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486B1 -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486B1
KR101379486B1 KR1020130125596A KR20130125596A KR101379486B1 KR 101379486 B1 KR101379486 B1 KR 101379486B1 KR 1020130125596 A KR1020130125596 A KR 1020130125596A KR 20130125596 A KR20130125596 A KR 20130125596A KR 101379486 B1 KR101379486 B1 KR 10137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ayer
urethane
waterproofing
concr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정강진
송제영
최은규
이정훈
이선규
Original Assignee
(주) 인택산업
(주)비케이방수방식연구소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택산업, (주)비케이방수방식연구소,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filed Critical (주) 인택산업
Priority to KR102013012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4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층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코너보강재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와;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접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마감하는 타일 줄눈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된다.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시공 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과 시공성을 향상시켰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는 타일 줄눈제를 사용하여 타일의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증대시켜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Water Proofing and Tile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Facility Finished Tile}
본 발명은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층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코너보강재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벽체면 전용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바닥면 표면 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와;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접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마감하는 타일 줄눈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되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이 마감재로 적용되는 콘크리트 담수처리 시설물의 경우에는 구체균열 발생에 의한 콘크리트 열화현상과 특히 염소계 살균제의 사용으로 타일 줄눈재의 열화로 인한 줄눈의 탈락과 바닥부 타일의 손상이 잦아 비교적 쉽게 박리되어 타일 하부로 물이 지속적으로 침투되어 누수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의 콘크리트 담수처리 시설물에서 발생하여 매년 보수비용의 지출로 인하여 경제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콘크리트 담수처리 시설물의 방수 재료로는 크게 도막재료와 합성 고분자 시트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막재료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우레탄 또는 에폭시계와 FRP계가 있다.
우레탄계 도료는 타일 마감 전 하부 방수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레탄계 도료는 높은 신장율을 보유하고 있어 구조체 균열 대응력이 뛰어나 진동이 심하거나 균열 발생폭이 큰 부위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나, 인장강도가 떨어져 지속적인 수축.팽창에 인장력 부족으로 대응력이 떨어지고, 일정 도막두께(최소 2mm이상)를 확보하지 못하면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담수처리 시설물에 적용되는 우레탄도료는 비노출 우레탄전용 도료로서 다량의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어 시공 중 유해환경은 작업자에 해가 될 수 있어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냄새를 외부로 배출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에폭시수지계는 타일 마감없이 방식 도장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일 마감에 비해 시공비는 많이 절약될 수 있지만, 고급스러움과 세련미가 저하되고, 겨울철에 도장면이 들뜨거나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매년 도장을 새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에폭시계수지는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유해물질 허용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다. 타일 마감 없이 시공되는 재료중에 FRP(유리섬유)계가 있는데, 이 재료는 시설물 전면을 두껍게 시공하여 균열 및 들뜸을 현상을 사전에 예방을 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은 있지만, FRP 자체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골조비보다 더 비싼 경우도 있어 초기 투자 비용이 많아 부담이 된다.
타일이 마감재로 적용되는 시설물에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타일 시공방법은 수화 바인더, 골재, 시멘트, 유기 첨가물의 혼합물인 폴리머계 시멘트를 기초로 하여 물이나 기타 액상과 함께 혼합하여 압착방법으로 타일을 시공하는 방법과, 합성수지, 무기질 필러, 유기 첨가물 등이 화학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로 2~3액형 타입으로 부착하는 시공방법으로 나눈다.
또한 타일 시공 후 타일과 타일 사이에 사용되는 줄눈제로는 일반적으로 백시멘트, 규사, 혼화재등을 첨가한 분말과 물을 사용한 시멘트계의 줄눈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274012로 게시된 상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면 처리방법은 콘크리트 내벽을 고압수 분사로 중성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고압수 바탕처리단계; 균열, 누수 부위를 확인하고 단면복구재를 충전하여 마감하는 균열, 누수 보강단계; 단면복구재 겸 접착재 처리단계; 타일압착 처리단계; 줄눈 처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수 바탕처리 단계에서 분사하는 고압수는 염기성 수용액인 것이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공개특허 10-2010-0069196로 게시된 저수조용 유리타일의 시공방법은 저수조의 벽체에 평탄작업을 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작업된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타공하여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공에 실리콘이나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투입하여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재에 유리타일의 체결공을 끼워넣어 유리타일을 고정부재에 거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유리타일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부재를 제거한 후 체결공과 각각 부착된 유리타일의 사이를 세라믹으로 마감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나 유리타일을 체결공으로 끼워넣어 고정하므로 타일 시공방법이 본 발명과는 다르다.
등록특허 10-0961474로 게시된 조립식 타일 패널을 이용한 수영장용 벽체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에 지지구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에 연결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구에는 타일 패널의 측면을 결합하여 타일 패널을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면와 상기 타일 패널의 배면 사이에 채움재를 타설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 타일 패널, 연결구 및 지지구를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벽체구조물을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는, 플랜지부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탄성 부재인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PVC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밀폐재를 구비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감싸면서 결합되어 타일 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연결구의 플랜지부 사이를 밀실하게 채워줘서 상호 연결되는 타일 패널 사이를 신축 이음하는 것이나 본 발명과는 상이한 방법이다.
