 대각선을 가진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중심은 이들 2개의 대각선의 교점에 위치하게 된다.
가동 유닛(30a)에는 제 1 구동용 코일(31a)과 제 2 구동용 코일(32a), 및 홀 소자 유닛(44a)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구동용 코일(31a)은 시트 형상이고 또한 소용돌이 형상인 코일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구동용 코일(31a)의 코일 패턴은 제 2 방향(y)과 평행한 선분을 가지고 있어서, 제 1 구동용 코일(31a)을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을 제 1 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제 1 전자기력은 제 1 구동용 코일(31a)의 전류의 방향과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의 자기장의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한다.
제 2 구동용 코일(32a)은 시트 형상이고 또한 소용돌이 형상인 코일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구동용 코일(32a)의 코일 패턴은 제 1 방향(x)과 평행한 선분을 가지고 있어서, 제 2 구동용 코일(32a)을 포함하는 가동 유닛(30a)을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전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제 2 전자기력은 제 2 구동용 코일(32a)의 전류의 방향과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의 자기장의 방향에 기초하여 발생한다.
제 1 및 제 2 구동용 코일(31a, 32a)은 플렉시블 회로 기판(도시 안됨)을 통해 제 1 및 제 2 구동용 코일(31a, 32a)을 구동하는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접속된다. CPU(21)의 PWM0로부터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제 1 PWM 듀티(dx)가 입력되고, CPU(21)의 PWM1으로부터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제 2 PWM 듀티(dy)가 입력된다.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는 제 1 PWM 듀티(dx)의 값에 대응되는 제 1 구동용 코일(31a)에 그리고 제 2 PWM 듀티(dy)의 값에 대응되는 제 2 구 동용 코일(32a)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동 유닛(30a)을 구동한다.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은 제 3 방향(z)에 있어 제 1 구동용 코일(31a) 및 수평 방향 홀 소자(hh10)와 대향하게 되는 고정 유닛(30b)의 가동 유닛(30a) 측에 부착된다.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은 제 3 방향(z)에 있어 제 2 구동용 코일(32a) 및 연직 방향 홀 소자(hv10)와 대향하게 되는 고정 유닛(30b)의 가동 유닛(30a) 측에 부착된다.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은, 제 1 방향(x)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된 상태 하에서,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1b)에 부착된다.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1b)는 제 3 방향(z)에 있어 가동 유닛(30a) 측의 고정 유닛(30b)에 부착된다.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은, 제 2 방향(y)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된 상태 하에서,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2b)에 부착된다.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2b)는 제 3 방향(z)에 있어 가동 유닛(30a) 측의 고정 유닛(30b)에 부착된다.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1b)와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2b)는 연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1b)는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의 자기장이 주위로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과 제 1 구동용 코일(31a) 사이 및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 석(411b)과 수평 방향 홀 소자(hh10) 사이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킨다.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요크(432b)는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의 자기장이 주위로 소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과 제 1 구동용 코일(32a) 사이 및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과 연직 방향 홀 소자(hv10) 사이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킨다.
홀 소자 유닛(44a)은 홀 효과를 이용하는 2개의 자전 변환 소자(자기장 변화 검출 소자)를 가지고, 가동 유닛(30a)의 현재 위치(Pn)의 제 1 방향(x)의 제 1 좌표 및 제 2 방향(y)의 제 2 좌표를 각각 정하는 제 1 검출 위치 신호(px) 및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를 검출하는 1축 유닛이다.
2개의 홀 소자 중 하나는 가동 유닛(30a)의 위치(Pn)의 제 1 방향(x)의 제 1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수평 방향 홀 소자(hh10)이고, 다른 하나는 가동 유닛(30a)의 위치(Pn)의 제 2 방향(y)의 제 2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연직 방향 홀 소자(hv10)이다.
수평 방향 홀 소자(hh10)는 제 3 방향(z)에 있어 고정 유닛(30b)의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1b)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동 유닛(30a)에 부착된다.
연직 방향 홀 소자(hv10)는 제 3 방향(z)에 있어 고정 유닛(30b)의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동 유닛(30a)에 부착된다.
