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980B1 - 동전 입금 장치 - Google Patents

동전 입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980B1
KR101379980B1 KR1020120109738A KR20120109738A KR101379980B1 KR 101379980 B1 KR101379980 B1 KR 101379980B1 KR 1020120109738 A KR1020120109738 A KR 1020120109738A KR 20120109738 A KR20120109738 A KR 20120109738A KR 101379980 B1 KR101379980 B1 KR 10137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s
coin
module
temporary storage
storag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10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009Deposi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트, 은행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동전을 입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동전 입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투입 모듈, 이송 모듈, 판독 모듈, 입금 보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금 보류 모듈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정상 동전을 투입받는 임시 저장 버킷;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버킷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 모듈은,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방에 형성되어 투입된 동전을 상기 이송 모듈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금을 위하여 투입된 모든 동전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동전의 입금 전에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모듈에서 가동하는 부분을 컴팩트하게 설계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동전 입금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 입금 장치{Apparatus for depositting coin}
본 발명은 마트, 은행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동전을 입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동전 입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트, 은행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동전을 입금하기 위하여 동전 입금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는, 동전을 투입하는 투입 유닛과, 투입된 동전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독 유닛과, 동전을 입금 하거나 반환하기 전에 동전을 임시적으로 보관하는 임시 보관 유닛과, 입금할 동전을 최종적으로 수납하는 수납함과, 동전이 반환되는 반환구를 포함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에 따르면, 투입 유닛에 투입된 동전들 중 적어도 일부의 동전이 판독 유닛에 원활히 공급되지 않고 투입 유닛의 입구부 내측 벽면에 기울어진 채로 유지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임시 보관 유닛 중 동전을 입금 또는 반환하기 위하여 가동되는 부위의 크기와 무게가 과도하여 임시 보관 유닛이 고속으로 가동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임시 보관 유닛을 가동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출력의 구동용 모터를 사용해야 하며, 구동력 손실이 큰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입금 장치를 가동하는 데에 많은 전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입금을 위하여 투입된 모든 동전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동전의 입금 전에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모듈에서 가동하는 부분을 컴팩트하게 설계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동전 입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전 입금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 모듈; 상기 투입 모듈로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 상기 이송 모듈에 의하여 이송된 동전의 종류와 동전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며 정상 동전과 불량 동전을 분리 배출하는 판독 모듈; 및 상기 판독 모듈에 의하여 판정된 정상 동전만이 투입되며 상기 정상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 보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금 보류 모듈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판독 모듈로부터 정상 동전을 투입받는 임시 저장 버킷;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버킷 구동부;를 포함한다.
동전 입금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금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 모듈; 상기 투입 모듈로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 상기 이송 모듈에 의하여 이송된 동전의 종류와 동전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며 정상 동전과 불량 동전을 분리 배출하는 판독 모듈; 및 상기 판독 모듈에 의하여 판정된 정상 동전만이 투입되며 상기 정상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 보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 모듈은,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방에 형성되어 투입된 동전을 상기 이송 모듈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금을 위하여 투입된 모든 동전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으며, 동전의 입금 전에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모듈에서 가동하는 부분을 컴팩트하게 설계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동전 입금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전 입금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에 구비된 투입 모듈과 이송 모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투입 모듈에 구비된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에 구비된 입금 보류 모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입금 보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저장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반환 버킷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전 입금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는, 입금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 모듈(100)과, 상기 투입 모듈(100)로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200)과, 상기 이송 모듈(200)에 의하여 이송된 동전의 종류와 동전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며 정상 동전(2A)과 불량 동전(2B)을 분리 배출하는 판독 모듈(300)과, 상기 판독 모듈(300)에 의하여 판정된 정상 동전(2A)만이 투입되며 상기 정상 동전(2A)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 보류 모듈(400)과, 입금할 동전을 저장하는 저장 모듈(500)과, 반환된 동전을 수납하는 반환 버킷(40)을 포함한다. 상기 각 모듈(100, 200, 300, 400, 500)은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저장 모듈(500)은 프레임(10)에서 탈거 및 장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각 모듈(100, 200, 300, 400, 500)을 비롯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은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동전 입금 장치의 외부 케이스를 제외한 동전 입금 장치의 내부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 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입금 장치에 구비된 투입 모듈과 이송 모듈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는 투입 모듈에 구비된 호퍼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투입 모듈(100)과 이송 모듈(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투입 모듈(100)은,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120)와, 평소에는 호퍼(120)의 상부를 폐쇄하고 있으며 동전이 투입되어야 할 경우에 호퍼(12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셔터(110)와, 호퍼(120)의 하방에 형성되어 호퍼(120)로 투입된 동전을 후술할 이송 모듈(200)로 안내하는 채널부(130)를 갖는다.