공개특허 특2002-0076212로 게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처리공법은 바탕면에 요철 및 파진곳 등을 정리 하는 바탕면 고르기공정과; 그 바탕면 위에 기초침투방수, 접착력증강을 위한 기초침투방수공정과: 상기 접착 경화제가 경화된 후 그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는 도막방수공정과: 도막방수제의 상단에 부직포를 부착시키는 부직포 부착공정과;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는 부직포 침투 방수제 도포 및 침투시키는 부직포 침투방수공정과; 상기 그 부직포 위에 부직포 하도방수제를 일정두께 도포하는 부직포 하도 방수공정과; 상기 경화된 하도 방수제의 상면에 부직포 중도방수제를 도포하는 부직포 중도 방수공정과; 상기 중도 방수제의 상면으로 색소가 포함된 칼라 탑코팅 초벌방수제를 도포하는 칼라 탑코팅 초벌방수공정; 그 위에 증강방수 및 칼라구현, 마감처리를 위해 칼라 탑코팅 마감방수제를 도포하는 칼라 탑코팅 마감방수의 공정 순서로 이루어지나 우레탄방수 방법이 아니고 타일을 시공하지 않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시공 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1차 방수층과 2차 방수층을 구비하여 방수 기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는 타일 줄눈제를 사용하여 타일의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증대시키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은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 시공 후 바닥과 벽의 표면을 피복하여 청결성,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얻기 위한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층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체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 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타일 시공방법은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상기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층에 부착된 흙, 먼지, 모래 및 돌출된 각종 못, 철선 등은 연삭기 및 그라인더 등으로 제거하는 제1-1단계와; 빗자루나 청소기로 바탕면을 청소하는 제1-2단계와;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불량부분, 균열이 발생한 부분 및 기타 모재의 부실한 부분은 모르타르 또는 탄성실링제로 메우는 제1-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2단계는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을 물을 넣어 혼합하는 제2-1단계와; 혼합된 프라이머액을 붓, 롤러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제2-2단계와; 도포된 프라이머층을 경화시키는 제2-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3단계는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조인트 부분이나 코너 부분에 인장력을 보강하여 누수가 되지 못하도록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하는 제3-1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한 부분 위에 상기 코너보강재를 부착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코너보강재 위에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제3-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6단계는 스프레이장치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섭씨 65~75도로 가온 시킨 후 혼합하여 스프레이건으로 보내는 제6-1단계와, 스프레이건으로 폴리우레아를 분무하여 상기 제2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제6-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9단계는 상기 타일 접착제를 물과 혼합하여 바닥면이나 벽체면에 바를 수 있게 하는 제9-1단계와, 물과 혼합된 상기 타일 접착제를 뭉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톱니흙손으로 펴서 발라 상기 타일접착제층을 형성시키는 제9-2단계와, 상기 타일 접착제 위에 타일을 부착시켜 상기 타일층을 형성시키는 제9-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타일 줄눈제와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가 없을 때까지 잘 혼합하는 제10-1단계와, 타일과 타일 사이에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상기 타일줄눈을 형성시키는 제10-2단계와; 타일에 묻은 타일 줄눈제 잔재를 스펀지나 수건을 물에 적셔 닦아 내는 제10-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발생하지 않고 수용성 2액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60~85중량%와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5~35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오르가노실란 0.5~5.0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A액 30~70중량%와; 비스페놀 A(bisphenol A) 35~60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35~60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액상규산염 0.5~5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B액 30~7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보강재는 1.0 ~ 1.3mm 두께로 우레탄 함침이 되고 가로, 세로의 강도 및 물성의 편차가 적으며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 재질을 사용하고, 폭은 10 ~ 20cm 이다.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제품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친환경 무독성으로 초속 경화되며,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한다.
상기 타일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이고, 상기 타일 줄눈제는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한다.
상기 타일 접착제는 섬유 보강 탄성 분말접착제로, 길이 2~3mm 굵기 10~20㎛의 미세섬유(Micro-fiber)가 리터당 1,000,000개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타일 처짐성이 0.5mm 미만이어야 하고, 도포 후 가사시간(Open Time)이 60분 이상이어야 하며, 부착강도는 1일 강도 1.2 N/㎟ 이상, 7일 강도 1.5 N/㎟ 이상, 28일 강도 2.0 N/㎟ 이상 이어야 한다.
상기 타일 줄눈제는 규사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분말 폴리머로서 탄성력이 있고 항균력과 내후성, 내약품성 및 무독성이어야 한다.
상기 제8단계의 모르타르는 수증기 방출이 없는 무수축 조기 양생형 고강도 모르타르로, 1일에 보통 모르타르의 7일 강도를 발현하고 압축강도 50MPa 이상이어야 한다.
상술한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르면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시공 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과 시공성을 향상시켰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는 타일 줄눈제를 사용하여 타일의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증대시켜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시공방법 순서도
도 2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 단면도
도 3은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톱니흙손 사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은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A)의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 시공 후 바닥과 벽의 표면을 피복하여 청결성,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얻기 위한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31)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3)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5)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타일 시공방법은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6)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7)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8)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9)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10)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프라이머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발생하지 않고 수용성 2액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60~85중량%와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5~35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오르가노실란 0.5~5.0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A액 30~70중량%와; 비스페놀 A(bisphenol A) 35~60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35~60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액상규산염 0.5~5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B액 30~7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보강재는 1.0 ~ 1.3mm 두께로, 우레탄 함침이 되고, 가로와 세로의 강도 및 물성의 편차가 적으며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 재질을 사용하고, 폭은 10 ~ 20cm 이다.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 및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제품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친환경 무독성으로 초속 경화되며,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한다.
상기 타일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이다.