촬상 소자의 중심이 광축(LX)과 교차하고 있을 때에는, 제 3 방향(z)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 홀 소자(hh10)를 제 1 방향(x)에 있어 제 1 위치 검출 및 구동 용 자석(411b)의 N극과 S극 사이의 중간 영역과 대향하도록 홀 소자 유닛(44a)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서, 수평 방향 홀 소자(hh10)는 1축 홀 소자의 직선적인 출력 변화량(선형성)에 기초하여 정밀한 위치 검출동작이 행해질 수 있는 최대한의 범위를 활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촬상 소자의 중심이 광축(LX)과 교차하고 있을 때에는, 제 3 방향(z)에서 보았을 때, 연직 방향 홀 소자(hv10)를 제 2 방향(y)에 있어 제 2 위치 검출 및 구동용 자석(412b)의 N극과 S극 사이의 중간 영역과 대향하도록 홀 소자 유닛(44a) 상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45)은 제 1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50)와 제 2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60)를 가진다.
제 1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50)는 수평 방향 홀 소자(hh1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수평 방향 홀 소자(hh10)의 출력 단자간의 수평 방향 전위차(x10)를 검출한다.
제 1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50)는 수평 방향 전위차(x10)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의 위치(Pn)의 제 1 방향(x)의 제 1 좌표를 특정하는 제 1 검출 위치 신호(px)를 CPU(21)의 A/D 컨버터(A/D2)로 출력한다.
제 2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60)는 연직 방향 홀 소자(hv1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는 연직 방향 홀 소자(hv10)의 출력 단자간의 연직 방향 전위차(y10)를 검출한다.
제 2 홀 소자 신호 처리 회로(460)는 연직 방향 전위차(y10)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의 위치(Pn)의 제 2 방향(y)의 제 2 좌표를 특정하는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를 CPU(21)의 A/D 컨버터(A/D3)로 출력한다.
다음에, 촬상 동작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1)의 메인 동작을 도 4의 플로우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1)가 ON 상태로 되면, 스텝 S11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에 전력이 공급되어, 각속도 검출 유닛(25)이 ON 상태로 된다.
스텝 S12에서, 일정 시간 간격(1ms)으로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13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스텝 S14에서,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 S14로 복귀되어, 스텝 S14의 처리가 반복된다.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 S15로 진행된다.
스텝 S15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6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7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스텝 S18에서, AE 유닛(23)의 AE 센서 구동되고, 측광 동작이 행해지며, 조리개 값과 노광 시간이 산출된다.
스텝 S19에서, AF 유닛(24)의 AF 센서와 렌즈 제어 회로가 구동되어 AF 감지 동작 및 포커싱 동작이 각각 실행된다.
스텝 S20에서,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동작이 복귀되고, 스텝 S14 내지 스텝 S19의 처리가 반복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1로 진행되어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개시된다.
스텝 S21에서는,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 및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스텝 S22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스텝 S23에서,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에 의해, 미러 상승 동작 및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산출되어 있는 조리개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폐쇄 동작이 실행된다.
미러 상승 동작이 종료된 후, 셔터의 개방 동작(셔터의 전방 가리개(curtain)의 동작)이 스텝 S24에서 실행된다.
스텝 S25에서, 촬상 소자(CCD 등)의 노광 동작 즉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노광 시간이 경과한 후, 스텝 S26에서,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에 의해, 셔터의 폐쇄 동작(셔터의 후방 가리개(curtain)의 동작), 미러 하강 동작 및 조리개의 개방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27에서, 노광 시간 중에 촬상 소자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28에서, CPU(21)가 DSP(19)와 통신하여,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전하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동작이 행해진다. 화상 처리 동작이 행해진 화상이 촬상 장치(1)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텝 S29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이 표시 유닛(17) 상에 표시된다. 스텝 S30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종료되고, 그 다음에 동작은 스텝 S14로 복귀된다. 즉, 촬상 장치(1)는 다음의 촬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4의 스텝 S12에서 개시되고, 다른 동작과 독립하여 일정 시간 간격(1ms)으로 행해지는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를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51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 컨버터(A/D0)로 입력되어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로 변환된다. 또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 컨버터(A/D1)로 입력되어 제 2 디지털 각도 신호(Vyn)로 변환된다(각속도 검출 동작).
제 1 및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 Vyn)의 저주파 성분은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에서 삭감된다(제 1 및 제 2 디지털 각속도(VVxn, VVyn)).
스텝 S52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53에서, 가동 유닛(30a)의 구동이 OFF인 상태, 즉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가동 유닛(30a)의 구동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바로 스텝 S54로 진행한다.
스텝 S54에서, 홀 소자 유닛(44a)이 가동 유닛(30a)의 위치를 검출하고,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45)에 의해 제 1 및 제 2 검출 위치 신호(px, py)가 산출된다. 그런 다음 제 1 검출 위치 신호(px)는 CPU(21)의 A/D 컨버터(A/D2)로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pdxn)로 변환되는 한편,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는 CPU(21)의 A/D 컨버터(A/D3)로 입력되어 역시 디지털 신호(pdyn)로 변환되고, 이들 양자가 가동 유닛(30a)의 현재 위치(Pn)(pdxn, pdyn)를 결정한다.