이송 모듈(200)은, 투입 모듈(100)의 채널부(130)를 통하여 공급된 동전을 후술할 판독 모듈(300)로 이송하는 컨베이어(210)와, 컨베이어(210) 상에 여러 단으로 쌓여서 이송되는 동전을 1단으로 균일하게 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플리터(220)를 갖는다.
상기 투입 모듈(100)의 호퍼(120)는 전방벽(121), 측벽(122), 후방벽(123)을 가진다. 동전이 호퍼(120)와 채널부(130)를 통하여 원활하게 컨베이어(210) 상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벽(121)의 내측면과 컨베이어(210) 표면이 이루는 각(θ1), 그리고 상기 측벽(122)의 내측면과 컨베이어(210) 표면이 이루는 각(θ3)은 둔각을 이룬다. 따라서, 호퍼(12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게 된다. 다만, 도 3을 기준으로 했을 때 컨베이어(210)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만약 후방벽(123)이 전방벽(121) 또는 측벽(122)과 유사한 경사를 갖는다면 동전이 후방벽(123)에 기울어져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컨베이어(21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하여, 상기 후방벽(123)과 컨베이어(210) 표면이 이루는 각(θ2)은 예각으로 형성된다. 다만, θ1, θ2, 및 θ3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 이러한 예시와 달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호퍼(120)로 투입된 동전은 채널부(130)로 이동하며, 채널부(130)는 컨베이어(210)의 폭방향 양측으로 동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132)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동전은 컨베이어(210) 상에 누운 채로 이송되지만 일부의 동전이 컨베이어(210) 상에서 격벽(132)의 내측면에 선 채로 기대지는 상황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선 채로 기대지는 동전은 나머지 동전의 이송을 방해하거나 스플리터(220)에 끼이는 등, 동전의 원활한 이송에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격벽(132)의 내측면에 동전이 선 채로 기대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격벽(132)의 내측면에 돌출 레일(134)을 형성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돌출 레일(134)은 동전(2)이 서있는 상태로 컨베이어(210)에 투입되더라도 동전(2)이 직립하여 서지 않고 기울어지게 하여 동전(2)이 컨베이어(210) 상에 누워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돌출 레일(134)로 인하여 모든 동전은 컨베이어(210) 상에서 누운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 모듈(200)의 컨베이어(210)와 스플리터(220)는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양자 사이의 간격(즉, 컨베이어(210)의 상부 벨트와 스플리터(220)의 하부 벨트 간의 간격)은 1개의 동전만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된다. 도 3을 기준으로 컨베이어(210)의 상부 벨트는 동전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플리터(220)의 하부 벨트는 컨베이어(210) 상의 동전을 좌측으로 밀어내므로, 컨베이어(210)와 접촉한 채로 누워있는 동전은 스플리터(220)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1단의 동전 위에 쌓여 있는 동전은 컨베이어(210) 상에 위치할 때까지 스플리터(220)에 의하여 좌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술한 방식에 의하여 스플리터(220)를 통과한 모든 동전은 컨베이어(210) 상에 1단으로 배치되어 판독 모듈(300)로 이송된다.