상기 타일 줄눈제는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방수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체 유해 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및 각종 중금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수 시공방법과, 상기 타일 접착제와 타일 줄눈제를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무독성을 사용하여 친환경인 환경 아래에서 작업할 수 있는 타일 시공 방법를 제공하여, 방수와 타일 시공이 완료된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이 친환경적인 시설물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시공방법 순서도이며, 도 2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 단면도이고, 도 3은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른 톱니흙손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시공방법은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A)의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 시공 후 바닥과 벽의 표면을 피복하여 청결성,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얻기 위한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31)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3)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5)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타일 시공방법은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상기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6)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7)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8)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9)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10)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단계는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 등으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로서,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에 부착된 흙, 먼지, 모래 및 돌출된 각종 못, 철선 등은 연삭기 및 그라인더 등으로 제거하는 제1-1단계와; 빗자루나 청소기로 바탕면을 청소하는 제1-2단계와;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불량부분, 균열이 발생한 부분 및 기타 모재의 부실한 부분은 모르타르 또는 탄성실링제로 메우는 제1-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1단계는 그라인더나 연삭기로 바탕의 돌출부분을 그라인딩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타설 시 튀어 타설면에 부착된 콘크리트 조각들이나, 타설면을 피니셔로 마감할 때 잘못된 부분 등 이물질 및 부착을 방해하는 요소를 그라인더나 연삭기로 로 밀어 면고르기를 하여 방수제가 골고루 포설되도록 한다.
제1-2단계는 연삭기나 그라인드로 그라인딩하여 나온 가루나 이물질 등 방수층 포설에 방해되는 것은 빗자루나 청소기로 완전히 제거하는 바탕면 청소 단계이며, 레이턴스 및 시멘트 등의 부스러기, 기름, 흙 등 방수재의 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이 없어야 하며 청소기 등을 이용하여 미세한 분말도 제거하여 프라이머의 접착성능을 확보해야 한다.
제1-3단계는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불량부분, 균열이 발생한 부분 및 기타 모체의 부실한 부분은 제거 후 바닥모르타르 또는 탄성실링제로 메우고 보수하는 단계이다.
또한 드레인 주위 및 파이프 연결부위 등 하자 발생이 예상되는 취약부위가 있을 경우 실링재 및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바닥모르타르는 무수축이고 경화가 빠른 모르타르를 사용하고, 탄성실링제는 우레탄 실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는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이며,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을 물을 넣어 혼합하는 제2-1단계와; 혼합된 프라이머액을 붓, 롤러로 도포하여 상기 프라이머층(2)을 형성시키는 제2-2단계와; 도포된 상기 프라이머층(3)을 경화시키는 제2-3단계로 구성된다.
바탕정리 후 솔 또는 롤러로 골고루 도포하며, 프라이머 시공부위는 레이턴스 및 시멘트 등의 부스러기, 기름, 흙, 방수재의 밀착을 저해하는 불순물이 없어야 하며, 충분히 건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발생하지 않고 수용성 2액형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60~85중량%와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5~35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오르가노실란 0.5~5.0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A액 30~70중량%와; 비스페놀 A(bisphenol A) 35~60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35~60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액상규산염 0.5~5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B액 30~70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에 있어서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는 친수성 용제이며 국립환경과학원 공고 제2009-192호로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 10호 및 환경부 고시 제2007-121호에 따라 도료 함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면제물질로 공고되었다.
상기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는 T-BAC(Tert Buthylacetate)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상기 T-BAC(Tert Buthylacetate)도 역시 친수성 용제이며 국립환경과학원 공고 제2009-192호로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 10호 및 환경부 고시 제2007-121호에 따라 도료 함유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면제물질로 공고되었다.
상기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는 낮은 경화 온도에서도 경화도막이 깨어지지 않고 안정된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동절기에는 동결방지의 효과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그 사용 함량은 0.5-10.0%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프라이머의 용제는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이 발생하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는 자연 상태에서 생분해가 되는 친환경 용제로서, 친환경이면서 VOC 규제도 받지 않고 도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함량규제에서 제외하고 있어 작업 시 냄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환경공해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제2-1단계는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을 물을 넣어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 혼합 시 혼합액 100 중량부에 대해 50~100 중량부의 물이 혼합되고, 그 점도가 5 ~ 100cps(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르가노실란는 커플링 에이전트로써 유연한 분자구조와 저분자량의 고침투성 성질을 지니고 있어, 도료나 방수재등 유기화합물과 시멘트콘크리트등의 무기화합물 표면에 침투하여 층간 부착을 증진시키며, 수지 성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곳까지 침투하여 가수분해에 의해 실라놀이 형성된 후 후속 도포 되는 우레탄 방수재의 잉여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 결합이 형성됨과 동시에 시멘트 콘크리트 깊숙이 침투하여 규소화합물과 실록산 결합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강화시킨다.
상기 액상규산염은 M2O-nSiO2-xH2O(M: Na ,K)로 표기할 수있는데, 그 종류는 M이 Na인 경우 몰비 SiO2/Na2O=2.0~3.2이고, 비중이 1.3~1.7이거나, M이 K인 경우 몰비 SiO2/K2O=2.0~4.0이며, 비중이 1.2-1.5인 규산염을 고형분기준 0.5-5.0%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고, 안정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3%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0%를 초과하면 점증현상이 발생하여 침투성 프라이머로써의 역할을 상실하며, 0.5중량%미만 사용시는 콘크리트 내부의 중화작용에 의한 경화밀도가 너무 작아 콘크리트의 공극을 막는 차단성이 매우 나빠지게 된다. 액상규산칼륨은 Zn, Mg, Al, Ca, Ba 등의 금속이온들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규산염 금속의 수산화물 및 규산을 동시에 생성하여 경화되거나, 글리옥살이나 에칠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초산에스테르는 모두 알칼리 조건 하에서 글리콜산이나 초산을 생성하고 중화작용에 의해 규산염을 경화시켜 콘크리트의 공극을 막아 차단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일부는 코팅층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용성 상기 프라이머는 냄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콘크리트를 강화하고 표면강도를 증가시켜 방수 도막층의 강력한 접착제 역할을 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31)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3)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이며,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조인트 부분이나 코너 부분에 인장력을 보강하여 누수가 되지 못하도록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하는 제3-1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한 부분 위에 상기 코너보강재(31)를 부착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코너보강재(31) 위에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제3-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는 그 부위의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조인트 부분이나 벽체와 벽체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서 누수가 되지 못하도록 고점도 우레탄으로 실링한 후 벽체 상기 코너보강재(31)로 부착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위로 도포해 방수층과 일체화가 되게 한다.