스텝 S55에서,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에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 다시 말해, 리미트 체크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미트 체크 동작의 상세한 내용은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스텝 S56에서,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53에서, 가동 유닛(30a)의 구동이 OFF인 상태, 즉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가동 유닛(30a)의 구동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57로 진행한다.
스텝 S57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인 것으로 판정되면(IS=0), 즉 촬상 장치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 S58에서, 가동 유닛(30a)(촬상 유닛(39a))이 이동해야 할 위치(Sn)(Sxn, Syn)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중심에 설정된다.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가 0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IS=1), 즉 촬상 장치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인 경우는, 스텝 S59에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vy)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촬상 유닛(39a))이 이동해야 할 위치(Sn)(Sxn, Syn)가 연산된다.
스텝 S60에서는, 스텝 S58 또는 스텝 S59에서 결정된 위치(Sn)(Sxn, Syn)와 현재 위치(Pn)(pdxn, pdyn)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을 위치(Sn)로 이동시키는 구동력(Dn)의 제 1 구동력(Dxn)(제 1 PWM 듀티(dx)) 및 제 2 구동력(Dyn)(제 2 PWM 듀티(dy))이 연산된다.
스텝 S61에서는, 제 1 PWM 듀티(dx)를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적용함으로써 제 1 구동용 코일(31a)이 구동되고, 제 2 PWM 듀티(dy)를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적용함으로써 제 2 구동용 코일(32a)이 구동되어, 가동 유닛(30a)이 위 치(Sn)(Sxn, Syn)로 이동하게 된다.
스텝 S60 및 스텝 S61의 처리는 일반적인 비례, 적분, 미분 연산을 행하는 PID 자동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 제어 연산이다.
다음에, 도 5의 스텝 S55에서 개시되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미트 체크 동작을 도 7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리미트 체크 동작이 개시되면, 스텝 S71에서,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소값(minPx)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소값(minPx) 이하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에 접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스텝 S72에서,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가 1로 설정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소값(minPx) 이하가 아닌 경우, 바로 스텝 S73으로 진행된다.
스텝 S73에서,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대값(maxPx)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대값(maxPx)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에 접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스텝 S74에서,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가 1로 설정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제 1 방향 최대값(maxPx) 이상이 아닌 경우, 바로 스텝 S75로 진행된다.
스텝 S75에서는,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소값(minPy)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소값(minPy) 이하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에 접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스텝 S76에서,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가 1로 설정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소값(minPy) 이하가 아닌 경우, 바로 스텝 S77로 진행된다.
스텝 S77에서는,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대값(maxPy)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대값(maxPy)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이동 범위의 한 쪽 단부에 접촉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에, 스텝 S78에서,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가 1로 설정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제 2 방향 최대값(maxPy) 이상이 아닌 경우, 바로 스텝 S79로 진행된다.
스텝 S79에서는,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 및 제 1 방향 최대값 파 라미터(X(+))의 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 및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 X(+)의 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고 있는 경우는, 스텝 S80에서,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제 1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X(-))와 제 1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X(+))의 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바로 스텝 S81로 진행된다.
스텝 S81에서는,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 및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의 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 및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의 값이 모두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82에서,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제 2 방향 최소값 파라미터(Y(-)) 및 제 2 방향 최대값 파라미터(Y(+))의 값 중의 적어도 하나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리미트 체크 동작이 종료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손흔들림 양이 지나치게 커서 가동 유닛(30a)을 손흔들림 양에 대응하여 이동시켜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을 때, 즉, 촬상 장치(1)가,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쪽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을 때,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는 OFF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촬상 장치(1)가 삼각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릴리스 버튼(13)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삼각 받침대에서 공진(resonance)을 발생시키는 경우이거나, 촬상 장치(1)를 흔드는 등 통상적인 손흔들림보다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유닛(30a)은 발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촬영 동 작을 할 수 없는 상태하에서 촬상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고, 이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촬상 장치(1)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유닛(30a)에 탑재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유닛(30a)이 이동 범위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촬상 장치(1)의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손흔들림 양이 큰지 아닌지의 판단,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가동 유닛(30a)의 위치 검출(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에 접촉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다른 방식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제 1 각속도 센서 및 제 2 각속도 센서(26a, 26b)로부터 출력되어 CPU(21)에 입력되는 신호(vx, vy, VXn, Vyn)를 이용한 손흔들림 양의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의해 산출된 손흔들림 양이 미리 설정된 소정 범위의 상한값보다 큰지 상기 소정 범위의 하한값보다 작은지 여부로 판단된다.
