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061B1 -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 Google Patents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061B1
KR101380061B1 KR1020120071606A KR20120071606A KR101380061B1 KR 101380061 B1 KR101380061 B1 KR 101380061B1 KR 1020120071606 A KR1020120071606 A KR 1020120071606A KR 20120071606 A KR20120071606 A KR 20120071606A KR 101380061 B1 KR101380061 B1 KR 101380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
brace
wal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323A (ko
Inventor
김세직
Original Assignee
김세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직 filed Critical 김세직
Priority to KR102012007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0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with means pierc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단열재보호판이 생략되는 상태로 버팀부품(17)과 고정너트(14)로 앵커 부착볼트(12)의 정렬 위치에 석재부착판(31)이 가공상태로 조립되고, 가공상태의 석재부착판(31) 저부에서 석재 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기 위한 버팀못(20)이 부가되고, 버팀못(20)을 가공상태의 석재부착판(31)에 연결조립하기 위한 조립구멍(35)이 석재부착판(31)의 부착장공(33) 저부에 설치된 것이 특징인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이다. 이 발명은 상기 버팀부품(17)은 버팀너트(171), 버팀워셔(172), 버팀대롱(173), 버팀링(174)으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버팀못(20)은 촉(21)과 목(neck)(22)이 구비되고, 단열재(60)위에서 망치질로 벽체(50)에 부설되어 촉(21)이 벽체에 파고들어 지지되고 목(22)이 석재부착판(31)의 조립구멍(35)에 끼워지고, 상기 석재로드판(32)에 석재 조립용 핀 구멍(38)을 더 구비하여 연장판(40)의 사용이 생략되기도 한다.

Description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Anchor apparatus for Stone construction}
이 발명은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외장 석재의 시공은 석재의 부착에 앞서 건축물 벽체 외면에 단열재가 부착된다. 석재 시공을 위한 석재부착판은 단열재보호판 위에서 앵커로 벽체에 부착되고, 앵커에는 부착볼트가 앵커튜브에 삽입되어있다. 석재부착판를 앵커로 벽체에 부착하려면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에 드릴 작업으로 앵커홀을 천공해야 된다. 앵커홀 천공작업에서 단열재에 천공된 앵커홀과 벽체에 천공된 앵커홀이 직선상에 만들어진다. 앵커홀이 천공되면 앵커는 단열재 앵커홀을 통해 벽체 앵커홀에 삽입되고 근부가 벽체에 고정된다. 석재조립체의 한 부품인 석재부착판은 부착장공이 구비되고 수직의 석재부착판 아래쪽에 수평으로 연장된 석재로드판이 있다.
벽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있지 않다면 석재부착판은 벽체에 밀착시켜 부착되므로 견고하게 부착되고 석재가 무겁지만 시공상의 아무런 애로점이 생기지 아니한다. 