상기 코너보강재(31)는 1.0 ~ 1.3mm 두께의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 재질로 가로. 세로의 강도 및 물성의 편차가 적은 재료를 사용하고, 우레탄이 함침이 잘 될 수 있는 제품으로 사용하며, 폭은 10~20cm정도인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보강재(31)는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곳은 수직으로 50~100mm 수평으로 50~100mm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벽의 모서리 부분은 50mm 씩 좌우로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는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 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이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프라이머층(2) 위로 바탕을 조정하고 방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로 벽면 표면 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라이머층(2)이 완전히 경화된 것을 확인하고 벽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1단계와;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 전면에 도포하는 제4-2단계와; 도포 후 경화시키는 제4-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제품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 90만~100만 CP 범위의 고점도를 갖는 혼합 단계가 없고 환경오염이 없는 1액형 또는 혼합 단계가 있고 환경오염이 없는 2액형으로 1㎡ 당 1.0 ~ 1.2k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금속이 없는 바탕조정재의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를 사용하여 폴리우레아의 도포 후 핀홀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보강하고 시공 중에 유해 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이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형성되는 상기 프라이머층(2) 위로 바탕을 조정하고 방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로 중도인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라이머층(2)이 완전히 경화된 것을 확인하고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1단계와;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 전면에 도포하는 제5-2단계와; 도포 후 경화시키는 제5-3단계로 구성된다.
제1방수층(4)는 상기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1)과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제품을 적용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 3000~10000cps 점도 범위를 갖는 흐름성이 있고 혼합 단계가 없고 환경오염이 없는 1액형 또는 혼합 단계가 있고 환경오염이 없는 2액형으로 1㎡ 당 1.0 ~ 1.2k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금속이 없는 바탕조정재의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를 사용하여 폴리우레아의 도포 후 핀홀을 방지하여 방수기능을 보강하고 시공 중에 유해 환경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제6단계는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5)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이며, 스프레이장치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섭씨 65~75도로 가온시킨 후 혼합하여 스프레이건으로 보내는 제6-1단계와, 스프레이건으로 폴리우레아를 분무하여 상기 제2방수층(5)을 형성시키는 제6-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친환경 무독성으로 초속 경화되며,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와 경화제 혼합 시 액 온도를 50 내지 80℃로 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 압력을 100kg/㎠ 내지 175k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단계에서의 제2방수층(5)은 1.5mm 이상의 도막을 형성시켜야 한다.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를 섭씨 65~75도로 가온 시킨 후 2액 전용 도장 스프레이 장비를 사용하여 표면에 도포하며, 도장면과 건사이의 거리는 60-70C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차 도포 후 스프레이 상태를 조사한 후 미비한 곳이나 두께가 일정두께 이하 일 경우에는 재 도포를 실시하며, 재 도포는 1차 시공 후 24시간 이내에 2차코팅을 하여야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는 도막을 얻을 수 있다.
폴리우레아 수지 도포는 핀홀이나 미시공 부분이 없도록 꼼꼼히 확인하면서 작업해야 하며, 방수제의 가사시간은 각 방수제와 시공환경(온도, 습도, 바람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가사시간 내에 도포를 완료하여야 한다.
폴리우레아 수지 도포는 수직벽면을 먼저 도포한 후 바닥면를 도포해야 하며 한 곳에 집중적으로 도포하는 것보다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왕복으로 도포하면 면도 깨끗하며 흐름성도 없다
상기 제7단계는 상기 타일 시공방법의 첫단계로서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상기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6)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이다.
상기 규사의 도포 방법은 상기 우레탄 중도제를 도포하면서 바로 손으로 규사를 골고루 뿌리는 방법으로 특별한 장비없이 뿌려도 무방하다.
이렇게 규사를 도포하여 상기 타일 접착제를 벽면에 바를 때 벽체와 상기 타일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상기 타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8단계는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7)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이다.
상기 모르타르는 빠른 경화 속도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후속 공정인 타일 접착제 도포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수증기 방출이 없는 무수축 조기 양생형 고강도 모르타르를 사용하며, 강도는 1일에 일반 모르타르의 7일 강도를 발현하고 압축강도 50MPa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배합된 물이 증발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상기 모르타르층(7)에서 수증기의 방출이 없고, 수축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든 두께에서도 균일하게 양생되어야 하며, 30분 후면 보행이 가능한 뛰어난 초기강도를 가지고, 90분 후면 모든 후속공정이 가능해야 하며, 바닥면과 벽면 모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모르타르층(7)은 타일 접착에 접합하도록 마감되어야 하며 최하 16시간 이 후에 타일 시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9단계는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8)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9)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이며, 상기 타일 접착제를 물과 혼합하여 바닥면이나 벽체면에 바를 수 있게 하는 제9-1단계와, 물과 혼합된 상기 타일 접착제를 뭉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톱니흙손(81)으로 펴서 발라 상기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는 제9-2단계와, 상기 타일 접착제 위에 타일을 부착시켜 상기 타일층(9)을 형성시키는 제9-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9-1단계는 타일 접착제 분말 15kg와 깨끗한 물 6.5L~6.75L를 전동 믹서로 덩어리가 없도록 잘 혼합해 준 후 2~5분이 지난 후에 다시 한번 믹싱하는 2차 혼합을 시행한다.