다음에,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유 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단부에 접촉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동 유닛(30a)의 구동)가 OFF 상태로 된다.
그러나,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유닛(30a)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동 유닛(30a)의 구동)가 OFF 상태로 된다.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CPU(21)는 촬상 동작 및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관하여 촬상 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이다. 상흔들림 보정 동작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및 위치 검출을 포함한다.
또한, CPU(21)는, 촬상 장치(1)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 기준 이동량(STW), 기준 회수(STN),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 및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을 저장한다.
기준 이동량(STW)은, 가동 유닛(30a)이 1ms의 일정 시간 동안 제 1 방향(x)으로 이동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량의 제 1 방향(x) 성분(│pdxn-pdxn -1│) 및 가동 유닛(30a)이 1ms의 일정 시간 동안 제 2 방향(y)으로 이동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량의 제 2 방향(y) 성분(│pdyn-pdyn -1│)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값(고정값)이다.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의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는, 가동 유닛(30a)의 이동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을 나타낸다.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의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회수는,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에 대해, 정방향 및 부방향 각각으로 나누어 카운트된다.
기준 회수(STN)는,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의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에 카운트된 회수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값(고정값)이다.
카운트된 회수가 많은 경우는,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가동 유닛(30a)의 이동(가동 유닛(30a)의 구동)은 OFF 상태로 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이동량(STW)의 값이 60 AD값/ms 로 설정되고, 기준 회수(STN)는 5로 설정된다.
수평 방향 홀 소자(hh10) 및 연직 방향 홀 소자(hv10)의 검출 감도는, 3.3V의 검출 전압폭과 10 bitAD(210=1024 스텝(AD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1 스텝(1 AD값)당의 검출 전압폭은, 3.3V÷1024≒3.22 mV/AD이다. 기준 이동량(STW)에 상당하는 60 AD값/ms은, 60×3.22≒193mV/ms의 검출 전압이다. 또, 1ms의 일정 시간 간격(1ms) 동안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약 6% 이상 이동한 경우(60 AD값/ms÷1024≒0.06=6%)에,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보다 큰 경우이고, 그 차이(│pdxn-pdxn -1│)가 기준 이동 량(STW)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의 정방향으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다(도 10의 스텝 S175 참조).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이고, 그 차이(│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1 방향(x)의 부방향으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다(도 10의 스텝 S173 참조).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보다 큰 경우이고, 그 차이(│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정방향으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다(도 10의 스텝 S1180 참조).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이고, 그 차이(│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즉 가동 유닛(30a)이 제 2 방향(y)의 부방향으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다(도 10의 스텝 S178 참조).
CPU(21)는,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에 릴리스 시퀀스 동작을 실행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는 소정의 조건하에서 가동 유닛(30a)이 이동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건으로서,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 이상인 경우의 회수가 기준 회수 이상일 때, 구동 오프 파라미터(SP)가 1로 설정되고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된다. 그러나, 소정의 조건은 상기 조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실행될 때(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을 때: 도 8의 스텝 S122 내지 스텝 S130 참조)에,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 및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어느 것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 경우에,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은 1로 설정된다(도 10의 스텝 S182, S184, S186, S188 참조). 이 경우, CPU(21)는, 촬상 장치(1)가 노광중이더라도, 가동 유닛(30a)의 이동(구동) 제어를 OFF 상태로 한다(도 9의 스텝 S153 참조).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손흔들림 양이 지나치게 커서 가동 유닛(30a)을 손흔들림 양에 대응하여 이동시켜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고(발진 상태에 있고), 이것은 촬상 장치(1)의 상태가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쪽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촬상 장치(1)가 삼각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릴리스 버튼(13)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삼각 받침대에서 공진(resonance)을 발생시키는 경우이거나, 촬상 장치(1)를 흔드는 등 통상적인 손흔들림보다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유닛(30a)은 발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촬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하에서 촬상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고, 이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동 유닛(30a)과 접촉 부품 사이의 충격이 큰 경우에는 접촉 부품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될 때에,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를 OFF 상태에 하여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한다.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촬상 장치(1)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실행될 때(릴 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을 때: 도 8의 스텝 S122 내지 스텝 S130 참고)에,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 및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 전부가 기준 회수(STN) 이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은 1로 설정되지 않는다(계속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CPU(21)는 가동 유닛(30a)의 이동(구동) 제어를 ON 상태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촬상 장치(1)의 메인 동작을 도 8의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1)가 ON 상태로 되면, 스텝 S111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에 전력이 공급되어, 각속도 검출 유닛(25)이 ON 상태로 된다.