판독 모듈(300)은 상기 이송 모듈(200)에 의하여 이송된 동전의 종류와 동전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며 정상 동전(2A)과 불량 동전(2B)을 분리 배출한다. 판독 모듈(300)은 정상 동전(2A)과 불량 동전(2B)이 각각 토출되는 별도의 배출구를 가지며, 정상 동전용 배출구로부터 토출된 정상 동전(2A)은 후술할 입금 보류 모듈(400)에 공급된다. 그리고, 불량 동전용 배출구로부터 토출된 불량 동전(2B)은 별도의 불량 동전용 슬라이더(미도시)를 따라 이동하여 반환 버킷(40)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판독 모듈(300)에 동전이 막혔을 때에는 정상적으로 동전을 판독할 수 없으며, 막힌 동전은 상기 정상 동전용 배출구와 상기 불량 동전용 배출구로 배출되기 어렵다. 이에 판독 모듈(300)은 상기 배출구들과는 별도의 대량 반환용 배출구(미도시)를 가지며, 상술한 막힘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대량 반환용 배출구를 개방하여 막힌 동전을 대량으로 반환 버킷(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판독 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정상 동전(2A)의 종류와 개수가 집계되고, 판독 모듈(300)을 통과하여 입금 보류 모듈(400)에 이송된 정상 동전(2A)의 총 금액이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되며, 입금자는 실제 입금한 금액과 집계된 금액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선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상 동전이란 판독 모듈(300)에 기 설정된 인식 조건을 만족하는 동전을 말하는데, 인식 조건으로서는 동전 입금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동전의 종류별 크기, 재질, 무게, 금속함유량 또는 이송 속도 등과 같은 동전 인식을 위한 다양한 조건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상 동전은 동전 입금 장치가 처리할 수 있는 종류의 동전, 통용될 수 있는 위조되지 않은 진짜 동전 또는 훼손되지 않은 동전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불량 동전이란 판독 모듈(300)에 기 설정된 인식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동전을 말하는데, 인식 조건은 전술한 정상 동전을 위한 인식 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불량 동전은 동전 입금 장치가 처리할 수 없는 종류의 동전, 통용될 수 없는 위조된 가짜 동전 또는 훼손된 동전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추가로 참조하여 입금 보류 모듈(4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입금 보류 모듈(40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판독 모듈로부터 정상 동전(2A)을 투입받는 임시 저장 버킷(410)과, 상기 임시 저장 버킷(410)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41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440)와, 상기 임시 저장 버킷(410)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440)의 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버킷 구동부(420)를 포함한다. 한편, 임시 저장 버킷(410) 내의 동전을 입금할 수 있는 구역으로 안내하는 입금용 슬라이더(20)와, 임시 저장 버킷(410) 내의 동전을 반환할 수 있는 구역으로 안내하는 반환용 슬라이더(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440)의 양단 근방에 설치된다.
임시 저장 버킷(410)의 상부 개구부는 상시 개방 상태로 유지되며, 버킷 구동부(420)는 임시 저장 버킷(410)을 상기 하부 개구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440) 상의 위치에서 상기 입금용 슬라이더(20) 또는 상기 반환용 슬라이더(30) 상의 위치로 왕복 구동한다. 하부 개구부는 하부 플레이트(4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즉, 하부 개구부가 하부 플레이트(44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하부 플레이트(440)에 의해 폐쇄되 상태를 유지하므로, 임시 저장 버킷(410)에 임시 저장된 동전이 하부 플레이트(440)에 의해 지지되어 하부로 떨어 지지 않아 입금되거나 반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임시 저장 버킷(410)이 하부 플레이트(440)의 일 단부를 지나 임시 저장 버킷(410)의 하부 개구부가 입금용 슬라이더(20) 상에 위치하면 하부 개구부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임시 저장 버킷(410)에 일시 저장된 동전은 입금용 슬라이더(20)를 따라 후술할 저장 모듈(500)에 저장된다. 반대로, 임시 저장 버킷(410)이 임시 저장 하부 플레이트(440)의 타 단부를 지나 임시 저장 버킷(410)의 하부 개구부가 반환용 슬라이더(30) 상에 위치하면 임시 저장 버킷(410)에 일시 저장된 동전이 반환용 슬라이더(30)를 따라 반환 버킷(40) 내부에 수납된다.