그러나 벽체에 단열재가 부착되어 있다면 단열재를 압축하지 않도록 단열재 두께만큼 벽체에서 띄워서 앵커 끝에 석재부착판를 부착하기 위하여 단열재보호판(단열재 스페이서)을 사용해야하고 단열재보호판을 생략하고 석재부착판 만으로 석재를 시공하려면 몇가지 기술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는 석재부착판이 벽체에서 단열재 두께만큼 격리되어있어 석재부착판의 하부에서 석재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버팀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단열재 위에서 망치질로 벽체에 앵커를 고정하면 앵커 끝의 정렬이 들쭉날쭉하게 되므로 석재부착판의 위치수정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는 석재부착판 하부 지탱수단도 벽체에 지지시킨 후 위치 수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수직상태로 시공되는 석재부착판(3)은 아래쪽에서 수평으로 석재로드판(4)을 절곡시킨 석재조립체(1)의 부품이고 석재부착판(3)은 단열재(60) 위에서 단열재보호판(2) 위에 안착시켜 벽체(50)에 부착될수 있었던 것이나, 이 발명은 단열재보호판(2)을 생략하고 석재부착판(3)을 앵커(5)의 조립볼트(6)에 가공상태(벽체에서 떠있는 상태)로 조립하기 위한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앵커 부착볼트에 버팀부품을 결합시켜 앵커 조립볼트위에서 정열위치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부착볼트에 가공상태로 조립되는 석재부착판의 저부에 버팀수단을 포함시켜 석재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는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 버팀수단의 하나로 버팀못을 단열재 위에서 망치질로 박아 벽체에 부설 지지시키는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버팀못의 조립부 위치 수정수단을 포함시켜 버팀못의 끝을 석재부착판의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게하는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석재로드판에 석재를 직접 조립할 수도 있게하는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50) 외면에 석재(46) 시공에 앞서 단열재(60)가 부착된다. 앵커(100)는 앵커튜브(11)에 부착볼트(12)가 삽입되어있다. 벽체(50)에 앵커(10)의 뿌리부분을 삽입하기 위한 앵커홀이 드릴링된다. 천공된 앵커홀은 단열재의 앵커홀(61)과 벽체(50)의 앵커홀(51)이다. 앵커(10)의 근부 앵커튜브(11)는 단열재의 앵커홀(61)을 통해 벽체의 앵커홀(51)에 삽입되고 벽체(50)에 고정된다. 이로써 앵커의 부착볼트(12)는 벽체(50)에 고정되어 끝이 단열재(60) 위로 돌출된다. 수직의 석재부착판(31)은 하단에서 수평의 석재로드판(32)이 연장되어 있다.
이 발명 석재시공용 앵커장치는 석재조립체(30)의 석재로드판(32)이 구비된 석재부착판(31)을 앵커의 부착볼트(12)에 직접 조립하는 앵커장치이다.
석재부착판(31)의 상부가 앵커의 부착볼트(12) 위에서 단열재보호판이 생략되는 상태로 버팀부품(17)과 고정너트(14)의 조립으로 단열재 두께만큼 단열체 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평위치가 조절된 정렬 위치에 가공상태로 조립된다. 가공상태의 석재부착판(31) 저부에는 석재 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기 위한 버팀못(20)이 부가된다. 버팀못(20)에 촉(21)을 구비하며, 상기 버팀못(20)의 촉(21)은 단열재(60)를 관통하고 벽체(50)에 파고들어 버팀못(20)을 벽체(50)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버팀못(20)을 이동시켜 석재부착판(31)의 저부를 석재부착판(31)의 상기 정렬 위치에 일치시키는 것이다.
자세히 상기 앵커장치는 석재 시공과정에서 망치질로 앵커를 벽체에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석재부착판(31)의 저부에 버팀수단을 설치하여 버팀수단이 석재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게 한다. 버팀수단은 지지스페이서 형태이며 가장 좋게는 버팀못(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석재부착판(31)은 조립장공(33)과 부착볼트(12)로 조립되므로 조립과정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석재부착판(31)의 아랫부분은 버팀수단이 구비되어 석재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한다. 버팀수단은 스페이서의 형태이며 가장 좋게는 버팀못(20)이다.
상기 높이 조절이 되는 석재부착판(31)은 수평 위치 조절인 정렬도 정밀하게 조절을 할 수 있다.
석재부착판(31)의 수평위치 조절은 상부의 정렬과 하부의 정렬로 구분된다. 석재부착판(31) 상부의 정렬은 버팀부품(17)에 의해 조절된다. 하부의 정렬은 버팀수단인 버팀못(20)에 의해 조절된다.