스텝 S112에서, 일정 시간 간격(1ms)으로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 S113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도 9의 플로우 차트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스텝 S114에서,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 S114로 복귀되어, 스텝 S114의 처리가 반복된다. 측광 스위치(12a)가 ON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동작은 스텝 S115로 진행된다.
스텝 S115에서,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16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상흔들림 보정 스위치(14a)가 ON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텝 S117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스텝 S118에서, AE 유닛(23)의 AE 센서 구동되고, 측광 동작이 행해지며, 조리개 값과 노광 시간이 산출된다.
스텝 S119에서, AF 유닛(24)의 AF 센서와 렌즈 제어 회로가 구동되어 AF 감지 동작 및 포커싱 동작이 각각 실행된다.
스텝 S120에서,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4로 동작이 복귀되고, 스텝 S114 내지 스텝 S119의 처리가 반복된다.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21로 진행되어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개시된다.
스텝 S121에서는,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 및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0으로 설정된다.
스텝 S122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스텝 S123에서,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에 의해, 미러 상승 동작 및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산출되어 있는 조리개 값에 상응하는 조리개 폐쇄 동작이 실행된다.
미러 상승 동작이 종료된 후, 셔터의 개방 동작(셔터의 전방 가리 개(curtain)의 동작)이 스텝 S124에서 실행된다.
스텝 S125에서, 촬상 소자(CCD 등)의 노광 동작 즉 전하 축적이 행해진다. 노광 시간이 경과한 후, 스텝 S126에서, 미러 조리개 셔터 유닛(18)에 의해, 셔터의 폐쇄 동작(셔터의 후방 가리개(curtain)의 동작), 미러 하강 동작 및 조리개의 개방 동작이 실행된다.
스텝 S127에서, 노광 시간 중에 촬상 소자에 축적된 전하가 판독된다. 스텝 S128에서, CPU(21)가 DSP(19)와 통신하여, 촬상 소자로부터 판독된 전하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 동작이 행해진다. 화상 처리 동작이 행해진 화상이 촬상 장치(1)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스텝 S129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이 표시 유닛(17) 상에 표시된다. 스텝 S130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종료되고, 그 다음에 동작은 스텝 S114로 복귀된다. 즉, 촬상 장치(1)는 다음의 촬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8의 스텝 S112에서 개시되고, 다른 동작과 독립하여 일정 시간 간격(1ms)으로 행해지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를 도 9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151에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각속도(vx)가 CPU(21)의 A/D 컨버터(A/D0)로 입력되어 제 1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로 변환된다. 또한 각속도 검출 유닛(25)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각속도(vy)가 CPU(21)의 A/D 컨버터(A/D1)로 입력되어 제 2 디지털 각도 신 호(Vyn)로 변환된다(각속도 검출 동작).
제 1 및 제 2 디지털 각속도 신호(Vxn, Vyn)의 저주파 성분은 디지털 하이 패스 필터 처리 동작에서 삭감된다(제 1 및 제 2 디지털 각속도(VVxn, VVyn)).
스텝 S152에서,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53에서, 가동 유닛(30a)의 구동이 OFF인 상태, 즉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가동 유닛(30a)의 구동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릴리스 상태 파라미터(R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바로 스텝 S154로 진행한다.
스텝 S154에서, 홀 소자 유닛(44a)이 가동 유닛(30a)의 위치를 검출하고, 홀 소자 신호 처리 유닛(45)에 의해 제 1 및 제 2 검출 위치 신호(px, py)가 산출된다. 그런 다음 제 1 검출 위치 신호(px)는 CPU(21)의 A/D 컨버터(A/D2)로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pdxn)로 변환되는 한편, 제 2 검출 위치 신호(py)는 CPU(21)의 A/D 컨버터(A/D3)로 입력되어 역시 디지털 신호(pdyn)로 변환되고, 이들 양자가 가동 유닛(30a)의 현재 위치(Pn)(pdxn, pdyn)를 결정한다.
스텝 S155에서,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 다시 말해, 발진 체크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진 체크 동작의 상세한 내용은 도 10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한 다.
스텝 S156에서,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53에서, 가동 유닛(30a)의 구동이 OFF인 상태, 즉 상흔들림 보정 유닛(30)이 가동 유닛(30a)의 구동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57로 진행한다.