임시 저장 버킷(410)은 버킷 구동부(420)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나, 임시 저장 버킷(410)의 이송 구간을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입금 보류 모듈(400)은 버킷 가이드(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임시 저장 버킷(410)이 상기 버킷 가이드(430)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핀(422)을 가지며, 버킷 가이드(430)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 입금용 슬라이더(20)와 반환용 슬라이더(30)를 벗어나지 않는 구간 내에만 형성된 것을 상정하도록 한다. 만약, 전자 제어상의 오류가 발생하여 버킷 구동부(420)가 임시 저장 버킷(410)을 입금용 슬라이더(20)와 반환용 슬라이더(30)를 지나쳐 벗어나도록 구동하는 제어를 수행하더라도 버킷 가이드(430)는 임시 저장 버킷(410)의 이동 구간을 물리적으로 제한하므로, 임시 저장 버킷(410)의 비정상 구동을 방지하고, 동전이 입금용 슬라이더(20)와 반환용 슬라이더(30)를 제외한 제3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버킷 가이드(430)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임시 저장 버킷(410)이 이동하는 도중에 임시 저장 버킷(410)의 하단부와 하부 플레이트(440) 표면 사이 틈에 동전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동전의 입금 또는 반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전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플레이트(440)의 표면에는 요철부(442)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442)는 임시 저장 버킷(41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이랑 형상을 가지며, 임시 저장 버킷(4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부는 요철부(442)와의 간섭 방지를 위하여 요철부(4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412)을 갖는다. 요철부(442) 사이의 간격은 동전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하면, 임시 저장 버킷(410) 내에서 하부 플레이트(440)와 접촉하고 있는 어떤 동전이라도 하부 플레이트(440) 면과는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것이며, 이 경우, 임시 저장 버킷(410)과 하부 플레이트(440) 사이에 동전이 막히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금 보류 모듈(400)에서 버킷 구동부(420)는 단지 임시 저장 버킷(410)만을 구동할 수 있지만, 다른 구동부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임시 저장 버킷(410) 자체는 임금 보류중인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 족하며, 경량 재질로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가동이 일어나는 구성 요소(임시 저장 버킷(410))을 컴팩트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버킷 구동부(420)의 구동력 손실도 줄어들 뿐만 아니라, 버킷 구동부(420)에 정격용량이 낮은 구동 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전 저장 모듈(500)은 입금용 슬라이더(2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동전을 입금 받는다. 도 8은 동전 저장 모듈(500)이 프레임(10)으로부터 당겨서 빼내어져 커버(51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동전 저장 모듈(500)은 커버(510)가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자동으로 폐쇄되는 구조를 가진다. 동전 저장 모듈(500)을 프레임(10)에 밀어 넣어 장착하는 도중에 커버(510)에 형성된 걸림홈(520)은 임금용 슬라이더(2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더 이상 밀려 들어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동전 저장 모듈(500)을 더 밀면 커버(510)를 제외한 동전 저장 모듈(500) 본체만이 더 밀려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커버(510)가 개방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520)과 임금용 슬라이더(20)의 하단부를 이용하여 커버(510)를 개폐하는 구조에 이외에 부가적으로 프레임(10)과 동전 저장 모듈(500) 모두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들의 극성을 이용하여 동전 저장 모듈(500)이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에만 커버(510)가 개방될 수 있으며, 결국, 동전 저장 모듈(500)을 프레임(10)에서 당겨 빼낸 상태에서는 별도의 전원 없이도 커버가(510)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동전 저장 모듈(500)은 약 10000개 이상의 동전이 저장될 수 있는 사이즈로 설계될 수 있고, 이 경우 동전 저장 모듈(500)의 중량은 약 70Kg을 넘을 수 있으므로, 동전 저장 모듈(500)을 프레임(10)에 장착하거나 탈거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탈착 작업시에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동전 저장 모듈(500)은 프레임(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예컨대, 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동전 저장 모듈(5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전 저장 모듈(500)에 저장된 동전을 회수하기 용이하도록, 동전 저장 모듈(500)은 2중 박스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동전 저장 모듈(500)을 프레임(10)에서 당겨 빼낸 상태에서 동전 저장 모듈(500)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내부 수납함(미도시)만을 탈거하여 동전을 회수할 수 있다.
도 9는 반환 버킷의 사시도이다.