혼합 점도는 현장 조건이나 타일의 크기, 무게 타입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5°C 이하에서는 시공하지 않는 것이 좋고, 23°C 및 50% 상대습도에서 혼합 후 가사 시간은 1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9-2단계에서 타일 접착제를 시공하기 전 먼지, 레이턴스, 오일 등 접착에 방해가 되는 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깨끗히 정리해야 한다. 너무 매끄러운 표면이나 35MPa이상인 콘크리트 표면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거칠게 만들어야 한다.
상기 제9-2단계는 2차 혼합 후 2~5분이 지난 후 접착제를 도포합니다.
상기 제9-2단계에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킨 후 도포 후 가사시간(Open Time)이 60분 이상이어도 최대한 빨리 타일을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제9-3단계의 타일 부착 시공은 혼합된 상기 타일 접착제가 타일에 골게 묻도록 타일을 잘 밀착시킨 후 상기 타일 접착제의 요철에 따라 정확한 위치로 맞추어 준다. 요철이 있는 타일은 모든 면에 접착제가 잘 묻도록 눌러 줍니다. 본 발명의 타일 접착제의 Open Time(붙임시간, 가사시간)과 타일조정 가능 시간은 각각 60분과 15~30분 이다. 상기 타일 접착제가 건조되지 않도록 Open Time(붙임시간, 가사시간)과 타일 조정 시간 내에 시공할 수 있는 양을 고려하여 상기 타입 접착제를 도포한다. 즉, 상기 제9-2단계와 제9-3단계는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타일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타일 접착제는 섬유 보강 탄성 분말접착제로, 길이 2~3mm 굵기 10~20㎛의 미세섬유(Micro-fiber)가 리터당 1,000,000개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타일 처짐성이 0.5mm 미만이어야 하고, 도포 후 가사시간(붙임시간)(Open Time)이 60분 이상이어야 하며, 부착강도는 1일 강도 1.2 N/㎟ 이상, 7일 강도 1.5 N/㎟ 이상, 28일 강도 2.0 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 접착제의 실시예는 포틀랜드시멘트 40~50중량%, 모래 45~55중량%, 촉진제인 의산칼슘(Calciumformiate) 0.5~1.5중량%, 보수제인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0.2~1.0중량%, 분산제 1.0~2.5중량%, 길이 2~3mm 굵기 10~20㎛의 미세섬유(Micro-fiber) 0.1~0.5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산제는 비나패스(Vinnapass) RE530Z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톱니흙손(81)으로 타일접착제 도포 시 미세섬유(Micro- fiber)가 국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섬유 뭉침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접착표면 내 상기 미세섬유(Micro-fiber)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타일 접착 후 타일접착제의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고르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상기 제10단계는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10)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이며, 상기 타일 줄눈제와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가 없을 때까지 잘 혼합하는 제10-1단계와, 타일과 타일 사이에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상기 타일 줄눈(10)을 형성시키는 제10-2단계와; 타일에 묻은 타일 줄눈제 잔재를 스펀지나 수건을 물에 적셔 닦아 내는 제10-3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10-2단계의 시공 가능 온도는 5°이상 3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줄눈 시공은 타일에 영향이 없도록 충분이 건조된 후에 시공하여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8시간 이상 충분히 경화한 후 시공해야 하며, 고밀도 타일이나 하지면 혹은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낮은 경우 그 이상의 경화시간을 필요하다.
상기 타일 줄눈제는 탄성이 뛰어나 충격을 흡수해야 하고, 부드러운 미분말로 타일에 흠이 남지 않아야 하며, 접착력과 내수성이 매우 우수해야 하고, 색상이 다양해야 하며, 항균력이 우수하여 곰팡이 발생이 없어야 하고,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무독성이어야 한다.
즉, 상기 타일 줄눈제는 규사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분말 폴리머로서 탄성력이 있고 항균력과 내후성, 내약품성 및 무독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 줄눈(10)과는 별도로 기능줄눈(MOVEMENT JOINTS)은 일반적으로 5m 간격으로 줄눈이 설치되어야 한다. 기능 줄눈은 반드시 표면까지 이어져야 하고 상기 기능줄눈의 폭은 약 6mm이며 상기 타일 접착제가 상기 기능줄눈 아래 위치되어 않도록 하며, 실리콘 같은 탄성이 있는 충진재를 사용해야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톱니흙손(81)은 상기 타일 접착제를 펴고 바르는 역할을 하며, 벽면 작업 시에는 톱니(811)의 높이(H) 및 간격(L)이 5~6mm(H) * 5~6mm(L)이고 바닥 작업 시에는 톱니(811)의 높이(H) 및 간격(L)이 8~10mm(H) * 8~10mm(L)인 크기의 톱니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니흙손(81)은 타일접착제 도포 시 미세섬유(Micro- fiber)가 국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섬유 뭉침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접착표면 내 상기 미세섬유(Micro-fiber)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여 타일 접착 후 타일접착제의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고르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발명의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따르면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시공 시 작업자를 보호하고 시공 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방수 기능과 시공성을 향상시켰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고 탄성력이 있으며 대형 및 소형 타일에 적합한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와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향균 성질이 있으며 접착력을 보유하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는 타일 줄눈제를 사용하여 타일의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증대시켜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다.