스텝 S157에서,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의 값이 0인 것으로 판정되면(IS=0), 즉 촬상 장치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가 아닌 경우는, 스텝 S158에서, 가동 유닛(30a)(촬상 유닛(39a))이 이동해야 할 위치(Sn)(Sxn, Syn)가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중심에 설정된다. 상흔들림 보정 파라미터(IS)가 0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IS=1), 즉 촬상 장치가 상흔들림 보정 모드인 경우는, 스텝 S159에서, 제 1 및 제 2 각속도(vx, vy)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촬상 유닛(39a))이 이동해야 할 위치(Sn)(Sxn, Syn)가 연산된다.
스텝 S160에서는, 스텝 S158 또는 스텝 S159에서 결정된 위치(Sn)(Sxn, Syn)와 현재 위치(Pn)(pdxn, pdyn)에 기초하여, 가동 유닛(30a)을 위치(Sn)로 이동시키는 구동력(Dn)의 제 1 구동력(Dxn)(제 1 PWM 듀티(dx)) 및 제 2 구동력(Dyn)(제 2 PWM 듀티(dy))이 연산된다.
스텝 S161에서는, 제 1 PWM 듀티(dx)를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적용함으로써 제 1 구동용 코일(31a)이 구동되고, 제 2 PWM 듀티(dy)를 구동용 드라이버 회로(29)에 적용함으로써 제 2 구동용 코일(32a)이 구동되어, 가동 유닛(30a)이 위치(Sn)(Sxn, Syn)로 이동하게 된다.
스텝 S160 및 스텝 S161의 처리는 일반적인 비례, 적분, 미분 연산을 행하는 PID 자동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 제어 연산이다.
다음에, 도 9의 스텝 S155에서 개시되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진 체크 동작을 도 10의 플로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발진 체크 동작이 개시되면, 스텝 S171에서,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보다 큰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의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보다 큰 경우는, 바로 스텝 S174로 진행되고, 크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72로 진행된다.
스텝 S172에서,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과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 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의 차이의 절대값, 다시 말해서,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부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스텝 S173으로 진행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이 아닌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부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이 경우는 바로 스텝 S17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73에서는,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 다음, 스텝 S17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74에서,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1 좌표(pdxn)의 값과 A/D 변환 동작 후 제 1 방향(x)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1 좌표(pdxn -1)의 값의 차이의 절대값, 다시 말해서,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정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스텝 S175로 진행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에서의 이동량의 제 1 좌표(│pdxn-pdx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이 아닌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1 방향(x)의 정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이 경우는 바로 스텝 S17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75에서는,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 다음, 스텝 S176으로 진행된다.
스텝 S176에서는,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보다 큰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이 A/D 변환 동작 후의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보다 큰 경우는, 바로 스텝 S179로 진행되고, 크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77로 진행된다.
스텝 S177에서,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과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 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의 차이의 절대값, 다시 말해서,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부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스텝 S178로 진행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이 아닌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부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이 경우는 바로 스텝 S181로 진행된다.
스텝 S178에서는,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 다음, 스텝 S181로 진행된다.
스텝 S179에서,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현재의 검출 위치(Pn)의 제 2 좌표(pdyn)의 값과 A/D 변환 동작 후 제 2 방향(y)에서의 직전의 검출 위치(Pn -1)의 제 2 좌표(pdyn -1)의 값의 차이의 절대값, 다시 말해서,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인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정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스텝 S180으로 진행된다. 1ms의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에서의 이동량의 제 2 좌표(│pdyn-pdyn -1│)가 기준 이동량(STW) 이상이 아닌 경우, 가동 유닛(30a)의 제 2 방향(y)의 정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이 아닌 것을 나타내고, 이 경우는 바로 스텝 S181로 진행된다.
스텝 S180에서는,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1만큼 증가된 다음, 스텝 S181로 진행된다.
스텝 S181에서는,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 경우에는,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스텝 S182로 진행된다. 제 1 정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스텝 S18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82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다음, 스텝 S18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83에서는,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 경우에는,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스텝 S184로 진행된다. 제 1 부방향 카운터(X(-)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스텝 S185로 진행된다. 스텝 S184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다음, 스텝 S185로 진행된다.
스텝 S185에서는,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 경우에는,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스텝 S186으로 진행된다. 제 2 정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스텝 S187로 진행된다. 스텝 S186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다음, 스텝 S187로 진행된다.