버팀못(20)은 망치질로 단열재를 뚫고 들어가 벽체(50)에 지지되는 촉(21)을 구비한다. 촉(21)은 벽체(50)를 파고 들어가므로 버팀못(20)을 벽체(50)에 지지하며 동시에 버팀못(20)의 헤드에 위치의 조절(수평위치조절)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망치질에 의한 위치조절은 건설 현장에서 가장 익숙한 조작의 하나이고 콘크리트벽에서 망치질에 의한 버팀못(20)의 수평 이동량은 석재시공에서 정렬위치 조절에 충분한 거리이다. 벽체에 지지된 버팀못(20)은 헤드위에 석재부착판(31)의 아래부분이 지지되어 석재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한다. 석재부착판(31)에 조립구멍(35)을 만들고 두 부품을 기계적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조립구멍(35)에 끼워지는 목(22)을 버팀못(20)에 설치할수 있다. 조립구멍(35)과 목(22)은 필수 구성은 아니다. 다만 석재부착판(31)의 저부는 버팀수단으로 지지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석재부착판(31)에 조립구멍(35)이 구비되는 경우로 설명을 하면 상기 버팀못(20)의 타정 위치는 석재부착판(31)의 조립구멍(35) 위치이다. 상기 버팀못(20)을 타정하기 위한 펀치형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두개의 버팀못(20)을 동시에 타정하기 위한 펀치형지그의 예를 설명한다. 펀치의 하단에 석재조립판(31)의 조립구멍(35)에 대응되도록 버팀못 두 개의 헤드(또는 목)이 끼워지는 그립홀 두개를 설치한다. 두 개의 그립홀에 버팀못 두개의 헤드를 끼우고 펀치의 헤드를 망치로 가격하여 버팀못 두 개를 단열재 위에서 동시에 타정하여 동시에 벽체에 지지시킨다. 이 경우 타정된 두 개 버팀못(20) 사이의 간격이 두 개의 조립구멍(35)의 간격과 일치하고 타정된 두개 버팀못의 조립위치가 동등하여 석재조립판(31)의 부설 조립이 간편해진다.
삭제
상기 석재부착판(31)에는 부착장공(33) 아래쪽 가장 좋게는 아래쪽 좌우에 버팀못(20)의 조립구멍(35)이 더 구비된다. 조립구멍(35)의 형태는 버팀못의 목(22) 부분을 끼워 조립하는 단순한 구멍이다. 어떤 때는 버팀못의 목(22)이 삽입되는 장공으로 구비되어 석재부착판(3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한다. 이와같이 석재부착판에 조립되는 버팀못(20)은 석재부착판(31)의 하부에서 석재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는 장치이다.
벽체(50)에 지지되는 버팀못(20)의 목(22)이 장공 형태의 조립구멍(35)에 삽입되어 있다면 부착볼트(12)가 부착장공(33)에 삽입된 상태에서 석재부착판(31)은 상하로 이동시켜 부착볼트(12)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높이 조절상태에서 부착볼트(12)에 너트(14)를 채우고 조여서 석재조립체(30)를 벽체(50)에 지지시키는 것이고, 벽체(50)에 지지시킨 석재로드판(32)에 석재(46)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앵커(10)는 근부가 단열재 앵커홀(61)을 관통하여 벽체(50) 앵커홀(51)에 삽입된 상태에서 망치(70)질로 앵커튜브(11)의 두부를 두둘겨 벽체(50)에 고정시킨다. 이때 관상 펀치(71)가 사용된다.
버팀못(20)은 촉(21)을 구비한다. 상기 버팀못(20)의 촉(21)은 단열재(60)를 관통하고 벽체(50)에 파고들어 버팀못(20)을 벽체(50)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버팀못(20)을 이동시켜 석재부착판(31)과의 조립위치 조절기능을 나타낸다.
촉(21)과 목(neck)(22)을 가지는 버팀못(20)은 목(22)이 조립구멍(35)에 끼워진 상태에서 석재로드판(32)의 석재 하중을 벽체(50)에 전달하여 분담한다. 버팀못(20)의 목(22)에 연장링(27)을 끼우면 버팀못(20)의 길이가 연장된다.