1 : 콘크리트 구조물 11 : 바탕층
2 : 프라이머층 3: 코너보강층
31 : 코너보강재 4 : 제1방수층
41 : 벽면 표면 조정 및 제1방수층
42 :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
5 : 제2방수층 6 : 우레탄 규사층
7 : 모르타르층 8 : 타일접착제층
9 : 타일층 10 : 타일 줄눈

Claims (5)

  1.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A)의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 시공 후 바닥과 벽의 표면을 피복하여 청결성,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얻기 위한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31)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3)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5)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타일 시공방법은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6)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7)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8)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9)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10)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프라이머는 폴리아미드 수지 60~85중량%와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5~35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오르가노실란 0.5~5.0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A액 30~70중량%와;
    비스페놀 A(bisphenol A) 35~60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35~60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액상규산염 0.5~5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B액 30~7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코너보강재는 1.0 ~ 1.3mm 두께로, 우레탄 함침이 되고,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 재질을 사용하고, 폭은 10 ~ 20cm 이며,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와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친환경 무독성으로 초속 경화되며,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하고,
    상기 타일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이고,
    상기 타일 줄눈제는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며,
    상기 타일 접착제는 섬유 보강 탄성 분말접착제로, 길이 2~3mm 굵기 10~20㎛의 미세섬유(Micro-fiber)가 리터당 1,000,000개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타일 처짐성이 0.5mm 미만이어야 하고, 도포 후 가사시간(Open Time)이 60분 이상이어야 하며, 부착강도는 1일 강도 1.2 N/㎟ 이상, 7일 강도 1.5 N/㎟ 이상, 28일 강도 2.0 N/㎟ 이상이고,
    상기 제8단계의 모르타르는 수증기 방출이 없는 무수축 조기 양생형 고강도 모르타르로, 1일에 일반 모르타르의 7일 강도를 발현하고 압축강도 5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2. 삭제
  3. 최종 마감재로 타일을 사용하는 수영장이나 사우나의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A)의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 시공 후 바닥과 벽의 표면을 피복하여 청결성, 내구성, 내수성, 내마모성을 얻기 위한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충분히 양생 후 돌출부 및 면의 조정이 필요한 부위의 바탕면을 그라인더로 정리하여 바탕의 평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을 표면 처리하는 표면처리 단계인 제1단계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재가 부착되는 부착력 향상을 위해 환경 친화적이고 냄새가 없고 물을 희석제로 사용하는 수용성 2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방수층과의 접착을 돕고 콘크리트 표면을 강화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전면에 롤러나 붓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을 만드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인 제2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의 코너 및 모서리 부위를 코너보강재(31)와 우레탄 및 고점도 우레탄을 같이 사용하여 보강해 주어 코너보강층(3)을 만드는 코너 및 모서리 보강단계인 제3단계와;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를 벽체면에 도포하여 벽체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벽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1)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4단계와;
    우레탄계 중도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바닥면의 미세한 공극 또는 핀홀을 메꾸므로써 바닥면 표면조정 및 제1방수층(42)을 만드는 바닥면 우레탄 중도제 도포단계인 제5단계와;
    바닥면과 벽체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제2방수층(5)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인 제6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타일 시공방법은 벽체면을 타일 시공 시 흘러 내림이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6단계에서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 후 경화가 확인되면 우레탄 중도제를 로울러로 도포하면서 규사를 도포하여 벽체면이 규사로 인해 단면적이 넓어져 타일 시공 시 처짐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우레탄 규사층(6)을 만드는 벽체면 우레탄 규사 도포단계인 제7단계와;
    타일 시공 전 바닥면의 배수를 원활히 하기 위해 모르타르로 바닥면을 조성하여 일정 구배를 갖게 하는 모르타르층(7)을 만드는 바닥 모르타르 조성단계인 제8단계와;
    타일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고 상기 타일접착제층(8) 위에 타일을 시공하여 타일층(9)을 만드는 타일 시공단계인 제9단계와;
    타일 시공 후 8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타일 줄눈(10)을 만드는 타일 줄눈 시공단계인 제10단계와;
    현장을 청소 및 정리하고 시공을 마무리하는 시공 마무리단계인 제11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프라이머는 폴리아미드 수지 60~85중량%와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5~35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오르가노실란 0.5~5.0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A액 30~70중량%와;
    비스페놀 A(bisphenol A) 35~60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 35~60중량%와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 DMC) 0.5~10중량%와 액상규산염 0.5~5중량%로 구성된 프라이머 B액 30~70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코너보강재는 1.0 ~ 1.3mm 두께로, 우레탄 함침이 되고, 내구성이 강한 유리섬유 재질을 사용하고, 폭은 10 ~ 20cm 이며,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와 우레탄계 중도제는 중금속이 포함되지 아니한 제품으로써, 프탈레이트(Phthalate)계 또는 DOP(Di-Octyl-Phthalate) 가소제를 사용하지 아니한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며,