스텝 S187에서는,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인 경우에는, 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스텝 S188로 진행된다. 제 2 부방향 카운터(Y(-)cnt)의 값이 기준 회수(STN)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발진 체크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188에서는,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된 다음, 발진 체크 동작이 종료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손흔들림 양이 지나치게 커서 가동 유닛(30a)을 손흔들림 양에 대응하여 이동시켜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없을 때(발진 상태에 있을 때), 즉, 촬상 장치(1)가, 가동 유닛(30a)이 가동 유닛(30a)의 이동 범위의 양 쪽 단부에 접촉한 상태에 있을 때,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는 OFF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가 삼각 받침대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릴리스 버튼(13)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삼각 받침대에서 공 진(resonance)을 발생시키는 경우이거나, 촬상 장치(1)를 흔드는 등 통상적인 손흔들림보다 큰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유닛(30a)은 발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촬영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하에서 촬상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고, 이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발진 상태에서 가동 유닛(30a)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동 유닛(30a)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촬상 장치(1)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유닛(30a)에 탑재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 유닛(30a)이 이동 범위의 단부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촬상 장치(1)의 사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손흔들림 양이 큰지 아닌지의 판단(가동 유닛(30a)이 발진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다시 말해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가동 유닛(30a)의 위치 검출(가동 유닛(30a)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를 초과한 회수가 기준 회수(STN) 이상인지 아닌지의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은 다른 방식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제 1 각속도 센서 및 제 2 각속도 센서(26a, 26b)로부터 출력되어 CPU(21)에 입력되는 신호(vx, vy, VXn, Vyn)를 이용하여 손흔들림 양의 시간당 변화량(각속도)의 검출에 기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단 기준으로서,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의해 산출된 손흔들림 양의 변화량이 기준량을 초과한 회수가 기준 회수 이상인지 아닌지로 판단된다.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릴리스 스위치(13a)가 ON 상태로 된 후 릴리스 시퀀스 동작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만, 그리고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만 실행되었다.
그러나, 상흔들림 보정 동작은 릴리스 시퀀스 동작 기간을 제외한 기간 동안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릴리스 시퀀스 동작 기간을 제외한 기간 동안 실행되는 경우)에, 구동 오프 파라미터(SP)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가동 유닛(30a)의 구동이 OFF 상태로 되므로,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가동 유닛(30a)이 안정 상태로 된 후)에 다시 상흔들림 보정 동작이 개시된다.
또한, 가동 유닛(30a)이 촬상 소자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가동 유닛(30a)이 촬상 소자 대신에 상흔들림 보정 렌즈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검출을 위해 자기장 변화 검출 소자로서 홀 소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검출 소자, 즉 고주파 캐리어형 자기장 센서와 같은 MI(Magnetic Impedance) 센서, 자기 공명형 자기장 검출 소자, 또는 MR(Magneto-Resistance effect) 소자(자기 저항 효과 소자)가 위치 검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MI 센서, 자기 공명형 자기장 검출 소자, 또는 MR 소자 중의 어느 것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홀 소자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기장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가동 유닛의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영역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다음과 같은 도면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촬상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촬상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메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 있어서의 연산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미트 체크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메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타이머의 인터럽션 처리를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차트; 그리고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발진 체크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0)

  1.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유닛; 그리고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단부와 접촉할 때 상기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단부와 접촉하는 것은,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방향 중의 하나인 제 1 방향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와 접촉하거나,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방향 중의 다른 하나인 제 2 방향의 이동 범위의 양 단부와 접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위치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가동 유닛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범위의 단부와 접촉하였는지 여부의 검출은 상기 위치 검출 유닛에 의한 상기 가동 유닛에 대한 위치 검출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4.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유닛; 그리고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서 산출되는 손흔들림 양이 소정 범위의 상한값보다 크거나 상기 소정 범위의 하한값보다 작을 때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의 릴리스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가 다음의 촬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시점까지,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6.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유닛; 그리고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량이 기준 이동량 이상인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일 때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위치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량이 상기 기준 이동량 이상인지의 여부의 검출은 상기 위치 검출 유닛에 의한 상기 가동 유닛에 대한 위치 검출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9. 촬상 장치의 상흔들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가동 유닛; 그리고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에서 산출되는 손흔들림 양의 변화량이 기준량을 넘는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일 때 상기 가동 유닛의 이동 제어가 OFF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의 릴리스 스위치가 ON 상태로 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가 다음의 촬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시점까지, 상기 상흔들림 보정 동작을 위해 상기 이동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20070070539A 2006-07-13 2007-07-13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38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92719 2006-07-13