석재부착판(31)을 너트(14)로 부착볼트(12)에 조립하자면 부착볼트(12)에 버팀부품(17)을 먼저 조립해야된다. 버팀부품(17)은 석재부착판(31)을 부착볼트(12)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결국 석재부착판(31)은 버팀부품(17)과 너트(12)의 의해서 부착볼트(12)의 지정된 위치에 조립되는 것이다. 버팀부품(17)은 버팀너트(171), 버팀워셔(172), 버팀대롱(173), 버팀링(174)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품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사용된다. 앵커(10) 튜브(11)를 길게 연장 설치하여 버팀대롱(173)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앵커튜브(11)의 연장부는 버팀대롱(173)의 구성과 균등한 구성이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은 석재부착판을 앵커의 부착볼트에 가공상태로 조립할 수있게 하므로 단열재보호판이 생략되어 저비용으로 동등한 시공을 이루는 앵커장치를 제공한다. 부착볼트에 버팀부품을 결합시킴으로써 부착볼트 위에서 석재부착판의 정렬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공상태로 조립된 석재부착판의 저부에 석재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는 버팀못이 포함되고, 버팀못은 단열재 위에서 망치질로 두둘겨 박아 시동되므로 빠르게 시공되며 조립위치를 조금씩 이동하여 벽체에 지지시킬수 있다. 동시에 연장링을 사용해서도 버팀못과 석재부착판의 조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석재로드판에 석재를 직접 조립하게되면 석재조립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도 있다.
도1은 이 발명 앵커장치의 사시도
도2는 부착볼트 설치를 위한 앵커홀 드릴링 상태도
도3은 망치질로 앵커홀에 앵커를 두들겨 박는 상태도
도4는 석재부착판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5은 석재 시공상태 단면도
도6은 단열재보호판의 예의 사시도
도7은 다른 석재 시공상태 단면도
이 발명을 첨부도면을 인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발명은 표1과 같이 네개의 다리가 달린 테이블타입의 단열재보호판(단열재 스페이서)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버팀부품(17)으로 대체함에 의해서 석재로드판(32)이 구비된 석재부착판(31)을 앵커의 부착볼트(12)에 가공상태로 조립하여 동등한 기술인력과 시공품위와 안전성을 가지도록 시공되는 앵커장치를 제공한다. 석재부착판과 단열재보호판의 재료비용은 동등 수준의 비용이므로 석재 조립공정에서 단열재보호판을 생략하여 얻는 효과는 매우 중요하고 큰 기술적 진보를 이루는 것이다.
스테인레스재 석재 조립부품 주요 구성 비교표
기존 석재조립 부품 이 발명 석재조립 부품 비고
앵커 앵커
부품의 무게 또는 비용의 차
이가 크다.

단열재보호판 (네개의 다리가 달린 테이블타입의 보호판)
버팀부품 및 버팀못
석재부착판 및 조립너트 석재부착판 및 조립너트
연장판 및 연결 너트 연장판 및 연결 너트
가공상태로 조립볼트에 조립된 석재부착판(31)은 석재 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기 위한 저부의 버팀못(20)을 포함한다. 석재부착판(31)은 버팀못(20)을 연결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멍(35)이 부착장공(33) 아래쪽에 설치된다. 조립구멍(35)은 하나 이상이고 단순 구멍 또는 세로 장공의 모양으로 설치된다.
석재 시공과정에서 단열재(60)가 부착된 벽체(50)에 드릴링하여 단열재 앵커홀(61)과 벽체 앵커홀(51)이 직선상에 천공된다.
앵커(10)는 근부가 단열재 앵커홀(61)을 통해 벽체 앵커홀(51)에 삽입되고 앵커(10)의 두부에서 망치질로 두둘겨 벽체(50)에 고정된다. 앵커(10)의 망치질에 관상의 펀치(71)가 사용한다. 관상의 펀치(71)는 부착볼트(12)를 보호하면서 앵커튜브(11)에 망치의 타격압력을 전달하여 벽체에 앵커(10)를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앵커 부착볼트(12)와 석재부착판(31)의 조립에 너트(14)와 워셔(13)가 사용된다.
상기 드릴링의 천공깊이는 일정하지 못하여 깊이의 차이를 수반하므로 석재부착판(31)는 앵커 부착볼트(12)에 조립할 때 수평위치를 이동시켜 정렬을 시켜야된다.