    상기 프탈레이트(Phthalate)계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다이뷰틸프탈레이트(DBP), 뷰틸벤질프탈레이트(BB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친환경 무독성으로 초속 경화되며,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하고,
    상기 타일 접착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무기질계 탄성 타일 접착제이고,
    상기 타일 줄눈제는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있는 에폭시계 또는 무기질계를 사용하며,
    상기 타일 접착제는 포틀랜드시멘트 40~50중량%, 모래 45~55중량%, 촉진제인 의산칼슘 0.5~1.5중량%, 보수제인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0.2~1.0중량%, 분산제 1.0~2.5중량%, 길이 2~3mm 굵기 10~20㎛의 미세섬유 0.1~0.5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바탕층(11)에 부착된 흙, 먼지, 모래 및 철선을 연삭기 및 그라인더로 제거하는 제1-1단계와; 빗자루나 청소기로 바탕면을 청소하는 제1-2단계와;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불량부분, 균열이 발생한 부분 및 모재의 부실한 부분은 모르타르 또는 탄성실링제로 메우는 제1-3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는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을 물을 넣어 혼합하는 제2-1단계와; 혼합된 프라이머액을 붓, 롤러로 도포하여 상기 프라이머층(2)을 형성시키는 제2-2단계와; 도포된 상기 프라이머층(2)을 경화시키는 제2-3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3단계는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조인트 부분이나 코너 부분에 인장력을 보강하여 누수가 되지 못하도록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하는 제3-1단계와,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실링한 부분 위에 상기 코너보강재(31)를 부착하는 제3-2단계와, 상기 코너보강재(31) 위에 상기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제3-3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6단계는 스프레이장치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섭씨 65~75도로 가온시킨 후 혼합하여 스프레이건으로 보내는 제6-1단계와, 스프레이건으로 폴리우레아를 분무하여 상기 제2방수층(5)을 형성시키는 제6-2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9단계는 상기 타일 접착제를 물과 혼합하여 바닥면이나 벽체면에 바를 수 있게 하는 제9-1단계와, 물과 혼합된 상기 타일 접착제를 뭉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톱니흙손(81)으로 펴서 발라 상기 타일접착제층(8)을 형성시키는 제9-2단계와, 상기 타일 접착제 위에 타일을 부착시켜 상기 타일층(9)을 형성시키는 제9-3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타일 줄눈제와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가 없을 때까지 잘 혼합하는 제10-1단계와, 타일과 타일 사이에 타일 줄눈제를 시공하여 상기 타일 줄눈(10)을 형성시키는 제10-2단계와; 타일에 묻은 타일 줄눈제 잔재를 스펀지나 수건을 물에 적셔 닦아내는 제10-3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2-1단계에서 상기 프라이머 A액과 프라이머 B액 혼합 시 혼합액 100 중량부에 대해 50~100 중량부의 물이 혼합되고, 그 점도가 5 ~ 100cps(20℃)이며,
    상기 벽체 전용 우레탄계 중도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 90만~100만 CP 범위의 고점도를 갖는 혼합 단계가 없고 환경오염이 없는 1액형 또는 혼합 단계가 있고 환경오염이 없는 2액형으로 1㎡ 당 1.0 ~ 1.2kg을 사용하고,
    상기 우레탄계 중도제는 폴리우레탄 조성물로서 3000~10000cps 점도 범위를 갖고 흐름성이 있고 혼합 단계가 없으며 환경오염이 없는 1액형 또는 혼합 단계가 있고 환경오염이 없는 2액형으로 1㎡ 당 1.0 ~ 1.2kg을 사용하며,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의 주제와 경화제 혼합 시 액 온도를 50 내지 80℃로 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 압력을 100kg/㎠ 내지 175kg/㎠로 하고,
    상기 제6단계에서의 제2방수층(5)은 1.5mm 이상의 도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접착제을 펴고 바르는 상기 톱니흙손(81)은 벽면 작업 시에는 톱니(811)의 높이(H) 및 간격(L)이 5~6mm(H) * 5~6mm(L)이고 바닥 작업 시에는 톱니(811)의 높이(H) 및 간격(L)이 8~10mm(H) * 8~10mm(L)인 크기의 톱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KR1020130125596A 2013-10-21 2013-10-21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7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596A KR101379486B1 (ko) 2013-10-21 2013-10-21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596A KR101379486B1 (ko) 2013-10-21 2013-10-21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486B1 true KR101379486B1 (ko) 2014-04-14

Family

ID=5065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9486B1 (ko) 2013-10-21 2013-10-21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486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10B1 (ko)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101699284B1 (ko) 2016-07-29 2017-01-2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방수 및 오염방지 성능을 가지는 타일 시공방법
KR101701098B1 (ko) 2016-10-17 2017-01-31 (주)오래건설 수처리시설물에 시공되는 자기질 타일
KR101747754B1 (ko) * 2015-08-21 2017-06-16 우주통상산업(주)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수영장의 보수공법
KR101798457B1 (ko) * 2015-10-06 2017-11-16 (주)한국록셀보드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1825356B1 (ko) * 2014-12-29 2018-02-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강도 타일접착 시공시스템
KR20180041985A (ko) 2016-10-17 2018-04-25 (주)오래건설 보수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시설물에 시공되는 자기질 타일
CN108331279A (zh) * 2018-02-05 2018-07-27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基层表面的喷涂聚脲防护体系的施工方法
KR101991240B1 (ko) * 2019-01-29 2019-06-20 최형철 친환경 폴리우레아 도막방수 개량공법
KR20190074932A (ko) * 2017-12-20 2019-06-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친환경 폴리우레아 방수 시공방법 및 그 방수 구조
CN110273490A (zh) * 2019-06-20 2019-09-24 广西建工集团第五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内嵌式轻质墙板钢结构建筑构造及施工方法