JPJP-P-2006-00192616 2006-07-13
JP2006192616A JP2008020689A (ja) 2006-07-13 2006-07-13 像ブレ補正装置
JP2006192719A JP5000220B2 (ja) 2006-07-13 2006-07-13 像ブレ補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54A KR20080007154A (ko) 2008-01-17
KR101380613B1 true KR101380613B1 (ko) 2014-04-04

Family

ID=3894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539A KR101380613B1 (ko) 2006-07-13 2007-07-13 상흔들림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56175B2 (ko)
KR (1) KR101380613B1 (ko)
TW (1) TWI420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7553B2 (ja) 2006-07-13 2012-10-10 ペンタックス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CN110536064B (zh) * 2019-07-22 2021-04-06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固定场景的像素级精度视频图像去抖动方法
KR102236099B1 (ko) * 2019-10-25 2021-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멀티 터치의 위치 식별이 가능한 터치 센싱 장치 및 전자 기기
TWI779534B (zh) * 2020-03-25 2022-10-01 昇佳電子股份有限公司 電容感測電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837A (ja) * 2000-03-21 2001-09-26 Ricoh Co Ltd 撮像装置
US7590336B2 (en) * 2004-10-14 2009-09-15 Fujinon Corporation Image stabiliz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7980A (ja) * 1988-01-09 1989-07-14 Fanuc Ltd 設置姿勢に応じた動作条件自動設定機能を備えた産業用ロボット
JPH0487722A (ja) * 1990-07-30 1992-03-19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機の制御装置
JP2897413B2 (ja) 1990-11-16 1999-05-31 ミノルタ株式会社 ぶれ検出機能付カメラ
JP3360756B2 (ja) * 1993-09-28 2002-12-2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カメラの像ブレ補正装置
JPH07261234A (ja) 1994-03-18 1995-10-13 Asahi Optical Co Ltd 像ぶれ補正装置
JP3412958B2 (ja) 1995-03-24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
JP3437339B2 (ja) 1995-08-04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振れ補正装置
JPH11218794A (ja) 1998-01-30 1999-08-10 Canon Inc 像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機器
US6263162B1 (en) 1998-08-25 2001-07-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shake preventing apparatus
JP4536835B2 (ja) 1998-10-19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及び光学機器
JP4328403B2 (ja) 1999-02-16 2009-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US6389228B1 (en) 1999-04-09 2002-05-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correcting a tremble of a focused image and a camera which is provided with the same
DE10017353A1 (de) 1999-04-12 2000-11-02 Asahi Optical Co Ltd Einrichtung zur Korrektion des Zitterns eines fokussierten Bildes und mit dieser versehene Kamera
JP2000321612A (ja) 1999-05-11 2000-11-24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像振れ補正装置と交換レンズとカメラ本体
JP4700793B2 (ja) 1999-09-24 2011-06-15 Hoya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JP3788714B2 (ja) 2000-02-14 2006-06-21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1305597A (ja) 2000-04-24 2001-10-31 Canon Inc 光学装置及びカメラ
JP3689342B2 (ja) 2001-02-19 2005-08-3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の電源制御装置
JP2003043544A (ja) 2001-07-30 2003-02-13 Canon Inc 防振システム
JP2004020730A (ja) * 2002-06-13 2004-01-22 Nikon Vision Co Ltd 像安定化装置
US6789864B2 (en) * 2002-08-13 2004-09-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printing cartridges
JP4366197B2 (ja) * 2004-01-21 2009-11-18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4679170B2 (ja) 2004-03-09 2011-04-27 Hoya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
JP4623552B2 (ja) 2004-07-27 2011-02-02 株式会社 ニコンビジョン 望遠鏡
JP2006084540A (ja) 2004-09-14 2006-03-30 Nikon Corp ブレ補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837A (ja) * 2000-03-21 2001-09-26 Ricoh Co Ltd 撮像装置
US7590336B2 (en) * 2004-10-14 2009-09-15 Fujinon Corporation Image stabil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154A (ko) 2008-01-17
TWI420897B (zh) 2013-12-21
US7856175B2 (en) 2010-12-21
TW200810531A (en) 2008-02-16
US20080013934A1 (en) 200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52B1 (ko) 촬상 장치
KR101233659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527938B1 (ko) 촬상 장치
KR101381620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297352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030461B1 (ko) 상 흔들림 보정장치
KR101297801B1 (ko) 상 흔들림 보정장치
KR101360785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381616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20090104761A (ko) 촬상 장치
JP4691484B2 (ja) 撮像装置のゴミ取り装置
KR101297348B1 (ko) 상 흔들림 보정장치
KR101383016B1 (ko) 촬상 장치의 먼지 제거 장치
KR101380613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362117B1 (ko) 상흔들림 보정 장치
KR101381619B1 (ko) 촬상 장치의 먼지 제거 장치
CN101106650B (zh) 防抖装置
JP4994729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5000220B2 (ja) 像ブレ補正装置
JP2008098842A (ja) 撮像装置のゴミ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