상기 앵커 부착볼트(12) 위에서 석재부착판(31)을 조립하고 조립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부착볼트(12)에 버팀부품(17)을 끼운다. 버팀부품(17)은 버팀너트(171), 버팀워셔(172), 버팀대롱(173), 버팀링(174)으로 구성되며 이들 부품은 하나 이상의 부품이 사용된다. 버팀부품(17)의 사용 예로서, 버팀대롱(173)을 앵커튜브(11)와 석재부착판(31) 사이에 끼우고 부착볼트(12)의 외측에서 워셔(13)와 너트(14)를 끼우고 조여 석재부착판(14)을 앵커튜브(11)에 지지시킨 예, 버팀대롱(173)과 버팀링(174)을 앵커튜브(11)와 석재부착판(31) 사이에 끼우고 부착볼트(12)의 외측에서 워셔(13)와 너트(14)를 끼우고 조여 석재부착판(14)을 앵커튜브(11)에 지지시킨 예, 버팀대롱(173)과 버팀링(174)과 버팀워셔(172)를 앵커튜브(11)와 석재부착판(31) 사이에 끼우고 부착볼트(12)의 외측에서 워셔(13)와 너트(14)를 끼우고 조여 석재부착판(14)을 앵커튜브(11)에 지지시킨 예, 버팀너트(171)을 부착볼트(12)의 일정한 위치에 결합하고 부착볼트(12)의 외측에서 워셔(13)와 너트(14)를 끼우고 조여 석재부착판(14)을 부착볼트(12)의 지정된 위치에 지지시킨 예, 버팀너트(171)와 버팀워셔(172)를 부착볼트(12)의 일정한 위치에 결합하고 부착볼트(12)의 외측에서 워셔(13)와 너트(14)를 끼우고 조여 석재부착판(14)을 부착볼트(12)의 지정된 위치에 지지시킨 예 등이다.
버팀못(20)의 구성은 못의 몸체 근부에 망치질로 단열재(60)를 관통하기위한 촉(steel point)(21)이 설치되어 있다. 버팀못(20)은 벽체(50)에 설치상태에서 촉(21)이 벽체(50)을 조금 파고들어 안착된다. 버팀못(20)의 외단에는 못의 몸통보다 직경이 가늘게 주어진 목(neck)(22)이 설치된다. 목(22)은 석재부착판(31)의 조립구멍(35)에 끼워져 석재부착판(31)과 조립된다. 조립구멍(35)이 장공으로 만들어졌으면 석재부착판(51)과 버팀못(20)의 연결 조립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버팀못(20)에 구비된 목(22)의 형상은 도면과 같이 원통형으로 하거나 또는 사각형이나 납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조립구멍(35)과 목(22)은 필수 구성은 아니다. 다만 석재부착판(31)의 저부는 버팀수단으로 지지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버팀못(20)의 시공은 단열재(60)의 표면 조립구멍(35)의 위치(시공상태로 보아)에서 버팀못(20)을 망치질로 두둘겨 박는 것이다. 이때 버팀못의 촉(21)이 단열재(60)을 뚫고 들어가며 촉(21)이 벽체(50)를 조금 파고들어가 벽체에 지지된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쉽고 빠른 보편적인 시공법이다. 또한 버팀못(20)은 망치질로 부설하여 촉(21)부분이 벽체(50)에 박히게 시공되므로 버팀못(20)의 조립위치를 망치질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버팀못(20)의 망치질 시공은 석재부착판(31)의 정렬위치에 대하여 위치 오차를 가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 조립 위치의 수정이 필요하다. 조립 위치의 수정은 버팀못(20)의 목(22)에 연장링(27)을 끼워서 못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버팀못(20)에 연장링(27)이 부품으로 부가된다.
이와같이 석재부착판(31)이 정렬되어 벽체(50)에 부착되면 석재로드판(32)에 석재(46)를 조립하여 시공한다.
석재의 시공순서는 석재(46) 하부와 상부를 설계라인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연장판(40)에 조립된 핀(45)을 석재의 상부 구멍(47)에 끼우고 연장판(40)을 석재로드판(32)에 단단히 연결 부착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석재로드판(32)의 시공상태 I(조립상태)은 석재로드판(32)에 연장판(40)을 연결하고 연장판(40)에 석재(46)를 올려놓고 조립하는 구조이다.
석재(46)의 다른 하나의 시공상태 II는 석재로드판(32) 끝의 구멍(38)에 핀(45)을 끼위고 연장판을 생략한 상태로 석재를 조립하는 것이다. 이 경우 표2와 같이 연장판(40)이 추가로 생략되어 석재조립의 부품 비용은 추가로 절감된다. 시공상태 II는 이 발명 석재부착판(31)의 정렬위치 이동 기능 및 버팀못의 조립위치 조절기능이 주어지므로 비로서 가능해 지는 것이다.