KR102230377B1 (ko) * 2020-09-23 2021-03-19 오민석 폴리우레아 수지 함유 도막 방수재의 시공방법
CN114575550A (zh) * 2022-03-23 2022-06-03 安徽三建工程有限公司 一种厨卫间地砖湿贴工艺
KR102420119B1 (ko) 2021-11-19 2022-07-13 대한기술연구원 주식회사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CN115182532A (zh) * 2022-08-04 2022-10-14 楠斯德璞(佛山)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卫生间墙面基层处理方法
KR102490818B1 (ko) * 2022-11-30 2023-01-25 창조물산 주식회사 수영장용 바닥 마감재 및 방수시공방법
CN115653240A (zh) * 2022-11-07 2023-01-3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大面积超耐磨混凝土地坪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69B1 (ko) * 1982-10-19 1984-12-24 박승구 벽체의 타일 부착 공법
KR100602775B1 (ko) * 2005-10-24 2006-07-20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실내 습식 방수공법
KR2010010709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다해 표면 노출식 탑-모르타 도막방수 시공방법 및 그 도막방수층 구조
KR101267433B1 (ko) * 2012-10-19 2013-05-30 (주) 인택산업 환경 친화적 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면의 방수 및 바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69B1 (ko) * 1982-10-19 1984-12-24 박승구 벽체의 타일 부착 공법
KR100602775B1 (ko) * 2005-10-24 2006-07-20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실내 습식 방수공법
KR20100107095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다해 표면 노출식 탑-모르타 도막방수 시공방법 및 그 도막방수층 구조
KR101267433B1 (ko) * 2012-10-19 2013-05-30 (주) 인택산업 환경 친화적 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면의 방수 및 바닥 시공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356B1 (ko) * 2014-12-29 2018-02-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강도 타일접착 시공시스템
KR101747754B1 (ko) * 2015-08-21 2017-06-16 우주통상산업(주)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수영장의 보수공법
KR101798457B1 (ko) * 2015-10-06 2017-11-16 (주)한국록셀보드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1699284B1 (ko) 2016-07-29 2017-01-2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방수 및 오염방지 성능을 가지는 타일 시공방법
KR101701098B1 (ko) 2016-10-17 2017-01-31 (주)오래건설 수처리시설물에 시공되는 자기질 타일
KR20180041985A (ko) 2016-10-17 2018-04-25 (주)오래건설 보수기능을 가지는 수처리시설물에 시공되는 자기질 타일
KR101699210B1 (ko)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KR102219074B1 (ko) 2017-12-20 2021-02-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친환경 폴리우레아 방수 시공방법 및 그 방수 구조
KR20190074932A (ko) * 2017-12-20 2019-06-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친환경 폴리우레아 방수 시공방법 및 그 방수 구조
CN108331279A (zh) * 2018-02-05 2018-07-27 江苏苏博特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基层表面的喷涂聚脲防护体系的施工方法
KR101991240B1 (ko) * 2019-01-29 2019-06-20 최형철 친환경 폴리우레아 도막방수 개량공법
CN110273490A (zh) * 2019-06-20 2019-09-24 广西建工集团第五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内嵌式轻质墙板钢结构建筑构造及施工方法
KR102230377B1 (ko) * 2020-09-23 2021-03-19 오민석 폴리우레아 수지 함유 도막 방수재의 시공방법
KR102420119B1 (ko) 2021-11-19 2022-07-13 대한기술연구원 주식회사 고습윤 환경에 노출된 수처리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CN114575550A (zh) * 2022-03-23 2022-06-03 安徽三建工程有限公司 一种厨卫间地砖湿贴工艺
CN115182532A (zh) * 2022-08-04 2022-10-14 楠斯德璞(佛山)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卫生间墙面基层处理方法
CN115653240A (zh) * 2022-11-07 2023-01-31 中国三冶集团有限公司 大面积超耐磨混凝土地坪施工方法
KR102490818B1 (ko) * 2022-11-30 2023-01-25 창조물산 주식회사 수영장용 바닥 마감재 및 방수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486B1 (ko) 타일 마감되는 콘크리트 담수 시설물의 방수 및 타일 시공 방법
KR101267433B1 (ko) 환경 친화적 소재를 적용한 콘크리트면의 방수 및 바닥 시공방법
KR100947460B1 (ko) 폴리우레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코팅공법
KR1009564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공법
KR100908457B1 (ko)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0922850B1 (ko) 수용성 폴리아민계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및 그에 따라 시공된 구조물의 방수 층상 구조
KR102190713B1 (ko) 폴리아미드 섬유가 함유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2576376B1 (ko) 항균성 및 다기능성을 보유한 무용제형 폴리우레탄크리트 바닥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280879B1 (ko)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073693B1 (ko)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210034816A (ko) 폴리우레탄 수지 모르타르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2361953B1 (ko) 공압방식의 치핑장치를 이용하여 철거함에 따라 기존 구조물의 손상이 적고 우수한 배합비의 폴리머 몰탈을 분사장치로 시공하며 마감처리 보호재를 균일한 도포방식으로 시공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 보수공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0363709B1 (ko) 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조정재 및 시공법
KR1007726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방법
CN111363431A (zh) 一种多功能水性环保涂料
KR20210000924A (ko) 절연성 탄소섬유시트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방법
KR20200085419A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2171492B1 (ko) 시공환경에 대응하는 원형중공입자형 유 코트가 혼합된 방수재 시공방법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0734176B1 (ko) 엠보 스프레이 코팅시스템을 이용하여 엠보싱 무늬층을형성하는 건물 옥상이나 바닥면의 우레탄도막형 방수공법
KR101178247B1 (ko) 폴리우레아 시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 코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