반환 버킷(40)은 반환용 슬라이더(3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반환되어야 할 동전을 수납하며, 프레임(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탈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의 반대편 단부는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전이 수납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부는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2A, 2B : 동전 10 : 프레임
20 : 입금용 슬라이더 30 : 반환용 슬라이더
40 : 반환 버킷 100 : 투입 모듈
110 : 셔터 120 : 호퍼
121 : 전방벽 122 : 측벽
123 : 후방벽 130 : 채널부
132 : 격벽 134 : 돌출 레일
200 : 이송 모듈 210 : 컨베이어
220 : 스플리터 300 : 판독 모듈
400 : 입금 보류 모듈 410 : 임시 저장 버킷
412 : 오목홈 420 : 버킷 구동부
422 : 가이드 핀 430 : 버킷 가이드
440 : 하부 플레이트 442 : 요철부
500 : 저장 모듈 510 : 커버
520 : 걸림홈

Claims (9)

  1. 입금하기 위한 동전이 투입되는 투입 모듈;
    상기 투입 모듈로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 모듈;
    상기 이송 모듈에 의하여 이송된 동전의 종류와 동전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며 정상 동전과 불량 동전을 분리 배출하는 판독 모듈; 및
    상기 판독 모듈에 의하여 판정된 정상 동전만이 투입되며 상기 정상 동전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입금 보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입금 보류 모듈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판독 모듈로부터 정상 동전을 투입받는 임시 저장 버킷;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하부 개구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버킷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이동 중 상기 임시 저장 버킷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 표면 사이에서 동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동전 입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 버킷 내의 동전을 입금할 수 있는 구역으로 안내하는 입금용 슬라이더와, 상기 임시 저장 버킷 내의 동전을 반환할 수 있는 구역으로 안내하는 반환용 슬라이더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단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버킷 구동부는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을 상기 하부 개구부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의 위치에서 상기 입금용 슬라이더 또는 상기 반환용 슬라이더 상의 위치로 왕복 구동하는 동전 입금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이랑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은 상기 요철부와의 간섭 방지를 위하여 상기 요철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홈을 갖는 동전 입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 보류 모듈은 버킷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저장 버킷은 상기 버킷 가이드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핀을 갖는 동전 입금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용 슬라이더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동전을 입금받는 동전 저장 모듈; 및
    상기 반환용 슬라이더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외부로 반환되어야 할 동전이 수납되는 반환 버킷;을 더 포함하는 동전 입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모듈은,
    동전이 투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방에 형성되어 투입된 동전을 상기 이송 모듈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동전 입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를 이루는 격벽의 내측면에 돌출 레일이 형성된 동전 입금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전방벽, 측벽, 후방벽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벽의 내측면과 상기 이송 모듈의 컨베이어 표면이 이루는 각(θ2)은 예각인 동전 입금 장치.
KR1020120109738A 2012-10-02 2012-10-02 동전 입금 장치 KR101379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38A KR101379980B1 (ko) 2012-10-02 2012-10-02 동전 입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38A KR101379980B1 (ko) 2012-10-02 2012-10-02 동전 입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980B1 true KR101379980B1 (ko) 2014-04-01

Family

ID=5065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38A KR101379980B1 (ko) 2012-10-02 2012-10-02 동전 입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546B1 (ko) 2015-10-15 2017-04-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동전 입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20230087769A (ko) 2021-12-10 2023-06-19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기의 임시저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599A (ja) * 1997-07-31 1999-02-26 Glory Ltd 硬貨入金機
JP2004078583A (ja) * 2002-08-19 2004-03-11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入出金機
JP2010152825A (ja) * 2008-12-26 2010-07-08 Glory Ltd 硬貨入出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599A (ja) * 1997-07-31 1999-02-26 Glory Ltd 硬貨入金機
JP2004078583A (ja) * 2002-08-19 2004-03-11 Laurel Bank Mach Co Ltd 硬貨入出金機
JP2010152825A (ja) * 2008-12-26 2010-07-08 Glory Ltd 硬貨入出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546B1 (ko) 2015-10-15 2017-04-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동전 입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KR20230087769A (ko) 2021-12-10 2023-06-19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기의 임시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4538B2 (ja) 媒体処理装置
US20100041325A1 (en) Coin processing method and coin processing unit
KR101379980B1 (ko) 동전 입금 장치
KR101262739B1 (ko) 경화 처리장치
US20220392291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5672364B2 (ja) 媒体処理装置
JP3848640B2 (ja) 循環式貨幣入出金機
KR101001689B1 (ko) 지폐카세트 전원단속장치 및 방법
JP3248849B2 (ja) 硬貨入出金機
CN209281539U (zh) 一种组合式自动售货机
WO2018008228A1 (ja) 媒体処理装置
EP4177854A2 (en) Coin handling apparatus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JP5672402B2 (ja) 媒体処理装置
KR100557303B1 (ko) 주화 자동 출금장치
US20230368598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5892015B2 (ja) シャッタ開閉装置及び硬貨取扱装置
JP3705928B2 (ja) 紙幣出金ガイド装置及び紙幣入出金機
JP6943433B2 (ja) 棒金処理装置
KR101384017B1 (ko) 동전 출금 장치
JP6003435B2 (ja) 媒体入出装置
JP3664370B2 (ja) リフト駆動機構
JP6692176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3258574B2 (ja) 硬貨入出金機
JP4936995B2 (ja) 棒金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