스테인레스재 석재 조립부품 주요 구성 비교표
기존 석재조립 부품 이 발명 석재조립 부품 비고
앵커 앵커
부품의 전체 무게 또는 비용의 차가 매우 크다.

단열재보호판 (네개의 다리가 달린 테이블타입의 보호판)
버팀부품 및 버팀못
석재부착판 및 조립너트 석재부착판 및 조립너트
연장판 및 연결 볼트 -
석재(46)의 시공상태 III은 석재로드판(32) 끝의 연장판을 생략하느상태로구 석재로드판(32)과 석재를 석재본드로 좁착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이 경우 표2와 같이 연장판(40)이 추가로 생략되어 석재조립의 부품 비용은 추가로 절감된다. 시공상태 III은 이 발명 석재부착판(31)의 정렬위치 이동 기능 및 버팀못의 조립위치 조절기능이 주어지므로 비로서 가능해 지는 것이다.
상기 석재로드판(32)과 연장판(40)의 연결은 석재로드판(32) 위에 연장판(40)을 올려놓고 연결장공(34,41)에 고정볼트(42)를 끼우고 너트(44)를 채워 연결한다. 연장판(40)은 연결장공(34,41)에서 볼트로 연결 고정되므로 석재(46) 연결용 핀(45)의 수평 위치를 석재(46) 설계라인에 맞도록 조절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연결장공(34,41)에 고정볼트(42)를 끼워 고정하는 연결부 상하에 워셔(43)를 삽입한다.
석재부착판(31)과 앵커 부착볼트(12)의 조립부, 석재부착판(31)과 버팀못(20)의 조립부, 석재로드판(32)과 연장판(40)의 조립부에는 석재접착재(49)가 부가 투입되어 건축물의 진동으로 조립 연결이 풀리지 않게 한다.
10은 앵커, 11은 앵커튜브, 12는 부착볼트, 13은 워셔, 14는 너트, 15는 절개부, 16은 쐐기부, 17은 버팀부품, 171은 버팀너트, 172는 버팀워셔, 173은 버팀대롱, 174는 버팀링, 20은 버팀못, 21은 촉, 22는 목, 27은 연장링, 30은 석재조립체, 31은 석재부착판, 32는 석재로드판, 33은 부착장공, 34는 연결장공, 35는 조립구멍, 38은 구멍, 40은 연장판, 41은 연결장공, 42는 고정볼트, 43은 워셔, 44는 너트, 45는 핀, 46은 석재, 48는 구멍, 49는 석재접착재, 50은 벽체, 51은 앵커홀, 60은 단열재, 61은 앵거홀, 70은 망치, 71은 펀치

Claims (4)

  1. 벽체(50)에 단열재(60)가 부착이 되고, 앵커(10)의 근부가 천공된 앵커홀(51)에서 벽체(50)에 고정이 되고, 저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석재로드판(32)과 높이조절용 부착장공(33)이 구비된 수직의 석재부착판(31)이 앵커(10)의 부착볼트(12)와 고정 너트(14)로서 벽체(50)에 부설이 되고, 석재부착판(31)에 하부 지지수단이 포함이 되고, 석재로드판(32) 위에 석재를 조립하게 된 것에 있어서,
    석재부착판(31)의 상부가 앵커 부착볼트(12)의 위에서 버팀부품(17)과 고정너트(14)에 의해 조립이 되어서 단열재의 두께만큼 단열체 층을 수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수평위치를 맞추어 정렬이 된 위치에서 가공상태로 조립이 되고,
    상기 가공상태인 석재부착판(31)의 저부에는 석재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탱하기 위한 버팀못(20)이 부가되고,
    상기 버팀못(20)에 시멘트 벽체(50)를 파고드는 촉(21)이 구비되고,
    상기 버팀못(20)의 촉(21)은 망치질로 단열재(60)를 관통하고 벽체(50)에 파고들어서 버팀못(20)을 벽체(50)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망치질로 버팀못(20)을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서 석재부착판(31)의 저부를 석재부착판(31)의 상기 정렬 위치에서 지지시키는 것이 특징인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품(17)은 버팀너트(171), 버팀워셔(172), 버팀대롱(173), 버팀링(174)으로 구성이 되고 이들 부품이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못(20)은 상기 망치질로 단열재(60) 층을 관통하여 벽체(50)에 부설이 될 때 촉(21)이 벽체에 파고들며 수평 이동이 되어 벽체에 지지 되고 동시에 상기 망치질로 상기 정렬 위치에 일치시킨 목(22)이 석재부착판(31)의 조립구멍(35)에 끼워지는 것이 특징인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로드판(32)에 석재 조립용 핀 구멍(38)을 더 구비함이 특징인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KR1020120071606A 2012-07-02 2012-07-02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KR101380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06A KR101380061B1 (ko) 2012-07-02 2012-07-02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606A KR101380061B1 (ko) 2012-07-02 2012-07-02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23A KR20140004323A (ko) 2014-01-13
KR101380061B1 true KR101380061B1 (ko) 2014-04-01

Family

ID=5014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606A KR101380061B1 (ko) 2012-07-02 2012-07-02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361B1 (ko) * 2015-06-12 2016-04-01 송영선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00114127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우진스톤산업 건축물 외벽의 이중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69B1 (ko) 2017-07-18 2018-06-07 (주)다함석재 패널외장재 시공용 앵커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3175135B (zh) * 2021-05-17 2022-06-17 苏州美瑞德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单元模块化装配的大板块石材吊装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33A (ko) * 2008-02-19 2009-08-24 손영숙 석재고정용 앵커볼트
KR20100031806A (ko) * 2008-09-16 2010-03-25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스파이크 결합구조
KR101155248B1 (ko) *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733A (ko) * 2008-02-19 2009-08-24 손영숙 석재고정용 앵커볼트
KR20100031806A (ko) * 2008-09-16 2010-03-25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스파이크 결합구조
KR101155248B1 (ko) * 2011-09-23 2012-06-13 김세직 가설시트 앵커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361B1 (ko) * 2015-06-12 2016-04-01 송영선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00114127A (ko) *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우진스톤산업 건축물 외벽의 이중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82543B1 (ko) * 2019-03-27 2022-04-05 주식회사 우진스톤산업 건축물 외벽의 다중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23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337B2 (en) Anchor pier for manufactured building
US8206063B2 (en) Concentrically loaded, adjustable piering system
KR101380061B1 (ko) 석재 시공용 앵커장치
US20050204686A1 (en) Precast concrete column for use in post-frame construction
CN214575722U (zh) 一种建筑工程支架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JP2008095362A (ja) 鉄骨ラーメン構造体構築工法およびこの工法により基礎が構築された農業用温室
CN111910917A (zh) 模板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5055079A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体の構築方法
JP2007231596A (ja) 柱脚固定具、柱脚固定構造及び柱脚固定方法
CN219569192U (zh) 一种有限高度内屈曲约束支撑节点板精准安装结构
JP2016153559A (ja) 木造建築物の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基礎部材
JP2019019616A (ja) 壁面構造および壁面の構築方法
US20240175229A1 (en) Anchor Pier For Manufactured Building
CN211646979U (zh) 装配式剪力墙灌浆套筒连接试件制作装置
JP5781377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修正構造及び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修正方法
JP2008007997A (ja) 木造建築物の仕口構造及び仕口金具
CN212406116U (zh) 模板结构
CN219968353U (zh) 一种组拼式钢结构梁体预制台座
CN215054894U (zh) 一种调平地脚
CN116551832A (zh) 一种装配式多功能型钢制梁台座
JP2024056060A (ja) 柱施工方法及び建て入れ調整治具
CN116254930A (zh) 一种有限高度内屈曲约束支撑节点板精准安装结构及方法
CN115710917A (zh) 一种碳纤维锚索框架梁施工方法
KR100871895B1 (ko) 수평수직과 횡방향 및 중앙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